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516B1 -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516B1
KR101885516B1 KR1020150156654A KR20150156654A KR101885516B1 KR 101885516 B1 KR101885516 B1 KR 101885516B1 KR 1020150156654 A KR1020150156654 A KR 1020150156654A KR 20150156654 A KR20150156654 A KR 20150156654A KR 101885516 B1 KR101885516 B1 KR 101885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d
supporting
seed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008A (ko
Inventor
정우호
Original Assignee
정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호 filed Critical 정우호
Priority to KR102015015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51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7Devices for suspending flower-pots by wir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적재되는 식물 재배 베드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식물을 번식시키는 육묘포트가 적재되는 육묘부를 지지하도록 가로부를 베드지지장치 상측에 결합하여 육묘부를 적재하는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되는 베드를 지지하는 베드지지장치의 상단에 베드지지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측에 베드 및 베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육묘부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베드지지장치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베드지지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 양측에 결합되어 육묘부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를 포함하여,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설치되는 육묘지지장치를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Support apparatus of seedling culture grow for breed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에 적재되는 식물 재배 베드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식물을 번식시키는 육묘포트가 적재되는 육묘부를 지지하도록 가로부를 베드지지장치 상측에 결합하여 육묘부를 적재하는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줄기식물은 모주에서 런너가 뻗어 나온 어린 모종을 포트에 증식한 후, 이 포트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모종을 하우스 바닥의 흙이나 별도의 받침대 위에 설치한 베드에 정식하여 재배하게 된다.
한편, 하우스 바닥에서의 재배는 각종 전염병의 확산가능성이 높고 줄기식물 수확시의 작업자세가 불편하여 베드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고설 재배를 실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줄기식물 모종 생산 및 재배 시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받침대를 설치한 후, 그 위에서 베드와 포트를 설치하여 모종을 생산하거나 줄기식물을 재배하는데, 기존의 받침대는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말뚝을 박고, 이 말뚝을 가로질러 가로대를 용접이나 기타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뒤 이 가로대 위에 여러 개의 지지파이프를 평행하게 설치한 후, 그 위에 베드나 포트를 안치하였다.
이는 받침대 자체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줄기식물의 농사가 끝난 후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고정설치 된 받침대를 해체하지 않는 한 다른 작물의 재배가 불가능하였으며, 상기한 받침대의 설치 시 말뚝을 박는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했으므로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 및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특허문헌은 베드와 연결되는 육묘부를 형성하고, 육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제조하여 필요에 의해 설치 및 제거 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은 별도로 지지대를 제조하여 지면에 설치해야 하므로, 고설재배용 식물의 경우 식재되는 베드를 지지하는 베드지지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며, 식물을 베드에 식재하여 고설재배하기 위해서 육묘부와 지지대를 철거하는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고, 베드를 지지하는 베드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므로 육묘부와 지지대를 한번 설치하면 철거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게 되어 육묘부를 설치하는 공간에는 식물을 재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07309호(2015년03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육묘지지장치가 베드를 지지하여 좌우로 이송시키는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결합되므로, 별도의 설치 공간, 설치 인력 및 설치 금액이 소요되지 않고, 베드지지장치에 분리 결합이 가능한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는,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되는 베드(1)를 지지하는 베드지지장치(30)의 상단에 베드지지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측에 베드 및 베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육묘부(2)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지지장치(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 상기 결합부(11)의 상측에 형성되어 베드지지장치(30)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부(12) 및 상기 체결부(12)의 관통홀 양측에 결합되어 육묘부(2)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10)를 포함하여, 베드지지장치(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육묘지지장치(10)를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육묘지지장치(1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3)에는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주부(4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부(40)는, 상기 육묘지지장치의 지지대를 지지하며, 지지대를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 상기 가이드롤(41)의 하측에 결합되어 가이드롤을 지지하는 지주대 및 상기 지주대의 하측에 결합되어 가이드대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체(45)는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주대의 하단이 삽입되며, 지주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양측의 지주대 간에 결합되어 지주대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육묘부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를 상측이 좌우로 이송되는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결합하므로 추가적인 설치 공간, 설치 인력 및 설치 시간이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육묘장치의 설치 공간이 따로 필요치 않게 되므로 베드지지장치를 육묘장치를 설치할 위치에 더 설치하여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어 식물의 부산물 수확량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육묘지지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베드지지장치와 육묘지지장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면이고, 도 2b는 육묘지지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지지장치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지지장치의 육묘지지장치 양단에 결합되어 육묘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는 이탈 방지부에 육묘지지장치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이탈방지부가 클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육묘지지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의 육묘지지장치를 지지하며 결합되는 지주부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의 육묘지지장치를 지지하며 결합되는 지주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식물을 식재하여 생장시키도록 형성되는 베드(1)를 지면과 이격시켜 설치하는 베드지지장치(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 결합부(11)의 상측에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부(12) 및 체결부(12)의 관통홀 양측으로 결합되어 상측에 결합되는 육묘부(2)를 지지하는 지지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드지지장치(30)는 상단에 베드(1)가 결합되며, 회전봉(5)을 통해 좌우로 이송되는 이송부(31), 이송부(31)의 하측에 형성되어 이송부(31)를 가이드하며, 중단에 회전봉(5)이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부(32) 및 가이드부(32)의 하측에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33)로 구성된다.
상기 베드지지장치(30)는 다수가 직렬로 지면에 고정되며, 회전봉(5)이 가이드부(32)의 중단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회전봉(5)의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 또는 회전봉(5) 끝단에 결합될 수 있는 모터를 작동시켜 회전봉(5)을 회전시키면, 동시에 가이드부(32) 상측에 결합된 이송부(31)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베드지지장치(30)의 이송부(31)는 회전봉(5)에 권취되는 와이어 또는 회전봉(5)과 이송부(3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기어를 통해 좌우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육묘지지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베드지지장치와 육묘지지장치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면이고, 도 2b는 육묘지지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베드지지장치(30)의 이송부(31) 상측에는 육묘지지장치(10)의 결합부(11)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1)는 이송부(31)를 감싸며 결합 고정되고, 클램프, 체결고리 또는 집게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의 상측에는 체결부(12)가 형성되어 지지대(13)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12)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관통홀에 지지대(13)가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12)의 관통홀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지지대(13)의 외주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지지대(13)가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2)의 관통홀 내주연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지지대(13)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삽입되어 지지대(1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지지대(13)가 삽입될 때에는 체결부(12) 내측으로 삽입되고, 지지대(13)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걸림홈의 위치에서는 돌출되어 걸림홈에 삽입되어 지지대(13)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연결체(21)의 돌기홈이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돌기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와 체결부(12) 간에 탄성체가 개재되어 탄성력을 통해 걸림돌기가 승강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지지장치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지지대(13)는 체결부(12)의 관톨홀에 삽입되는 일측의 외주연에 나사산 또는 돌기홈이 형성되어 관통홀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을 통해 결합되거나 걸림돌기가 돌기홈에 삽입되어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고, 지지대(13)의 타측은 다단 구조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대(13)의 상측에는 받침대(4)가 삽입되어 교차 결합되도록 지지대(13)의 상측에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지지장치의 육묘지지장치 양단에 결합되어 육묘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는 이탈 방지부에 육묘지지장치의 끝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이탈방지부가 클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육묘지지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지지대(13)의 타단에는 상측에 육묘부(2)가 결합될 때 지지대(13)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 방지부(20)가 결합된다.
상기 이탈 방지부(20)는 지지대(13)의 타단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측에 연결체(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방향으로 방지체(22)가 형성되어 육묘부(2)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의 육묘지지장치를 지지하며 결합되는 지주부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지주부와 지지대가 결합되는 지주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지지대(13)의 양측에는 지주부(40)가 결합되어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주부(40)는 지지대(13)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대를 지지하며, 지지대가 이송될 때 지지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41), 가이드롤(41)의 하측에 형성되어 가이드롤을 지지하는 지주대(44) 및 지주대의 하단이 결합되어 양측 지주대 간의 각도를 조절하며, 지주대 간을 고정시키는 고정체(45)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41)은 복수로 이루어져 지지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방지턱이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41)은 결합체(42)를 통해 복수의 가이드롤이 하나의 모듈로 고정되고, 결합체의 하측이 지주대(44)와 힌지(43)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체(42)가 지주대와 힌지(43)를 통해 결합되는 이유는 지주대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결합체의 각도가 수평을 유지하여 지지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상기 지주대(44)의 하단에는 베드지지장치(30)의 고정부(33)에 고정되며, 지주대가 삽입고정되고, 지주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체(45)가 결합된다.
상기 조절체(45)는 일면 또는 타면에 고정부(33)의 하측과 결합되도록 결합부재(47)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회동부재(46)가 형성되어 지주대(44)가 삽입되어 지주대의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부재(46)에 결합된 지주대를 고정시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48)가 양측 지주대를 가로지르며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 조절홈이 형성되어 지주대가 나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고리가 형성되어 지주대에 걸려 지주대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의 구성 이외의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지주대의 하측에는 지주부가 결합되는 고정부(33)가 추가되는 육묘부 또는 육묘포트의 무게로 인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하방지체(4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침하방지체(49)는 상측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지주대(44)에 고정체를 통해 고정되고, 침하방지체(49)의 상측에 수직되도록 하측이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되며, 하측의 하단이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며, 지주대와 지면 간의 거리를 조절 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중 구조로 형성되고, 결속부재를 통해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육묘부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를 상측이 좌우로 이송되는 베드지지장치의 상측에 결합하므로 추가적인 설치 공간, 설치 인력 및 설치 시간이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육묘장치의 설치 공간이 따로 필요치 않게 되므로 베드지지장치를 육묘장치를 설치할 위치에 더 설치하여 식물을 생장시킬 수 있어 식물의 부산물 수확량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베드 2 : 육묘부
3 : 육묘포트 4 : 받침대
5 : 회전봉
10 : 육묘지지장치 11 : 결합부
12 : 체결부 13 : 지지대
20 : 이탈 방지부 21 : 연결체
22 : 방지체
30 : 베드지지장치 31 : 이송부
32 : 가이드부 33 : 고정부
40 : 지주부 41 : 가이드롤
41a : 방지턱 42 : 결합체
43 : 힌지 44 : 지주대
45 : 조절체 46 : 회동부재
47 : 결합부재 48 : 고정부재
49 : 침하방지체

Claims (4)

  1.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되는 베드(1)를 지지하는 베드지지장치(30)의 상단에 베드지지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측에 베드 및 베드의 양측에 연결되는 육묘부(2)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베드지지장치(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11);
    상기 결합부(11)의 상측에 형성되어 베드지지장치(30)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체결부(12) 및
    상기 체결부(12)의 관통홀 양측에 결합되어 육묘부(2)를 지지하는 육묘지지장치(10)를 포함하여, 베드지지장치(30)의 상측에 설치되는 육묘지지장치(10)를 필요에 따라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육묘지지장치(10)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3)에는 상기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주부(40)가 결합되며,
    상기 지주부(40)는,
    상기 육묘지지장치의 지지대를 지지하며, 지지대를 지지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롤;
    상기 가이드롤(41)의 하측에 결합되어 가이드롤을 지지하는 지주대 및
    상기 지주대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주대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45)는 좌우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주대의 하단이 삽입되며, 지주대가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양측의 지주대 간에 결합되어 지주대의 각도를 조절 및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1020150156654A 2015-11-09 2015-11-09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10188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54A KR101885516B1 (ko) 2015-11-09 2015-11-09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654A KR101885516B1 (ko) 2015-11-09 2015-11-09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08A KR20170054008A (ko) 2017-05-17
KR101885516B1 true KR101885516B1 (ko) 2018-09-10

Family

ID=5904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654A KR101885516B1 (ko) 2015-11-09 2015-11-09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931B1 (ko) * 2019-03-19 2020-09-22 박재우 딸기 재배용 접이식 육묘 장치
KR102103528B1 (ko) * 2019-11-19 2020-04-22 이익범 고설 재배용 회동식 자묘 육성 장치
KR102249557B1 (ko) * 2020-10-28 2021-05-1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JP2023084555A (ja) * 2021-12-07 2023-06-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のクールダウン方法及び貯蔵設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30B1 (ko) *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637A (ko) * 2009-08-18 2011-02-24 이화성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KR101409097B1 (ko) * 2012-11-20 2014-06-17 허순옥 이동식 베드 장치
KR101507309B1 (ko) * 2013-04-25 2015-04-07 정우호 식물의 육묘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430B1 (ko) * 2013-07-17 2014-05-07 박천규 식물 재배 베드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008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516B1 (ko)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101774108B1 (ko)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20170079314A (ko)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102103528B1 (ko) 고설 재배용 회동식 자묘 육성 장치
US20190059240A1 (en)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KR20110018637A (ko)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KR101675721B1 (ko) 모종 재배 장치
KR20180000133U (ko)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101974827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KR20160000335U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0489528Y1 (ko)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JP2018164441A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KR101524910B1 (ko) 터널식 조경 구조물 및 터널식 조경 구조물용 조립식 조경 구조물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20200008927A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20170054005A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고설 식물재배 베드 지지장치
JP2006122022A (ja) 高設ベンチ
CN210202809U (zh) 一种用于无土栽培的栽培架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CN207803076U (zh) 玉米幼苗水培箱
CN209073033U (zh) 草莓育苗引插装置
KR20160002289A (ko) 고설 재배상의 지주 받침대
KR102513283B1 (ko) 모종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