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83B1 - 모종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283B1
KR102513283B1 KR1020200071274A KR20200071274A KR102513283B1 KR 102513283 B1 KR102513283 B1 KR 102513283B1 KR 1020200071274 A KR1020200071274 A KR 1020200071274A KR 20200071274 A KR20200071274 A KR 20200071274A KR 102513283 B1 KR102513283 B1 KR 102513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rotrusion
vertical frame
connection par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346A (ko
Inventor
한승근
Original Assignee
한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근 filed Critical 한승근
Priority to KR1020200071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28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프레임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전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와,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단에 거치되는 지지바와, 하면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바 상단에 거치되어 모종을 재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종 재배 장치{Seeding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모종 재배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딸기와 같이 고설재배 시설물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모종을 재배할 때, 모종의 재배 및 옮겨심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모종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설재배 시설을 이용하여 딸기를 재배할 때, 별도로 마련되는 육묘장에서 어미묘의 줄기를 모주(Mother plant)로 하여 연속적인 자묘를 발생시킨 후, 상기 자묘를 포트에 심어서 모종으로 재배하고, 이를 다시 상기 고설재배 시설에 옮겨심기를 실시하고 있어 작업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어미묘가 심어진 포트와 상기 자묘가 심어지는 포트의 거리가 상당하였으므로, 상기 자묘가 포트에 심어지기 위해서는 모주의 줄기가 포트에 심어질 수 있도록 자라나올 때까지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등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져 이에 대한 개선이 이뤄지고 있으나, 포트부와 모종 재배 장치의 설치 및 해체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8731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675721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모종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는, 지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프레임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전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와,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단에 거치되는 지지바와, 하면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바 상단에 거치되어 모종을 재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전면에 마련되는 판상의 제 1 몸체부와, 'C'자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 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후방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몸체부 후면에 마련되고, 좌측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1-1 연결부와, 상기 제 1-1 연결부와 대칭인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 전방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후방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몸체부 후면에 마련되고, 우측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1-2 연결부와, 상기 제 1-1 연결부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1 연결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 볼트체결되는 제 1-1 관통공과, 상기 제 1 몸체부 상부에 마련되고, 후방에 상기 제 1-2 연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 1-2 연결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 볼트체결되는 제 1-2 관통공과, 상기 제 1 몸체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 돌출부와, 사각기둥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부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돌출부와, 상기 제 1 몸체부의 좌측 상단에서 'ㄴ'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를 거치시킬 수 있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돌출부는, 원기둥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 1 돌출몸체부와, 상기 제 1 돌출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하여 평행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을 도와주는 제 1-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몸체부에서, 상기 제 1 돌출몸체부에서, 상기 제 1-1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 1-1 돌출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1 돌출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의 두께만큼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띄워진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를 밀착 연결시키는 제 1-2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돌출부가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고 우측상단에 위치하는 홈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홈부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 1 몸체부와 접촉되는 면에 제 2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관통공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돌출부가 관통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결합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좌측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돌출부 상단에 지지되는 제 1-1 걸림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걸림부의 끝단에서 하부로 상기 제 2 걸림부의 세로길이보다 짧게 연장되어 상기 홈부에 걸리는 제 1-2 걸림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좌측 하단에서 상기 제 1 연결바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 2 몸체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 2 몸체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1 걸림부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지지바가 거치될 수 있도록 홈이 존재하는 제 2-1 지지부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2 몸체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1 걸림바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지지바가 거치될 수 있도록 홈이 존재하는 제 2-2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재배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재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측면 확대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연결부의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연결부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연결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재배 장치의 제 1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재배 장치의 제 2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재배 장치의 제 2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재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는 지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프레임(100)과,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00)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200)의 전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300)와,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300)의 상단에 거치되는 지지바(400)와, 하면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바(400) 상단에 거치되어 모종을 재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포트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에는 수직프레임(100)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지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마련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0)은 통상의 수직프레임(100)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에 작물을 심을 공간이 마련되는 육성부(R)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에는 제 1 연결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0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일측 상단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평행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00)는, 제 1 몸체부(210)와, 제 1-1 연결부(220)와, 제 1-2 연결부(230)와, 제 1-1 관통공(221)과, 제 1-2 관통공(231)과, 제 1 돌출부(240)와, 제 2 돌출부(250)와, 제 1 지지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 몸체부(21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0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 전면에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1 연결부(2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연결부(220)는 상기 제 1 몸체부(210) 후면에 마련되고, 좌측 하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 1-1 연결부(220)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 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후방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을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2 연결부(2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연결부(230)는 상기 제 1 몸체부(210) 후면에 마련되고, 우측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 1-2 연결부(230)는 상기 제 1-1 연결부(220)와 대칭인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0) 전방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후방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을 상기 제 1-1 연결부(220)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연결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1 관통공(221)이 마련된다. 상기 제 1-1 관통공(221)은 상기 제 1-1 연결부(220)의 일측면에 마련된다. 이는 연결된 상기 제 1-1 연결부(22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을 볼트체결을 통해 조여주어,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이 단단히 연결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2 관통공(231)이 마련된다. 상기 제 1-2 관통공(231)은 상기 제 1 몸체부(210) 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 1-2 관통공(231)의 후방에는 상기 제 1-2 연결부(230)가 마련된다. 이는 연결된 상기 제 1-2 연결부(23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을 볼트체결을 통해 조여주어,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이 단단히 연결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 돌출부(2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돌출부(240)는 상기 제 1 몸체부(210) 하부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1 돌출부(240)는, 제 1 돌출몸체부(241)와, 제 1-1 돌출부(242)와, 제 1-2 돌출부(2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제 1 돌출부(240)에는 제 1 돌출몸체부(241)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돌출몸체부(241)는 원기둥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부(210)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 1 돌출부(240)는 하기에 설명될 제 2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돌출부(240)에는 제 1-1 돌출부(2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돌출부(242)는, 상기 제 1 돌출몸체부(241)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평행한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돌출부(242)는 하기에 설명될 제 2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하기에 설명될 결합부(310)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1 돌출부(242)에 의해 설치 및 해체는 용이하지만,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돌출부(240)에는 제 1-2 돌출부(243)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돌출부(243)는 상기 제 1 돌출몸체부(241)에서, 상기 제 1-1 돌출부(242)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 1-1 돌출부(242)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 1-2 돌출부(243)는 상기 제 1-1 돌출부(242)에 대하여 수직방항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돌출부(243)는 상기 제 1-1 돌출부(242)에 대하여 90° 회전된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2 돌출부(243)는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 방향(300)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 1-2 돌출부(243)는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 두께만큼 띄워진 높이에 마련된다. 상기 제 1-2 돌출부(243)는 하기에 설명될 제 2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하기에 설명될 결합부(310)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를 밀착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2 돌출부(243)에 의해 설치 및 해체는 용이하지만,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상기 제 2 돌출부(2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돌출부(250)는 상기 제 1 몸체부(210) 중앙에 위치하며, 사각기둥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2 돌출부(250)는 홈부(251)와 받침부(2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제 2 돌출부(250)에는 홈부(251)가 마련된다. 상기 홈부(251)는 상기 제 2 돌출부(250)와 상기 제 1 몸체부(210)가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고 우측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홈부(251)는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돌출부(250)에는 받침부(252)가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252)는 상기 제 2 돌출부(250)의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홈부(251)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받침부(252)는 하기에 설명될 제 1-2 걸림부(330)가 상기 홈부(251)에 과도하게 걸리지 않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에는 제 1 지지부(2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60)는 상기 제 1 몸체부(210)의 좌측 상단에서 'ㄴ'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이는 상기 제 1 지지부(260)에 하기에 설명될 지지바(400)를 거치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지지부(260)는 하기에 설명될 포트부(500)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연장되며, 상부에 지지바(400)를 거치시켜도 지지바(400)가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겹쳐지지 않을 정도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1 연결부(200)는, 제 1 돌출부(240)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1 돌출부(240)는, 상기 제 1 돌출부(240)가 하기에 설명될 제 2 관통공(311)를 관통할 때, 상기 제 1 돌출부(240)와 제 2 관통공(311)과 넓이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 1 돌출부(240)와 상기 제 1 몸체부(210)가 접촉하는 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3 돌출부(244)와, 상기 제 1-3 돌출부(244)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제 1-4 돌출부(245)가 추가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1-4 돌출부(245)는 상기 제 1-1 돌출부(242) 하부에, 상기 제 1-1 돌출부(242)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4 돌출부(245)는 상기 제 1-1 돌출부(242)에 대하여 90° 회전된 방향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4 돌출부(245)는 상기 수직프레임(1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돌출부(244)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24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관통공(311)의 넓이가 같아지므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면, 상기 제 2 연결부(300)가 미끄러지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4 돌출부(245)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240)와 하기에 설명될 제 2 관통공(311)의 넓이가 같아지므로,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를 연결하면, 상기 제 2 연결부(300)가 상기 제 1 돌출부(240) 위로 들리지 않고 밀착되어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에는 제 2 연결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상기 제 1 연결부(200)의 전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제 2 관통공(311)이 마련되는 결합부(310)와, 제 1-1 걸림부(320)와, 제 1-2 걸림부(330)와, 제 2 몸체부(340)와, 제 2-1 지지부(350)와, 제 2-2 지지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2 연결부(300)에는 결합부(310)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31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부(210)와 접촉되는 면에 제 2 관통공(311)이 마련된다. 상기 제 2 관통공(311)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돌출부(240)가 관통된다. 상기 제 2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310)에 걸리는 상기 제 1-1 돌출부(241), 상기 제 1-2 돌출부(242)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가 연결되며, 설치 및 해체는 간편하지만,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300)에는 제 1-1 걸림부(32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걸림부(320)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1 걸림부(320)는, 상기 결합부(310)의 좌측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돌출부(250)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돌출부(250) 상단에 지지된다. 이는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가 연결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300)에는 제 1-2 걸림부(33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2 걸림부(33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걸림부(330)의 끝단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홈부(251)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제 1-2 걸림부(330)가 상기 홈부(251)에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가 연결되게 하며, 설치 및 해체는 간편하지만,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300)에는 제 2 몸체부(3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몸체부(3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0) 좌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300)에는 제 2-1 지지부(3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1 지지부(35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부(34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몸체부(34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2-1 지지부(350)는 상기 제 1-1 걸림부(320)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에 홈이 마련된다. 이는 하기에 설명될 지지부(400)를 거치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연결부(300)에는 제 2-2 지지부(36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2 지지부(36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몸체부(340)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몸체부(34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2-2 지지부(360)는 상기 제 1-1 걸림부(320)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에 홈이 마련된다. 이는 하기에 설명될 지지부(400)를 거치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1 지지부(350), 상기 제 2-2 지지부(360)는 하기에 설명될 포트부(500)의 구성에 따라 여러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제 2 몸체부(340)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2 몸체부(340)는, 상기 제 1-1 걸림부(320)중, 상기 결합부(310)의 좌측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중앙부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기 육성부(R), 상기 포트부(500)에 마련되는 포트의 구성이 다양하기에 다양한 상황에 알맞게 설치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2 연결부(300)는, 제 2 몸체부(340)의 구조를 개선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제 2 몸체부(340)는, 상기 제 1-1 걸림부(320)중, 상기 결합부(310)의 좌측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된 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동일한 상방향으로 연장된 후, 연장된 끝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2-1 지지부(350), 상기 제 2-2 지지부(360)의 길이는 도 8 과 같이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와 같이, 짧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기 육성부(R), 상기 포트부(500)에 마련되는 포트의 구성이 다양하기에 다양한 상황에 알맞게 설치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에는 지지바(4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바(400)는 상기 제 2-1 지지부(350), 상기 제 2-2 지지부(360)의 상단 홈에 위치하며,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하기에 설명될 포트부(500)를 거치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에는 포트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포트부(500)는 상기 지지바(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하면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바(400)의 상단에 거치된다. 이는 상기 지지바(400)의 상단에 거치되어 모종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설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재배 장치는, 상부에 육성부(R)가 포함된 상기 수직프레임(100)이 지면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0) 전면에,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연결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1 연결부(220)가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 후방을 감싸고, 상기 제 1-2 연결부(230)가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전방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0) 후방을 감싸면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상기 제 1 연결부(200)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관통공(221), 상기 제 1-2 관통공(231)에 볼트체결 하여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100)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몸체부(340)가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3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 1 돌출부(240) 전면에 상기 제 2 관통공(311)이 위치하도록 마련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관통공(311) 하부에 상기 제 1 돌출몸체부(241)와 상기 제 1-1 돌출부(242)가 관통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관통공(311)에 상기 제 1 돌출몸체부(241)와 상기 제 1-1 돌출부(242)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몸체부(340)가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수평인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30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은 상기 제 1-1 돌출부(242)가 상기 결합부(310)에 걸린상태에서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관통공(311)에 상기 제 1-2 돌출부(243)가 관통되도록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몸체부(340)가 상기 제 1 연결부(200)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상기 제 2 연결부(300)를 회전시킨다. 상기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2 돌출부(243)가 상기 결합부(310)에 밀착되어 걸리고, 이로 인해 설치 및 해체는 용이하지만,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 1-1 걸림부(320)가 상기 제 2 돌출부(250)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제 1-2 걸림부(330)가 상기 홈부(251)에 끼워지도록 상기 제 2 연결부(300)를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제 2 관통공(311)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돌출부(240)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의 연결이 완성된다. 상기 제 1 연결부(200)와 상기 제 2 연결부(300)의 연결이 나사의 체결없이 간편하게 가능하며, 설치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 2-1 지지부(350), 상기 제 2-2 지지부(360)의 상단 홈에 상기 지지바(400)가 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트부(500) 하부의 홈이 상기 지지바(400)에 거치되도록 상기 포트부(500)가 마련되어 본 발명인 모종 재배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설치된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재배 장치는, 상기 포트부(500)에 모종이 재배될 수 있도록 흙, 물과 같은 환경을 조성해준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00)에서 자라고 있는 딸기 등과 같은 식물의 모주를 이용하여 바로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포트부(500)에 자묘를 심는다.
상기 과정을 통해, 모종의 재배가 완료되면, 상기 포트부(500)의 모종을 바로 상기 수직프레임(100)으로 옮겨 심어 모종 재배과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수직프레임 200 : 제 1 연결부
210 : 제 1 몸체부 220 : 제 1-1 연결부
221 : 제 1-1 관통공 230 : 제 1-2 연결부
231 : 제 1-2 관통공 240 : 제 1 돌출부
241 : 제 1 돌출몸체부 242 : 제 1-1 돌출부
243 : 제 1-2 돌출부 244 : 제 1-3 돌출부
245 : 제 1-4 돌출부 250 : 제 2 돌출부
251 : 홈부 252 : 받침부
260 : 제 1 지지부 300 : 제 2 연결부
310 : 결합부 311 : 제 2 관통공
320 : 제 1-1 걸림부 330 : 제 1-2 걸림부
340 : 제 2 몸체부 350 : 제 2-1 지지부
360 : 제 2-2 지지부 400 : 지지바
500 : 포트부 R : 육성부

Claims (4)

  1. 지면에서 기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마련되는 수직프레임;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의 전면에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 2 연결부;
    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의 상단에 거치되는 지지바;
    하면에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바 상단에 거치되어 모종을 재배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포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전면에 마련되는 판상의 제 1 몸체부;
    'C'자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 전방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후방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몸체부 후면에 마련되고, 좌측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1-1 연결부;
    상기 제 1-1 연결부와 대칭인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 전방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후방을 감싸도록 상기 제 1 몸체부 후면에 마련되고, 우측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1-2 연결부;
    상기 제 1-1 연결부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1 연결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 볼트체결되는 제 1-1 관통공;
    상기 제 1 몸체부 상부에 마련되고, 후방에 상기 제 1-2 연결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 1-2 연결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이 연결되면 볼트체결되는 제 1-2 관통공;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 돌출부;
    사각기둥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 1 몸체부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돌출부;
    상기 제 1 몸체부의 좌측 상단에서 'ㄴ'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바를 거치시킬 수 있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돌출부는,
    원기둥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제 1 돌출몸체부;
    상기 제 1 돌출몸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에 대하여 평행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을 도와주는 제 1-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몸체부에서, 상기 제 1-1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제 1-1 돌출부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1 돌출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연결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연결부의 두께만큼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띄워진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 2 연결부와 상기 제 1 연결부를 밀착 연결시키는 제 1-2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몸체부와 상기 제 2 돌출부가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고 우측상단에 위치하는 홈부;
    상기 제 2 돌출부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홈부 하부에 위치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제 1 몸체부와 접촉되는 면에 제 2 관통공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관통공의 중앙부에 상기 제 1 돌출부가 관통되어 상기 제 1 연결부와 연결되는 결합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좌측 상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까지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서 우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 돌출부 상단에 지지되는 제 1-1 걸림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걸림부의 끝단에서 하부로 상기 제 2 걸림부의 세로길이보다 짧게 연장되어 상기 홈부에 걸리는 제 1-2 걸림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 좌측 하단에서 상기 제 1 연결바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 2 몸체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 2 몸체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1 걸림부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지지바가 거치될 수 있도록 홈이 존재하는 제 2-1 지지부;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 2 몸체부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1 걸림바 높이까지 연장되며, 상단에는 상기 지지바가 거치될 수 있도록 홈이 존재하는 제 2-2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재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71274A 2020-06-12 2020-06-12 모종 재배 장치 KR102513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274A KR102513283B1 (ko) 2020-06-12 2020-06-12 모종 재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274A KR102513283B1 (ko) 2020-06-12 2020-06-12 모종 재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46A KR20210154346A (ko) 2021-12-21
KR102513283B1 true KR102513283B1 (ko) 2023-03-22

Family

ID=7916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274A KR102513283B1 (ko) 2020-06-12 2020-06-12 모종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2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187B1 (ko) * 2018-02-14 2018-07-3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14A (ko) * 2015-12-30 2017-07-10 최금채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101675721B1 (ko) 2016-07-29 2016-11-1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187B1 (ko) * 2018-02-14 2018-07-3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46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187B1 (ko) 모종 재배 장치
KR102316377B1 (ko) 다단식 재배장치
KR101262677B1 (ko) 식물재배장치
JP2018509179A (ja) 水耕栽培器
KR101885516B1 (ko)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101974827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KR102513283B1 (ko) 모종 재배 장치
KR100795931B1 (ko) 다단식 분화식물 재배장치
JP6544745B2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KR102160899B1 (ko) 식물 수경 재배 장치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0475938B1 (ko) 재배 장치
KR20040063223A (ko) 개심 자연형 복숭아 수형의 가지 지지부재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2076710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JP2003210047A (ja) 栽培槽及び栽培槽用架台
KR102214546B1 (ko) 육묘 재배장치
KR20160002289A (ko) 고설 재배상의 지주 받침대
CN207803076U (zh) 玉米幼苗水培箱
CN213523196U (zh) 一种便捷育苗装土生根发育盆
KR101501511B1 (ko) 공중재배포트용 받침지지수단
JP2663341B2 (ja) プランター支持棚
CN211322209U (zh) 一种用于豇豆种植的栽培装置
JP2005124437A (ja) ツル科植物育成装置
CN216492255U (zh) 一种新型轨道育苗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