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455B1 -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455B1
KR101645455B1 KR1020150090841A KR20150090841A KR101645455B1 KR 101645455 B1 KR101645455 B1 KR 101645455B1 KR 1020150090841 A KR1020150090841 A KR 1020150090841A KR 20150090841 A KR20150090841 A KR 20150090841A KR 101645455 B1 KR101645455 B1 KR 10164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berry
seedlings
individual
individual seedling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식
Original Assignee
장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식 filed Critical 장현식
Priority to KR102015009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A01G1/001
    • A01G9/101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딸기를 수확한 어미묘를 딸기 고설재배 베드에 남겨둔 다음 상기 어미묘로부터 발생되는 런너의 자묘를 개별육묘포트에 심어서 균일하고 건강한 딸기 자묘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딸기 자묘의 영양생장을 생식생장으로 전환하여 딸기 꽃눈 분화를 유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딸기 자묘를 육묘하기 위한 딸기 제자리 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를 딸기 고설재배 베드에 삽입 배치하고, 상기 개별육묘포트에 딸기 어미묘로부터 발생된 런너를 유도하여 딸기 자묘를 생육시킨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리브,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고리홀이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3~8mm 크기의 수분구멍과 상기 몸체 하부 아래쪽 정점 부위에 형성되는 2~5개의 뿌리구멍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별육묘포트의 몸체는 상부 개구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부 몸체가 옆으로 비스듬하게 30~65각도의 경사를 갖다.

Description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Individual ports and strawberry seedling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goseol formal place for a strawberry nursery place.}
본 발명은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하여 딸기를 육묘한 다음 딸기 자묘를 제자리에 정식하여 꽃눈 분화를 유도하는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는 고설재배장치의 배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개별육묘포트에서 딸기 자묘를 육묘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육묘방식은 개별육묘포트에 의해 딸기 묘의 직근의 발생이 적으며, 근권제한으로 뿌리 발육을 억제된다. 딸기 자묘를 개별육묘포트가 있던 자리에 정식할 때 상기 개별육묘포트 밖으로 자란 잔뿌리를 제거한 다음 정식하여 딸기 열매가 맺을 수 있도록 꽃눈 분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종래 고설 딸기 노동력 절감 무육묘 재배법은 일본 시마네현 농업기술센터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상기 농업기술센터는 고설재배로 딸기 수확을 마친 딸기 어미묘를 그대로 남기고, 거기에서 발생한 런너의 자묘를 배지에 직접 심어 다음 재배의 모종으로 하는 무육묘 재배법을 확립했다. 상기 재배법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의 육묘기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수확시기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 딸기 재배방법은 육묘장에서 딸기 자묘를 육묘한 다음 딸기 자묘를 다시 시설 하우스로 옮겨 심는 방법으로 딸기를 생산하였다. 이를 위해 딸기 열매를 수확한 딸기 어미포기를 6월 초에 육묘장으로 옮겨 심은 다음 런너의 발생을 증진시키기 위해 딸기의 성엽을 잘라준다. 이 때 생장점이 형성된 크라운 부분이 다치지 않도록 잎을 잘라준다.
그렇게 육묘장에 심겨진 딸기 어미포기에서 발생된 런너는 24~32개의 포트가 일체로 형성된 육묘포트판의 포트에 일일히 런너에 형성된 생장점을 심어서 자묘를 생산한다. 상기 자묘가 심겨지는 일체형 육묘포트판은 상토를 채워서 딸기 자묘가 정착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일체형 육묘포트판에 형성된 딸기 자묘는 딸기 생산을 위해 9월 초순 본밭이 재배 온실로 옮겨 정식을 하고, 생식생장을 유도하여 준다. 즉, 꽃눈의 분화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저온에 처리하거나 약품처리하여 준다. 꽃눈의 분화가 불충분하거나 균일하지 않으면 화기(花器)가 연약하고 딸기의 수확량이 감소하게 된다.
자연상태에서 딸기는 겨울철 저온에 의해 꽃눈 분화가 일어나고, 봄에 기온이 올라가면서 생육이 왕성해지고 꽃이 피어 열매를 맺게 된다. 그러나 딸기의 꽃눈 분화는 저온의 온도 뿐만 아니라 기타 화학 약품처리 등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근권제한에 의한 심한 생장 스트레스에 의해서도 꽃눈 분화가 유도된다.
종래 딸기육묘는 전년 가을부터 딸기 씨묘종을 관리하고, 당해년도 2월초에 씨묘종을 이묘준비 후 육묘장에 24~32포트로 이루어진 육묘포트판을 배열한 다음 상기 육묘포트판에 상투를 보충한 후 어미가될 모주를 정식한다.
5월 중순부터 런너 발생시 24~32구 연결 육묘포트판에 런너를 핀으로 유인한 다음 8월 초에 런너를 자르고 중순경부터 꽃눈분화준비를 하게 된다. 9월 초순 상기 연결포트에서 자라는 자묘를 캐내어 재배 포장에 정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딸기 육묘방식은 큰 면적의 육묘장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전년도 가을부터 씨묘종을 확보하고 이듬해 정식까지 별도의 육묘장을 운영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24~32구 연결육묘포트판에서 육묘하는 관계로 밀식상태에서 재배되어 수분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병해를 방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농촌 인구의 고령화 및 일손 부족으로 인하여 육묘의 어려움이 크다.
종래의 육묘장 에서 묘를 키워서 오는 상기 육묘방법은 일손을 많이 필요로 하고, 수분 스트레스 없이 자묘를 기르기 위해서 딸기 재배를 끝낸 배지의 같은 자리에서 딸기를 제자리 육묘를 하게 되는되 전년도 딸기 재배 과정에서 많은 양분이 배지내에 축적이되어 있어서 여름 고온기에 웃자라 과도한 영양생장으로 1화방 꽃눈 분화의 목적을 달성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24362호(2001. 03. 07)
고설딸기 노동력 절감 무육묘 재배법(일본, 2013.) http://www.agrinews.co.jp/user.ph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딸기를 수확한 딸기 어미묘로부터 이듬해 딸기를 생산하기 위한 어린묘(子猫)를 개별적으로 육묘하고, 같은 자리에 정식하여 딸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꽃눈 분화에 개별육묘포트육묘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고설재배장치의 배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육묘와 딸기 재배가 한자리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딸기 자묘를 운반하는 작업을 생략하여 노력과 경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딸기 육묘를 위한 별도의 육묘장이 필요하지 않아 비효율적인 재배지 운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딸기 육묘 재배을 한 장소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동선을 단축시키고 이묘 또는 묘 이식의 단계를 축소시킴으로써 병해충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각종 생리장애와 병해를 줄이고 육묘환경을 개선하여 묘령이 균일한 유량 딸기 묘주를 생산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하여 딸기 자묘를 육묘한 후 제자리에 정식하는 것이다. 6월 이후 딸기의 어미묘에서 딸기 자묘를 육묘할 때 뿌리 생장을 제한하지 않으면, 딸기는 영양생장만 하게 되어 엽면적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딸기 열매을 맺을 생각을 안하게 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하여 딸기의 자묘를 육묘하게 되면 개별육묘포트 내부에 1차근(直根)을 발생 시키고, 개별육묘포트의 수분구멍 또는 뿌리구멍을 통해서 밖으로 계속 뻗어나간 1차근(직근)에서 2차근 및 3차근의 잔뿌리가 무수히 발생된다. 상기 잔뿌리는 육묘 전 기간에 걸쳐서 양분과 수분 흡수를 원활 하게하여 양분과 수분에 대한 스트래스가 전혀 없이 대묘(大錨)로 성장 하여 양분을 충분히 흡수하게 된다.
상기 딸기 육묘가 완성되어 제자리정식을 할 때에는 개별육묘포트를 잡고 육묘한 포기를 잡고 뽑아내면 개별육묘포트 밖으로 빠져나간 2차근 및 3차근잔의 잔뿌리가 끊어지고 개별육묘포트 안쪽에 있는 오래된 1차근(直根)만 남게된다. 직근만 남은 딸기 자묘의 포기를 개별육묘포트를 뽑아낸 자리에 정식을 하여준다.
이와 같이 뽑아낸 개별육묘포트의 배지 구멍에 상기 딸기 자묘 포기를 심어줌으로써 자묘를 운반하지 않아 일손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뿌리구멍을 통하여 개별육묘포트 밖으로 빠져나간 2차근 및 3차근의 잔뿌리는 잘려나가고 1차근(직근)만 남게되므로 단근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게 된다. 상기 2차근 및 3차근의 잔뿌리가 잘려지고 정식한지 하루가 지나면 1차근에서 새로운 잔뿌리가 하얗게 돋아나서 가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생식생장으로 전환하게 된다.
고온기에 고설재배장치의 베드 배지에서 딸기 자묘를 육묘할 때 딸기묘의 지상부는 뿌리구멍으로 뻗어나간 잔뿌리의 길이만큼 비례하여 30cm 이상 초장이 자란다. 하지만 딸기 자묘를 정식하기 위하여 2차근 및 3차근의 잔뿌리가 제거된 이후에는 딸기 자묘의 지상부는 남은 1차근의 길이(개별육묘포트의 길이)인 10cm 정도를 넘기지 못한다. 즉 자묘 정식 후 본엽 2매가 출현되는 기간인 15일 정도까지 근권이 제한되어 딸기의 자묘는 생식생장을 하게 되고, 이 때 꽃눈이 분화되는 조건을 충족하여 꽃눈이 분화된다.
이와 같이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하여 근권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딸기 고설재배에 있어서 제자리 육묘방식으로 딸기의 꽃눈 분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딸기 제자리육묘 고설재배장치는 지면으로부터 80~130cm 높이로 베드가 이격되도록 양쪽 길이방향으로 측면지지부재(30)가 세로프레임(40)을 지지하고, 상기 세로프레임(40)의 양쪽 끝단은 가로프레임(42)으로 연결하여 평면상의 장방형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42)의 중간에는 중간지지부재(31)가 상기 가로프레임(42)을 지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양측의 측면지지부재(30) 사이에 형성된 중간지지부재(31) 사이의 중간부를 연결고정하기 위하여 가로지지바(32)를 중간 높이에서 고정시키고, 상기 가로프레임(42)의 중간부와 타단의 가로프레임(42)의 중간부 사이에 중간프레임(41)이 설치되어 있어 세로프레임(40)과 가로프레임(42)의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길이방향으로 양분하여 A베드와 B베드로 나누어 평면상의 베드가 형성된다.
상기 두 베드의 구역에 각각 두겹의 질긴 비닐 또는 필름 등의 지지재료로 움푹하게 깔면 지지재료의 중간부는 중간프레임(41)에 걸려 높이 솟아 올라 양쪽 구역이 움푹 파이게 되며, 상기 비닐 또는 필름 등의 지지재료는 움직이지 않도록 세로프레임(40), 중간프레임(41) 및 가로프레임(42)에 고정구(51)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A베드와 B베드의 움푹 들어간 곳에 상토를 덮어 딸기 자묘를 재배하여 딸기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평면상의 베드 위에 평면상의 베드 보다 약 30~45cm 위에 사각 형상의 상부프레임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부지지부재로 지지하여 복층의 베드를 형성시키는 복층의 베드를 구성하여 딸기 생산량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에 개별육묘포트가 삽입배치되어 딸기 자묘를 육묘한 다음 제자리에 정식하여 딸기를 생산하게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외면에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고리홀이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3~8mm 크기의 수분구멍; 및 상기 몸체 하부 아래쪽 정점 부위에 형성되는 2~5개의 뿌리구멍으로 형성된 개별육묘포트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제자리육묘 및 정식은 고설재배장치의 베드에 형성된 배지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이요하여 근권을 제한함으로써 정식시 자묘의 꽃눈분화를 촉진하여 딸기가 11월 초에 개화하여 겨울철에 열매를 맺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제자리육묘 정식방법은 일정 높이에 베드를 형성하고 상기 베드의 배지에서 딸기 자묘의 육묘와 딸기 재배를 연속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육묘장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자묘를 운반하는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딸기 자묘의 제자리육묘 정식방법에서 고설재배장치를 복층으로 베드를 형성함으로써 시설의 농지 이용율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으며, 생산량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는 원뿔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개별육묘포트 내부에 직근을 발생시키고 잔뿌리는 포트 외부로 발생시켜 잔뿌리를 제거한 후 개별육묘포트가 있던 제자리에 정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정식하게 되면 꽃눈분화가 별도의 처리 없이 가능하게 되어 쉽게 열매를 맺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두상관수, 저면관수 등 육묘장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수방법을 동원하여야 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육묘장에서 바로 정식하여 딸기 자묘를 재배하기 때문에 관수방법(점적관수)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관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으며, 노력을 종래보다 크게 감축시킬 수 있다.
또한 육묘장 관리가 용이하고 육묘했던 자리에 바로 정식을 하기 때문에 균일한 딸기 자묘를 생산할 수 있으며, 정식 후 모든 조건이 평소 생육 환경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정식스트레스를 덜 받으며, 병해의 외부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병해충 발생이 거의 없다.
도 1은 종래의 딸기 재배에 사용되는 육묘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가 치상되는 고설재배장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에 육묘된 자묘의 생육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설재배장치의 베드에 배치된 상태도
본 발명은 딸기 고설재배에서 자묘의 육묘와 딸기 재배를 제자리에서 동시에 가능하게 한 것으로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제자리 육묘방법은 개별여 제자리에서 육묘와 딸기 재배를 계속하는 것을 '현식이 딸기 육묘방법'으로 명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하여 딸기 자묘를 육묘한 다음 정식시 2차근 및 3차근의 잔뿌리를 제거하여 근권을 제한함으로써 꽃눈의 분화를 촉진하여 균일한 딸기를 동절기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은 딸기를 재배할 때 별도의 육묘장을 설치하지 않고, 딸기를 재배한 후 어미묘를 남겨두고 상기 어미묘로부터 다음해 재배할 딸기 자묘를 제자리에서 육묘하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어미묘로부터 발생된 딸기 자묘의 생장점을 개별육묘포트에 유도하여 착근시키고 육묘한 다음 그 자리에서 자묘를 정식함으로써 딸기의 꽃눈분화를 유도한다. 이와 같은 딸기 육묘방법을 '현식이 딸기 육묘방법'이라 한다.
상기 현식이 딸기 육묘방법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의 몸체는 상부 개구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부 몸체가 옆으로 비스듬하게 30~65각도의 경사를 갖는 원뿔형상 또는 다각형의 컵 모양으로 만들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한다.
상기 현식이 딸기 육묘방법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원뿔형상의 개별육묘포트에 대하여 설명하며, 상기 설명은 원뿔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형태의 컵모양 등 딸기묘를 정식할 수 있는 형태이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뾰족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별육묘포트는 딸기 자묘를 정식할 때 베드에 30~65각도로 비스듬하게 삽입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제자리 육묘 및 정식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인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의 일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딸기 개별육묘포트가 치상되는 고설재배장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개별육묘포트(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원뿔형상의 몸체(9)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9)는 높이 8~10cm, 직경 4~6cm의 원뿔형상이다. 상기 몸체(9)의 외면에 위아래 방향으로 길게 3~5개의 리브(2)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2)는 몸체(9)의 변형을 방지하여 몸체를 튼튼하게 지탱하여 준다.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인 몸체(9)의 상단 일측에는 고리홀(8)이 형성된 돌출부(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리홀(8)은 개별육묘포트에 어미묘로부터 발생된 자묘를 정식할 때 개별육묘포트를 갈고리 등의 기구로 쉽게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몸체(9) 상부 일측에 3~8mm 정도의 수분구멍(5)이 1~3개 형성된다. 상기 수분구멍은 베드의 상토와 개별육묘포트에 채워진 상토가 서로 수분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분의 이동통로가 되며, 공기 통로의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수분구멍(5)은 개별육묘포트에서 딸기의 자묘가 자랄 때 베드에 수분이 공급되면 포트 내부와 수분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개별육묘포트에 직접 관수하지 않더라도 딸기의 자묘에 수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9) 하부 아래쪽 정점 주위에는 뿌리구멍(3)이 2~5개 형성되며, 상기 뿌리구멍(3)을 통하여 개별육묘포트의 몸체(9) 밖으로 딸기 자묘의 잔뿌리가 무수히 자라게 된다. 상기 뿌리구멍(3)은 바람직하게는 3개 형성되며, 3개 중 한 개의 뿌리구멍(3)이 몸체(9) 내부 바닥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 몸체 내부 바닥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딸기의 런너가 심겨져 정식 전까지 생육하고, 개별육묘포트에서 45일 내지 90일까지 런너를 생육시키게 되면 개별육묘포트 내부에서는 딸기 자묘의 직근이 다수개 자라게 된다. 상기 뿌리구멍(3) 외부로는 개별육묘포트 내부의 직근으로부터 자란 잔뿌리가 무수히 자라게 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에 심겨진 런너를 45일 내지 90일 생육시킨 다음 딸기 자묘를 뽑아서 개별육묘포트가 있던 자리에 자묘를 정식한다. 이 때 개별육묘포트 외부로 무수하게 자란 잔뿌리가 잘리면서 딸기 자묘는 생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잔뿌리가 잘려나가는 단근처리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해 딸기 자묘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되어 꽃눈이 분화되어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을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근처리에 의해 꽃눈을 분화시키는 것은 상기 원뿔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컵모양 포트(개별육묘포트)에 형성된 뿌리구멍으로부터 무수히 많은 잔뿌리가 외부로 자라게 되며, 자묘를 정식할 때 이들 잔뿌리를 일시에 잘라내고 정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잔뿌리가 모두 잘려나가게 되면 딸기 자묘는 일시에 생육에 곤란을 겪지만 직근에서 잔뿌리가 다시 생기면서 생장을 계속하며, 이때 스트레스와 생장환경의 변화로 자묘의 꽃눈이 분화되어 꽃이 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꽃눈이 분화된 후 45~50일 후에는 딸기 열매를 수확할 수 있으며, 이는 딸기 자묘를 개별육묘포트에서 뽑아서 정식한 후 50~60일 정도 되었을 때이다.
상기 딸기 자묘가 자라는 개별육묘포트는 딸기 고설재배로 딸기를 수확한 후 남겨진 일련의 어미묘와 평행하게 고설재배 베드에 심겨지게 된다.
본 발명의 딸기 제자리육묘 고설재배방법의 재배장치는 지면으로부터 80~130cm 높이로 베드가 이격되도록 양쪽 길이방향으로 측면지지부재(30)가 세로프레임(40)을 지지하고, 상기 세로프레임(40)의 양쪽 끝단은 가로프레임(42)으로 연결하여 평면상의 장방형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프레임(42)의 중간에는 중간지지부재(31)가 상기 가로프레임(42)을 지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양측의 측면지지부재(30) 사이에 형성된 중간지지부재(31) 사이의 중간부를 연결고정하기 위하여 가로지지바(32)를 중간 높이에서 고정시키고, 상기 가로프레임(42)의 중간부와 타단의 가로프레임(42)의 중간부 사이에 중간프레임(41)이 설치되어 있어 세로프레임(40)과 가로프레임(42)의 장방형의 사각형상을 길이방향으로 양분하여 A베드와 B베드로 나누어 평면상의 베드가 형성된다.
상기 두 베드의 구역에 각각 두겹의 질긴 비닐 또는 필름 등의 지지재료로 움푹하게 깔면 지지재료의 중간부는 중간프레임(41)에 걸려 높이 솟아 올라 양쪽 구역이 움푹 파이게 되며, 상기 비닐 또는 필름 등의 지지재료는 움직이지 않도록 세로프레임(40), 중간프레임(41) 및 가로프레임(42)에 고정구(51)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A베드와 B베드의 움푹 들어간 곳에 상토를 덮어 딸기 자묘를 재배하여 딸기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A베드 및 B베드에 상토를 채우고 상기 베드에 각각 개별육묘포트를 일정한 간격으로 베드의 배지에 삽입하여 딸기묘가 자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A베드에는 11 및 13, 15, 17번 개별육묘포트가 삽입되고, 상기 B베드에는 12, 14, 16, 18번 줄의 개별육묘포트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A베드 및 B베드에는 관수를 위한 점적호스(80) 3~5개가 개별육묘포트의 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점적호스(80)에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코크(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드(A 및 B)가 밑으로 쳐지지 않도록 하중지지바(70)가 베드를 받쳐준다. 또한 양측의 측면지지부재(30)는 지면에서 측면지지부재(30)를 세로로 연결바(43)로 연결하여 고설재배장치를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하여 준다.
본 발명의 딸기 재배는 상기 베드에 개별육묘포트가 삽입배치되어 딸기 자묘를 육묘한 다음 제자리에 정식하여 딸기를 생산하게 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외면에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고리홀이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몸체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3~8mm 크기의 수분구멍; 및 상기 몸체 하부 아래쪽 정점 부위에 형성되는 2~5개의 뿌리구멍으로 형성된 개별육묘포트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육묘방법은 딸기생산을 위한 자묘를 생산하기 위하여 당해년도 수확이 끝난 딸기 어미묘를 고설재배장치의 베드(재배지)에 그대로 남기되, 고설재배 베드에서 가운데 두 줄의 어미묘를 남겨둔다. 이 때 어미묘로부터 런너가 발생될 수 있도록 생장점이 상하지 않도록 딸기 어미묘의 잎을 제거한 다음 어미묘로부터 발생되는 런너를 심을 수 있도록 어미묘 양쪽으로 평행하게 각각 3~5줄의 개별육묘포트를 삽입 배치한다.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두 줄의 어미묘가 심겨진 배지 양쪽으로 각각 배치하되, 각 어미묘의 바깥쪽으로 세줄 씩 배치(13, 15, 17 또는 14, 16, 18)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많은 개별육묘포트를 배치하게 되면 고설재배 베드의 넓이가 커져서 작업이 어렵고, 그보다 적게 설치하면 딸기 생산효율이 저하된다. 그렇게 되면 두 줄 어미묘 양쪽으로는 총 6줄의 개별육묘포트가 배치된다.
상기 고설재배 베드의 배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 배치된 개별육묘포트에 상토를 채워 넣는다. 그런 다음 상기 두 줄 어미묘에서 발생된 1차 런너를 각 어미묘 바깥쪽의 3줄의 좌우 1차개별육묘포트(13, 15, 17 및 14, 16, 18)에 각각 심어준다. 그렇게 되면 두 줄 어미묘의 양쪽에 배치된 6 줄의 좌우 1차개별육묘포트(13, 15, 17 및 14, 16, 18)에 어미묘에서 발생된 1차 런너가 심겨지게 된다.
상기 1차 런너의 뿌리가 활착하는 대로 런너의 생장줄기를 자르고 두 줄 어미묘를 베드의 배지에서 제거한 다음 두 줄 어미묘가 있던 자리에 동일하게 두 줄의 2차개별육묘포트(11, 12)를 삽입 배치한다.
상기 1차 런너가 심겨진 6줄의 좌우 1차개별육묘포트(13, 15, 17 및 14, 16, 18) 중에 13번 및 14번 개별육묘포트로부터 각각 2차 런너가 발생되며, 상기 2차 런너는 어미묘를 제거하고 배치된 2차개별육묘포트(11, 12)에 심겨지게된다. 이 때 1차개별육묘포트 13에서 뻗어 나온 2차 런너는 2차개별육묘포트 11에, 1차개별육묘포트 14에서 뻗어나온 2차 런너는 2차개별육묘포트 12에 심겨지게 된다. 상기 2차 런너는 1차 런너를 1차개별육묘포트에 심겨진 다음 대략 12~18일 사이에 정식하게 되며, 1차 런너 및 2차 런너가 심겨지는 시기는 대략 6월 중순 이후이며, 상기 1차 런너 및 2차 런너로부터 발생된 자묘는 45~90일 사이에 1차 및 2차 개별육묘포트에서 뽑혀 각각 개별육묘포트에 있던 자리에 정식된다.
상기와 같이 정식된 딸기 자묘는 15일 전후 시기에 꽃눈 분화가 완성되고, 꽃눈 분화 후 45~60일 후에 딸기를 수확하게 된다. 시기적으로 딸기의 자묘가 처음 꽃눈 분화하는 시기는 9월 중순 전후이며, 딸기를 처음 수확하는 시기는 11월 초순이다.
그 이후에는 딸기의 자묘에서 계속 꽃눈이 분화하고 꽃망울이 형성되어 딸기를 맺게되며, 5월 중순까지 딸기를 수확하게 된다.
5월 중순이 지나면 다음해 딸기 생산을 위하여 자묘 생산을 위한 어미묘만 남겨두고 고설재배 베드의 가운데 심겨진 두줄의 어미묘만 남기고 나머지는 뽑아서 제거한다.
도면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에 육묘된 자묘의 생육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개별육묘포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설재배장치의 베드에 배치된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딸기 고설재배 베드의 배지에서 딸기 자묘의 육묘와 딸기재배를 계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육묘장을 별도로 운영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육묘 및 정식을 위하여 딸기 묘을 이동 운반하는 수고를 덜 수 있어 노동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딸기 묘를 옮기지 않기 때문에 병 해충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고설재배시설 및 관수시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비용 및 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2: 리브 3: 뿌리구멍 5: 수분구멍
7: 돌출부 8: 고리홀 9: 몸체 10: 개별육묘포트
11, 12: 2차 개별육묘포트
13, 15, 17: 좌측 1차 개별육묘포트
14, 16, 18: 우측 1차 개별육묘포트
30: 측면지지부재 31: 중간지지부재 32: 가로지지바
40: 세로프레임 41: 중간프레임 42: 가로프레임
43: 연결바 51: 고정구 70: 하중지지바
80: 점적호스 90: 코크

Claims (5)

  1.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에 있어서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인 높이 8~10cm, 직경 4~6cm의 몸체(9): 및
    상기 몸체는 상부 개구부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부 몸체가 옆으로 비스듬하게 30~65도의 각도로 경사를 가지며,
    상기 몸체에 외면에 위아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3~5개의 리브(2): 및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에 고리홀(8)이 형성된 돌출부(8); 및
    상기 몸체 상부 일측에 수분의 이동통로가 되는 구멍의 지름이 3~8mm인 1~3개의 수분구멍(5); 및
    상기 몸체 하부 아래쪽 정점 부위에 형성되는 2~5개의 뿌리구멍(3); 및
    상기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뿌리구멍 중 하나가 몸체 내부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몸체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육묘포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육묘포트는 딸기 고설재배 베드에 삽입 배치되어 딸기 자묘를 정식하기 전까지 생육시킨 다음 정식할 때 상기 개별육묘포트로부터 딸기 자묘를 뽑아서 상기 개별육묘포트가 있던 자리에 제자리 정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육묘포트.







KR1020150090841A 2015-06-26 2015-06-26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KR10164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41A KR101645455B1 (ko) 2015-06-26 2015-06-26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41A KR101645455B1 (ko) 2015-06-26 2015-06-26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551A Division KR101823253B1 (ko) 2016-07-29 2016-07-29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455B1 true KR101645455B1 (ko) 2016-08-04

Family

ID=5670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841A KR101645455B1 (ko) 2015-06-26 2015-06-26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4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951A (ko) * 2016-10-19 2018-04-27 장현식 딸기 육묘포트 및 딸기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KR101866682B1 (ko) 2017-01-31 2018-06-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종이포트가 삽입된 딸기 프러그육묘용 기능성육묘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딸기묘의 화아분화 촉진방법
KR101899724B1 (ko) * 2017-05-15 2018-09-17 김현정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102025352B1 (ko) 2018-07-17 2019-09-25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20200008927A (ko) 2018-07-17 2020-01-29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095127B1 (ko) 2018-09-21 2020-03-3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재배효율을 증진시킨 고설재배용 딸기 육묘 연결포트
KR20210001173U (ko) 2019-11-20 2021-05-28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용 육묘포트 안착장치의 받침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362Y1 (ko) 2000-12-05 2001-05-15 임종배 딸기육묘용 포트상자
JP2003070364A (ja) * 2001-09-05 2003-03-11 Hideo Yamamoto 育苗用ポ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24896B1 (ko) * 2013-07-12 2013-11-04 장현식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제자리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362Y1 (ko) 2000-12-05 2001-05-15 임종배 딸기육묘용 포트상자
JP2003070364A (ja) * 2001-09-05 2003-03-11 Hideo Yamamoto 育苗用ポ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24896B1 (ko) * 2013-07-12 2013-11-04 장현식 개별 육묘포트를 사용하는 제자리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agrinews.co.jp/user.php
고설딸기 노동력 절감 무육묘 재배법(일본, 2013.)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951A (ko) * 2016-10-19 2018-04-27 장현식 딸기 육묘포트 및 딸기 육묘 및 아주심기 방법
KR101866682B1 (ko) 2017-01-31 2018-06-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종이포트가 삽입된 딸기 프러그육묘용 기능성육묘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딸기묘의 화아분화 촉진방법
KR101899724B1 (ko) * 2017-05-15 2018-09-17 김현정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102025352B1 (ko) 2018-07-17 2019-09-25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20200008927A (ko) 2018-07-17 2020-01-29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2095127B1 (ko) 2018-09-21 2020-03-3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재배효율을 증진시킨 고설재배용 딸기 육묘 연결포트
KR20210001173U (ko) 2019-11-20 2021-05-28 박노길 고설재배장치용 육묘포트 안착장치의 받침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55B1 (ko) 딸기 제자리육묘를 위한 개별육묘포트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제자리정식 고설재배방법
KR101645458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CN105028110B (zh) 一种大樱桃控根矮化高密植栽培方法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101823253B1 (ko) 개별육묘포트를 이용한 딸기 고설재배장치
KR101299354B1 (ko)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CN107155640A (zh) 一种使羊肚菌在年前出菇的种植方法
Hernández et al. Cultivation systems
CN205623567U (zh) 植物丛生固定支架
KR101866682B1 (ko) 종이포트가 삽입된 딸기 프러그육묘용 기능성육묘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딸기묘의 화아분화 촉진방법
WO2019184196A1 (zh) 一种樱花嫁接苗的培育方法
CN102960138A (zh) 一种水芹的栽培方法
CN101167422B (zh) 一种茄子阶梯形循环整枝方法
CN105766619B (zh) 一种黄花菜种子的培育方法
CN106416798B (zh) 利用草莓繁殖容器的草莓繁殖方法
CN102986431A (zh) 一种异形西瓜大棚盆钵无土栽培方法
CN108207513B (zh) 一种可移动火龙果种质保存栽培箱及保存方法
CN104429785A (zh) 一种优质高效的黄花风铃木育苗方法
JP2006296202A (ja) イチゴの周年栽培方法
KR20120109044A (ko) 토마토 재배장치 및 그 방법
CN108552051A (zh) 一种网室黄瓜杂交制种的方法
CN102301881A (zh) 一种牵牛的制种栽培方法
KR102076710B1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CN106212190A (zh) 油茶树高光效省时省工树形整形修剪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