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097B1 - 이동식 베드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베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097B1
KR101409097B1 KR1020120131519A KR20120131519A KR101409097B1 KR 101409097 B1 KR101409097 B1 KR 101409097B1 KR 1020120131519 A KR1020120131519 A KR 1020120131519A KR 20120131519 A KR20120131519 A KR 20120131519A KR 101409097 B1 KR101409097 B1 KR 101409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ars
rotation support
bar
bed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318A (ko
Inventor
허순옥
Original Assignee
허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순옥 filed Critical 허순옥
Priority to KR102012013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0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게 복수의 베드 장치를 배치하고, 특히 베드 장치의 베드 부분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베드 장치를 나란하게 배치하더라도 인접한 베드 장치 사이로 통로가 만들어지게 함으로써, 종묘 상자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많은 베드 장치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이동식 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베드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가로바가 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지지대; 마주보는 가로바 사이의 윗면 중앙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에는 회전레버가 구비된 조절봉; 상기 조절봉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나란하게 위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가로바 사이에 장착된 한 쌍의 회전지지바; 상기 조절봉과 회전지지바 위에 폭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놓여지는 복수의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놓여져서 고정되며, 작물 재배용 용기 및 그 양측의 베드를 지지해 주는 복수의 세로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베드 장치{BED APPARATUS FOR EASEILY HAVESTING}
본 발명은 이동식 베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묘 상자 등이 놓여지는 베드를 인접한 다른 베드 측으로 밀어서 그 사이에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밀하게 수확용기가 배치되더라도 쉽게 수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나 장미와 같은 덩쿨 식물은 수확용기에 재배하고 이 수확용기의 양측에 종묘상자를 구비한 베드 장치를 통해 삽목(揷木) 번식하는 경우가 많다. 수확용기는 육묘 하우스 등에서 대략 10M 정도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며, 육묘 하우스 내에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설치하여 재배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수확용기는 베드 장치 위에 올려놓고 종묘를 자라게 유도하게 된다. 이때, 베드 장치에는 수확용기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종묘 상자를 올려놓고, 수확용기로부터 양측의 베드 위에 종묘 상자를 올려놓고 삽목 번식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딸기나 장미와 같은 덩쿨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베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수확용기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제작해야 한다. 이때, 구조물은 인접한 수확용기 사이로 작업자가 수확 등을 할 수 있도록 통로를 고려하여 제작하게 된다.
(2) 이에 통상적으로 수확용기를 2열로 배치하고, 그 다음에 통로를 만든 다음 다시 2열의 수확용기를 배치하는 구조가 많이 이용되었다.
(3) 하지만, 이러한 배치는 통로를 통하여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묘 상자를 옮길 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폭이 일정 길이 이상 되어야 한다.
(4) 따라서,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 하우스 내에서 수확용기를 배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접하게 복수의 베드 장치를 배치하고, 특히 베드 장치의 베드 부분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복수의 베드 장치를 나란하게 배치하더라도 인접한 베드 장치 사이로 통로가 만들어지게 함으로써, 종묘 상자를 운반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많은 베드 장치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이동식 베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베드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가로바가 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지지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기 가로바 위에 회전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지지바; 상기 회전지지바 위에 폭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놓여지는 복수의 가로바; 및 상기 가로바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놓여져서 고정되며, 작물 재배용 용기 및 그 양측의 베드를 지지해 주는 복수의 세로바;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가로바들은 폭단면이 사각형인 중공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바에는, 이들 회전지지바를 동시에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와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회전지지바에 수회 감긴 다음에 고정되고, 타단이 미리 정해진 장력을 갖도록 당겨져서 다른 하나의 회전지지바에 수회 감겨져서 고정되되, 상기 와이어는 양단부의 감겨진 방향이 서로 반대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베드 장치는, 베드에는 작물 재배용 용기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2개의 용기가 구비되고;, 각 용기에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어 작물 재배용 용기와의 틈새를 통해 베드면 위로 약액 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베드의 테두리에는 공급된 약액 또는 물이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울타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용기의 내측면과 베드의 윗면에는 약액 또는 물이 이동식 베드 장치의 하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비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베드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복수의 베드 장치를 인접하게 배치하더라도 인접한 베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그 사이에 종묘 상자 등을 나를 수 있도록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작업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육묘 하우스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2) 인접한 베드 장치로부터 종묘 상자를 한번에 모아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손으로 쉽게 회전시켜서 베드 장치를 좌우로 벌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4) 작물 재배용 용기의 하부에 구비된 용기를 통해 약액이나 물을 자동으로 묘상자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베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베드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베드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로를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회전지지바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실시예1에서 구성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따른 베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서의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이송식 베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가로바(110)가 구비된 적어도 2개의 지지대(110), 인접한 가로바(110) 위에 제자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 이 회전지지바(300) 위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작물 재배용 용기(V)와 한 쌍의 베드(B)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로바(400) 및 세로바(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00)는 가로바(110)가 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지대(100)는 그 위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 제작하더라도 상관없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대(100)는 가로바(110)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한 쌍의 지지바를 구비한 형태로 제작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지지바는 지면에 박아서 설치할 수도 있고 이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이동식으로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가로바(110)는 폭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로바(110) 위에 회전지지바(300) 등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들과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지지대(100)는 적어도 2개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도면에서, 지지대(100)는 2개가 설치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회전지지바(300)의 길이가 길거나 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이상의 지지대(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회전지지바(300)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한 쌍의 가로바(110) 위에 장착된다. 이때, 회전지지바(300)는 한 쌍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특히, 이들 각 회전지지바(300)는 각 단부측이 가로바(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가로바(400)와 세로바(500)는 각각 복수 개씩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격자 형태로 조립하여 이용하게 된다.
이때, 이 가로바(400)와 세로바(500)에 의해 형성된 격자의 크기는 중앙에 작물 재배용 용기(V)가 놓여지고, 그 양측으로 종묘상자를 올려놓는 베드(B)가 장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가로바(400)는 회전지지바(300)의 폭방향으로 수직이 되게 걸쳐지게 함으로써, 이 회전지지바(300)이 회전됨에 따라 마찰력에 의해 가로바(40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로바(400)는 폭단면이 사각형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회전지지바(300)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그 회전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바(400)는 폭 단면이 사각인 것을 이용함으로써, 회전지지바(300)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마찰력에 의해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작물 재배용 용기(V)는 딸기나 방울 토마토와 같이 줄기 작물을 심기 위하여 폭보다 길이를 길게 제작한 박스형 용기를 말한다. 또한, 베드(B)는 종묘상자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상부재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중을 경량화하기 위하여 스트로 폼을 이용한 예를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헤드 장치는, 회전지지바(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 회전지지바(300)과 접촉하고 있던 가로바(400)가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가로바(400)는 회전지지바(300)에 의해 마찰력으로 움직이면서 회전지지를 받게 된다. 이때, 회전지지바(300)는 한 쌍을 같이 회전시켜 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가로바(4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회전지지바(300)는 그 회전에 의해 가로바(40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보다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이, 가로바(400)가 움직임에 따라서 그 위에 탑재되는 작물 재배용 용기(V)와 베드(B)도 함께 움직이면서 이웃한 다른 베드 장치와의 사이에 작업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이동식 베드 장치는, 도 4와 같이,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를 한번에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베드(B)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와이어(310)가 더 추가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에 결합되는 와이어(31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310)는, 도 4와 같이, 그 양단이 각각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에 수회 감겨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310)는 각 회전지지바(30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지게 설치한다. 이는 어느 하나의 회전지지바(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여기에 감겨진 와이어(310)는 감기고 다른 하나의 회전지지바(300)에 감겨진 와이어(310)의 단부는 풀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실시예2에 따른 이동식 베드 장치는, 어느 하나의 회전지지바(300)를 손으로 잡아서 와이어(310)가 감기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이 와이어(310)의 타단부가 당겨지면서 다른 회전지지바(300)를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가로바(400)를 이송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이동식 베드 장치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작물 재배용 용기(V)의 양측에 놓여지는 묘상자(N)에 물과 같은 양분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실시예1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를 위하여, 도 5와 같이, 작물 재배용 용기(V)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베드(B)에 적어도 2개의 용기(410)를 설치한다. 이때, 각 용기(410)에는 약액이나 물을 공급 또는 배수하기 위해 집수하기 때문에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설치한다. 이를 위하여, 각 용기(410)는 베드(B)에 압입되게 끼워지면서 가로바(400)와 세로바(500)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베드(B)를 2개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용기(410)에는 플렉시블 튜브(411)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튜브(411)에는 펌프(미도시됨) 등이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튜브(411)는 재배된 작물을 수확하기 위한 통로 확보를 위해 좌우로 이송시키더라도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꺽이거나 파손되지 않게 해 준다.
특히, 이들 플렉시블 튜브(411)에 장착된 펌프는 약액이나 물을 용기(410)에 공급할 때에 이용하기도 하고, 공급하였던 물이나 약액을 다시 배수시키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약액 또는 물의 공급 및 배출을 각각의 용기(410)로 분리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410)의 개수 또한 작물 재배용 용기(V)의 길이에 따라서 2개 또는 그 이상 적절한 개수만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드(B)에는 약액이나 물이 이동식 베드 장치의 측부를 통해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도 5와 같이 울타리(420)가 구비된다. 울타리(420)는 가로바(400)나 세로바(5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베드(B)에는 약액이나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비닐(412)을 더 구비한다. 이때, 비닐(412)은 베드(B)의 윗면으로부터 용기(410)의 안쪽까지 연장되게 설치함으로써, 용기(410)에 충진된 약액이나 물이 베드(B)와 용기(410)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410)를 베드(B)에 압입 등의 방식으로 장착함으로써, 그 틈새를 최소화하여 비닐(411) 없이도 약액이나 물의 누설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이동식 베드 장치는, 플렉시블 튜브(411)를 통해 용기(410) 내에 약액 또는 물이 주입되며, 주입된 물은 작물 재배용 용기(V)와의 틈새를 통해 베드(B) 위에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약액 또는 물은 울타리(4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높이수준까지 공급되어 베드(B) 위에 놓여지는 묘상자 안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남은 약액과 물은 다시 용기(410)에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100 : 지지대
110 : 가로바
300 : 회전지지바
310 : 와이어
400 : 가로바
410 : 용기
411 : 플렉시블 튜브
420 : 울타리
500 : 세로바

Claims (5)

  1.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가로바(110)가 지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지지대(100);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기 가로바(110) 위에 회전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
    상기 회전지지바(300) 위에 폭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놓여지는 복수의 가로바(400); 및
    상기 가로바(400)위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놓여져서 고정되며, 작물 재배용 용기(V) 및 그 양측의 베드(B)를 지지해 주는 복수의 세로바(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베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110,400)는 폭단면이 사각형인 중공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베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바(300)에는, 이들 회전지지바(300)를 동시에 회전시켜 줄 수 있도록 와이어(310)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310)는 일단이 어느 하나의 회전지지바(300)에 수회 감긴 다음에 고정되고, 타단이 미리 정해진 장력을 갖도록 당겨져서 다른 하나의 회전지지바(300)에 수회 감겨져서 고정되되,
    상기 와이어(310)는 양단부의 감겨진 방향이 서로 반대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베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베드(B)에는 작물 재배용 용기(V)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적어도 2개의 용기(410)가 구비되고;,
    각 용기에는 플렉시블 튜브(411)가 연결되어 작물 재배용 용기(V)와의 틈새를 통해 베드(B) 면 위로 약액 또는 물을 공급 및 배출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베드(B)의 테두리에는 공급된 약액 또는 물이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울타리(4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베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410)의 내측면과 베드(B)의 윗면에는 약액 또는 물이 이동식 베드 장치의 하부로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비닐(41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베드 장치.
KR1020120131519A 2012-11-20 2012-11-20 이동식 베드 장치 KR101409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19A KR101409097B1 (ko) 2012-11-20 2012-11-20 이동식 베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519A KR101409097B1 (ko) 2012-11-20 2012-11-20 이동식 베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18A KR20140064318A (ko) 2014-05-28
KR101409097B1 true KR101409097B1 (ko) 2014-06-17

Family

ID=5089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519A KR101409097B1 (ko) 2012-11-20 2012-11-20 이동식 베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16B1 (ko) * 2015-11-09 2018-09-10 정우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CN108651028B (zh) * 2018-05-29 2020-11-10 房子云 一种保加利亚大马士革玫瑰的光自养空气快速繁育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043A (ja) 2002-03-19 2003-09-24 Bio:Kk 組み立て解体を容易に出来るようにした高設栽培装置
JP2006122022A (ja) 2004-11-01 2006-05-18 Gifu Prefecture 高設ベンチ
JP2010227008A (ja) 2009-03-27 2010-10-14 Iwate Prefecture 高設栽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高設栽培方法
KR20110018637A (ko) * 2009-08-18 2011-02-24 이화성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043A (ja) 2002-03-19 2003-09-24 Bio:Kk 組み立て解体を容易に出来るようにした高設栽培装置
JP2006122022A (ja) 2004-11-01 2006-05-18 Gifu Prefecture 高設ベンチ
JP2010227008A (ja) 2009-03-27 2010-10-14 Iwate Prefecture 高設栽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高設栽培方法
KR20110018637A (ko) * 2009-08-18 2011-02-24 이화성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318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AU2017287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droponic plant growth
CN102387700A (zh) 用于种植植物的设备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KR101409097B1 (ko) 이동식 베드 장치
KR20170057685A (ko) 수경재배장치
KR101704401B1 (ko) 난 재배장치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101514400B1 (ko) 행거식 순환형 딸기 재배시스템
KR100939898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직형 작물 재배장치
KR20100015260A (ko) 양액 재배 포트 조립체
JP4590408B2 (ja) 植物を育成するための装置
WO2017010952A1 (es) Torre hidropónica modular
JP6961279B2 (ja) 水耕栽培用プランター用ラック、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水耕栽培方法
KR101378467B1 (ko) 작물 재배 장치
KR200474841Y1 (ko) 수확이 용이한 이동식 베드 장치
CN102823535A (zh) 鱼类与花卉的混养装置、混养单元与混养车间
KR200469064Y1 (ko) 수확이 용이한 이동식 베드 장치
CN218921224U (zh) 一种可拆卸分体式立体栽培系统
KR20110101545A (ko)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CN214758427U (zh) 一种移动水培种植床
KR102564130B1 (ko)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CN219478717U (zh) 一种多种类有机蔬菜种植装置
JP2014045677A (ja) 栽培装置
JP2019024440A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