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57B1 -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57B1
KR102249557B1 KR1020200140799A KR20200140799A KR102249557B1 KR 102249557 B1 KR102249557 B1 KR 102249557B1 KR 1020200140799 A KR1020200140799 A KR 1020200140799A KR 20200140799 A KR20200140799 A KR 20200140799A KR 102249557 B1 KR102249557 B1 KR 10224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d
expansion
groo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집
도한우
정종도
강민구
원도연
황재순
이경직
이민호
곽원표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40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고설재배에 따른 식물에서 자라는 줄기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장베드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증진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확장브라켓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확장브라켓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끼워져 자중의 무게에 의해 파이프의 외면 편측이 가압과 동시에 지지가 이루어져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회전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회전유닛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 회전 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회전유닛에는 탈부착형태로 상기 확장베드를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브라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 수직파이프에 탈부착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을 구비하여 간편하게 탈부착 형태로 별도의 고정없이 체결시켜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회전유닛, 지지브라켓 및 파이프 외경을 가압시켜 견고히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The Extension bracket mounting structure for the cultivation of expanded bed installation}
본 발명은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에 사용되는 확장브라켓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설재배시 작물의 줄기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장베드를 쉽고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성과 설치성을 높일 수 있는 있도록 한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설재배용으로 재배되는 과실 작물의 수확량 증대를 위해 파이프와 횡파이프에 의해 설치된 베드에 작물을 정식 한 다음 일정기간 자라게 되면 식물에서 양측으로 성장하는 줄기를 성장시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확장베드에 유인하여 뿌리내리거나 성장할 수 있도록 설치하게 된다.
특히 농가에서는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작물의 생산량증대를 위해 작물의 확장베드에 작물의 줄기이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의해 확장베드를 설치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확장베드 설치구조와 장치가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작물의 줄기 생산 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단계로, 건실한 줄기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여 고설재배시 설치되는 확장베드의 설치가 용이하게 선행될 수 있도록 하고 효과적으로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좁은 공간에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하게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다양한 종류의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며, 농업 작업시간 단축과 관리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9314호(공개일자: 2017.07.10.)에서는 “지면으로부터 지상으로 딸기 재배용기(2)를 이격시키기 위해 일측은 지면에 삽입하고 지상으로 향한 타측은 재배용기 본체(5)를 지지하는 지주대(30)와 상기 지주대(30) 상측에 연결되는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에 심어진 딸기의 모주(어미딸기라 칭함)로부터 번식된 런너(100)를 증식용 포트(50)로 유인하여 모종딸기(새끼딸기라 칭함)의 뿌리가 상기 증식용 포트(50)에서 일정 기간 성장하도록 상기 재배용기(2)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증식용 포트(50)를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30)의 상측과 연결되되 배수공이 있고 상측 양단에 어미딸기(101)의 런너(100)를 안내하는 유도판(4)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의 측면 벽은 수직으로 세워진 힌지축(6)이 형성된 재배용기(2)와 상기 재배용기(2)의 힌지축(6)에 끼워지는 힌지공(12)이 있고 수평으로 위치되어 상기 힌지축(6)을 중심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용기(2)의 양방향으로 펼치거나 재배용기(2) 양 측면 벽으로 접어지는 지지대(10)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25352호(공개일자: 2019.09.25.)에서는 “고설재배상에 부설하는 제자리 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에 있어서, 고설재배상의 지주관(1)에 횡방향으로 장착 고정시키는 상하 한 쌍의 파이프(2)(2')와, 조리개(6)를 이용하여 상기 횡파이프(2)(2')에 크로스 결착시키는 안착대(3), 상기 안착대(3)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포트받침봉(4)(4')으로 구성하되,
상기 안착대(3)는 소정의 길이로 된 수직관(3b) 상단에, 상기 수직관(3b)의 원호와 같은 크기의 원호내경을 가지며 양측면에 각각 사각공(32)과 원형공(32')이 대향 천공된 U형 결합부(31)와, 상기 U형 결합부(31)의 일단이 길게 연장되어 상면 전후부에 육묘포트(5)를 안착시키기 위한 포트받침봉(4)(4')을 안착 지지하는 반원형 받침홈(34)(34')으로 이루어진 받침프레임(3a)을 근각볼트(3c)와 너트(3c')로 체결장착 함으로서 전체적으로는 ㄱ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대(3)가 횡파이프(2)(2')에 조리개(6)로 조립된 상태에서 횡파이프(2)(2')상에서 좌우로 강제 이송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으로 인한 절첩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상에 부설하는 제자리 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가 있으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76710호(공개일자: 2020.01.29.)에서는 “고설재배상의 지주관(1)에 횡방향으로 장착 고정시키는 상하 한 쌍의 횡파이프(2)(2')와, 상기 횡파이프(2)(2')에 걸어 장착하는 프레임(3), 그리고 상기 프레임(3)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 쌍의 포트받침봉(4)(4')으로 육묘포트 안착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프레임(3)은 직삼각형형태로 되어 후미 상측에는 상측 횡파이프(2) 정면에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되도록 일방향으로 절곡되며 구멍(31')이 형성된 안착편(31)과, 상측 횡파이프(2)에 걸 수 있도록 된 후크부(32), 그리고 후미 하부에는 하측 횡파이프(2') 정면에 맞닿아 지탱되도록 타방향으로 절곡되며 세로로 장공(33')이 형성된 지지편(33)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육묘포트를 안착시키는 두 개의 포트 받침봉(4)(4')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전후부에 받침홈(34')(3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가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58931호(공개일자: 2020.09.22.)에서는 “베드 하방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연결되며, 판상으로 마련되며 상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고 상부에는 원형의 제 1구멍과 하부에는 장공의 제 2구멍이 마련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끝단에 마련되며, 판상으로 상부가 후방으로 절곡되는 지지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가 접히도록 회전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구멍의 가로축은 상기 제 1구멍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일정거리 떨어지고, 좌측으로 회전시켜 얻은 원형의 자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 하부에는 고정부가 더 마련되며,
균등한 간격으로 갈고리 모양의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부 끝단 상부에 마련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용 접이식 육묘 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들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9314호에서는 재배용기에 심어진 최초 딸기 모주로부터 성장한 런너를 증식용 포트로 유인시켜 증식용 포트에서 번식하도록 하는 기술에 재배용기 측면에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지지대가 재배용기 측면으로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 지지대를 제공하고 있으나, 외측에 별도로 설치되는 접이식 지지대는 별도의 돌출브라켓을 구비해야되므로 추후 설치와 보관에 따른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수지재 형태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등록특허공보 제10-2025352호에서는 시설하우스에 설치되어 있는 고설재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육묘포트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손쉽게 육묘할 수 있는 육묘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육묘장치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절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외측 횡파이프에 별도로 구비되는 파이프를 설치하여 그 파이프의 상측에 파이프 외경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구비하지만 지지력이 떨어져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정위치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 다양한 형태의 확장베드를 수용할 수 없어 사용호환성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076710호에서는 시설하우스에 설치되어 있는 고설
재배상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육묘포트를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육묘할 수 있는 육묘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육묘장치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서 편리한 사용을 할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횡파이프에 별도의 설치 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설치후 정위치 고정을 위해 휭파이프에 설치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지만 견고한 받침지지력을 얻을 수 없어 전, 후측으로 밀림이 발생되면 파손의 문제점이 있다.
또, 등록특허공보 제10-2158931호에서는 기 육묘용 포트의 설치가 용이한 딸기 재배용 접이식 육묘 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베드가 설치된 수직파이프에 별도의 체결수단을 구비한 다음 외측에 별도의 절첩수단을 구비하여야 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고, 위 체결수단의 고정을 위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첩에 따른 정위치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9314호(공개일자: 2017.07.1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25352호(공개일자: 2019.09.25.)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76710호(공개일자: 2020.01.29.)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58931호(공개일자: 2020.09.22.)
없음
본 발명은 상기 지적과 같은 종래의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고설재배시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을 간편하면서도 생산단가를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탈부착형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을 구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기존 고설재배 시설물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의 체결시 간편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결속력과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걸림턱과 지지편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측에는 다양한 형태의 확장베드를 수용할 수 있는 베드수용수단을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견고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설지지대 파이프와 횡지지대의 설치구조에 의해 안착 되는 고설재배용 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고설재배용 베드에서 성장시킨 줄기가 확장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장베드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확장브라켓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확장브라켓은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끼워져 자중의 무게에 의해 파이프의 외면 편측이 가압과 동시에 지지가 이루어져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회전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회전유닛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 회전 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회전유닛에는 탈부착형태로 상기 확장베드를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회전유닛은 파이프 외경을 감싸는 수용홈과 그 수용홈의 내측에는 나사체결공간을 갖는 굴곡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굴곡밴드의 외측에는 외면을 따라 통공되는 장공홈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홈의 편측에는 수직으로 아래 측에 절개홈을 갖는 걸림편을 구비하며, 상기 장공홈의 반대 측 타측에는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에는 수용홈을 구비한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고설지지대 파이프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구비된 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지지회전유닛의 장공홈에 조절나사를 통과시켜 상기 체결홈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지지회전유닛의 외부이탈 및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장공홈은 상기 파이프의 체결홈에 체결된 상태에서 0~180° 범위 내에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횡 길이방향으로 지지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받침판의 편측에는 나사홈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의 편측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절개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의 상측에는 양측에 라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의 타측 편측에는 음각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걸림턱의 내측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확장베드를 수용할 수 있는 베드수용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베드수용수단은 상기 음각걸림턱과 나사홈 사이 지지받침판의 상면에 음각형태의 레일면을 구비하며,
상기 레일면에는 상기 지지받침판의 저면에 돌기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턱을 양측 또는 편측에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수직블럭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블럭의 상면에는 음각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안착편을 구비한 레일블럭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베드수용수단은 상기 음각걸림턱과 나사홈 사이 지지받침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랙형태의 조절편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편의 상측에는 상기 조절편에 대응되는 형태의 이동편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편은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의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편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형태의 받침턱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지지회전유닛과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의 상측으로 지지편과 지지받침판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나사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는 기존 수직파이프에 탈부착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을 구비하여 간편하게 탈부착 형태로 별도의 고정 없이 체결시켜 고정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회전유닛, 지지브라켓 및 파이프 외경을 가압시켜 견고히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적인 이점이 있고,
또, 상기 지지회전유닛에 의해 상기 파이프 외경을 따라 좌·우 회전이 이루어져 접이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탈부착이 용이하여 별도로 보관 및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기존 베드와 확장베드에 아무런 구조적 돌출부가 없이 부피를 간소화하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고,
또, 탈부착형태로 구성되는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은 기존 고설재배시설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별도 설치를 위한 파이프설치가 필요 없어 다양한 시설환경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갖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회전유닛에는 통공을 갖는 장공홈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파이프에 조절나사를 체결시켜 정위치 고정시켜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상기 지지브라켓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는 수용홈을 갖는 걸림턱과 걸림편에 의해 체결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받침판의 상면에는 베드수용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확장베를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등 그 기대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지지회전유닛과 지지브라켓으로 이루어진 확장브라켓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베드수용수단의 바람직한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지지회전유닛이 파이프에 체결되는 바람직한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지지브라켓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회전유닛의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설지지대 파이프(P)와 횡지지대(P-1)의 설치구조에 의해 안착 되는 고설재배용 베드(B)를 구비하고, 상기 고설재배용 베드(B)에서 성장시킨 식물의 줄기가 확장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장베드(B-1)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확장브라켓(A) 설치구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브라켓(A)은,
상기 파이프(P)의 외경에 끼워져 자중의 무게에 의해 파이프(P)의 외면 편측이 가압과 동시에 지지가 이루어져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회전유닛(10)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 회전 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회전유닛(10)에는 탈부착형태로 상기 확장베드(B-1)를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브라켓(20)을 구비한다.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은,
파이프(P) 외경을 감싸는 수용홈(101)과 그 수용홈(101)의 내측에는 나사체결공간(109)을 갖는 굴곡밴드(110)를 구비하며,
상기 굴곡밴드(110)의 외측에는 외면을 따라 통공(102)되는 장공홈(103)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홈(103)의 편측에는 수직으로 아래 측에 절개홈(104)을 갖는 걸림편(120)을 구비하며,
상기 장공홈(103)의 반대 측 타측에는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30)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에는 수용홈(105)을 구비한 걸림턱(106)을 구비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설지지대 파이프(P)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구비된 체결홈(P-2)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P-2)에는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의 장공홈(103)에 조절나사(11)를 통과시켜 상기 체결홈(P-2)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의 외부이탈 및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장공홈(103)은,
상기 파이프(P)의 체결홈(P-2)에 체결된 상태에서 0~180° 범위 내에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은,
횡 길이방향으로 지지받침판(20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받침판(201)의 편측에는 나사홈(202)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202)에는 고정나사(2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202)의 편측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절개된 삽입홈(203)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203)의 상측에는 양측에 라운드면(203a)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202)의 타측 편측에는 음각걸림턱(204)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걸림턱(204)의 내측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확장베드(B-1)를 수용할 수 있는 베드수용수단(220)을 구비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수용수단(220)은,
상기 음각걸림턱(204)과 나사홈(202) 사이 지지받침판(201)의 상면에 음각형태의 레일면(221)을 구비하고,
상기 레일면(221)에는,
상기 지지받침판(201)의 저면(201-1)에 돌기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턱(231)을 양측 또는 편측에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수직블럭(232)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블럭(232)의 상면에는 음각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안착편(234)을 구비한 레일블럭(23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베드수용수단(220)은,
상기 음각걸림턱(204)과 나사홈(202) 사이 지지받침판(20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랙형태의 조절편(261)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편(261)의 상측에는 상기 조절편(261)에 대응되는 형태의 이동편(265)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편(120)은,
상기 지지회전유닛(10)과 지지브라켓(20)의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편(12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형태의 받침턱(170)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브라켓(20)에는,
지지회전유닛(10)과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106)의 상측으로 지지편(130)과 지지받침판(201)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나사(300)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와 횡지지대(P-1)에 설치되는 고설재배용 베드(B)를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P)의 외면에는, 확장베드(B-1)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회전유닛(10)과 지지브라켓(20)을 구비한 확장브라켓(A)을 구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 형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도 3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은 파이프(P)의 외경을 감싸도록 수용홈(101)과 나사체결공간(109)을 형성한 굴곡밴드(110)를 구비한 후,
상기 파이프(P)에 끼워지면 상기 지지브라켓(20)은 도 5의 절개홈(104)과 수용홈(105)을 갖는 걸림턱(106)에 끼워져 나사홈(202)에 체결되는 고정나사(230)에 의해 상기 파이프(P)의 외면을 가압과 동시에 상기 지지회전유닛(10)과 상기 지지브라켓(20)이 서로 밀어내면서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고,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설지지대 파이프(P)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홈(P-2)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홈(P-2)에 지지회전유닛(10)의 장공홈(103)에 조절나사(11)가 끼워져 고정지지 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이 외부 이탈을 방지하고 항시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장공홈(103)에는 파이프(P)의 체결홈(P-2)에 체결된 상태에서 0~180°범위내에서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절첩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하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20)은 길이방향으로 지지받침판(201)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나사홈(202)에 고정나사(2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나사홈(202)의 편측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절개된 삽입홈(203)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203)의 상측에는 양측에 라운드면(203a)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의 절개홈(104)을 구비한 걸림편(120)이 쉽게 가이드 되면서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나사홈(202)의 타측 편측에는 음각걸림턱(204)을 구비하여 상기 음각걸림턱(204)에는 확장베드(B-1)의 편측이 고정지지 되도록 작동하되, 그 내측으로는 다양한 크기의 확장베드(B-1)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고정지지하는 베드수용수단(220)을 구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고정지지되도록 작동하며,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드수용수단(220)은 상기 음각걸림턱(204)과 나사홈(202) 사이 지지받침판(201)의 상면에 음각형태의 레일면(221)을 구비하여 다양한 폭을 가지는 확장베드(B-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도 4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면(221)에는 지지받침판(201)의 저면(201-1)에 돌기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턱(231)을 양측 또는 편측에 구비하여 상기 저면(201-1)을 따라 가이드 되도록 작동하되, 상기 가이드턱(231)의 상측에는 수직블럭(232)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블럭(232)의 상면에는 음각부와 돌출부를 갖는 안착편(234)을 구비한 레일블럭(235)에 의해 작업자가 임의로 확장베드(B-1)의 폭에 맞게 임의로 조절하여 위치를 가변시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며,
도 4의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받침판(201)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음각형성되는 랙형태의 조절편(261)을 구비하여, 그 조절편(261)의 상면에 작업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고정지지되는 이동편(265)을 구비하여 확장베드(B-1)의 폭을 임의로 조절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작동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회전유닛(10)과 지지브라켓(20)의 체결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체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걸림편(120)의 외측을 절곡형태의 받침턱(170)을 구비하여 체결되도록 작동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회전유닛(10)과 지지브라켓(20)의 체결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받침판(201)의 외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나사(300)를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체결고정되도록 작동한다.
A: 확장브라켓 B: 베드
B-1: 확장베드 P: 파이프
P-1: 횡지지대 P-2: 체결홈
10: 지지회전유닛 11: 조절나사
20: 지지브라켓 101: 수용홈
102: 통공 103: 장공홈
104: 절개홈 105: 수용홈
106: 걸림턱 109: 나사체결공간
110: 굴곡밴드 120: 걸림편
130: 지지편 201: 지지받침판
201-1: 저면 202: 나사홈
203: 삽입홈 203a: 라운드홈
204: 음각걸림턱 220: 베드수용수단
221: 레일면 230: 고정나사
231: 가이드턱 232: 수직블럭
234: 안착편 235: 레일블럭
261: 조절편 265: 이동편
270: 받침턱 300: 체결나사

Claims (10)

  1.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설지지대 파이프(P)와 횡지지대(P-1)의 설치구조에 의해 안착 되는 고설재배용 베드(B)를 구비하고, 상기 고설재배용 베드(B)에서 성장시킨 식물의 줄기가 확장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확장베드(B-1)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확장브라켓(A)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확장브라켓(A)은 상기 파이프(P)의 외경에 끼워져 자중의 무게에 의해 파이프(P)의 외면 편측이 가압과 동시에 지지가 이루어져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지지회전유닛(10)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 회전 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회전유닛(10)에는 탈부착형태로 상기 확장베드(B-1)를 지지시킬 수 있는 지지브라켓(2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은 파이프(P) 외경을 감싸는 수용홈(101)과 그 수용홈(101)의 내측에는 나사체결공간(109)을 갖는 굴곡밴드(110)를 구비하며, 상기 굴곡밴드(110)의 외측에는 외면을 따라 통공(102)되는 장공홈(103)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홈(103)의 편측에는 수직으로 아래 측에 절개홈(104)을 갖는 걸림편(120)을 구비하며, 상기 장공홈(103)의 반대 측 타측에는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편(130)을 구비하되, 그 아래 측에는 수용홈(105)을 구비한 걸림턱(10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설지지대 파이프(P)의 외면에는,
    나사탭이 구비된 체결홈(P-2)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P-2)에는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의 장공홈(103)에 조절나사(11)를 통과시켜 상기 체결홈(P-2)에 체결고정되도록 구비하여 상기 지지회전유닛(10)의 외부이탈 및 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홈(103)은,
    상기 파이프(P)의 체결홈(P-2)에 체결된 상태에서 0~180° 범위 내에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은,
    횡 길이방향으로 지지받침판(20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받침판(201)의 편측에는 나사홈(202)을 구비하되, 그 나사홈(202)에는 고정나사(2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202)의 편측에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절개된 삽입홈(203)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203)의 상측에는 양측에 라운드면(203a)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202)의 타측 편측에는 음각걸림턱(204)을 구비하고,
    상기 음각걸림턱(204)의 내측 상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확장베드(B-1)를 수용할 수 있는 베드수용수단(2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수용수단(220)은,
    상기 음각걸림턱(204)과 나사홈(202) 사이 지지받침판(201)의 상면에 음각형태의 레일면(2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221)에는,
    상기 지지받침판(201)의 저면(201-1)에 돌기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턱(231)을 양측 또는 편측에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수직블럭(232)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블럭(232)의 상면에는 음각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안착편(234)을 구비한 레일블럭(235)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수용수단(220)은,
    상기 음각걸림턱(204)과 나사홈(202) 사이 지지받침판(20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랙형태의 조절편(261)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편(261)의 상측에는 상기 조절편(261)에 대응되는 형태의 이동편(26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20)은,
    상기 지지회전유닛(10)과 지지브라켓(20)의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좌·우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편(12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곡형태의 받침턱(17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20)에는,
    지지회전유닛(10)과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106)의 상측으로 지지편(130)과 지지받침판(201)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나사(300)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10. 삭제
KR1020200140799A 2020-10-28 2020-10-28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KR10224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99A KR102249557B1 (ko) 2020-10-28 2020-10-28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99A KR102249557B1 (ko) 2020-10-28 2020-10-28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557B1 true KR102249557B1 (ko) 2021-05-11

Family

ID=7591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799A KR102249557B1 (ko) 2020-10-28 2020-10-28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71B1 (ko) * 2022-02-10 2022-07-13 김진호 육묘 공간 확장형 접이식 참외 고설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708A (ko) * 2015-09-15 2017-03-23 김남준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20170054008A (ko) * 2015-11-09 2017-05-17 정우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20170079314A (ko) 2015-12-30 2017-07-10 최금채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20180000133U (ko) * 2018-01-04 2018-01-10 최금채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20180075280A (ko) * 2016-12-26 2018-07-04 홍정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2025352B1 (ko) 2018-07-17 2019-09-25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076710B1 (ko) 2018-07-17 2020-02-13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158931B1 (ko) 2019-03-19 2020-09-22 박재우 딸기 재배용 접이식 육묘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708A (ko) * 2015-09-15 2017-03-23 김남준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20170054008A (ko) * 2015-11-09 2017-05-17 정우호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20170079314A (ko) 2015-12-30 2017-07-10 최금채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20180075280A (ko) * 2016-12-26 2018-07-04 홍정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20180000133U (ko) * 2018-01-04 2018-01-10 최금채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102025352B1 (ko) 2018-07-17 2019-09-25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076710B1 (ko) 2018-07-17 2020-02-13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158931B1 (ko) 2019-03-19 2020-09-22 박재우 딸기 재배용 접이식 육묘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71B1 (ko) * 2022-02-10 2022-07-13 김진호 육묘 공간 확장형 접이식 참외 고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950B1 (ko)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2103528B1 (ko) 고설 재배용 회동식 자묘 육성 장치
KR102249557B1 (ko)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US8132361B1 (en) Apparatus for staking trees
KR101873187B1 (ko) 모종 재배 장치
KR101885516B1 (ko) 식물 번식용 육묘지지장치
KR20100085540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하우스 골조 연결구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CN219288294U (zh) 一种便于操作的苗床调节装置
KR20120052109A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CN210959711U (zh) 一种市政园林树木防护支架
KR20200008927A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158931B1 (ko) 딸기 재배용 접이식 육묘 장치
CN218417592U (zh) 一种藤条植物攀爬架
CN212035083U (zh) 一种快速定位竹子的栽植装置
CN214385351U (zh) 一种角度可调的绿化苗木用固定装置
CN215530460U (zh) 一种专用于园林景观的绿化树木支撑装置
CN211745819U (zh) 一种用于园艺的植株固定装置
CN211322209U (zh) 一种用于豇豆种植的栽培装置
CN220897395U (zh) 一种手动式苗木矫正器
CN220493781U (zh) 一种苗木支撑装置
CN219042483U (zh) 一种菊花种植固定装置
CN114600684B (zh) 一种铁皮石斛种植的活动苗床
CN217608600U (zh) 一种温室大棚安装用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