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108B1 -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108B1
KR101774108B1 KR1020150130407A KR20150130407A KR101774108B1 KR 101774108 B1 KR101774108 B1 KR 101774108B1 KR 1020150130407 A KR1020150130407 A KR 1020150130407A KR 20150130407 A KR20150130407 A KR 20150130407A KR 101774108 B1 KR101774108 B1 KR 10177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fixing
body member
strawberry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708A (ko
Inventor
김남준
Original Assignee
김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준 filed Critical 김남준
Priority to KR1020150130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108B1/ko
Priority to PCT/KR2015/011050 priority patent/WO2017047861A1/ko
Publication of KR2017003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104
    • A01G9/1066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딸기의 재배와 육묘를 겸용 가능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구현한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지는 다수 개의 베드부; 베드부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육묘포트부; 사이에 베드부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측부에 육묘포트부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두 개의 거치부; 및 거치부를 서로 연결시켜, 거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System For Both Strawberry Cultivation And Growing-Seedling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딸기의 재배와 육묘를 겸용 가능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구현한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딸기 품종은, 대부분 종자가 아닌 포복지를 통해 영양적으로 번식되기 때문에 어미묘의 월동이나 육묘포의 준비를 비롯한 육묘 전반에 상당한 면적과 노력, 시간 등이 소요된다.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는 딸기는, 모주에서 런너가 뻗어 나온 어린 모종을 포트에 증식한 후, 이 포트에서 어느 정도 성장한 모종을 하우스 바닥의 흙이나 별도의 받침대 위에 설치한 베드에 정식하여 재배하게 된다. 한편 하우스 바닥에서의 딸기 재배는, 각종 전염병의 확산가능성이 높고 딸기 수확시의 작업자세가 불편하여 베드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고설 재배를 실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딸기 고설 재배는,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내부에 금속제 파이프를 사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받침대를 설치한 후, 그 위에서 베드와 포트를 설치하여 모종을 생산하거나 딸기를 재배하는데, 이때 받침대는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말뚝을 박고, 해당 말뚝을 가로질러 가로대를 용접이나 기타 클램프 등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 해당 가로대 위에 여러 개의 지지 파이프를 평행하게 설치한 후, 그 위에 베드나 포트를 안치한다.
딸기 육묘 재배는, 과거에 노지육묘를 사용하였으며, 그 뒤 비가림육묘 방법이 개발되어 다양한 비가림육묘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노지가 아닌 하우스 내에서 육묘하는 모든 방법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포트육묘도 비가림육묘에 속하나 일반적으로 하우스 내에서 토양에 육묘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딸기 포트육묘는, 포트에 묘를 심어 육묘하는 방법으로 꽃눈분화 촉진, 수확량 증대, 병해경감 등의 측면에서 토경육묘보다 유리하고, 포트 종류 및 자재의 개선과 새로운 육묘상이 개발되어 작업성을 높이고 건전한 묘를 대량으로 육묘할 수 있는 공정육묘 방식으로 발전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9354호(2013.08.16 등록)는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다수의 수직형 지지각과 그 지지각의 상부를 연결하는 양측 지지봉으로 된 지지프레임과, 양측에서 지지봉을 감싸고 내측에 온수관이 내입된 함몰형 상토충전부를 갖는 모주베드와, 모주베드의 상부에는 모주용 관수관과 자묘용 관수관을 상토충전부에 충전되는 상토와 면접되게 각각 안착 형성되고, 배수공을 갖는 다수의 발근실이 구획 형성된 발근트레이가 구성된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에 있어서, 발근트레이에 형성된 걸이공과, 걸이공에 고정고리를 결합하여 발근트레이를 모주베드의 양측 지지봉에 매달리게 현가 설치하되, 발근트레이에는 자묘용 관수관으로부터 관수호스를 통해 양액을 공급받아 발근트레이로 공급하기 위한 드립퍼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모주베드가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 형성된 공중육모 방식을 적용하되, 상토면과 면접되게 형성되는 관수관에 의해 저면관수가 가능하여 모주 및 자묘에 흙물 등이 튀지 않아 수인성 전염병인 탄저균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4896호(2013.10.28. 등록)는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여 자묘의 생육을 제한함으로써 꽃눈 분화를 일어나게 하며, 육묘장에서 육묘하던 종래의 딸기 육묘절차를 없애고 온실하우스 내에서 남겨놓은 딸기 자모를 이용하여 그 옆에 육묘포트를 심어서 육묘와 아주심기를 함으로써 일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제자리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딸기 수확이 끝난 딸기 포기를 뽑아내는 과정에서 딸기 모주를 남겨놓고 딸기포기를 뽑아내는 단계, 딸기 모주 주위에 모주 한 포기당 2-10개의 육묘포트를 심되 육묘포트의 상부 개구부의 일부만 땅에 들어가게 심으며 육묘포트를 심기 전 또는 후에 딸기 자묘를 육묘포트에 옮겨 심는 단계, 아주심기 10-20일 전에 런너를 잘라주는 단계, 및 육묘포트를 제거하고 육묘포트 자리에 자묘를 아주심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은, 전문 시설 자재가 없어 파이프를 땅속에 삽입한 후에 부속자재를 이용하고 엮어 시공하는 방식으로 높은 시공기술과 긴 시공 시간으로 시공비용이 높고 재배와 육묘를 고려한 구조의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며,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은, 파이프와 부속자재를 땅속에 삽입하여 딸기베드와 육묘포트를 고정시키므로 상토 교체와 소독작업이 어려워 농가의 일손이 부담되며, 제자리 육묘의 경우 딸기 육묘로 딸기 재배 베드에 육묘포트를 삽입하기 때문에 딸기 육묘로 쉽게 병해충을 옮길 수 있어 병해충에 취약하며, 이에 딸기 재배 기간에 상토에서 발생한 탄저병, 흰가루병 등에 대한 소독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935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2489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딸기의 재배와 육묘를 겸용 가능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횡대 파이프에 딸기베드를 거치하고 횡대 파이프에서 육묘 포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지는 다수 개의 베드부; 상기 베드부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육묘포트부; 사이에 상기 베드부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측부에 상기 육묘포트부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두 개의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거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베드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지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상단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기 위한 거치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딸기 모종과 상토가 위치하며,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재로 주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육묘포트부는, 상기 거치부의 측부에 연결 설치되는 육묘포트본체부재;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베드부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용기부재; 및 상기 용기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물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삽입해 주기 위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라인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육묘포트부는, 상기 라인홈부재와 상기 용기부재의 사이 상부면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육묘포트부는,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연결 설치해 주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탈착수단;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수단; 상기 탈착수단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회전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착수단은, 다른 일단에 상부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 관통 체결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거치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고정수단은, 상기 탈착수단의 일단 상부 양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켜 주기 위한 삽입고정대; 상기 삽입고정대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다른 일단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회전고정홈;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정고정홈의 일단에서 각각 삽입 회전되고, 상기 회전고정홈의 다른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 이동되기 위한 두 개의 회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를 슬라이딩시켜 주기 위한 슬라이딩바; 및 상기 회전고정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를 가이드해 주기 위한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단 양측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거치부를 각각 고정하여 상기 거치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딸기의 재배와 육묘를 겸용 가능하도록 조립식 구조로 횡대 파이프에 딸기베드를 거치하고 횡대 파이프에서 육묘 포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부자재 조립시간과 제작시간을 줄여 간단한 시공기술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짧은 시공 시간으로 시공비용이 낮고 재배와 육묘를 고려한 조립식 구조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우수하며, 한정된 시설 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농 작업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딸기 재배 베드 횡대 파이프에 육묘 포트 거치형 브라켓을 설치하여 Pot arm 회전 시킬 수 있어 농가의 작업 공간을 넓혀 주어 작업 효율성을 높여 주며, 육묘 포트를 간단하게 탈부착 할 수 있어 포트 상토 교체가 용이하고, 딸기 재배 하우스에서 딸기 육묘 기간에만 포트를 부착하여 육묘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딸기 재배 하우스에서 딸기 육묘가 가능하며, 딸기 재배 베드에 육묘포트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소독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농가의 일손 부담을 덜어주어 농 작업이 생력화됨으로써, 병해충 예방을 강화할 수 있으며, 기존 재배 시설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조립식 외발형으로 지지대에 횡대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한 부자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베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육묘포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회전고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있는 연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1)은, 다수 개의 베드부(10), 다수 개의 육묘포트부(20), 두 개의 거치부(30), 지지부(40)를 포함한다.
베드부(10)는, 거치부(30)의 사이에 거치되며,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지며, 지지부(40)로 딸기 모종의 줄기를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베드부(10)는, 거치부(30)의 사이에 거치되어 거치부(30)의에서 쉽게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토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베드부(10)는, 6라인 어미묘를 정식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육묘포트부(20)는, 거치부(30)의 측부에 연결 설치되며, 베드부(10)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육묘포트부(20)는, 거치부(30)의 측부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베드부(10)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내부에 심은 상토에 심어주어 딸기 육묘를 재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육묘포트부(20)는, 일측의 거치부(30)에만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농 작업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거치부(30)는, 지지부(40)에 의해 지지되고 서로 연결되며, 사이에 베드부(10)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측부에 육묘포트부(20)를 연결 설치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30)는, 횡대 파이프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철 등의 단단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30)는, 다수 개의 베드부(10)를 거치하고 다수 개의 육묘포트부(20)를 연결 설치하기 위해 적어도 네 개 이상의 베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40)는, 거치부(30)를 서로 연결시켜, 거치부(3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40)는, 상부에 베드부(10)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40)는, 상단에 거치부(30)를 각각 끼워 거치부(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40)는, 상부에 거치부(30)를 지지해 주는 소재와 하부에 외발형식의 파이프와 해당 파이프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1)은, 딸기의 재배와 육묘를 겸용 가능하도록 조립식 구조(즉, U HIGH BED 육묘 구조)로 거치부(30)에 베드부(10)를 거치하고 거치부(30)에서 육묘포트부(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불필요한 부자재 조립시간과 제작시간을 줄여 간단한 시공기술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짧은 시공 시간으로 시공비용이 낮고 재배와 육묘를 고려한 조립식 구조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우수하며, 한정된 시설 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 농 작업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1)은, 거치부(30)에 베드부(10)를 거치하고 육묘포트부(20)를 설치하여 Pot arm 회전 시킬 수 있어 농가의 작업 공간을 넓혀 주어 작업 효율성을 높여 주며, 육묘포트부(20)를 간단하게 탈부착 할 수 있어 포트 상토 교체가 용이하고, 딸기 재배 하우스에서 딸기 육묘 기간에만 육묘포트부(20)를 부착하여 육묘를 키울 수 있기 때문에 딸기 재배 하우스에서 딸기 육묘가 가능하며, 베드부(10)에 육묘포트부(20)를 삽입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소독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농가의 일손 부담을 덜어주어 농 작업이 생력화됨으로써, 병해충 예방을 강화할 수 있으며, 기존 재배 시설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립식 외발형으로 지지부(40)에 거치부(30)를 설치함으로써, 불필요한 부자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베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드부(10)는, 본체부재(11), 거치부재(12), 받침부재(13)를 포함한다.
본체부재(11)는, 상단 양측부에 거치부재(12)를 연장 형성하고, 내부에 받침부재(13)를 설치하고, 베드부(1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재(11)는, 하부면에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여 딸기 모종과 상토에 주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거치부재(12)는, 본체부재(11)의 상단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거치부(30)에 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재(12)는, 일측에 다수 개의 홈(바람직하게는, 두 개)을 형성하여, 거치부(30)의 측부에 육묘포트부(20)가 연결 설치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재(12)는, 예를 들어, 거치부(30) 지름보다 2~3배 정도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거치부(30)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받침부재(13)는, 본체부재(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딸기 모종과 상토가 위치하며,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본체부재(11)로 주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해 준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육묘포트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육묘포트부(20)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 다수 개의 용기부재(22),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라인홈부재(23)를 포함한다.
육묘포트본체부재(21)는, 용기부재(22)를 형성하고, 거치부(30)의 측부에 연결 설치된다.
용기부재(22)는, 사이에 라인홈부재(23)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육묘포트본체부재(21)에 형성되어, 베드부(10)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재(22)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분리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재(22)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구(즉, 한 줄)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2구 또는 3구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용기부재(22)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에 약 15개 ~ 35개를 형성하여 다수 개의 육묘를 재배할 수 있다.
라인홈부재(23)는, 용기부재(22)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물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삽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부재(23)는, 용기부재(22)의 구와 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인홈부재(23)는, 호스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고 용기부재(2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과 흙이 있어도 막히지 않고 용기부재(22)로 물 또는 영양분을 공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육묘포트부(20)는, 라인홈부재(23)와 용기부재(22)의 사이 상부면에 물길을 일정한 각도(바람직하게는, 10ㅀ~30ㅀ 정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물길의 양측부를 턱이 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라인홈부재(23)에 물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삽입했을 경우 물 또는 영양분을 각각의 용기부재(22)에 골고루 공급함으로써 딸기 육묘가 잘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육묘포트부(20)는, 연결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4)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거치부(30)에 연결 설치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24)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가 사용되지 않을 시에 거치부(30)에 탈착되어 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연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4)는, 탈착수단(241), 연결수단(242), 회전고정수단(243)을 포함한다.
탈착수단(241)은, 연결수단(242)의 사이에 회전고정수단(243)을 형성하고,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거치부(30)에 탈부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탈착수단(241)은, 삽입홈(2411), 고정재(24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2411)은, 상부에 고정재(2412)를 관통 체결 형성하며, 다른 일단에 상부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거치부(30)를 삽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2411)은, 거치부(30)의 지름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개방 형성되어, 거치부(30)를 삽입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2411)은, 상부에 고정재(2412)를 관통 체결 형성하도록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재(2412)는, 삽입홈(2411)의 상부에 관통 체결 형성되어, 삽입홈(2411)에 삽입된 거치부(30)를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재(2412)는, 예를 들어 볼트,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거치부(30)를 삽입홈(2411)에 삽입한 다음에 볼트, 나사 등의 고정수단을 삽입홈(2411)의 상부에 관통하여 거치부(30)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연결수단(242)은, 회전고정수단(243)에 의해 회전되거나 탈착수단(241)에 고정되고, 육묘포트본체부재(2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다.
회전고정수단(243)은, 탈착수단(241)과 연결수단(242) 사이에 형성되어, 연결수단(242)을 회전시키거나 탈착수단(241)에 고정시켜 준다.
도 5는 도 4에 있는 회전고정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고정수단(243)은, 삽입고정대(2431), 두 개의 회전고정홈(2432), 두 개의 회전돌기(2433)를 포함한다.
삽입고정대(2431)는, 양측 하부에 회전고정홈(2432)을 각각 형성하고, 탈착수단(241)의 일단 상부 양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연결수단(242)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고정대(2431)는, 탈착수단(241)의 일단 상부 양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결수단(242)의 일단의 길이보다 짧도록 연장 형성하여, 연결수단(242)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켜 줄 수 있다.
회전고정홈(2432)은, 삽입고정대(2431)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회전돌기(2433)가 각각 삽입 회전하고, 다른 일단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돌기(2433)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고정홈(2432)은,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될 때에 회전돌기(2433)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를 갖도록 개방될 수 있다.
회전돌기(2433)는, 연결수단(242)의 일단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회정고정홈(2432)의 일단에서 각각 삽입 회전되고, 회전고정홈(2432)의 다른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 이동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돌기(2433)는, 회정고정홈(2432)의 일단에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때문에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거치부(30)에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어, 농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회전고정수단(243)은, 회전고정홈(2432)의 내부방향으로 회전돌기(2433)를 삽입 이동할 경우에, 회전돌기(2433)가 회전고정홈(24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연결수단(242)의 일단이 삽입고정대(2431)의 하부 내부로 삽입되고 연결수단(242)의 일단이 삽입고정대(2431)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연결수단(242)을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회전고정수단(243)은, 회전고정홈(2432)의 외부방향으로 회전돌기(2433)를 이동시킬 경우에, 회전고정홈(2432)의 개방된 방향으로 회전돌기(2433)가 위치하여 하부방향(즉, 지지부(40)와 가까운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회전고정홈(2432)의 상부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인출되어, 연결수단(242)을 완전 분리할 수 있다. 즉, 회전고정수단(243)은, 육묘포트부(20)를 거치부(30)에서 완전 분리할 있으며, 육묘포트부(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거치부(30)에서 분리하여 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여줄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있는 연결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수단(242)은, 지지파이프바(2421), 고정돌기(2422)를 포함한다.
지지파이프바(2421)는, 다수 개의 관통홀(24211)을 구비하고, 회전고정수단(243)에 연장 형성되어,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지지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파이프바(2421)는, 길이를 연장 형성하여,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고정돌기(2422)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파이프바(2421)의 관통홀(24211)에 삽입되어, 육묘포트본체부재(21)에 지지파이프바(2421)를 고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수단(242)은, 육묘동에서 사용할 시에 2구로 형성된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지지하는 지지파이프바(2421)에 파이프바를 연결 설치하고 2개의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더 설치하여, 6구를 갖는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형성하여, 딸기 육묘재배를 할 수 있다. 딸기 육묘재배가 끝난 후에 연결수단(242)은, 지지파이프바(2421)에 연결 설치된 파이프바와 파이프바에 설치된 2개의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연결 해제하여, 기존에 설치된 육묘포트본체부재(21)를 사용하여 딸기 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딸기 육묘재배가 끝난 뒤 사용하지 않는 육묘동을 재배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가 낭비되는 것을 막으며, 별도의 재배동을 설치하는 비용과 파이프 제작비용을 절감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40)는, 고정연결부재(41), 지지부재(42)를 포함한다.
고정연결부재(41)는, 하단에 고정연결부재(41)를 고정 설치하고, 상단 양측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고정홈에 거치부(30)를 각각 고정하여 거치부(30)를 서로 연결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연결부재(41)는,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어, 베드부(10)가 수용될만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42)는, 고정연결부재(4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거치부(3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42)는, 예를 들어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철 등의 단단한 소재의 파이프와 해당 파이프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10: 베드부
11: 본체부재
12: 거치부재
13: 받침부재
20: 육묘포트부
21: 육묘포트본체부재
22: 용기부재
23: 라인홈부재
24: 연결부재
241: 탈착수단
2411: 삽입홈
2412: 고정재
242: 연결수단
2421: 지지파이프바
24211: 관통홀
2422: 고정돌기
243: 회전고정수단
2431: 삽입고정대
2432: 회전고정홈
2433: 회전돌기
30: 거치부
40: 지지부
41: 고정연결부재
42: 지지부재

Claims (10)

  1.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지는 다수 개의 베드부;
    상기 베드부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육묘포트부;
    사이에 상기 베드부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측부에 상기 육묘포트부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두 개의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거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육묘포트부는, 상기 거치부의 측부에 연결 설치되는 육묘포트본체부재;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베드부에 심어진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로 재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용기부재; 및 상기 용기부재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물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를 삽입해 주기 위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라인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육묘포트부는,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연결 설치해 주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를 상기 거치부에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탈착수단;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기 위한 연결수단; 상기 탈착수단과 상기 연결수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회전시키거나 상기 탈착수단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회전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딸기 모종과 상토가 심어지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의 상단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기 위한 거치부재; 및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딸기 모종과 상토가 위치하며,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부재로 주어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포트부는,
    상기 라인홈부재와 상기 용기부재의 사이 상부면을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다른 일단에 상부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상부에 관통 체결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거치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고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수단은,
    상기 탈착수단의 일단 상부 양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을 삽입 고정시켜 주기 위한 삽입고정대;
    상기 삽입고정대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고 다른 일단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두 개의 회전고정홈;
    상기 연결수단의 일단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고정홈의 일단에서 각각 삽입 회전되고, 상기 회전고정홈의 다른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 이동되기 위한 두 개의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수 개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고정수단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파이프바; 및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바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육묘포트본체부재에 상기 지지파이프바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단 양측에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거치부를 각각 고정하여 상기 거치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1020150130407A 2015-09-15 2015-09-15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10177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07A KR101774108B1 (ko) 2015-09-15 2015-09-15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PCT/KR2015/011050 WO2017047861A1 (ko) 2015-09-15 2015-10-19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07A KR101774108B1 (ko) 2015-09-15 2015-09-15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708A KR20170032708A (ko) 2017-03-23
KR101774108B1 true KR101774108B1 (ko) 2017-09-04

Family

ID=5828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07A KR101774108B1 (ko) 2015-09-15 2015-09-15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74108B1 (ko)
WO (1) WO201704786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131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
KR102357484B1 (ko) 2021-02-26 2022-02-08 김진수 고설재배용 포트 분리형 화분
KR20220039874A (ko) 2020-09-21 2022-03-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화성산업 육묘 포트 지지구
KR20240063616A (ko) 2022-11-03 2024-05-10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딸기 자묘 생산용 led 탑재 다단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031B1 (ko) * 2017-08-31 2019-07-03 주식회사 교원 식물재배기의 배양액 공급 시스템
KR102184907B1 (ko) * 2020-04-29 2020-12-01 변종기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KR102249557B1 (ko) * 2020-10-28 2021-05-1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고설재배용 확장베드 설치를 위한 확장브라켓 설치구조
CN112997776A (zh) * 2021-03-08 2021-06-22 西安航空学院 一种农业蔬菜根部除虫装置
CN113661867B (zh) * 2021-10-10 2022-07-05 阜阳市鸿福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草莓培育箱
CN115088517B (zh) * 2022-07-13 2023-09-12 嘉兴佳莓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模块化立体草莓育苗装置
CN116784136B (zh) * 2023-06-02 2024-01-02 山东友稻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盐碱地有机水稻培育种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354B1 (ko) * 2011-07-21 2013-08-22 변복구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200474371Y1 (ko) * 2014-07-31 2014-09-12 주경환 딸기 육묘용 연결 포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04A (ja) * 1996-07-04 1998-01-20 Green Syst:Kk 株分け用ベンチ
KR20110018637A (ko) * 2009-08-18 2011-02-24 이화성 딸기 육묘와 고설재배를 겸할 수 있는 조립식 받침대
CN102326495A (zh) * 2011-07-07 2012-01-25 北京华农农业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草莓分层育苗装置及方法
KR101324896B1 (ko) 2013-07-12 2013-11-04 장현식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제자리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354B1 (ko) * 2011-07-21 2013-08-22 변복구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200474371Y1 (ko) * 2014-07-31 2014-09-12 주경환 딸기 육묘용 연결 포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131A (ko)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
KR20220039874A (ko) 2020-09-21 2022-03-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화성산업 육묘 포트 지지구
KR102357484B1 (ko) 2021-02-26 2022-02-08 김진수 고설재배용 포트 분리형 화분
KR20240063616A (ko) 2022-11-03 2024-05-10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딸기 자묘 생산용 led 탑재 다단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7861A1 (ko) 2017-03-23
KR20170032708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108B1 (ko)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JP3501362B2 (ja) 作物の空中採苗用育苗装置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101645455B1 (ko)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KR101299354B1 (ko)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TWM494487U (zh) 直立式栽培器及直立式栽培裝置
KR20170001241A (ko) 딸기육묘용 포트
CN207284396U (zh) 草莓育苗穴盘
KR200489529Y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받침대
KR20140105355A (ko) 양액 재배용 베드
KR101195301B1 (ko) 수경재배기 및 그 수경재배기를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KR102025352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KR102076710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JP2018085966A (ja) 育苗方法
JP2007306849A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CN215269639U (zh) 一种甘薯苗种植用搁置架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KR101024968B1 (ko) 재배관을 이용한 입상식 농작물 재배장치
JP3143823U (ja) イチゴ育苗用連結ポット
KR101507309B1 (ko) 식물의 육묘 재배장치
KR20060019335A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CN217957975U (zh) 一种农作物育苗培育装置
JP2004154031A (ja) ポットによる栽培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