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938B1 -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938B1
KR100475938B1 KR10-2000-0053562A KR20000053562A KR100475938B1 KR 100475938 B1 KR100475938 B1 KR 100475938B1 KR 20000053562 A KR20000053562 A KR 20000053562A KR 100475938 B1 KR100475938 B1 KR 10047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edlings
parent
seedl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409A (ko
Inventor
야마모토고헤이
Original Assignee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쿠오카 마루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패널 상에서 친주로부터 채묘하여 자묘의 육묘를 효율적으로 행하고, 게다가 간단한 설비로 대응할 수 있는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입설한 테이블상의 유지구(2)와, 이 유지구(2)에 분산하여 배치되고, 각각 배토를 충전한 육묘용 용기(4)를 구비하고, 친주(52, 53)로부터 성장한 러너를 차례로 육묘용 용기(4)의 배토에 이식하여 자묘를 육묘하는 재배 장치에 있어서, 유지구(2)에는 육묘용 용기(4)의 상단과 거의 동일 레벨로 친주(52, 53)의 뿌리를 배토중에 이식한 친주용 용기(3)를 육묘용 용기(4)의 분산 배치중에 포함시켜 구비하여, 친주로부터의 러너의 늘어짐에 의한 얽힘 등을 수반하지 않고 유지구(2)의 표면에 전달하여 육묘용 용기(4)까지 뻗게하여 재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재배 장치{Cultiv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딸기 등과 같이 친주로부터 뻗어나온 러너라 불리우는 덩굴로부터 채묘하여 자묘를 육묘하기 위한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설 재배에 적합한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딸기 등의 재배는 친주로부터 러너를 뻗게 하여 채묘하여 여러개로 나눈 자묘로 하고, 이들 자묘를 각각 개별적으로 육묘해 가는 것이 기본이다. 예를 들면, 실공평 7-33643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친주를 상토(床土)중에 정식(定植)하여 러너(덩굴)를 내고, 이 러너를 상토를 따라 배치된 틀체에 유지된 육묘용 통까지 뻗게하여 자묘를 육묘한다. 이 공보에 기재된 예는, 상토에 친주를 심어 육묘용 용기에 러너를 뻗게하는 노지(路地) 채묘이다.
한편, 딸기 등의 재배 방법으로, 소위 고설 재배가 최근에는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고설 재배를 위한 장치로는, 예를 들면 실공평 6-1649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것은 생산자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적합한 높이로 프레임의 천판부에 육묘용 용기를 배열한 구성으로, 육묘용 용기로의 시비(施肥)나 급수가 간단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고설 재배에서는, 프레임 상에 배열되는 것은 육묘용 용기이고, 친주는 예를 들면 이전의 공보에 기재된 예와 같이 상토에 발근시킨 것으로 하거나, 고설 재배 장치와는 별치식으로 한 전용 재배 장치를 부가하여 대응하게 된다.
이렇게, 친주로부터의 채묘와 자묘의 육묘는 노지 재배와 고설 재배의 조합으로 할 수 있어, 고설 채묘와 고설 육묘, 노지 채묘와 고설 육묘, 노지 채묘와 노지 육묘의 각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병충해 등에 의한 예측되는 피해의 정도나 생산자의 작업 및 관리면에서 보면, 채묘도 육묘도 고설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분명하다.
채묘 및 육묘 모두를 고설식으로 하는 경우, 자묘를 수납하는 육묘용 용기를 다수 배열하는 유지 패널에 친주를 수납한 포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포트를 단순히 유지 패널 위에 얹어 러너를 그 주위의 육묘용 용기까지 뻗게하여 육묘하거나, 또는 유지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포트를 배치하여 동일하게 러너를 육묘용 용기까지 뻗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포트를 유지 패널 위에 얹는 방식에서는, 친주로부터 러너가 뻗어나오는 높이와 유지 패널 사이에 낙차가 생기므로, 다수의 러너가 육묘용 용기로 뻗을 때까지 얽히기 쉽다. 또, 포트와 육묘용 용기의 낙차가 크면 이 낙차 부분에 일차묘가 생겨, 일차묘가 육묘용 용기까지 도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육묘용 용기를 유지 패널에 다수 배열해도, 그 일부는 활용하지 못하고 수량도 줄어들게 되어, 육묘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또, 포트 자체가 아닌 그 안에 넣은 배토도 더해진 중량의 부하가 유지 패널에 작용하므로, 유지 패널이나 이것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강도를 올릴 필요가 있어, 비용면에서의 장애를 초래한다.
또한, 유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복수의 포트를 배열하면, 이 포트의 배열분만큼 장치의 점유 면적이 늘어나게 되어, 설비의 확충이 필요해진다.
이렇게, 채묘와 육묘를 고설식으로 대응하려 하면, 친주로부터 육묘용 용기까지의 러너의 얽힘의 발생이나 거리의 상이에 의해, 자묘의 육묘에 영향을 미치는 외에, 설비면에서의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유지 플레이트에 분포시켜 배치한 육묘용 용기와 친주용 포트 등의 위치 관계가 최적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상황이므로, 자묘의 고른 성장 촉진에도 한도가 있어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유지 패널 상에서 친주로부터 채묘하여 자묘의 육묘를 효율적으로 행하고, 게다가 간단한 설비로 대응할 수 있는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입설한 테이블상의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에 분산시켜 배치되어 각각 배토를 충전한 육묘용 용기를 구비하고, 친주로부터 성장한 러너를 차례로 상기 육묘용 용기의 배토에 이식하여 자묘를 육묘하는 재배 장치로서, 상기 유지구에 상기 육묘용 용기의 상단과 거의 동일 레벨로 하여 상기 친주의 뿌리를 배토중에 이식한 친주용 용기를 상기 육묘용 용기의 분산 배치중에 포함시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친주로부터의 채묘와 자묘의 육묘를 작업 부담이 작은 고설 재배식으로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친주용 용기는 유지구의 영역에 포함되므로, 설비의 점유 면적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친주용 용기 상단의 레벨을 육묘용 용기와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친주로부터의 러너의 늘어짐에 의한 얽힘 등을 수반하지 않고 유지구의 표면에 전달시켜 뻗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구는 상기 육묘용 용기 및 친주용 용기의 상단을 매몰시키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구 위에 공급한 물을 상기 육묘용 용기 및 친주용 용기의 각각을 향해 집수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유지구에 물을 살수 공급하면, 육묘용 용기 및 친주용 용기의 각각의 주위의 유지구의 오목부에 물이 모이므로, 이들 용기 중으로 물을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어, 자묘 및 친주 양쪽에 균등하게 물이 공급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재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은 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친주로부터의 채묘 및 자묘의 육묘의 형태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배 장치는 고설 재배용으로 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세운 4 개의 지주(1a)의 상단에 연결한 지지살(1b), 이들 지지살(1b)들간을 연결한 5 개의 지지봉(1c)에 의해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봉(1c) 위에는 유지구(2)를 탑재하고, 이 유지구(2)에 친주용 용기(3)와 자묘용 육묘 용기(4)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유지구(2)는 수지에 의해 형성한 판상의 것으로서, 거의 중앙부에 친주용 용기(3)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2a)과, 육묘용 용기(4)를 부착하기 위한 끼움구멍(2b)을 형성한 것이다. 부착구멍(2a)은 중앙의 지지봉(1c)으로부터 이것에 인접하는 지지봉(1c) 사이에 걸쳐 형성된 거의 장방형상의 개구로 한 것이다. 또, 끼움구멍(2b)은 원형의 개구로서 각각 일정 간격을 갖고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각 끼움구멍(2b)의 주위는 육묘용 용기(4)로의 급수를 촉진하기 위해 오목부(2b-1)로서 형성되어 있다.
친주용 용기(3)는 수지제의 것으로서, 상단부에 플랜지(3a)를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부에 격벽(3b)을 설치한 것이며, 플랜지(3a)의 바로 아래의 외곽 형상을 유지구(2)의 부착구멍(2a)의 개구보다 조금 작게 하고 있다. 격벽(3b)은 5 개 배열 중 중앙 배치의 지지봉(1c)에 끼워지도록 아래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중앙 배치의 지지봉(1c)에 격벽(3b)의 오목부를 끼웠을 때는 단변의 플랜지(3a)가 옆에 배치된 지지봉(1c) 위에 덮힌다.
육묘용 용기(4)는, 예를 들면 종래예에서 든 실공평 6-16495호 공보의 제 3 도에 기재된 것과 거의 동일한 구조이며, 하단측을 끝을 가늘게 한 본체부(4a)와 그 상단에 설치한 플랜지(4b)를 구비한 통상 용기이다. 본체부(2a)의 저면에는 도 3(도 2의 A-A 선 화살표시에 의한 종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충전한 배토의 빠짐을 억제하여 물만이 빠져나갈 정도의 크기의 슬릿(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4a) 상단부의 외경은 유지구(2)의 끼움구멍(2b)보다도 약간 작고, 플랜지(4b)의 외경을 끼움구멍(2b)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을 갖는 친주용 용기(3)와 육묘용 용기(4)는 도 1 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부착구멍(2a)과 끼움구멍(2b)에 부착되어 유지구(2)에 일체로 고정된다. 즉, 친주용 용기(3)는 그 격벽(3b) 부분과 단변측의 플랜지(3a)의 각각이 3 개의 지주(1c)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플랜지(3a)가 부착구멍(2a)의 개구가장자리를 막는다. 그리고, 육묘용 용기(4)는 본체부(4a)의 상단부가 끼움구멍(2b)에 헐겁게 끼워짐과 동시에, 플랜지부(4b)가 오목부(2b-1)의 상면에 착좌하여 끼움구멍(2b)의 개구가장자리를 막는다.
도 2 는 유지구(1)에 친주용 용기(3)와 육묘용 용기(4)를 세트한 상태이고, 친주용 용기(3)의 내부로서 격벽(3b)에 의해 2개로 구획된 부분의 각각에 배토(51)가 충전됨과 동시에 1 주씩의 친주(52, 53)가 심어져 있다. 또, 육묘용 용기(4)에도 배토(51)를 충전하여 자묘의 육묘에 대비한다.
이렇게 친주용 용기(3)와 육묘용 용기(4)를 유지구(2)에 세트한 후에는, 유지구(2) 위에 정기적으로 급수와 시비를 행하여 친주(52, 53)의 러너(52a, 53a)의 성육을 촉진한다. 그리고, 러너(52a, 53a)의 가지 수가 모두 육묘용 용기(4)를 채우게 되었을 때, 이들 러너(52a, 53a)를 친주용 용기(3) 부근의 육묘용 용기(4)의 배토(51)중에 끼워 간다. 또, 러너(52a, 53a)는 더욱 성장하여 길어져 가므로, 옆의 육묘용 용기(4)를 차례차례 돌림으로써, 유지구(2)에 세트된 모든 육묘용 용기(4)의 배토(51)중에 러너(52a, 53a)로부터의 발근이 촉진된다. 그 결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4)에 의해 자묘(54)를 육묘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재배 장치는 유지구(2)에 분포시켜 배치하는 육묘용 용기(4)에 더해 친주(52, 53)를 심은 친주용 용기(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채묘와 육묘 양쪽을 고설 재배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채묘 또는 육묘의 어느 한 쪽을 노지 재배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생산자의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 그리고, 친주용 용기(3) 자체가 유지구(2)중에 포함되므로, 설비의 점유 면적이 커지지는 않고, 설비면에서 장애도 없다. 또, 친주용 용기(3)는 프레임의 3 개의 지주(1c)에 의해 지지되므로, 배토(51)를 충전하여 그 중량이 커도 안정 유지되고, 수지제의 유지구(2)의 변형을 초래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한편, 자묘(54)의 성육면에서는, 친주용 용기(3)는 그 주위의 육묘용 용기(3)와 거의 동일한 레벨로 설치되고, 게다가 러너(52a, 53a)는 유지구(2)의 표면을 따라 성장해 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포트를 유지구(2) 상에 얹어 러너를 이 포트의 상단으로부터 유지구(2)의 표면측으로 늘어뜨려 육묘용 용기(3)를 향해 뻗게하는 형태와 비교하면 러너(52a, 53a)의 얽힘이 적어진다. 또, 친주(52, 53)도 각각 격벽(3b)에 의해 구획된 부분에 1 개 심기로 식생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러너(52a, 53a)의 섞임이 적고, 얽힘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생산자측에서의 관리도 간단해지는 외에, 각 육묘용 용기(4)에서 성장한 자묘(54)를 회수하는 작업도 용이해져, 자묘(54)를 손상시키지도 않는다.
또,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묘용 용기(4)는 유지구(2)의 오목부(2b-1)중에 형성한 끼움구멍(2b)에 끼워져 상단의 플랜지부(4b)를 오목부(2b-1)의 저부분에 착좌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유지구(2)의 표면에 살수 급수하면 물은 오목부(2b-1)에 모이기 쉬워져, 그대로 육묘용 용기(4)에 급수되어 자묘의 육묘를 촉진한다. 한편, 친주용 용기(3)에 대해서도 도 4 와 같이 친주용 용기의 부착구멍(2a)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친주용 용기로의 급수가 용이해진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있어서 설명한 3 개의 지지봉(1c)에는 일부분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굽힘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구(2)의 부착구멍(2a) 주위를 이 지지봉(1c)의 오목부분을 따라 덮으면, 부착구멍(2a)의 주위에 오목부(2b-2)를 만들 수 있다. 이렇게 부착구멍(2a)의 주위에 오목부(2b-2)를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낸 육묘용 용기(4)와 동일하게, 유지구(2) 위에 살수 급수된 물을 오목부(2b-2)에 모을 수 있어, 친주용 용기(3)로의 급수가 신속하게 행해진다. 이 때문에, 친주로의 급수도 충분해져, 유지구(2) 위에 살수 급수하는 것만으로 자묘와 친주에 균등하게 물을 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친주용 용기 및 육묘용 용기에 급수 또는 액비(液肥)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 또는 튜브를 배치해 두고, 상기 급수관 또는 튜브로부터 분기하는 마이크로 튜브로 육묘용 용기마다 급수하는 설비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친주(52, 53)로부터 뻗어나온 러너(52a, 53a)는 각 육묘용 용기(4)를 돌아 배토(51)에 자묘(54)의 뿌리를 발근시켜 간다. 이 때 친주(52, 53)에 가깝고 러너(52a, 53a)의 가장 짧은 부분에서 자묘(54)를 발근시키는 경우에 비하면, 친주(52, 53)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러너(52a, 53a)가 가장 길게 뻗어 있는 부분에서 발근한 자묘(54)는 초기 단계에서는 성장 속도가 늦어진다. 즉, 성장 초기에서는 친주(52, 53)로부터 받는 양분이 성장에 가장 공헌하므로 친주(52, 53)로부터 떨어진 자묘(54)의 성장 속도는 늦고 자묘(54)가 어느 정도 성장한 후에는 배토(51)의 수분과 비료에 의해 자립 성장해 간다. 따라서, 초기 성장을 촉진하여 모든 육묘용 용기(4)에서의 자묘(54)를 고르게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친주(52, 53)와 육묘용 용기(4)의 배치 관계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의 예는 본 발명의 개념 즉 유지구(2)의 일부에 친주용 용기(3)를 포함시키는 구성의 기본적인 것인데, 친주용 용기(3)와 육묘용 용기(4)의 배치 관계가 모든 육묘용 용기(4)에 대해 자묘(54)의 고른 성육이 얻어지도록 설정하면 된다. 즉, 친주(52, 53)를 이식한 친주용 용기(3)와 그 주위의 육묘용 용기(4)의 배치 패턴이 러너(52a, 53a)의 길이나 그 말단부가 심어지는 육묘용 용기(4)까지 경유하는 다른 육묘용 용기(4)의 개수를 최적화하면 된다. 도 5 이후의 예는 이러한 친주용 용기(3)와 육묘용 용기(4)의 배치예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이하 차례로 설명한다.
도 5의 예는 3 개의 육묘용 용기의 유지구와 2 개의 친주용 용기의 지지구를 조합한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3 개의 육묘용 용기의 유지구(5)는 도 1의 예에서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육묘용 용기(4)(도 1 ~ 3 참조)를 끼우기 위한 끼움구멍(5a)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주위에 유발상의 오목부(5b)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유지구(5)의 종방향의 길이는 120cm 정도 및 횡방향의 길이는 90cm정도이며, 끼움구멍(5a)은 일정 피치로 종방향이 7개, 횡방향이 6개의 배열로 되어 있다.
친주용 용기의 지지구(6)는 유지구들 사이에 삽입된 것으로서, 그 종방향의 길이는 120cm정도로 횡폭은 20cm정도이고,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3개의 부착구멍(6a)을 형성한 것이다. 이들 부착구멍(6a)의 내경은 10cm정도이며, 도 6(도 5의 C-C선 화살표시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친주용 용기(7)를 부착하여 이것을 유지한다. 친주용 용기(7)는 도 1 ~ 도 3의 예에서 나타낸 육묘용 용기(4)를 그대로 크게 한 것으로서, 본체부(7a), 플랜지(7b), 슬릿(7c)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유지구(5)와 지지구(6)의 배열이면, 부착구멍(6a)에 끼워지는 3개의 친주용 용기(7)는 양 옆의 유지구(5)에 닿아 있으므로, 친주용 용기(7)에 심은 친주로부터의 러너를 각 끼움구멍(5a)에 유지한 육묘용 용기(도시 생략)로 향하게 한다. 따라서, 각 친주용 용기(7)로부터 러너를 2갈래로 나누어지도록 관리 조작하는 것만으로 된다. 그리고, 중앙의 유지구(5)에서는 그 좌우 양단의 지지구(7)측으로부터의 러너가 맞대어지는데, 그 맞댄부분은 러너의 말단이므로 얽혀도 용이하게 이것을 풀 수 있다. 또, 좌우 양단이 유지구(5)에서는 지지구(6)를 따른 일단측으로부터만 러너가 뻗어 올 뿐이므로, 얽힘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의 예에서는, 도 5의 예의 유지구(5)의 자세를 90°회전시켜 3열로 맞대어 나열하고, 그 하변을 따라 도 5의 예와 동일한 지지구(6)를 3개 배치한 것이다. 이 예에서도 지지구(6)의 각각 3개의 부착구멍(6a)에 친주용 용기(7)가 삽입되므로, 이 친주용 용기(7)에 이식한 친주로부터의 러너를 유지구(5)측으로 일방향(도에 있어서 상향)으로 유도하는 관리 조작만으로 끝난다. 그리고, 어떤 유지구(5)에 대해서도, 도에 있어서 하측가장자리로부터만 친주의 러너가 뻗어올 뿐,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러너의 간섭이 없어, 러너끼리의 얽힘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8은 도 5에서 나타낸 유지구(5)의 거의 절반 크기로 한 4개의 유지구(8)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사이에 동일하게 도 5의 예에서의 지지구(6)를 삽입한 예이다. 또한, 유지구(8)는 도 5의 유지구(5)와 동일하게 육묘용 용기(4)를 유지하는 끼움구멍(8a)과 오목부(8b)를 형성한 것이다.
도 8의 예에서의 러너의 유지구(8)로의 전개는 도 5의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친주용 용기(7)로부터 각 끼움구멍(8a)에 세트되는 육묘용 용기(도시 생략)까지의 거리가 짧으므로, 러너가 모든 육묘용 용기에 다다를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자묘의 조기 육성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7에서 나타낸 유지구(5)의 거의 절반 크기로 한 합계 6개의 유지구(9)를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각각의 사이에 동일하게 도 7의 예에서의 지지구(6)를 삽입한 예이다. 또한, 유지구(9)는 도 7의 유지구(5)와 동일하게 육묘용 용기(4)를 유지하는 끼움구멍(9a)과 오목부(9b)를 형성한 것이다.
도 9의 예에서의 러너의 유지구(8)로의 전개는 도 8의 예와 동일하고, 러너가 모든 육묘용 용기에 다다를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자묘의 조기 육성이 실현 가능하다.
도 10은 도 5에서 나타낸 유지구(5)보다 절반 정도의 크기로서, 2 개의 유지구(10, 11)의 조합으로 한 예이며, 이들 유지구(10, 11)에는 각각 육묘용 용기를 세트하는 끼움구멍(10a, 11a)과 오목부(10, 11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유지구(10, 11)가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가장자리에는, 친주용 용기(7)를 세트하기 위한 부착구멍(10c, 11c)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부착구멍(10c, 11c)은 도에 있어서 서로 상하로 위치를 어긋나게 한 관계에 의해, 친주용 용기(7)끼리의 거리는 떨어져 있으나, 유지구(10, 11)의 조합 영역에 대해서는 2 개의 친주용 용기는 모두 중앙측에 편재되어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2 개의 친주용 용기(7)가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각각의 친주로부터의 러너의 얽힘이 억제됨과 동시에, 러너가 모든 육묘용 용기에 다다를때까지의 시간도 짧으므로 자묘의 조기 육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 7, 8, 9 및 10에 있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친주용 용기 및 육묘 용기에 급수 또는 액비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 또는 튜브를 배치해 두고, 상기 급수관 또는 튜브로부터 분기하는 마이크로 튜브로 육묘용 용기마다 급수 설비를 설치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테이블상의 유지구에 자묘를 육묘하기 위한 육묘용 용기에 더해, 이 육묘용 용기의 분산 배치중에 포함시켜 친주를 이식한 친주용 용기를 구비하므로, 친주로부터의 채묘와 자묘의 육묘를 작업 부담이 작은 고설 재배식으로 행함과 동시에, 친주용 용기는 유지구의 영역에 포함되므로, 설비의 점유 면적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친주용 용기 상단의 레벨을 축묘용 용기와 거의 동일하게 함으로써, 친주로부터의 러너의 늘어짐 등을 수반하지 않고 유지구의 표면에 전달하여 뻗게 할 수 있어, 러너의 얽힘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러너의 관리 조작이 용이해져, 자묘의 신속한 성장 촉진을 얻을 수 있다. 또, 1 개의 친주용 용기에 1 주씩 또는 동일 친주용 용기라도 배토를 구분한 영역에 1 주씩 친주를 정식한 것으로 하면, 용기 내에서의 친주끼리의 뿌리에 상호 간섭이 없어 그 성육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고, 토양 전염성 병의 전염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친주용 용기의 개공부를 유지구중에서 육묘용 용기의 개공부의 중앙 부근에 형성하여, 복수의 친주용 용기로부터의 러너를 유지구 상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분산 배치함으로써, 각 육묘용 용기에 자묘의 이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입설한 테이블상의 유지구와 지지구로 구성되어 있고, 유지구에는 육묘용 용기가 재치되기 위한 개공부를 형성하고, 지지구에는 친주용 용기를 재치할 수 있는 개공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지지구에 의해 많은 친주용 용기를 재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육묘용 용기를 재치하는 유지구와 구별되어 있으므로, 친주용 용기로부터 뻗어나온 러너가 얽히지 않고, 육묘용 용기에 자묘를 이식해 갈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친주용 용기를 재치하는 지지구가, 육묘용 용기를 재치하는 유지구의 일변측에 설치됨으로써, 친주용 용기로부터 뻗어나온 러너를 상하 어느 한 방향으로 유지구에 재치된 육묘용 용기에 자묘를 차례로 이식해 갈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지지구가 유지구들의 중간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지지구가 재치된 친주용 용기로부터 뻗어나온 러너를 좌우 유지구에 재치된 육묘용 용기에 좌우로 나누어 자묘를 이식할 수 있어, 러너가 얽히지 않는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친주용 용기 및 육묘용 용기가 재치되는 유지구 또는 지지구의 패널에 형성된 개공부의 각각의 주위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급수시 물을 모아 신속하게 친주용 용기 및 육묘용 용기의 배토에 급수할 수 있으므로, 자묘 및 친주 양쪽에 균등하게 물을 줄 수 있어, 양호한 성육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급수 또는 액비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설비를 설치함으로써, 친주 및 자묘에 적절하게 공급하여, 성장을 촉진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재배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재배 장치에 의한 자묘의 육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선 화살표시에 의한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친주용 용기의 부착 구조의 개략도로서, (a)는 지지봉과 평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 (b)는 (a)의 B-B선 화살표시도이다.
도 5 는 유지구와 지지구의 조합에 의한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도 5 의 C-C선 화살표시에 의한 종단면도이다.
도 7 은 유지구와 지지구의 조합에 의한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유지구와 지지구의 조합에 의한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유지구와 지지구의 조합에 의한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유지구와 지지구의 조합에 의한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지주 1b … 지지살
1c … 지지봉 2 … 유지구
2a, 6a … 부착구멍 2b, 8a … 끼움구멍
2b-1 … 오목부 3 … 친주용 용기
3a … 플랜지 3b … 격벽
4 … 육묘용 용기 4a … 본체부
4b … 플랜지부 4c … 슬릿
5 … 유지구 6 … 지지구
7 … 친주용 용기 8, 9, 10, 11 … 유지구
51 … 배토 52, 53 … 친주
54 … 자묘

Claims (7)

  1.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입설한 테이블상의 유지구와, 상기 유지구에 배토를 충전한 친주용 용기와, 동일 배토를 충전한 육묘용 용기를 재치하기 위한 소정 수의 끼움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친주용 용기로부터 성장한 러너를 인접하는 육묘용 용기순으로 동육묘용 용기의 배토에 이식해 가는 재배 장치로서, 상기 유지구에 상기 육묘용 용기의 상단과 거의 동일 레벨로, 또한 상기 육묘용 용기의 분산 배치중에 친주용 용기를 배치할 수 있도록 부착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주용 용기의 부착구멍을 상기 유지구중에 상기 육묘용 용기의 끼움구멍군의 중앙 부근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장치.
  3.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입설한 테이블상의 유지구와 지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구에 배토를 충전한 육묘용 용기를 재치하기 위한 소정 수의 끼움구멍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지지구에는 친주용 용기가 재치되기 위한 부착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친주용 용기로부터 성장한 러너를 인접하는 육묘용 용기순으로 동육묘용 용기의 배토에 이식해 가는 재배 장치로서, 상기 지지구에 상기 육묘용 용기의 상단과 거의 동일 레벨로, 또한 상기 육묘용 용기의 분산 배치중에 친주용 용기를 배치할 수 있도록 부착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를 상기 유지구의 일변 둘레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를 상기 유지구끼리를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구의 끼움구멍 및 부착구멍은 상기 친주용 용기 및 육묘용 용기를 재치했을 때, 각각의 용기 상단이 매몰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 장치.
  7. 삭제
KR10-2000-0053562A 1999-09-08 2000-09-08 재배 장치 KR100475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54304 1999-09-08
JP25430499A JP3398628B2 (ja) 1999-09-08 1999-09-08 栽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409A KR20010050409A (ko) 2001-06-15
KR100475938B1 true KR100475938B1 (ko) 2005-03-10

Family

ID=1726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562A KR100475938B1 (ko) 1999-09-08 2000-09-08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98628B2 (ko)
KR (1) KR100475938B1 (ko)
CN (1) CN1146318C (ko)
TW (1) TW44225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637A (ko) * 2009-08-18 2011-02-24 이화성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KR20180093544A (ko) 2017-02-14 2018-08-22 김선녀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수영장
KR20220118764A (ko) * 2021-02-19 2022-08-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복형 식물의 수경재배용 정식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0756B2 (ja) * 2004-07-29 2010-08-25 株式会社誠和 イチゴの栽培方法
JP4999873B2 (ja) * 2009-03-06 2012-08-15 輝人 大坪 プランター支持枠装置
CN101843198A (zh) * 2010-04-01 2010-09-29 曾安俊 一种装配式立体花坛及制作方法
KR101224110B1 (ko) * 2010-07-09 2013-01-24 대한민국 딸기 육묘용 장치
CN106305077A (zh) * 2016-08-22 2017-01-11 明溪县本素佰草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金线莲的栽培方法
CN113973611A (zh) * 2021-09-16 2022-01-28 安徽科技学院 可均匀照射百蕊草的培育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5054A (ja) * 1990-07-04 1992-03-02 Jeol Ltd 電界放射形電子銃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5054A (ja) * 1990-07-04 1992-03-02 Jeol Ltd 電界放射形電子銃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637A (ko) * 2009-08-18 2011-02-24 이화성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KR20180093544A (ko) 2017-02-14 2018-08-22 김선녀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수영장
KR20220118764A (ko) * 2021-02-19 2022-08-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복형 식물의 수경재배용 정식판
KR102571949B1 (ko) * 2021-02-19 2023-08-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포복형 식물의 수경재배용 정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318C (zh) 2004-04-21
CN1286900A (zh) 2001-03-14
TW442256B (en) 2001-06-23
JP2001078576A (ja) 2001-03-27
JP3398628B2 (ja) 2003-04-21
KR20010050409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1362B2 (ja) 作物の空中採苗用育苗装置
KR101645458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WO2015072638A1 (ko) 수경재배용 모종판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101637227B1 (ko)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KR100475938B1 (ko) 재배 장치
KR102160899B1 (ko) 식물 수경 재배 장치
US20190230869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Plant Clones
KR20170081855A (ko)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및 딸기 육묘 시스템
JP2006254744A (ja) イチゴの栽培方法及びその高設栽培装置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CN211909818U (zh) 一种白玉翠黄瓜栽培架
KR102137565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JP2007282539A (ja) クマツヅラ科イワダレソウ属植物の生産方法
KR20220091130A (ko) 다단형 양액 공급식 작물 재배 시스템
JP3330471B2 (ja) 植物の子株栽培装置及び子株栽培方法
JP2001224244A (ja) 育苗方法及び育苗施設
JP2004154031A (ja) ポットによる栽培装置及び方法
CN110537483A (zh) 绿叶蔬菜沙基质栽培生产系统
KR100531562B1 (ko) 재배방법 및 육묘용 용기
JP2019170386A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CN215602164U (zh) 一种农业技术推广用育苗装置
JP3589551B2 (ja) イチゴの育苗容器、イチゴの育苗装置及びイチゴの育苗方法
KR102558057B1 (ko) 고설 재배용 딸기화분 개별 분리 및 취출 기능을 갖는 화분거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