KR101393421B1 -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421B1
KR101393421B1 KR1020130075290A KR20130075290A KR101393421B1 KR 101393421 B1 KR101393421 B1 KR 101393421B1 KR 1020130075290 A KR1020130075290 A KR 1020130075290A KR 20130075290 A KR20130075290 A KR 20130075290A KR 101393421 B1 KR101393421 B1 KR 101393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ayers
tray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준
안영선
Original Assignee
안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선 filed Critical 안영선
Priority to KR102013007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2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travelling on a belt or the like, or conveyed by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Equipment for handling produce in 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이의 폭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서로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레일층을 가지는 제1레일부와, 제1레일부의 레일층과 대응되는 복수의 레일층을 가지되 제1레일부의 레일층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레일부와,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레일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유닛과, 제1레일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짝수의 레일층으로 상승시키는 제1승강유닛과, 제2레일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홀수의 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2승강유닛과, 제1 및 제2레일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제1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홀수의 레일층으로 상승시키고,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짝수의 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1승강유닛을 포함하며, 트레이가 상기 제1레일부, 제1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상승된 후, 제2레일부,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하강됨으로써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환식 식물재배장치{Circulata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간활용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순환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식물의 재배환경이 변경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업 분야에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는 순환시키고자 하는 작물을 트레이에 수납하여 일정한 루트를 따라 순환시키는 장치로서, 버섯같은 작물을 각각 동일한 조건에서 재배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는 일반적으로 다단식으로 이루어진 루트를 따라 트레이를 순환시켜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공간활용율이 우수하고 작업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진 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수평이송 및 승강을 위하여 복잡하고 가격이 비싼 장치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물에 강한 빛이 필요한 경우에 최상부의 작물을 제외한 나머지 작물들에 빛을 공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필요에 의해 작물을 넓게 펼쳐야 하는 경우에 이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작물 재배는 농작물 재배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서 주로 딸기, 토마토, 장미와 같은 각종 작물을 시기에 관계없이 재배하여 수요자에게 신선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그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재배는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에 식물이 파종되어 있고, 작업자가 비닐하우스 내부로 들어가 작물을 관리하고 수확하는 방법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비닐하우스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작물을 관리하기 위해서 비닐하우스 내부의 작물은 평면내에서 일정간 간격을 두고 파종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오랜시간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혹서시 따가운 햇빛으로 인한 열사병 또는 하우스병에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09461호(2011.01.19.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240375호(2013.03.07.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간활용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순환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식물의 재배환경이 변경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트레이에 식물 종자를 수납하여 순환시켜 재배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폭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서로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레일층을 가지는 제1레일부와, 상기 제1레일부의 레일층과 대응되는 복수의 레일층을 가지되 상기 제1레일부의 레일층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레일부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유닛과, 상기 제1레일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짝수의 레일층으로 상승시키는 제1승강유닛과, 상기 제2레일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홀수의 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2승강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홀수의 레일층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짝수의 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1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레일부, 제1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상승된 후, 상기 제2레일부,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하강됨으로써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승강유닛,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은 각각 상기 트레이의 양단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과 대응되도록 서로 소정높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승강레일층과, 상기 승강레일층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레일층과 결합되는 실린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승강유닛,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은 각각 상기 승강레일층의 상방 및 하방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르래와, 상기 승강레일층의 하나의 레일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도르래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기 승강레일층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가지며, 상기 승강레일층이 승강되는 경우에 경우에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승강레일층이 수평이 유지되며 승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 1 및 제2레일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작동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에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되는 이송프레임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프레임이 이동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파이프를 가지며, 상기 원형파이프와 일체로 회동되되 성가 트레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레일층에 각각 배치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레일부에서는 각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에서는 각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상부 레일층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하부 레일층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걸림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걸림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제1 및 제2보조바와,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보조바와 링크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재의 원형파이프에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회전바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하부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의 원형파이프와 상기 회전바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보조바와 일체로 승강되는 제3보조바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상부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의 원형파이프와 상기 회전바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보조바와 일체로 승강되는 제4보조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송프레임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수단의 제1실린더가 작동되고 상기 회동수단의 제2실린더는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회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회동되지 않아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만 일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는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이송프레임이 타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수단의 제1실린더가 복귀되고 상기 회동수단의 제2실린더는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만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및 상기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비닐하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상기 트레이의 폭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서로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제1레일층 및 제2레일층과, 상기 제1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제1레일층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상기 제2레일층으로 상승시키는 제4승강유닛과, 상기 제2레일층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상기 제1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5승강유닛을 가지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4승강유닛, 제2레일층, 제5승강유닛 및 제1레일층을 순차적으로 이송되며 순환되되,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제4승강유닛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비닐하우스에 투입되어 순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승강유닛에 안착됨으로써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의하면, 다층으로 이루어진 루트를 따라 식물이 순환되며 재배됨으로써 공간활용율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의하면, 실린더와 걸림부재를 이용한 수평이동방식과, 실린더, 와이어 및 도르레를 이용한 승강방식이 사용됨으로써 식물의 안정적인 순환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식물이 비닐하우스로 이동되어 각각 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식물의 재배환경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제1레일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제2레일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트레이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이송유닛의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이송유닛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제1승강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제2승강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제3승강유닛의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도 1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하우스의 우측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하우스의 정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이송부의 사시도.
도 16a 내지 도 17b는 도 12에 도시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11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는 트레이(10), 제1레일부(100), 제2레일부(200), 이송유닛(300), 제1승강유닛(400), 제2승강유닛(500), 제3승강유닛(600)을 포함하며, 비닐하우스(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는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수납되는 부재로서,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식물의 종자가 심어진 식물재배통(20)이 수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식물재배통(20)이 수납되는 형태를 보면, 식물재배통(20)의 양 끝단이 트레이(10)의 프레임에 안착되어 수납되며, 식물재배통(20)은 트레이(10)의 폭에 맞추어 복수가 수납된다.
트레이(10)의 양 끝단 하측에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에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바퀴(11)가 결합되어 있으며,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의 전단 및 후단에는 범퍼(12)가 결합되어 있다. 이는 트레이(10)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이송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이송 방법 및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부(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110)로 이루어지며, 레일(110)은 트레이(10)의 바퀴(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레일(110)은 마주보는 한 쌍이 하나의 레일층(115)을 이루며, 각각의 레일층(115)은 서로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레일층(115)은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며 레일층(115)의 총 개수는 짝수로 이루어진다. 이는 순환되는 트레이(10)가 항상 동일한 루트를 가지고 순환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트레이(10)의 순환 루트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레일부(200)는 제1레일부(100)와 트레이(10) 하나의 길이만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레일부(100)와 동일하게 복수의 레일(210)로 이루어지는 레일층(215)을 가진다. 각각의 레일층(215)은 제1레일부(100)의 레일층(115)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최상부 및 최하부의 레일층(215)은 중간부의 레일층(115)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레일부(100)의 최상부 및 최하부의 레일층(115)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레일부(200)의 중간부의 레일층(215)은 각각 제1레일부(100)의 레일층(115)과 동일한 개수와 높이를 가지고 서로 이격 배치되며, 최상부 및 최하부의 레일층(215)은 각각 제1레일부(100)의 최상부의 레일층(115)에 안착되는 트레이(10)가 이송유닛(300)에 의해 제2레일부(200)의 최상부의 레일층(215)에 안착되고, 제2레일부(200)의 최하부의 레일층(215)에 안착되는 트레이(10)가 이송유닛(300)에 의해 제1레일부(100)의 최하부의 레일층(115)에 안착될 수 있도록 서로 맞닿아 배치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유닛(300)은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에 안착되는 트레이(1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동실린더(310), 이송프레임(320), 걸림부재(330) 및 회동수단(340)을 포함한다.
구동실린더(310)는 일단이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에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작동된다.
이송프레임(310)은 직사각 형태를 가지며, 구동실린더(310)의 타단에 결합되어 구동실린더(310)의 작동에 따라 일체로 동작된다. 이송프레임(310)은 걸림부재(330)와 회동수단(340)이 결합되는 뼈대 역할을 하며, 이송프레임(310)이 동작함에 따라 걸림부재(330)와 회동수단(340)도 함께 이동된다.
걸림부재(33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원형파이프(331)과 트레이(10)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332)를 가진다. 걸림부재(330)는 이송프레임(320)에 따라 수평이동됨과 동시에 회동수단(34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는데, 회동되는 방향은 이송프레임(320)이 수평이동되는 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이때, 원형파이프(331)가 회동되면 걸림돌기(332) 또한 일체로 회동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0)가 범퍼(12)로 인해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332)가 각각의 트레이(10)의 사이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걸림돌기(332)가 회동된 상태에서 이송프레임(320)이 이동되면 각각의 트레이(10)가 걸림돌기(332)에 의해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330)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각 레일층(115,215)에 각각 배치되는데, 제1레일부(100)에서는 해당하는 층에 배치되는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2레일부(200)에서는 해당하는 층에 배치되는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된다. 단,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에서는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최하부의 레일층(115,215)에서는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각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최상부 및 최하부의 레일층(115,215)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길이를 갖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에 비하여 트레이(10) 하나의 길이만큼 타측으로 돌출 배치되며, 따라서 중간부의 레일층(115,215)의 배치는 지그재그의 형태를 가진다. 또한, 최상부 및 최하부의 레일층(115,215)의 걸림부재(330)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되,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최하부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에 비하여 트레이(10) 하나의 길이만큼 타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따라서,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의 걸림부재(330)와 중간부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일측 끝단이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며, 최하부의 레일층(115,215)의 걸림부재(330)와 중간부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의 걸림부재(330)는 타측 끝단이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330)가 각각의 레일층(115,215)에 결합되는 형태를 보면,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에 상방에는 걸림부재(3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파이프(120)가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사각파이프(120)의 하측에는 하방 중간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형태의 롤러가이드(130)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걸림부재(330)의 원형파이프(331)는 링 형태의 가이드(333)에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333)의 상측에는 각파이프(33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각파이프(334)의 상측에는 롤러(335)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롤러(335)가 전술한 롤러가이드(130)에 안착되어 이동됨으로써 걸림부재(330)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레일부(100)의 중간부의 레일층(115,21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330)가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는데, 전술한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의 경우와 대비하여 롤러가이드(130)가 사각파이프(120) 대신 해당하는 레일층(115,215)의 상측에 배치되는 레일층(115,215)의 레일(110)에 결합된다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기술적 특징 및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최하부 및 제2레일부(200)의 중간부의 레일층(115,215)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330)가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되는데, 여기에서는 최상부의 레일층(115,215)의 경우와는 반대로 사각파이프(120)의 상측에 롤러가이드(130)가 배치되며, 롤러가이드(130)의 내부에 최하부 걸림부재(330)의 롤러(335)가 결합됨으로써 걸림부재(330)가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되게 된다.
다만, 여기에서 전술한 최상부 및 제1레일부(100)의 중간부 레일층(115)의 경우와는 달리 최하부 및 제2레일부(200)의 중간부 레일층(215)에서는 트레이(10)가 레일(210)에 안착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제1레일부(100)처럼 레일(210)의 상면에 롤러가이드(130)가 안착될 수 없다. 따라서, 최하부 및 제2레일부(200)의 중간부의 레일층(215)에서는 사각파이프(120)가 레일(210)의 측면에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그 외 기술적 특징은 동일하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수단(340)은 걸림부재(3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1실린더(341), 제2실린더(342), 제1보조바(343), 제2보조바(344), 제3보조바(345), 제4보조바(346), 회전바(347)을 포함한다.
제1실린더(341)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를 회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1실린더(341)는 일단이 이송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해 작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실린더(341)의 타단에는 제1보조바(343)가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1실린더(341)가 작동하게 되면 제1보조바(343)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제1보조바(343)에는 복수의 회전바(347)가 각각 링크 결합되어 있는데, 제1보조바(343)에 결합되는 회전바(347)는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 및 최하부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와 결합된다.
이때 결합되는 구조를 보면,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층의 레일(110)의 하측에 결합되어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트레이(10)의 상방에서 걸림돌기(332)가 회동된다. 이러한 걸림돌기(332)에 회전바(347)가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결합되는데, 각도는 예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1실린더(341)가 작동되어 제1보조바(343)가 하강하게 되면 제1보조바(343)에 링크 결합되는 회전바(347)가 걸림부재(330)의 원형파이프(331)를 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원형파이프(331)와 걸림돌기(332)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돌기(332)가 트레이(10)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1실린더(341)가 복귀되면 제1보조바(343)가 상승되고 따라서 제1보조바(343)에 링크 결합되는 회전바(347)가 걸림부재(330)의 원형파이프(331)를 축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고 따라서 원형파이프(331)와 걸림돌기(332)가 함께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돌기(332)가 트레이(10)의 사이에서 벗어나게 되며, 이때 걸림돌기(332)의 방향은 트레이(1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최하부의 레일층(115)의 걸림부재(330)와 결합되는 회전바(347)는 중간부의 레일층(115)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와는 달리 걸림돌기(332)와 회전바(347)가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데, 이는 최하부의 레일층(115)의 걸림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때 최하부의 레일층(115)에서는 중간부의 레일층(115)과는 달리 하방에서 걸림돌기(332)가 회동되기 때문에, 제1실린더(341)가 작동되어 제1보조바(343)가 하강하게 되면 제1보조바(343)에 링크 결합되는 회전바(347)가 걸림부재(330)의 원형파이프(331)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돌기(332)가 트레이(10)의 사이에 배치되게 되며, 제1실린더(341)가 복귀되어 제1보조바(343)가 상승하게 되면 제1보조바(343)에 링크 결합되는 회전바(347)가 걸림부재(330)의 원형파이프(331)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돌기(332)가 트레이(10)의 사이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때, 걸림돌기(332)의 방향은 트레이(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레일부(100)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보조바(343)로는 제2레일부(200)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를 회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서는 최하부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에 회전바(347)를 이용하여 제3보조바(345)를 결합시킴으로써 제1실린더(341)의 작동에 따라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최하부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최하부 레일층(115,215)의 길이를 합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최하부 걸림부재(330)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를 동시에 가로지도록 배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레일부(100) 측에는 제1보조바(343)와 회전바(347)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최하부 걸림부재(330)의 제2레일부(200) 측에는 제1보조바(343)와 회전바(347)가 결합되는 각도와 동일한 구성으로 회전바(347)와 제3보조바(345)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1실린더(341)가 작동되면 제1보조바(343)가 하강되어 최하부 걸림부재(330)가 회동되고 따라서 제2레일부(200) 측의 회전바(347)가 따라 회동되면, 결과적으로 제3보조바(345)가 일체로 하강되게 된다. 여기에서 제3보조바(345)에는 제1레일부(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회전바(347)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홀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동시에 회동되게 된다.
단, 여기에서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와는 달리 최하부 레일층(215)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와 동일하게 걸림돌기(332)와 둔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그밖에 기술적인 특징은 동일하다.
제2실린더(342)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를 회동시킨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2실린더(342)은 제1실린더(341)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제2레일부(200) 측에 배치된다. 제1실린더(34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이송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있으며, 하방을 향해 작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2실린더(342)의 타단에는 제2보조바(344)가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2실린더(342)가 작동하게 되면 제2보조바(344)가 하강하게 된다. 제2보조바(344)에는 복수의 회전바(347')가 각각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제2보조바(344)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은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 및 최상부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와 결합된다.
이때,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각각 트레이(10)의 하방에서 회동되기 때문에 회전바(347')와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전술한 최하부 레일층(115,215)의 경우와 동일한 각도와 구조를 가지며 결합된다.
또한, 최상부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술한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와 동일한 각도와 구조를 가지며 결합된다.
여기에서 최상부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에는 전술한 제1실린더(34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2레일부(200)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보조바(344)로는 제1레일부(100)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를 회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최상부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에 회전바(347')를 이용하여 제4보조바(346)를 결합시킴으로써 제2실린더(342)의 작동에 따라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말해, 최상부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최상부 레일층(115,215)의 길이를 합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최상부 걸림부재(330)는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를 동시에 가로지도록 배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레일부(200) 측에는 제2보조바(344)와 회전바(347')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최상부 걸림부재(330)의 제1레일부(100) 측에는 제2보조바(344)와 회전바(347')가 결합되는 각도와 동일한 구성으로 회전바(347')와 제4보조바(346)가 결합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342)가 작동되면 제2보조바(344)가 하강되어 최상부 걸림부재(330)가 회동되고 따라서 제1레일부(100) 측의 회전바(347')가 따라 회동되면, 결과적으로 제4보조바(346)가 일체로 하강되게 된다. 여기에서 제4보조바(346)에는 제2레일부(2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회전바(347')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짝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동시에 회동되게 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4보조바(346)에 결합되는 회전바(347')는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와는 달리 제1실린더(341)의 결합관계에서 홀수의 레일층(115)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그밖에 기술적인 특징은 동일하다. 또한 여기에서, 제1 및 제3보조바(343,345)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와 제2 및 제4보조바(344,346)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은 서로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는 점에 차이가 있고 다른 기술적인 특징이 동일하다.
이송유닛(300)이 트레이(10)를 이송시키는 경우 회동수단(340)의 작동 상태를 보면, 이송프레임(320)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1실린더(341)는 작동되고 제2실린더(342)는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실린더(341)에 결합되는 제1보조바(343)가 하강되고 제1보조바(343)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에 의해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115) 및 최하부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회동된다.
또한, 전술한 최하부 레일층(115,215)에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회전바(347)에 의해 제3보조바(343)가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 또한 회동된다.
한편, 제2실린더(342)는 작동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2 및 제4보조바(344,346)는 하강되지 않으며 따라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회동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만 일측으로 이송되고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는 이송되지 않는다.
한편, 이송프레임(320)이 타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전술한 경우와 반대로 제1실린더(341)은 복귀되고 제2실린더(342)는 작동된다.
따라서, 제2실린더(342)에 결합되는 제2보조바(344)가 하강되고 제2보조바(344)에 결합되는 회전바(347')에 의해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 및 최상부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가 회동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최상부 레일층(115,215)에 결합되는 다른 하나의 회전바(347')에 의해 제4보조바(346)가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 또한 회동된다.
한편, 제1실린더(341)는 복귀되었기 때문에 제1 및 제3보조바(343,345)는 상승되며 따라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회동되어 걸림돌기(332)에 트레이(10)가 걸리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만 타측으로 이송되고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는 이송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서 트레이(10)는 일측으로 이동되며, 짝수의 레일층(115,215)에서 트레이(10)는 타측으로 이동된다.
제1승강유닛(400)은 제1레일부(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유닛(3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홀수의 레일층(1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유닛(400)은 트레이(10)의 양 끝단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레일(410)로 이루어지며, 레일(410)은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된다. 레일(410)은 마주보는 한 쌍이 하나의 승강레일층(415)을 이루며, 각각의 승강레일층(415)은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115)과 대응되도록 복수가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상하 배치된다.
승강레일층(415)에는 각각 실린더(4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420)가 작동되면 승강레일층(415)은 동시에 홀수의 레일층(1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5)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승되며, 실린더(420)가 복귀되면 승강레일층(415)은 동시에 짝수의 레일층(115)에서 홀수의 레일층(115)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된다.
따라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1승강유닛(400)의 승강레일층(415)에 안착되면 실린더(420)가 작동되어 트레이(10)를 홀수의 레일층(1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시키고 다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1승강유닛(400)의 승강레일층(415)에서 타측으로 이송되어 제1레일부(100)로 회수되면 실린더(420)가 복귀되어 다시 트레이(10)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유닛(400)은 승강레일층(415)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강될 수 있도록 마주보는 레일(410)에 각각 결합되는 와이어(440)와 와이어(430)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도르래(430)를 가질 수 있다.
도르래(430)는 복수가 승강레일층(415)의 상방 및 하방에서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와이어(440)는 승강레일층(415)의 하나의 레일(410)과 다른 하나의 레일(410)이 서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 구성으로서, 일단이 각각 승강레일층(415)의 레일(4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단이 각각 다른 하나의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하나의 레일(410)의 하단에 결합된 와이어(440)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레일(410)의 하방에 배치된 도르래(430)에 의해 상방으로 방향이 바뀌어진다.
다음으로, 상방으로 방향이 바뀐 와이어(440)는 다시 하나의 레일(410) 상방에 배치된 도르래에 의해 다른 하나의 레일(410)의 상방에 배치된 도르래(430)를 향해 방향이 바뀌게 되고 또한 그 다른 하나의 레일(410)의 상방에 배치된 도르래(430)에 의해 다른 하나의 레일(410)의 상단을 향해 방향이 바뀌게 되어 다른 하나의 레일(410)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결합된다, 또한, 마주보는 레일(410)의 하단에 결합된 와이어(440) 또한 마찬가지로 같은 방법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레일(4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에서 승강레일층(415)이 수평을 유지하는 프로세스를 보면, 초기에는 실린더(420)가 하강되어 있으며 승강레일층(415)은 홀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레일부(100)로부터 트레이(10)가 이송되면 이를 홀수의 레일층(1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시키기 위하여 실린더(420)가 작동된다. 이때, 승강레일층(415)에는 실린더(420)가 각각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주보는 레일(410)의 상승 속도가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렇게 차이가 나게 되면, 순간적으로 하나의 레일(410)이 다른 하나의 레일(41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하나의 레일(410)은 하단에 결합된 와이어(440)를 당기게 되고, 와이어(440)에 가해진 힘은 도르래(430)에 의해 방향이 변환되어 다른 하나의 레일(410)의 상단을 끌어올리는 결과가 발생한다.
또한,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프로세스에 의해 하나의 레일(410) 및 다른 하나의 레일(410)은 지속적으로 수평이 유지되며 상승될 수 있다.
제2승강유닛(500)은 제2레일부(200)의 타측에 배치되며,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에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짝수의 레일층(215)에서 홀수의 레일층(215)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유닛(500)은 트레이(10)가 안착될 수 있는 승강레일층(515)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520)을 가지며, 도르래(530)와 와이어(540)을 더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레일층(515), 실린더(520), 도르래(530) 및 와이어(540)는 제1승강유닛(400)의 경우와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의 배치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에는 제1승강유닛(4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실린더(5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520)가 작동되면 승강레일층(515)은 동시에 홀수의 레일층(215)에서 짝수의 레일층(215)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승되며, 실린더(520)가 복귀되면 승강레일층(515)은 동시에 짝수의 레일층(215)에서 홀수의 레일층(215)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된다.
따라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에 안착되면 작동되어 있던 실린더(420)가 복귀되어 트레이(10)를 홀수의 레일층(215)에서 짝수의 레일층(215)으로 하강시키고 다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1승강유닛(200)의 승강레일층(515)에서 일측으로 이송되어 제2레일부(200)로 회수되면 실린더(520)가 작동되어 다시 트레이(10)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3승강유닛(600)은 제1레일부(100) 및 제2레일부(200)의 사이에 개재되며,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홀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시키고,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서 일측으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짝수의 레일층(215)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승강유닛(600)은 트레이(10)가 안착될 수 있는 승강레일층(615)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620)를 가지며, 도르래(630)와 와이어(640)를 더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승강레일층(615), 실린더(620), 도르래(630) 및 와이어(640)는 제1승강유닛(400)의 경우와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의 배치와 작동 관계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에는 제1승강유닛(4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실린더(620)가 결합되어 있으며, 실린더(620)가 작동되면 승강레일층(615)은 동시에 짝수의 레일층(115,215)에서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승되며, 실린더(620)가 복귀되면 승강레일층(615)은 동시에 홀수의 레일층(115,2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215)에 대응되는 높이로 하강된다.
따라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서 타측으로 이송되어 승강레일층(615)에 안착되면 실린더(620)가 작동되어 트레이(10)를 홀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1레일부(100)의 홀수의 레일층(115)에서 일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가 이송유닛(3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작동되어 있던 실린더(620)가 복귀되어 트레이(10)를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서 짝수의 레일층(215)으로 하강시키고, 다시 이송유닛(300)에 의해 트레이(10)가 제2레일부(200)의 타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의 트레이(10)가 타측으로 이송되어 승강레일층(615)에 안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며 상승시에는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를 홀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시키고, 하강시에는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를 짝수의 레일층(215)으로 하강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작동상태 및 순환 프로세스에 관하여 도 11a 내지 도 11e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 트레이(10)가 순환되는 작동상태 및 순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임의의 한 순간을 기준으로 1사이클을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사이클의 1단계에서는 이송프레임(320)은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수단(340)의 제1실린더(341)은 작동 상태이며, 제2실린더(342)는 복귀 상태이다. 따라서 제1보조바(343) 및 제3보조바(345)는 하강상태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의 사이에는 걸림돌기(332)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2보조바(344) 및 제4보조바(346)는 상승상태로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의 걸림돌기(332)는 트레이(10)의 사이에서 회피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은 하강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3승강유닛(600)은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제2 및 제3승강유닛(500,600)의 승강레일층(515,615)에는 트레이(10)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1승강유닛(400)의 승강레일층(415)에는 트레이(10)가 실릴 수 있도록 비어있는 상태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사이클의 2단계에서 이송프레임(320)은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일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회동수단(340)의 구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가 걸림돌기(332)에 의해 동시에 일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제1레일부(100)에 안착된 트레이(10)는 이송유닛(300)에 의해 제1승강유닛(400)의 승강레일층(415)에 안착되고,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에 안착되어 있는 트레이(10)는 제1레일부(100)의 레일층(115)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2레일층(215)에 안착되어 있는 트레이(10)가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에 안착된다. 또한, 제3승강유닛(600)에 안착되어 있는 트레이(10)는 이송유닛(300)에 의해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에 안착되며 따라서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은 비어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사이클의 3단계에서 회동수단(340)의 제1실린더(341)는 복귀되고 제2실린더(342)는 작동된다. 따라서 제1보조바(343) 및 제3보조바(345)는 상승하게 되고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 사이의 걸림돌기(332)가 회동되어 회피되며, 제2보조바(344) 및 제4보조바(346)는 하강하게 되어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의 걸림돌기(332)는 트레이(10) 사이에 배치된다.
동시에,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의 실린더(420,520)가 작동되어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의 승강레일층(415,515)에 안착되는 트레이(10)가 홀수의 레일층(115,2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5,215)으로 상승된다.
한편, 제3승강유닛(600)의 실린더(620)는 복귀하여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은 하강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짝수의 레일층(115,215)에서 대기하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최상부 및 제1레일부(100)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트레이(10)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이 상승되더라도 걸림부재(330)가 회피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최하부 및 제2레일부(200)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는 트레이(10)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3승강유닛(600)이 하강되더라도 걸림부재(330)가 회피될 필요가 없어 회피를 위한 프로세스가 절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사이클의 4단계에서 이송유닛(300)이 타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3단계에서 제1실린더(341)가 복귀되고, 제2실린더(342)가 작동되었기 때문에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는 이송되지 않고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만 타측으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제1승강유닛(400)의 승강레일층(415)에 안착되어 상승된 트레이(10)는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으로 이송되며,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에 안착되어 상승된 트레이(10)는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으로 이송된다. 동시에 제1레일부(100)의 짝수의 레일층(1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가 제2승강유닛(500)의 승강레일층(515)에 안착되며 또한, 제2레일부(200)의 짝수의 레일층(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는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사이클의 5단계에서 회동수단(34)의 제1실린더(341)는 작동되고 제2실린더(342)는 복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3보조바(343,345)는 하강하게 되고 제2 및 제4보조바(344,346)는 상승하게 되어 제1 및 제2레일부(100,200)의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트레이(10)의 사이에는 걸림돌기(332)가 배치되게 되며, 짝수의 레일층(115,215)에 배치되는 걸림부재(330)의 걸림돌기(332)는 트레이(10)의 사이에서 회피되게 된다.
동시에,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의 실린더(420,520)는 하강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의 승강레일층(415,515)은 짝수의 레일층(115,215)에서 홀수의 레일층(115,215)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4단계에서 이송유닛(300)에 의해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에 안착된 트레이(10)는 각각 제1 및 제2레일부(100,200)로 이송되었기 때문에 제1 및 제2승강유닛(400,500)의 승강레일층(415,515)는 비어있는 상태이다.
또한, 제3승강유닛(600)의 실린더(620)는 상승하여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에 안착된 트레이(10)를 짝수의 레일층(115,215)에서 홀수의 레일층(115,215)으로 상승시키며, 따라서 제3승강유닛(600)의 승강레일층(615)은 트레이(10)가 안착된 상태로 홀수의 레일층(115,215)에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도달한 5단계는 1단계와 동일한 배치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6단계는 2단계와 동일하게 동작됨으로써 트레이(100)가 지속적으로 순환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따라 한 지점에서 시작된 트레이(10)는 이송유닛(300)에 의해 홀수의 레일층(115,215)에서 일측으로 이송되고, 제1승강유닛(400)에 의해 홀수의 레일층(115)에서 짝수의 레일층(115)으로 상승된 후 다시 타측으로 이송되어 제3승강유닛(600)에 의해 짝수의 레일층(115)에서 홀수의 레일층(115)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상승되고, 다시 최상부 레일층(115,215) 타측으로 이송된 트레이(10)는 제2승강유닛(500)에 의해 짝수의 레일층(215)에서 홀수의 레일층(215)으로 하강되고 다시 일측으로 이송되어 제3승강유닛(600)에 의해 홀수의 레일층(215)에서 짝수의 레일층(215)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하강됨으로써 순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공간활용율이 우수하고 안정적인 순환이 가능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는 트레이(10), 제1레일부(100), 제2레일부(200), 이송유닛(300), 제1승강유닛(400), 제2승강유닛(500), 제3승강유닛(600) 및 비닐하우스(7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트레이(10), 제1레일부(100), 제2레일부(200), 이송유닛(300), 제1승강유닛(400), 제2승강유닛(500), 제3승강유닛(6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비닐하우스(700)의 구성 및 배치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의 작동관계에 관하여서만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트레이(10)가 비닐하우스(700) 내부로 투입되어 순환된다.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700)는 제1레일층(710), 제2레일층(720), 이송부(730), 제4승강유닛(740) 및 제5승강유닛(750)을 갖는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층(710) 및 제2레일층(72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각각 트레이(10)의 양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트레이(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레일(711,721)로 이루어진다. 제1레일층(710)은 제2레일부(200)의 최하부의 레일층(215)과 수평을 이루고, 제2레일층(720)은 제2레일부(200)의 홀수의 레일층(215)과 수평을 이루도록 서로 소정높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송부(730)는 이송유닛(3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실린더(731)와 이송프레임(732)과, 걸림부재(733) 및 회동수단(734)를 가진다. 여기에서 실린더(731), 이송프레임(732), 걸림부재(733) 및 회동수단(734)는 이송유닛(300)의 구동실린더(310), 이송프레임(320), 걸림부재(330) 및 회동수단(340)과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회동수단(734)의 제1보조바(734-1), 제2보조바(734-2)의 배치 및 작동 관계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730)의 이송프레임(732)에는 제1실린더(734-3)과 제2실린더(734-4)가 결합되어 있다. 제1실린더(734-3)에는 제1보조바(734-1)가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제1보조바(734-1)에는 회전바(734-5)가 걸림부재(733)와 결합되어 있어 제1실린더(734-1)의 작동에 따라 걸림부재(733)가 회동된다.
또한, 제2실린더(734-4)에는 제2보조바(734-2)가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제2보조바(734-2)에는 회전바(734-5)가 걸림부재(733)와 결합되어 있어 제2실린더(734-4)의 작동에 따라 걸림부재(733)가 회동된다. 여기에서, 회전바(734-5)와 걸림부재(733)와의 결합관계는 이송유닛(300)의 회전바(347,347')와 걸림부재(330)와의 결합 관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송부(73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이송부(730)의 제1실린더(734-3)가 작동되고 제2실린더(734-4)는 작동되지 않아 제1레일층(710)에 배치되는 걸림부재(733)가 회동되어 트레이(10)만 일측으로 이송되고, 제2레일층(720)에 배치되는 걸림부재(733)는 회동되지 않아 제2레일층(720)에 배치되는 트레이(10)는 이송되지 않으며, 반대로 이송부(730)가 타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이송부(730)의 제1실린더(734-3)가 복귀되고 제2실린더(734-4)가 작동됨으로써 제1레일층(720)에 배치되는 트레이(10)는 이송되지 않고 제2레일층(730)에 배치되는 트레이(10)만 타측으로 이송된다.
제4승강유닛(740)은 제1레일층(7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이송부(73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제2레일층(720)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5승강유닛(750)은 제2레일층(720)의 타측에 배치되며, 이송부(730)에 의해 타측으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제1레일층(710)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4 및 제5승강유닛(740,750)은 제1승강유닛(400)과 기술적 특징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비닐하우스(700) 내부의 순환루트를 보면 트레이(10)는 제4승강유닛(740)에서 이송부(730)에 의해 제2레일층(720)으로 이송되고, 제2레일층(720)에서 타측으로 이송된 후 제2레일층(72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5승강유닛(750)에 의해 제1레일층(710)으로 하강한다.
다음으로, 제1레일층(710)으로 하강된 트레이(10)는 이송부(73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제4승강유닛(740)에 안착되어 승강됨으로써 순환된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비닐하우스(700)의 제4승강유닛(740)은 제2승강유닛(500)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10)를 제2승강유닛(500)에서 제2레일부(200)로 이송시키지 않고 제4승강유닛(740)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트레이(10)가 비닐하우스(70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트레이(10)는 이송유닛(300)에 의해 제4승강유닛(740)으로 투입된다.
비닐하우스(700) 내부로 투입되는 트레이(10)는 전술한 루트에 따라 비닐하우스(700) 내부에서 순환하게 되며,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트레이(10)를 제4승강유닛(740)에서 제2레일층(720)으로 이송시키지 않고 제2승강유닛(500)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트레이(10)가 회수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트레이(10)는 이송부(730)에 의해 제2승강유닛(500)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지속적으로 빛이 필요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또는 식물의 재배 속도의 조절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빛을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주간에 햇빛이 강한 날에는 비닐하우스(700)로 트레이(10)를 투입하여 순환시기키고, 야간 또는 흐린날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트레이(10)를 회수하여 순환시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단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는 외부가 패널(도시되지 않음)로 감싸지고 내부에 LED 등의 조명이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의 외부에 빛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사용자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루트를 따라 식물이 순환되며 재배되는 공간활용율이 우수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와 걸림부재를 이용한 수평방식 및 실린더, 와이어, 도르래를 이용한 승강방식이 사용되어 안정적인 순환재배가 가능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식물이 비닐하우스로 이동되어 각각 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식물의 재배 환경이 변경 가능한 순환식 식물재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트레이 11 : 바퀴
12 : 범퍼 100 : 제1레일부
110 : 레일 115 : 레일층
120 : 사각파이프 130 : 롤러가이드
200 : 제2레일부 210 : 레일
215 : 레일층 300 : 이송유닛
310 : 구동실린더 320 : 이송프레임
330 : 걸림부재 331 : 원형파이프
332 : 걸림돌기 333 : 가이드
334 : 각파이프 335 : 롤러
340 : 회동수단 341 : 제1실린더
342 : 제2실린더 343 : 제1보조바
344 : 제2보조바 345 : 제3보조바
346 : 제4보조바 347,347' : 회전바
400 : 제1승강유닛 410 : 레일
415 : 승강레일층 420 : 실린더
430 : 도르래 440 : 와이어
500 : 제2승강유닛 510 : 레일
515 : 승강레일층 520 : 실린더
530 : 도르래 540 : 와이어
600 : 제3승강유닛 610 : 레일
615 : 승강레일층 620 : 실린더
630 : 도르래 640 : 와이어
700 : 비닐하우스 710 : 제1레일층
711 : 레일 720 : 제2레일층
721 : 레일 730 : 이송부
731 : 실린더 732 : 이송프레임
733 : 걸림부재 734 : 회동수단
734-1 : 제1보조바 734-2 : 제2보조바
734-3 : 제1실린더 734-4 : 제2실린더
734-5 : 회전바

Claims (8)

  1. 다수의 트레이에 식물 종자를 수납하여 순환시켜 재배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폭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서로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복수의 레일층을 가지는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의 레일층과 대응되는 복수의 레일층을 가지되 상기 제1레일부의 레일층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레일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유닛;
    상기 제1레일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짝수의 레일층으로 상승시키는 제1승강유닛;
    상기 제2레일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홀수의 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2승강유닛;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홀수의 레일층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짝수의 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1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레일부, 제1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상승된 후, 상기 제2레일부,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이루며 하강됨으로써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 1 및 제2레일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작동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에 결합되어 일체로 동작되는 이송프레임 이송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과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프레임이 이동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파이프를 가지며, 상기 원형파이프와 일체로 회동되되 성가 트레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레일층에 각각 배치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유닛,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은 각각 상기 트레이의 양단이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대향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과 대응되도록 서로 소정높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승강레일층과, 상기 승강레일층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레일층과 결합되는 실린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유닛, 제2승강유닛 및 제3승강유닛은 각각 상기 승강레일층의 상방 및 하방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도르래와, 상기 승강레일층의 하나의 레일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도르래에 의해 방향이 바뀌어 상기 승강레일층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가지며, 상기 승강레일층이 승강되는 경우에 경우에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승강레일층이 수평이 유지되며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레일부에서는 각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레일부에서는 각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상부 레일층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하부 레일층에서는 상기 트레이의 하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걸림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걸림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에 각각 결합되어 일체로 승강되는 제1 및 제2보조바와, 일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보조바와 링크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재의 원형파이프에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돌기와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회전바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하부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의 원형파이프와 상기 회전바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보조바와 일체로 승강되는 제3보조바와,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최상부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의 원형파이프와 상기 회전바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보조바와 일체로 승강되는 제4보조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수단의 제1실린더가 작동되고 상기 회동수단의 제2실린더는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회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걸림부재는 회동되지 않아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홀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만 일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는 이동되지 않으며, 상기 이송프레임이 타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회동수단의 제1실린더가 복귀되고 상기 회동수단의 제2실린더는 작동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레일부의 짝수의 레일층에 배치되는 상기 트레이만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8. 청구항 1 내지 3 및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및
    상기 순환식 식물재배장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비닐하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비닐하우스는 상기 트레이의 폭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이 하나의 층을 이루되 서로 소정높이로 이격되어 적층되는 제1레일층 및 제2레일층과, 상기 제1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일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레일층에 안착되는 트레이를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제1레일층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상기 제2레일층으로 상승시키는 제4승강유닛과, 상기 제2레일층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2레일층에서 이송되는 트레이를 상기 제1레일층으로 하강시키는 제5승강유닛을 가지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4승강유닛, 제2레일층, 제5승강유닛 및 제1레일층을 순차적으로 이송되며 순환되되, 상기 트레이가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제4승강유닛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비닐하우스에 투입되어 순환되고,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승강유닛에 안착됨으로써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1020130075290A 2013-06-28 2013-06-28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KR101393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290A KR101393421B1 (ko) 2013-06-28 2013-06-28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290A KR101393421B1 (ko) 2013-06-28 2013-06-28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421B1 true KR101393421B1 (ko) 2014-05-12

Family

ID=5089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290A KR101393421B1 (ko) 2013-06-28 2013-06-28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4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42B1 (ko) * 2017-07-24 2018-06-04 김용제 필드 순환식 수경재배장치
CN111149554A (zh) * 2020-03-10 2020-05-15 徐州徐薯食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甘薯立体基质栽培架
KR102180566B1 (ko) * 2019-10-10 2020-11-19 양선흥 작물 재배용 양액 공급장치
KR20200134001A (ko) 2019-05-21 2020-12-01 조일준 버섯 재배 장치
KR20230122533A (ko) 2022-02-14 2023-08-22 김소연 롤러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작물 자동 수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자동 수확 방법
KR20230157765A (ko) 2022-05-10 2023-11-17 농업회사법인 충청팜 융복합연구소 주식회사 트레이 유니트 기반의 식물재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69B1 (ko) * 2004-02-19 2007-01-18 주식회사 바이오쏜 식물재배장치
KR20120049582A (ko) * 2010-11-09 2012-05-17 김탐나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69B1 (ko) * 2004-02-19 2007-01-18 주식회사 바이오쏜 식물재배장치
KR20120049582A (ko) * 2010-11-09 2012-05-17 김탐나 밀집형 식물 재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542B1 (ko) * 2017-07-24 2018-06-04 김용제 필드 순환식 수경재배장치
KR20200134001A (ko) 2019-05-21 2020-12-01 조일준 버섯 재배 장치
KR102180566B1 (ko) * 2019-10-10 2020-11-19 양선흥 작물 재배용 양액 공급장치
CN111149554A (zh) * 2020-03-10 2020-05-15 徐州徐薯食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甘薯立体基质栽培架
KR20230122533A (ko) 2022-02-14 2023-08-22 김소연 롤러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작물 자동 수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물 자동 수확 방법
KR20230157765A (ko) 2022-05-10 2023-11-17 농업회사법인 충청팜 융복합연구소 주식회사 트레이 유니트 기반의 식물재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421B1 (ko) 순환식 식물재배장치
ES2858334T3 (es) Sistema modular automático para la gestión de granjas verticales
CN109068598B (zh) 全自动多层育苗系统
JP3952220B2 (ja) 栽培棚
US11185027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products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US20120060414A1 (en) Conveying system, tower structure with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containers with a conveying system
JP6203835B2 (ja) 植物栽培工場
JP5221627B2 (ja) 水耕栽培装置及び水耕栽培方法
NL2016632B1 (en) Extendable plant tray assembly.
JP2014117195A (ja) 植物栽培装置
JP2016150001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システム
EP1733614B1 (en) Cultivation trough and nursery provided with a multiple rail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a crop in a cultivation trough
KR20170057685A (ko) 수경재배장치
JP6544745B2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KR102283841B1 (ko) 식물 자동 재배시스템
KR101514400B1 (ko)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KR101423992B1 (ko) 수경재배판 및 이를 적용한 수경재배 시스템
JP6931887B2 (ja) 植物搬送システム
KR101515352B1 (ko) 트레이 순환장치
KR100788233B1 (ko) 작물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작물의 집적 재배방법
KR101178864B1 (ko) 다단 적층 타입의 수경 재배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788234B1 (ko) 집적재배 시스템의 작물순환설비
KR200475802Y1 (ko) 순환장치
JP2006248748A (ja) 搬送装置の搬送物分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