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314A -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314A
KR20170079314A KR1020150189749A KR20150189749A KR20170079314A KR 20170079314 A KR20170079314 A KR 20170079314A KR 1020150189749 A KR1020150189749 A KR 1020150189749A KR 20150189749 A KR20150189749 A KR 20150189749A KR 20170079314 A KR20170079314 A KR 2017007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cultivation vessel
vessel
cultivation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채
Original Assignee
최금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채 filed Critical 최금채
Priority to KR1020150189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314A/ko
Publication of KR2017007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용기에 심어진 최초 딸기 모주(어미모종이라 함)로부터 성장한 런너를 증식용 포트로 유인시켜 증식용 포트에서 번식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원은 구성을 요약하면, 재배용기 측면에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지지대가 재배용기 측면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지지대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PLANTS CULTIVATION VESSEL}
본 발명은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배용기에 심어진 최초 딸기 모주(어미모종이라 함)로부터 성장한 런너를 증식용 포트로 유인시켜 증식용 포트에서 번식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원은 구성을 요약하면, 재배용기 측면에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지지대가 재배용기 측면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지지대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화훼농가에서는 화분에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데, 받침대 위에 평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화분을 얹어서 재배한다.
이때 평판을 얹기 위한 받침대는 통상적으로 바닥에 쇠파이프를 적정 깊이로 박은 후, 그 주위를 파내고 시멘트를 채워 바닥을 보강하여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한 받침대는 상단 면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기 위하여 일일이 쇠파이프의 높이를 조절하여 용접하여야 하고, 수평유지에도 어려움이 있어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체도 용이하지 않아 부분적인 수정 및 수리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공개번호 특2001-0046984호 참고)
또 통상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딸기는 모주에서 런너가 뻗어나온 어린 모종을 포트에 증식한 후, 이 포트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모종을 하우스 바닥의 흙이나 별도의 받침대 위에 설치한 베드에 정식하여 재배하게 된다.
한편, 하우스 바닥에서의 재배는 각종 전염병의 확산 가능성이 높고 딸기 수확시의 작업자세가 불편하여 베드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고설 재배를 실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딸기 모종 생산 및 재배 시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받침대를 설치한 후, 그 위에서 베드와 포트를 설치하여 모종을 생산하거나 딸기를 재배하는데, 기존의 받침대는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말뚝을 박고, 이 말뚝을 가로질러 가로대를 용접이나 기타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 후, 이 가로대 위에 여러 개의 지지파이프를 평행하게 설치한 후, 그 위에 베드나 포트를 안치하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받침대 자체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딸기 작물의 농사가 끝난 후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에 고정 설치된 받침대를 해체하지 않는 한 다른 작물의 재배가 불가능하였으며, 상기한 받침대의 설치시 말뚝을 박는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했었으므로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 및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양으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 10-2011-0018637호는
기존의 고정식 받침대 대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10a~10h : 안치 파이프,20 : 고정브라켓, 22a~22h : 파이프 고정홈 24 : 탄성돌기, 26 : 베드 안치홈, 28 : 다리 끼움부, 30 : 지지다리 40 : 보강파이프,B,B' : 베드를 조립하고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그에 따른 시간낭비로 인해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된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재배용기에 심어진 최초 딸기 모주(어미 모종이라 함)로부터 성장한 런너를 증식용 포트로 유인시켜 증식용 포트에서 번식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원의 구성을 요약하면, 재배용기 측면에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지지대가 재배용기 측면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 지면으로부터 지상으로 딸기 재배용기(2)를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은 지면에 삽입하고 지상으로 향한 타측은 재배용기 본체(5)를 지지하는 지주대(30)와
상기 지주대(30) 상측에 연결되는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에 심어진 딸기의 모주(어미딸기라 칭함)로부터 번식된 런너(100)를 증식용 포트(50)로 유인하여 모종딸기(새끼딸기라 칭함)의 뿌리가 상기 증식용 포트(50)에서 일정 기간 성장하도록 상기 재배용기(2)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증식용 포트(5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30)의 상측과 연결되되 배수공이 있고 상측 양단에 어미딸기(101)의 런너(100)를 안내하는 유도판(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측면 벽은 수직으로 세워진 힌지축(6)이 형성된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의 힌지축(6)에 끼워지는 힌지공(12)이 있고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용기(2)의 양방향으로 펼치거나 재배용기(2) 양 측면 벽으로 접어지는 지지대(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0)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에 복수로 연결된 포트의 원주연(A)일부를 파지 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에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에 형성한 힌지공(12)은 상하에 각각 힌지공(12)을 형성하되 하측에 있는 힌지공(12)은 일측벽면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3)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 힌지공(12)을 힌지축(6) 상측에 끼운 다음 하측 힌지공(12)을 상기 하측 힌지공(12)의 개방부(13)를 통해 힌지축(6) 하단에 끼우는 구성이다.
본 발명은 재배용기에 심어진 최초 딸기 모주(어미 모종이라 함)로부터 성장한 런너를 증식용 포트로 유인시켜 증식용 포트에서 번식 하도록 재배용기 측면에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지지대가 재배용기 측면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지지대를 구성함으로써, 증식용 포트를 어미 모종 측면에 위치하기 위해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도의 비용과 노동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의 사시도
제 2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지지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제 3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지지대를 분해한 사시도
제 4도는 제 1도의 상태에서 증식용 포트를 지지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저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 6도는 본 발명의 재배용기에 지지대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실시 예의 사시도
도면에 의해 구성을 재차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실시 예를 하고자 한다.
구성, 지면으로부터 지상으로 딸기 재배용기(2)를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은 지면에 삽입하고 지상으로 향한 타측은 재배용기 본체(5)를 지지하는 지주대(30)와
상기 지주대(30) 상측에 연결되는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에 심어진 딸기의 모주(어미딸기라 칭함)로부터 번식된 런너(100)를 증식용 포트(50)로 유인하여 모종딸기(새끼딸기라 칭함)의 뿌리가 상기 증식용 포트(50)에서 일정 기간 성장하도록 상기 재배용기(2)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증식용 포트(50)를 포함한 구성에 있다.
여기까지는 종래의 구성으로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배용기(2)에 어미 딸기(101)를 재배하여 딸기를 수확한다.
그 어미딸기(101)로부터 딸기 수확이 끝나면 어미딸기(101)에서 어린딸기를 증식하는되 그 증식방법을 다음과 같다.
어미딸기의 런너(100)로부터 런너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지점에서 복수의 뿌리가 자라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런너(100)를 복수의 증식용 포트(50)로 유인하여 증식용 포트(50)에 뿌리가 내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증식용 포트(50)를 재배용기(2) 주변에 위치해야 한다.
그 위치를 위해 종래는 별도의 구조물(미도시)을 세운 다음 상기 구조물 상단에 증식용 포트를 위치한다. 여기까지는 종래의 방법에 해당한다.
다음은 본원에 개발한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지주대(30)의 상측과 연결되되 배수공이 있고 상측 양단에 어미딸기(101)의 런너(100)를 안내하는 유도판(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측면 벽은 수직으로 세워진 힌지축(6)이 형성된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의 힌지축(6)에 끼워지는 힌지공(12)이 있고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용기(2)의 양방향으로 펼치거나 재배용기(2) 양 측면 벽으로 접어지는 지지대(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배용기(2)측면에 형성한 힌지축(6)에 지지대(10)의 힌지공(12)을 끼우면 지지대(10)가 도 1상태에서 도 2상태와 같이 재배용기(2) 측면방향으로 접어진다.
이 상태에서 새끼딸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지지대(10)를
재배용기(2)측면으로부터 펼친 다음 복수의 포트가 이루어진 증식용 포트(50)를 지지대(10)에 안착한 후 재배용기(2)에 심어진 어미딸기(101)로부터 런너(100)를 증식용 포트(50)로 유인(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유인함)한다.
그 유인으로 런너에서 뿌리가 자라 증식용 포트(50)에서 일정기간 성장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새끼딸기가 성장하면 추 후 어미딸기(101)를 제거하고 새끼딸기를 재배용기(2)에 옮겨심으면 된다.
그 후 증식용 포트(50)를 지지대(10)로부터 제거한 다음 지지대(10)를 재배용기 측면으로 접어두면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접이식 지지대(10)가 재배용기(2)에 측면에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기가 편리한 것이다.
다음은 지지대로부터 포트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지지대를 힌지축에 연결하는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3,4에 의해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10)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에 복수로 연결된 포트의 원주연(A)일부를 파지 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에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에 형성한 힌지공(12)은 상하에 각각 힌지공(12)을 형성하되 하측에 있는 힌지공(12)은 일측벽면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3)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 힌지공(12)을 힌지축(6) 상측에 끼운 다음 하측 힌지공(12)을 상기 하측 힌지공(12)의 개방부(13)를 통해 힌지축(6) 하단에 끼우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의해 지지대(10)에 성형한 오목부(11)를 설명하면, 지지대(10)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부(11)를 형성함으로써 복수로 연결되어 증식용 포트(50)를 지지대(10)에 안착하면 포트와 포트사이에 지지대(10)가 위치된다. 이때
오목부(11)에 증식용 포트(50)의 원주연 일부가 수용되므로 증식용 포트(50)는 지지대(10)로부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는다.
여기서 효과는 지지대 양쪽 끝단이 증식용 포트(50)의 중량에 의해 약간 처지더라도 증식용 포트(50)는 지지대 끝단부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힌지축에 지지대를 연결하고자 한다.
도 5와 같이, 상측 힌지공(12)을 힌지축(6) 상측에 끼운 다음 하측 힌지공(12)을 상기 하측 힌지공(12)의 개방부(13)를 통해 힌지축(6) 하단에 끼운다.
이렇게 지지대(10)를 힌지축(6)에 설치함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지지가 견고한 이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2 : 재배용기 3 : 받침대
4 : 유도판 5 : 본체
6 : 힌지축 10: 지지대
11: 오목부 12: 힌지공
13: 개방부 30: 지주대
50: 포트 100: 런너
101: 딸기

Claims (2)

  1. 지면으로부터 지상으로 딸기 재배용기(2)를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은 지면에 삽입하고 지상으로 향한 타측은 재배용기 본체(5)를 지지하는 지주대(30)와
    상기 지주대(30) 상측에 연결되는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에 심어진 딸기의 모주(어미딸기라 칭함)로부터 번식된 런너(100)를 증식용 포트(50)로 유인하여 모종딸기(새끼딸기라 칭함)의 뿌리가 상기 증식용 포트(50)에서 일정 기간 성장하도록 상기 재배용기(2)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증식용 포트(5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30)의 상측과 연결되되 배수공이 있고 상측 양단에 어미딸기(101)의 런너(100)를 안내하는 유도판(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측면 벽은 수직으로 세워진 힌지축(6)이 형성된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의 힌지축(6)에 끼워지는 힌지공(12)이 있고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용기(2)의 양방향으로 펼치거나 재배용기(2) 양 측면 벽으로 접어지는 지지대(10)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대(10)는 상기 지지대(10)의 길이방향에 복수로 연결된 포트의 원주연(A)일부를 파지 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에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대(10)에 형성한 힌지공(12)은 상하에 각각 힌지공(12)을 형성하되 하측에 있는 힌지공(12)은 일측벽면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3)을 형성하여
    상기 상측 힌지공(12)을 힌지축(6) 상측에 끼운 다음 하측 힌지공(12)을 상기 하측 힌지공(12)의 개방부(13)를 통해 힌지축(6) 하단에 끼우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1020150189749A 2015-12-30 2015-12-30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20170079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49A KR20170079314A (ko) 2015-12-30 2015-12-30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749A KR20170079314A (ko) 2015-12-30 2015-12-30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44U Division KR20180000133U (ko) 2018-01-04 2018-01-04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314A true KR20170079314A (ko) 2017-07-10

Family

ID=5935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749A KR20170079314A (ko) 2015-12-30 2015-12-30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314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187B1 (ko) * 2018-02-14 2018-07-3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200486830Y1 (ko)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식물 재배용기
KR102025352B1 (ko) * 2018-07-17 2019-09-25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20200008927A (ko) * 2018-07-17 2020-01-29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249557B1 (ko) 2020-10-28 2021-05-1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KR20210154346A (ko) * 2020-06-12 2021-12-2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USD946923S1 (en) 2019-10-15 2022-03-29 DriFlower, LLC Hanger
KR20220039874A (ko) 2020-09-21 2022-03-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화성산업 육묘 포트 지지구
US11350574B2 (en) 2019-07-16 2022-06-07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11597591B2 (en) 2019-09-30 2023-03-07 DriFlower, LLC Hang harvesting system
US11765996B2 (en) 2021-03-16 2023-09-26 DriFlower, LLC System for hang harvesting vegetation
US11871704B2 (en) 2022-04-20 2024-01-16 DriFlower, LLC Bracket assemblies of vegetation hanging and drying systems
US11910758B2 (en) 2022-01-24 2024-02-27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11930929B2 (en) 2021-03-03 2024-03-19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ing and drying system
US11937552B2 (en) 2019-10-09 2024-03-26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CN117958051A (zh) * 2024-04-01 2024-05-03 四川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蓝莓基质栽培结构
CN117958051B (zh) * 2024-04-01 2024-06-04 四川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蓝莓基质栽培结构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30Y1 (ko) 2017-10-11 2018-08-03 주식회사 태성산업 식물 재배용기
KR101873187B1 (ko) * 2018-02-14 2018-07-3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102025352B1 (ko) * 2018-07-17 2019-09-25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20200008927A (ko) * 2018-07-17 2020-01-29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US11805737B2 (en) 2019-07-16 2023-11-07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11350574B2 (en) 2019-07-16 2022-06-07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11597591B2 (en) 2019-09-30 2023-03-07 DriFlower, LLC Hang harvesting system
US11937552B2 (en) 2019-10-09 2024-03-26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D946923S1 (en) 2019-10-15 2022-03-29 DriFlower, LLC Hanger
KR20210154346A (ko) * 2020-06-12 2021-12-21 한승근 모종 재배 장치
KR20220039874A (ko) 2020-09-21 2022-03-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화성산업 육묘 포트 지지구
KR102249557B1 (ko) 2020-10-28 2021-05-1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US11930929B2 (en) 2021-03-03 2024-03-19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ing and drying system
US11765996B2 (en) 2021-03-16 2023-09-26 DriFlower, LLC System for hang harvesting vegetation
USD1030425S1 (en) 2022-01-21 2024-06-11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11910758B2 (en) 2022-01-24 2024-02-27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D1030426S1 (en) 2022-01-24 2024-06-11 DriFlower, LLC Vegetation hanger
US11871704B2 (en) 2022-04-20 2024-01-16 DriFlower, LLC Bracket assemblies of vegetation hanging and drying systems
CN117958051A (zh) * 2024-04-01 2024-05-03 四川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蓝莓基质栽培结构
CN117958051B (zh) * 2024-04-01 2024-06-04 四川省农业科学院园艺研究所 蓝莓基质栽培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9314A (ko)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20180000133U (ko)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101774108B1 (ko)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20110018637A (ko)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KR200448520Y1 (ko) 옥상 및 벽면녹화용 덩굴식물 화분 어셈블리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JP6388349B2 (ja) イチゴ栽培装置及びイチゴ栽培方法
KR101675721B1 (ko) 모종 재배 장치
KR101885516B1 (ko)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200489529Y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102076710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200489528Y1 (ko)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KR102592520B1 (ko)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KR20150121811A (ko) 딸기용 고설 재배대
KR101507309B1 (ko) 식물의 육묘 재배장치
KR200400137Y1 (ko) 선인장 지지장치
JP2007282539A (ja) クマツヅラ科イワダレソウ属植物の生産方法
KR102322640B1 (ko) 조립식 화분체
KR20160002289A (ko) 고설 재배상의 지주 받침대
CN207803076U (zh) 玉米幼苗水培箱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JP4132318B2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