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520B1 -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 Google Patents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520B1
KR102592520B1 KR1020210043555A KR20210043555A KR102592520B1 KR 102592520 B1 KR102592520 B1 KR 102592520B1 KR 1020210043555 A KR1020210043555 A KR 1020210043555A KR 20210043555 A KR20210043555 A KR 20210043555A KR 102592520 B1 KR102592520 B1 KR 102592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edling tray
strawberry
cultivation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450A (ko
Inventor
김영석
Original Assignee
김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102021004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5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ㅡ'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다수개의 안착홈(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상부 받침부(100); 하종단에 지지축(200)이 끼워지는 설치홈(310)이 형성된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상종단은 상부 받침부(100)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받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딸기 육묘 트레이를 받치는 받침대가 고설재배용 배드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딸기 고설재배 장치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Tray for Growing-Seedlings of Strawberry Cultivation}
본 발명은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 육묘 트레이가 고설재배용 배드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딸기 고설재배 장치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토마토, 채소류 등 각종 시설작물의 재배는 지면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토경재배와, 작물이 생육되는 베드를 지면보다 높게 설치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고설재배로 구분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초기 시설비의 부담이 있음에도 고설재배가 권장되고 있는데, 이는 고설재배가 토경재배에 비하여 시설이 깨끗하고, 딸기 등을 재배하는 배드의 높이가 작업자의 허리높이 정도인 80-100cm정도여서 작물의 재배와 수확작업시에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므로 관리나 생산성 향상에 효율적이며, 병충해 예방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설재배를 통해서 재배되는 작물 중 딸기는 줄기가 뻗어나가면서 지면과 접촉한 부분에 뿌리가 활착되는 기는줄기에 의한 번식을 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딸기의 재배를 위한 배드 측면에 상기 기는줄기에 의하여 번식된 모종의 재배 즉, 육묘를 위한 트레이가 설치된다.
그 예로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등록실용 20-0489529호에서 딸기 육묘 트레이 받침대를 공개한 바 있다.
상기 딸기 육묘 트레이 받침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설재배용 배드(60)에서 재배되는 딸기의 런너를 이용하여 모종을 재배하기 위한 육묘 트레이(40)를 받치는 'ㅡ'형의 상부 받침부(10)와, 상기 상부 받침부(10)에 일측이 결합되는 'ㄴ'형의 하부받침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받침부(10)는 상부면에 육묘 트레이(40)를 지지하는 파이프(42)가 놓여지는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하부 받침부(30)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는 고설재배용 배드(60)를 지지하는 지지축(70)이 끼워지는 제1설치홈(16)이 형성된 제1지지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부(30)는 일측 단부는 상부 받침부(10)와 결합되고, 타측단부 즉 제1설치홈(16)의 수직하부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고설재배용 배드(60)의 지지축(70)이 끼워지는 제2설치홈(34)이 형성된 제2지지부(3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딸기 육묘 트레이 받침대는 고설재배용 배드(60)를 지지하는 지지축(70)에 제 1지지부(14) 및 제 2지지부(32)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 받침부(10)의 안착홈(12)에 파이프(42)가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42)상에 육묘 트레이(40)가 위치됨으로써, 고설재배용 배드(60)의 측부로 육묘 트레이(40)가 위치되어 딸기 모종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육묘 트레이(40)가 고설재배용 배드(60) 측부로 위치되어, 고설재배용 배드(60) 사이 즉, 작업자가 이동하고 작업하는 공간의 폭을 감소시켜 작업자가 딸기를 수확하는 등 고설재배용 배드(60)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육묘 트레이(40)의 폭만큼 작업자가 고설재배용 배드(60)로부터 멀어지므로, 작업을 위해서는 팔을 길게 뻗치거나 허리를 굽히는 등의 동작이 요구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육묘 트레이(40)는 통상 육묘가 2열로 길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2구형, 4열로 길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4구형, 6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종래 딸기 육묘 트레이 받침대(1)는 하부 받침부(30)와 상부 받침부(10)가 각각의 단부를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하고 있어 상부 받침부의 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질 경우 하부 받침부 역시 그 치수에 맞는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육묘 트레이 폭 즉, 2구, 4구, 6구에 따라 각각 다른 치수의 트레이 받침대(1)가 요구되어 비용이 많이들고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딸기 육묘 트레이 설치를 위한 받침대를 'ㅡ'형태의 상부 받침부와 상기 상부 받침부 하부와 고설재배용 배드를 위한 지지축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l'형의 하부 받침부로 구성하여, 육묘 트레이 받침대가 고설재배용 배드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딸기의 재배와 수확작업 중 작업자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고 작업이 편리하도록 한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는 'ㅡ'형태의 상부 받침부 하부에 'l'형의 하부 받침부가 복수개 나란히 설치되도록 하되, 하부 받침부의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고설재배용 배드를 지지하는 지지축간 간격 차이가 있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육묘 트레이의 폭(2구, 4구 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육묘 트레이 받침대를 고설재배용 배드 상부에 위치시켜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는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로, 상부면에 다수개의 안착홈이 배열형성된 상부 받침부; 하종단에 지지축이 끼워지는 설치홈이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종단은 상부 받침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하부 받침부 상단에 끼움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상부 받침부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와 결합홈은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슬릿과 걸림돌기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도록 하여, 하부받침부가 상부받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결합홈은 끼움부 길이보다 2배이상 길게형성하여 하부받침부간 설치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받침부가 지지축과 나란히 지지축보다 상부로 설치되어 육묘 트레이가 고설재배용 배드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공간을 침해하지 않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에서 하부받침대간 간격조절이 용이하고 간격 또한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어 지지축의 간격이 다르더라도 모두 적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딸기 육묘 트레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딸기 육묘 트레이 받침대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의 하부 받침부와 지지축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받침부와 하부 받침부의 결합 위치 조절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ㅡ'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다수개의 안착홈(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상부 받침부(100); 하종단에 지지축(200)과 결합되는 지지부(320)가 형성되고, 상종단은 상부 받침부(100)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받침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받침부(300) 상단에 사각기둥형태의 끼움부(33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330)의 양측면에는 각각 축방향으로 슬릿(332)을 하나 이상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상부 받침부(100)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끼움부(330)가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결합홈(130)을 각각 형성하되 각 결합홈(130)의 양측 벽면에는 슬릿(332)으로 삽입되는 걸림 돌기(132)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30)은 끼움부(330) 길이보다 2배 이상 길게형성하여 내부 양측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 돌기(132)를 배열형성하여 도 5 및 도 6의 실선과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받침부(300)간 설치간격을 조정한다.
상기 하부 받침부(30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320)는 하부 받침부(30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평면도상 개방된 일측부가 반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C'형의 설치홈(310)이 형성됨으로써, 지지축(200)에 억지끼움되어 지지축(200)과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상부 받침부(100) 및 하부 받침부(3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과 걸림돌기의 설치위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히 지지축(20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축(200)의 상부에 고설재배용 배드(4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 지지축(200)에 각각 하부 받침부(300)의 지지부(320)를 끼워넣어 복수개의 하부 받침부(3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후 상기 하부 받침부(300)의 상부를 상부 받침부(100) 하부에 고정한 후, 상부 받침부(100)의 안착홈(110)에 파이프(500)를 이격시켜 배치한 후 그 상부에 육묘 트레이(600)를 설치한다.
상기한 하부 받침부(300)와 상부 받침부(100) 결합과정에서 결합홈(130)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하부 받침부(300)의 끼움부(330)를 수직위치로 끼워넣으면,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30)의 슬릿(332)과 끼움부(330)의 걸림 돌기(132)가 서로 맞물리면서 흔들리지 않게 될 뿐 아니라 육묘 트레이(600)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결합상태가 약해지거나 해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하부 받침부(300)의 설치간격은 지지축(200)의 간격에 대응되고, 이러한 간격조정은 결합홈(130)이 길게 형성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 받침부(100) 상부의 안착홈(110)이 다수개 배열되어 있어 파이프(500)를 원하는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는줄기로 번식하는 딸기 육묘를 고설재배용 배드(400) 상부로 위치시켜 재배할 수 있게 되므로, 딸기 재배시 작업자가 이동하기 위한 고설재배용 배드(4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아 딸기의 수확이나 관리에 불편이 발생하지 않게된다.
100 : 상부 받침부
110 : 안착홈
130 : 결합홈
200 : 지지축
300 : 하부 받침부
310 : 설치홈
320 : 지지부
330 : 끼움부
400 : 고설재배용 배드
600 : 육묘 트레이

Claims (5)

  1. 'ㅡ'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면에 육묘 트레이(600)를 지지하는 파이프(500)가 설치되는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저면 양측에 결합홈(130)이 각각 형성된 상부 받침부(100);
    고설재배용 배드(400)의 하부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지지축(200)에 결합되는 지지부(320)가 하종단에 형성되고, 상종단에는 상기 상부 받침부(100)의 결합홈(130)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끼움부(330)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받침부(100)의 하부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받침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육묘 트레이(600)가 고설재배용 배드(400)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330)와 결합홈(130)은 서로 대응되는 다수개의 슬릿과 걸림돌기에 의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30)은 끼움부(330) 길이보다 2배 이상 길게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부(10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안착홈(11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부(300)의 지지부(320)는 하부 받침부(30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평면도상 개방된 일측부가 반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C'형의 설치홈(3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KR1020210043555A 2021-04-02 2021-04-02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KR10259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555A KR102592520B1 (ko) 2021-04-02 2021-04-02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555A KR102592520B1 (ko) 2021-04-02 2021-04-02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450A KR20220137450A (ko) 2022-10-12
KR102592520B1 true KR102592520B1 (ko) 2023-10-20

Family

ID=8359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555A KR102592520B1 (ko) 2021-04-02 2021-04-02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5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29Y1 (ko) * 2017-10-25 2019-09-30 김영석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29Y1 (ko) * 2017-10-25 2019-09-30 김영석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450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9314A (ko)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KR20180000133U (ko) 딸기 증식용 포트를 지지할 수 있는 딸기 재배용기
JP6388349B2 (ja) イチゴ栽培装置及びイチゴ栽培方法
KR20160027725A (ko) 수경재배용 조립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
KR102592520B1 (ko) 딸기 고설재배용 육묘 트레이 받침대
JP3829988B2 (ja) 温室内に於ける植物の高設栽培用のキャスター付き栽培棚
KR200489529Y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JP5749549B2 (ja) 水耕栽培用定植板
KR102076710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CN211482130U (zh) 一种幼苗培育装置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KR20120052109A (ko) 농작물 지지장치
KR102357484B1 (ko) 고설재배용 포트 분리형 화분
KR102275217B1 (ko) 다목적 식물 재배 장치
KR20190000028U (ko) 스티로폼 배드와 비닐 배드의 설치가 가능한 고설재배용 지지대
KR101334706B1 (ko) 수경재배용 지지대
GB2549974A (en) Support device
JP4132318B2 (ja) 育苗装置及び育苗方法
KR20210054881A (ko) 조립식 화분체
KR102359307B1 (ko) 과채류 작물의 연중생산을 위한 다단형 수직 수경재배장치
JP2019170386A (ja) 園芸作物の温室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装置
JP2002218849A (ja) 高架栽培用培地容器
JP3796627B2 (ja) 育苗装置
KR200486830Y1 (ko) 식물 재배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