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377B1 - 다단식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다단식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377B1
KR102316377B1 KR1020190066966A KR20190066966A KR102316377B1 KR 102316377 B1 KR102316377 B1 KR 102316377B1 KR 1020190066966 A KR1020190066966 A KR 1020190066966A KR 20190066966 A KR20190066966 A KR 20190066966A KR 102316377 B1 KR102316377 B1 KR 102316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rame
support
cultivation apparatu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131A (ko
Inventor
김영식
신양재
장현덕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김영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190066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3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tongues, pins or similar projecting means coacting with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트마다 식재된 작물의 발근과 활착을 균일하게 하고 우수한 품질의 육묘와 재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길이를 가지며 상부 및 양단부가 개방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채워지는 공급액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측면커버;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향해 삽입하여 배치되며, 작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개별포트가 구비되는 육묘포트; 및 상기 육묘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작물과 연결되는 줄기를 유인 및 고정시키기 위한 줄기가이드;를 포함하는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의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다단식 재배장치{MULTISTAGE PLANTS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다단식 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포트마다 식재된 작물의 발근과 활착을 균일하게 하고 우량한 작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육묘와 재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다단식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모종의 번식 방법은 씨앗을 통안 발아가 아닌 줄기가 뻗어나가면서 지면과 접촉한 줄기가 발근 및 활착되는 형식으로 재배되는 줄기를 통한 영양생식 형태로 번식하며, 재배농가에서는 이를 런너(Runner) 번식이라고 한다.
이처럼 런너를 통해 영양번식을 하는 작물은 본포 관리뿐만 아니라 육묘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되며, 아주심기(정식) 후에는 해당 묘의 소질이 수량이나 품질 등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결국 단시간에 최대한 많은 런너를 발생시켜 원하는 시기에 고르고 좋은 묘를 많이 확보해야 한다.
한편 여전히 농가에서는 노지에서 딸기 육묘를 많이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촉성재배를 위한 묘의 조기 생산이나 탄저병의 예방 등을 목적으로 비가림 하우스를 이용한 포트 육묘 방식이 크게 증가 하고 있고, 나아가 작업 자세의 개선과 육묘 작업의 생력화를 위해 고설 베드형 포트 육묘 방식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포트 육묘 방식은 화분 또는 스티로폼 베드나 토양에 직접 모주를 정식하고 런너 발생을 촉진하여 묘를 유인하고 개별 또는 연결포트에 상토를 넣고 뿌리 발근을 유도하여 받는 방법으로, 묘의 발근시기를 일치시킬 수 있어 묘의 균일도가 높고, 뿌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정식 후 활착과 질소 수준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꽃눈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연내 대량 수확이 가능하다.
이처럼 포트 육묘 방식은 꽃눈분화 촉진, 수확량 증대, 병해경감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보다 균일하고 우량한 묘를 대량으로 육묘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작업성도 높일 수 있는 포트 육묘 재배장치의 개선이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4108호(2017.09.04.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분 및 양액의 관리가 용이하고, 발근 및 활착되는 줄기를 안정적으로 유인하며, 균일하고 우량한 작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이와 함께 작업성과 공간 활용성도 우수한 다단식 작물 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재배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유닛; 상기 수평프레임에 안착되는 모판; 상기 경사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유닛; 및 상기 지지대유닛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길이를 가지며, 상부 및 양단부가 개방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채워지는 공급액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측면커버와,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향해 삽입하여 배치되며, 작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개별포트가 구비되는 육묘포트와, 상기 육묘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작물과 연결되는 줄기를 유인 및 고정시키기 위한 줄기가이드를 구비하는 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유닛은, 상기 포트 어셈블리의 단부를 수평하게 지지하며, 상기 측면커버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급액을 내부로 수용하여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로 배출시키는 지지대 배수블록과, 상기 지지대 배수블록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경사프레임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줄기가이드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판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줄기가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줄기가 인입되는 상기 육묘포트의 폭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육묘포트는, 상기 트레이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는 포트베이스;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점적호스가 설치되는 메인수로;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수로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수로; 및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분기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수로에서 공급되는 공급액을 식재된 작물에 공급하는 복수의 개별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메인수로는, 상기 메인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점적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액이 상기 개별포트 측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메인수로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수로에 설치된 점적호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이 체결되는 클립장착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육묘포트에 밀착되는 포트고정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육묘포트의 상측으로 점적호스를 인입하기 위하여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 안내홈부; 및 상기 점적호스를 기준으로 상기 육묘포트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보조 점적호스를 추가로 인입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안내홈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 안내홈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점적호스가 설치되는 점적호스 지지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수평프레임 및 상기 제2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확장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지면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높이조절형 결합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형 결합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고정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 고정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일부분이 삽입되며,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결합부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변형홈부가 구비되는 결합부 바디; 상기 변형홈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제1 체결편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변형홈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편; 및 상기 제1 체결편과 상기 제2 체결편이 서로 근접되도록 연결함에 따라 상기 변형홈부가 상기 경사프레임을 압박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유닛은, 상기 경사프레임과 상기 지지대 배수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이 함몰 형성되어 하방이 개방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줄기가이드는, 상기 모판에 식재된 작물로부터 연결되는 줄기를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육묘포트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단식 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판에는 딸기 모종이 심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육묘포트에는 상기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가 재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재배장치는, 최상단의 모판 및 다단 구조로 배치되는 포트 어셈블리를 통하여, 재배면적당 모주 및 육묘의 수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는, 포트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프레임유닛, 모판, 지지대유닛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것에 따르면, 재배 공간 또는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높이와 길이 방향으로 확장 혹은 선택적인 조립이 가능함으로서, 공간 활용성과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는, 줄기가이드를 통하여 개별포트 측으로 이어지는 줄기를 임의의 위치나 방향으로 바르게 유인 및 고정할 수 있음으로서, 이웃하는 줄기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엉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줄기의 발근 및 활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병해의 감염도 예방할 수 있어, 균일하고 우량한 모주 및 육묘의 수확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를 이용한 다단식 재배장치는 칸막이지지부를 통하여 메인수로의 구획된 공간마다 균일한 량의 수분과 양액을 수용할 수 있음으로서, 각 개별포트 측으로 수분과 양액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단식 재배장치의 측면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육묘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줄기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 지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다단식 재배장치의 측면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재배장치는, 프레임유닛(100), 모판(200), 지지대유닛(300), 포트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유닛(100)은 일련의 재배장치를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120), 수직프레임(110), 경사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0), 수직프레임(110), 경사프레임(130)은 파이프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수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의 상부에는 모판(200)이 안착될 수 있다.
수평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전개식으로 확장하여 추가 조립될 수 있다.
즉, 수평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이 연장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을 연결하는 확장형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형 결합부는 예를 들면, 제1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는 결합돌출부 및 제2 수평프레임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출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프레임(120)은 결합돌출부와 결합홈부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면서 필요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확장 설치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10)은 지면으로부터 수평프레임(12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할 수 있으며, 각 수평프레임(120)의 양단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20)은 높이조절형 결합부(15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형 결합부(150)는 예를 들면, 수평프레임(12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고정부(151)와, 수평프레임 고정부(151)의 하단에 결합되며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일부분이 삽입되고, 삽입 정도에 따라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된 관통공(110a)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복수의 체결공(152a)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고정부(152), 및 수직프레임(110)의 관통공(110a)과 수직프레임 고정부(152)의 체결공(15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형 결합부(150)를 통하여 설치장소, 작물의 종류, 작업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수평프레임(120)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유닛(100)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수직프레임(1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유닛(100)에는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수직프레임(1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140) 및 제2 연결프레임(160)을 통하여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20)은 위치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130)은 수평프레임(120)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수평프레임(120)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1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경사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경사프레임(130)의 상단부는 수직프레임(110) 또는 제1 연결프레임(1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경사프레임(130)은 수평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수평프레임(120)의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사프레임(130)은 수평프레임(120)의 확장에 따른 추가 수평프레임(120)의 설치와 상응하여 추가 설치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130)에는 포트 어셈블리(300) 및 지지대유닛(400)이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유닛(100)의 하단부에는 이동바퀴(1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동바퀴(170)는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는 프레임유닛(100)의 하단부마다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혹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00)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설치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바퀴(170)를 통하여 설치 중이거나 작물 재배과정에서 작업자가 다단 재배장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재배장치의 관리가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판(200)은 수평프레임(1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모판(200)은 작물(모종)이 심기 위해 상토가 채워지는 공간(212)을 제공하며 저면에는 배수공(216)이 구비되는 모판바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판바디(210)의 배수공(216)이 형성되는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폭 방향에 대해 중앙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사용된 공급액이 배수공(216)을 통하여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모판바디(21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는 걸게(214)가 구비될 수 있다.
걸게(214)를 통하여 모판(200)은 한 쌍의 수평프레임(120)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모판(200)은 수평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모판(200)이 설치될 수 있다.
딸기 재배 시 모판(200)에는 딸기 모종(1:도 2)이 심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트 어셈블리(300)는 경사프레임(130) 상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포트 어셈블리(300)가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포트 어셈블리(300)는 트레이(310), 측면커버(330), 육묘포트(350), 줄기가이드(37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310)는 길이를 가지며, 상부 및 양단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310)는 길이를 가지는 채널(channel)일 수 있다.
트레이(310)의 상단부 외측에는 걸림턱(311)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311)은 트레이(310)의 상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는 것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31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턱(311)은 압출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트레이(310)는 후술되는 육모포트(350)가 안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강도 유지 및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310)의 바닥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구배가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가며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닥면에 경사구배를 형성함으로써 트레이(310)에 채워지는 공급액은 정체 없이 양측 영역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측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측면커버(330)는 트레이(3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트레이(310)의 개방된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커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커버(330)의 하부 영역에는 트레이(310)의 내부와 연통되어 트레이(310)에 채워진 공급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333)이 구비될 수 있다.
측면커버(330)의 일면 가장자리에는 트레이(31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측면커버(330)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 없이 결합홈부(332)에 트레이(310)의 단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트레이(3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측면커버(330)의 일면 상부 영역에는 트레이(3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포트고정블록(335)이 구비될 수 있다. 포트고정블록(335)은 육묘포트(350)와 밀착될 수 있다.
측면커버(330)는 트레이(310)의 양단부에 결합홈부(332)를 끼워서 결합됨과 동시에 포트고정블록(335)은 트레이(310)에 삽입 배치된 육묘포트(350)의 측면에 밀착됨으로서 육묘포트(350)는 트레이(31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측면커버(330)의 반대면 즉, 외측면에는 배출공(333)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이 함몰 형성되어 하측으로 개방되는 함몰부(337)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포트 어셈블리(300)가 구성될 경우, 서로 대향하는 측면커버(330)는 서로 밀착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공(333)을 통하여 공급액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결국 하측이 개방된 함몰부(337) 상에 배출공(333)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포트 어셈블리(300)가 구성되더라도 이웃하는 각 측면커버(330)의 배출공(333)이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공(333)을 통하여 공급액의 원활한 배수가 가능하다.
도 7은 도 5의 육묘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육묘포트(350)는 트레이(310)의 상부를 향해 삽입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작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개별포트(35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육묘포트(350)는 트레이(310)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는 포트베이스(351)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베이스(351)의 상면에는 점적호스(10)가 설치되는 메인수로(3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수로(353)는 포트베이스(351)의 폭 방향을 따라 중심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포트베이스(351)의 상면에는 메인수로(353)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수로(354)가 형성될 수 있다. 분기수로(354)는 메인수로(353)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액을 개별포트(352)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분기수로(354)는 공급액이 메인수로(353)에서 개별포트(352) 측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트베이스(351)의 상면에는 작물이 식재되도록 복수의 개별포트(35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개별포트(352)의 저면에는 배수구멍(352a)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분기수로(354)로부터 개별포트(352)로 유입되는 공급액은 작물에 공급되고 나머지 공급액은 배수구멍(352a)을 통하여 트레이(310)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개별포트(352)의 내주면에는 돌기(352b)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352b)는 개별포트(352)에 식재된 작물을 분리해낼 때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포트(352)는 포트베이스(351)의 폭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수로(353)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개별포트가 구비될 수 있고, 타측에는 제2 개별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개별포트 및 제2 개별포트는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별포트 및 제2 개별포트를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이웃하는 개별포트(352)에 식재된 작물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많은 면적대비 많은 수량의 개별포트(352)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별포트 및 제2 개별포트는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서, 후술되는 줄기가이드(370)를 통하여 안내되는 줄기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서 각 개별포트(352)의 상면을 경유할 수 있다.
딸기 재배 시 개별포트(352)에는 딸기 육묘(3:도 2)가 심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포트베이스(351)의 상면에는 클립장착공(355)이 구비될 수 있다. 클립장착공(355)은 메인수로(353)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클립장착공(355)에는 도시되지 않은 클립이 장착될 수 있으며, 클립을 통하여 메인수로(353)에 설치된 점적호스(10)가 메인수로(353)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메인수로(353)에는 칸막이지지부(353a)를 포함할 수 있다.
칸막이지지부(353a)는 메인수로(3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인수로(3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메인수로(353)의 내부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칸막이지지부(353a)는 포트베이스(351)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칸막이지지부(353a)는 개별포트(352)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메인수로(3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칸막이지지부(353a)의 상부면은 점적호스(1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점적호스(10)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액이 메인수로(353)에 채워지는 과정에서 칸막이지지부(353a)를 통해 구획된 공간마다 균일한 량의 공급액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 개별포트(352) 측으로 공급액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줄기가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줄기가이드(370)는 육묘포트(35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트레이(310)와 결합될 수 있다.
줄기가이드(370)는 개별포트(352)에 식재된 작물과 연결되는 줄기(2)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인하거나 고정함으로서, 줄기(2)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엉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줄기가이드(370)는 가이드판(371), 가이드고정부(373), 가이드돌출부(37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371)은 육묘포트(350)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고정부(373)는 가이드판(371)과 결합되며 트레이(3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고정부(373)는 트레이(31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데, 가이드판(371)과 결합되는 경사블록(3731), 경사블록(3731)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고정편(3732), 트레이(310)의 상단부를 수용하도록 제1 고정편(3732)으로부터 이격되게 경사블록(3731)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끝단에는 트레이(310) 상단부의 걸림턱(311)과 결합되는 걸림돌기(3733a)가 구비되는 제2 고정편(37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고정부(373)를 통하여 줄기가이드(370)는 트레이(310)에 대한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가이드돌출부(375)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가이드판(371)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국 복수의 가이드돌출부(375) 사이 공간을 통과하게 되는 줄기(2:도 2)는 가이드돌출부(375)의 측면부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결국 육묘포트(350)로 인입되는 줄기는 복수의 가이드돌출부(375)를 돌아나가면서 가이드돌출부(375)의 측면부와 밀착됨으로서 위치 고정될 수 있고, 작업자는 개별포트(352)마다 식재되는 작물과 연결되는 줄기를 자유롭게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육묘포트(350)로 인입되는 각 줄기(2)들이 해당 개별포트(352)를 정확히 가로지를 수 있도록 위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줄기(2)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엉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줄기(2)들이 개별포트(352) 상면에 정확히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줄기(2)의 발근 및 활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돌출부(375)의 끝단에는 도시된 바와 달리, 절곡부 혹은 후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돌출부(375)의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줄기가 절곡부 혹은 후크부에 걸림 지지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이드판(371)과 가이드고정부(373) 사이에는 회전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작물의 종류나 인입되는 줄기의 방향에 따라 회전결합부를 매개로 가이드판(371)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회전결합부는 경첩과 같이 힌지를 조합한 일반적인 힌지결합부가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힌지결합부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줄기가이드(370)는 트레이(31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육묘포트(350)에 식재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또는 제거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점적호스 지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300)는 점적호스 지지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육묘포트(350)의 메인수로(353)에 설치되는 점적호스(10) 외에 보조 점적호스의 추가 설치가 요구될 경우, 점적호스 지지구(390)를 트레이(31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보조 점적호스의 위치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점적호스 지지구(390)는 호스설치부(391) 및 고정지지부(392)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설치부(391)는 보조 점적호스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개구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고정지지부(392)는 트레이(310)의 상단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지지부(392)는 도 8에 도시된 줄기가이드(370)의 가이드고정부(373)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점적호스 지지구(390)를 통하여 보조 점적호스가 추가 설치되더라도 보조 점적호스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동시에 개별포트(352)에 식재된 작물과 보조 점적호스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대유닛(400)은 경사프레임(130)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포트 어셈블리(300)의 설치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지지대유닛(400)은 포트 어셈블리(300)의 양단부를 지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대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유닛(400)은 지지대 배수블록(410) 및 지지대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 배수블록(410)은 포트 어셈블리(300)를 수평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포트 어셈블리(3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급액을 수용 및 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 배수블록(410)은 공급액 수용부(411)를 형성하도록 박스 구조를 이루며, 상부면에는 포트 어셈블리(300)의 단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수용부(411)의 바닥면에는 수용부(411)에 채워지는 공급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413)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번호 413a는 배수홀(413)을 통해 공급액의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유입홀(413a)이다.
만약 복수의 포트 어셈블리(300)가 구성될 경우, 지지대 배수블록(410)은 이웃하는 양측 포트 어셈블리(300)의 각 단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대 결합부(420)를 기준으로 수평지지부(412)의 일부는 한 쪽 포트 어셈블리(30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고, 수평지지부(412)의 나머지 일부는 다른 쪽 포트 어셈블리(30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 결합부(420)는 경사프레임(130)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포트 어셈블리(300)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경사프레임(130) 상에서 포트 어셈블리(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대 결합부(420)는 결합부바디(421), 제1 체결편(423), 제2 체결편(424),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바디(421)는 지지대 배수블록(410)과 결합되며, 경사프레임(130)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변형홈부(421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체결편(423)은 변형홈부(421a)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체결공(42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편(424)은 제1 체결편(423)으로부터 이격되게 변형홈부(421a)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체결공(423a)과 상응하는 제2 체결공(424a)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는 대향하는 제1 체결편(423)의 제1 체결공(423a)과 제2 체결편(424)의 제2 체결공(424a)을 관통하여 제1 체결편(423)과 제2 체결편(424)이 근접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체결구를 통하여 제1 체결편(423)과 제2 체결편(424)이 근접되게 체결함에 따라 변형홈부(421)는 직경이 축소되며 경사프레임(130)을 압박하면서 경사프레임(13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표시번호 421b는 변형홈부(421a)의 하부 영역 내측에 형성되는 단턱으로, 도시되진 않은 미끄럼방지용 링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경사프레임(130) 상에 미끄럼방지용 링부재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경사프레임(130) 상에서 지지대유닛(400)이 슬립되면서 낙하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지대유닛(400)은 경사프레임(130)과 지지대 배수블록(410)을 연결하며 지지대 결합부(420)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는 예를 들면 일단이 지지대 배수블록(410)에 결합될 수 있고, 타단은 경사프레임(13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지지브래킷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경사프레임(130)과 결합되는 보강리브의 타단에는 도 9에 도시된 지지대 결합부(420)와 동일한 구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작물 재배장치는, 최상단의 모판(200) 및 다단 구조로 배치되는 포트 어셈블리(300)를 통하여, 재배면적당 모종(1) 및 육묘(3)의 수량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작물 재배장치는, 포트 어셈블리(300)뿐만 아니라, 프레임유닛(100), 모판(200), 지지대유닛(400)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인하여, 재배 공간 및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높이와 길이 방향으로 확장 혹은 선택적 조립이 가능하여, 공간 활용성과 우수한 작업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다단식 작물 재배장치는, 줄기가이드(370)를 통하여 개별포트(352) 측으로 이어지는 줄기를 임의의 위치나 방향으로 바르게 유인 및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웃하는 줄기(2)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엉키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줄기(2)의 발근 및 활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병해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설사 모주에 병해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모주의 병해가 다른 모주나 육묘로 쉽게 전이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균일하고 우량한 모주 및 육묘의 수확량이 증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프레임유닛
200: 모판
300: 포트 어셈블리
310: 트레이
330: 측면커버
350: 육묘포트
370: 줄기가이드
400: 지지대유닛

Claims (18)

  1. 지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경사프레임과, 길이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단부를 연결하는 확장형 결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유닛;
    상기 수평프레임에 안착되는 모판;
    상기 경사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유닛; 및
    상기 지지대유닛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길이를 가지며, 상부 및 양단부가 개방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채워지는 공급액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구비되는 측면커버와,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향해 삽입하여 배치되며, 작물이 식재되는 복수의 개별포트가 구비되는 육묘포트와, 상기 육묘포트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트레이와 결합되며, 상기 작물과 연결되는 줄기를 유인 및 고정시키기 위한 줄기가이드를 구비하는 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유닛은 상기 포트 어셈블리의 단부를 수평하게 지지하며, 상기 측면커버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급액을 내부로 수용하여 저면에 형성된 배수홀로 배출시키는 지지대 배수블록과, 상기 지지대 배수블록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경사프레임 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커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배출공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이 함몰 형성되어 하방이 개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포트 어셈블리를 밀착시키며 연속 배치하되, 이웃하는 상기 측면커버의 상기 배출공 및 상기 함몰부를 거쳐 상기 지지대 배수블록 측으로 공급액이 배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가이드는,
    가이드판;
    상기 가이드판과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고정부; 및
    상기 가이드판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줄기가 측면에 밀착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줄기가 인입되는 상기 육묘포트의 폭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포트는,
    상기 트레이의 개방된 상부에 배치되는 포트베이스;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점적호스가 설치되는 메인수로;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수로로부터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수로; 및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분기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수로에서 공급되는 공급액을 식재된 작물에 공급하는 복수의 개별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수로는,
    상기 메인수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점적호스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액이 상기 개별포트 측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메인수로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베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수로에 설치된 점적호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이 체결되는 클립장착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가 삽입하여 결합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트레이의 양단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육묘포트에 밀착되는 포트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육묘포트의 상측으로 점적호스를 인입하기 위하여 중앙 상부에 형성되는 메인 안내홈부; 및
    상기 점적호스를 기준으로 상기 육묘포트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보조 점적호스를 추가로 인입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안내홈부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점적호스가 설치되는 점적호스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수평프레임 및 제2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은,
    지면으로부터 상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높이조절형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형 결합부는,
    상기 수평프레임과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고정부; 및
    상기 수평프레임 고정부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일부분이 삽입되며, 삽입 정도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공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구비되는 수직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하단부에는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결합부는,
    상기 경사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변형홈부가 구비되는 결합부 바디;
    상기 변형홈부의 일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편;
    상기 제1 체결편으로부터 이격되게 상기 변형홈부의 타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편; 및
    상기 제1 체결편과 상기 제2 체결편이 서로 근접되도록 연결함에 따라 상기 변형홈부가 상기 경사프레임을 압박하도록 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유닛은,
    상기 경사프레임과 상기 지지대 배수블록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가이드는,
    상기 모판에 식재된 작물로부터 연결되는 줄기를 유인하기 위하여 상기 육묘포트의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판에는 딸기 모종이 심어지고,
    상기 육묘포트에는 상기 딸기 모종의 줄기를 받아 딸기 육묘가 재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재배장치.
  17. 삭제
  18. 삭제
KR1020190066966A 2019-06-05 2019-06-05 다단식 재배장치 KR102316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66A KR102316377B1 (ko) 2019-06-05 2019-06-05 다단식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66A KR102316377B1 (ko) 2019-06-05 2019-06-05 다단식 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31A KR20200140131A (ko) 2020-12-15
KR102316377B1 true KR102316377B1 (ko) 2021-10-22

Family

ID=7378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966A KR102316377B1 (ko) 2019-06-05 2019-06-05 다단식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3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367A (ko) 2022-03-04 2023-09-13 (주)코막스 회전형 수직 다단 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168B1 (en) * 2021-06-01 2022-01-11 Brian M. Dennin Seedling starter box device and method for transplanting seedling plants
KR102644288B1 (ko) * 2021-07-29 2024-03-06 록야 주식회사 담액경과 분무경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식물재배용 혼합베드
KR102497302B1 (ko) * 2021-11-08 2023-02-07 에스케이임업 주식회사 재활용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을 활용한 지능형 iot 벽면정원시스템
CN114793692A (zh) * 2022-06-12 2022-07-29 甘肃陇瑞源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黄芪种子优良培育的装置及方法
CN117461498B (zh) * 2023-12-12 2024-05-24 青岛农业大学 一种日光温室封闭式无花果栽培系统及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437B2 (ja) * 1992-08-17 2001-03-26 株式会社東芝 交直変換装置の制御装置
KR200246673Y1 (ko) 2001-06-16 2001-10-17 이충기 딸기런너용 트레이
JP3357249B2 (ja) * 1996-08-08 2002-12-16 株式会社誠和 植物の子株栽培装置
JP2005237308A (ja) * 2004-02-27 2005-09-08 Toho Kogyo Kk 植物栽培容器
KR200483146Y1 (ko) 2016-07-29 2017-04-07 장기영 다단 재배장치
KR101899724B1 (ko) * 2017-05-15 2018-09-17 김현정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JP2018174805A (ja) * 2017-04-13 2018-11-15 株式会社Fujiya 育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437U (ja) * 2009-02-13 2009-05-21 利郎 大川 蔓植物などの誘引結束具
KR101248356B1 (ko) * 2010-11-24 2013-04-01 박태근 조립식 양액베드
KR20140140223A (ko) * 2013-05-29 2014-12-09 (주)윈팜 과채류 재배 및 육묘가 가능한 고설 베드 장치
KR101774108B1 (ko) 2015-09-15 2017-09-04 김남준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437B2 (ja) * 1992-08-17 2001-03-26 株式会社東芝 交直変換装置の制御装置
JP3357249B2 (ja) * 1996-08-08 2002-12-16 株式会社誠和 植物の子株栽培装置
KR200246673Y1 (ko) 2001-06-16 2001-10-17 이충기 딸기런너용 트레이
JP2005237308A (ja) * 2004-02-27 2005-09-08 Toho Kogyo Kk 植物栽培容器
KR200483146Y1 (ko) 2016-07-29 2017-04-07 장기영 다단 재배장치
JP2018174805A (ja) * 2017-04-13 2018-11-15 株式会社Fujiya 育苗方法
KR101899724B1 (ko) * 2017-05-15 2018-09-17 김현정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367A (ko) 2022-03-04 2023-09-13 (주)코막스 회전형 수직 다단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31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377B1 (ko) 다단식 재배장치
KR100316370B1 (ko) 작물의 공중채묘용 육묘장치
KR101645458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고설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딸기 자묘의 재배방법
KR101774108B1 (ko) 딸기 재배 겸용 육묘 시스템
KR101916950B1 (ko)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101831294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KR20130011219A (ko)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101974827B1 (ko) 상하 이동이 가능한 외대형 고설 수경 재배장치
JP2018174805A (ja) 育苗方法
JP3398628B2 (ja) 栽培装置
KR101845060B1 (ko) 딸기 육묘 설비
JP2018085966A (ja) 育苗方法
KR102184907B1 (ko)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20200008927A (ko) 고설재배장치에 부설하는 제자리육묘를 위한 육묘포트 안착장치
KR10176659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 고설재배장치에 사용되는 개별육묘포트
KR20140001745U (ko) 딸기 육묘포트 조립체
KR20060019335A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KR101815572B1 (ko) 딸기 자묘용 육묘포트 수납 포켓 매트
KR102558057B1 (ko) 고설 재배용 딸기화분 개별 분리 및 취출 기능을 갖는 화분거취대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JP7506931B2 (ja) 蘭用育苗ポット及び蘭の育成方法
KR20200113619A (ko)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RU2746805C1 (ru) Гидроп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система выращивания, использующая это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