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619A -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619A
KR20200113619A KR1020190034090A KR20190034090A KR20200113619A KR 20200113619 A KR20200113619 A KR 20200113619A KR 1020190034090 A KR1020190034090 A KR 1020190034090A KR 20190034090 A KR20190034090 A KR 20190034090A KR 20200113619 A KR20200113619 A KR 20200113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late
water
vertical plate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신
Original Assignee
윤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신 filed Critical 윤여신
Priority to KR102019003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3619A/ko
Publication of KR2020011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결합돌기라인(60a)에 포트플레이트(70)의 결합홈라인(70a)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조립으로 분리 및 분해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포트(71)로부터 낙수구멍(71a)을 통해 수분유지배수부(60)로 낙하된 물방울이 결합돌기라인(60a)과 결합홈라인(70a)의 굴곡진 결합에 따라 이격공간(80)에서 수분상태로 지속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되어(습도 유지) 자묘(S)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으로써 각 포트(71)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PORT ASSEMBLY FOR RAISING OF SEEDING STRAWBERRY}
본 발명은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에 포트플레이트의 결합홈라인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조립으로 분리 및 분해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포트로부터 낙수구멍을 통해 수분유지배수부로 낙하된 물방울이 결합돌기라인과 결합홈라인의 굴곡진 결합에 따라 이격공간에서 수분상태로 지속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되어(습도 유지) 자묘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으로써 각 포트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씨앗을 통한 발아가 아닌 줄기(런너)가 뻗어나가면서 지면에 발근 및 활착하는 방식으로 배양되는 특징이 있고, 이러한 딸기 포기(어미묘)의 중심으로부터 새끼(자묘)를 치기 위한 런너라는 줄기를 계속 길러내는 고유의 배양 특성을 활용하여 육묘를 시행하고 있으며, 딸기 육묘에 따른 어미묘로부터 뻗어난 자묘의 뿌리상태에 따라 밭고랑 사이의 밭두둑으로의 정식(正植) 후 또는 수경재배에 따른 정식 후의 그 수확을 좌우하게 되어, 딸기 농사를 짓는데 있어서 육묘는 대단히 중요한 사항이 된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4362호)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를 이용해 육묘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1d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에서 꺼내진 모종을 정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10)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묘를 감싸는 배양토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후좌우로 다수 개가 정렬되어 상광하협식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포트(12)가 구비되고, 각각의 포트(12) 사이의 공간부, 즉 전후좌우의 각 포트(12) 사이의 표면과 외주연은 사방의 각 포트(12) 상면의 수평면에 대해서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상향 돌출경사부(15)가 형성되고, 또한 각 포트(12)에 이식된 묘에 물을 공급하거나 액비를 제공하기 위해 관수를 하는 경우 하나의 포트(12)에 공급된 공급수가 인접한 다른 포트(12)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각 포트(12)는 인접한 다른 포트와 최외측 테두리부를 제외한 상면부가 연통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로(16)가 형성되며, 이렇게 오목하게 형성된 배수로(16)의 중앙부에는 배수로(16) 높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돌출턱(17)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육묘용 포트상자(10)를 이용해 육묘를 하는 경우, 육묘시 성장에 필요한 물이나 영양분, 병충해 방제를 위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의 포트(12)에 약액이나 공급수를 제공하게 되면, 각 포트(12) 사이의 상면에는 배수로(16)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관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각 포트(12)에 일일이 공급수나 약액을 투여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배수로(16)내에 공급된 공급수나 약액은 배수로(16)의 중앙부에 배수로(16)의 절반 높이에 해당하는 돌출턱(1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로(16)에는 공급수나 약액이 고여있지 않게 되어 수분이 고여 있음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병해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선행기술문헌 1의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10)에서 재배된 육묘(30)를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밭고랑 사이의 밭두둑에 정식하여 딸기 농사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10)는 육묘(30)를 키우기 위하여 포트(12)에 물이나 액비를 공급할 경우 육묘(30)의 뿌리가 수분을 흡수하여 자랄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경우 뿌리썩음병이 초래할 수 있고, 이를 대비하여 물의 공급을 중단할 경우 뿌리가 빠르게 건조되어 싹시들음병을 초래할 수 있어, 작업자는 육묘(30)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면서 수분을 맞춰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의 문제점을 파악한 본원 출원인은 2016.01.05.자로 특허출원 제2016-0000816호를 출원하여 2017.08.09.자로 특허(특허 제1768555호; 선행기술문헌 2라 함)받은 바 있다.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의 (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2b의 (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지면보다 높게 설치된 수분유지배수부(630)로부터 이격공간을 두고 딸기육묘용포트플레이트(620)를 씌워 다수의 포트구(624)에 딸기의 런너를 활용한 자묘의 배양을 가능케 하는 구성으로 제안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안된 선행기술문헌 2의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물을 분무시켜 자묘에 수분을 공급할 경우 각 포트구(624)를 따라 채워지면서 배수용이부재(626)를 경유하여 수분유지배수부(630)로 낙하되는 형태로 자묘를 배양하게 된다.
그리고, 물의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수분유지배수부(624) 및 육묘용포트플레이트(620) 사이의 이격공간에 수분(습도)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서 자묘의 뿌리를 꾸준하게 촉촉히 유지케 할 수 있어 선행기술문헌 1과 같이 뿌리가 건조해져 싹시들음병을 초래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물의 공급 여부를 뿌리썩음병까지 염려하면서 조절하는 것이 아닌 간헐적 물 공급 및 중단으로 건강한 딸기 자묘를 배양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반면,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딸기 자묘를 건강하게 배양시킬 수 있지만 수분유지배수부(624) 자체의 제작 및 설치가 어렵고, 특히 수분유지배수부(624) 및 육묘용포트플레이트(620) 상호간의 견고하고도 용이한 조립을 실현하지 못하여 야외의 바람에 의해 수분유지배수부(624)로부터 육묘용포트플레이트(620)가 쉽게 날아가는 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분유지배수부(624) 및 육묘용포트플레이트(620) 사이의 이격공간에 채워진 수분이 순식간에 사라져 자묘의 뿌리까지 건조시켜 버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나아가 포트구(624)에 배양토(628) 및 자묘가 채워질 경우 그 무게에 의해 육묘용포트플레이트(620)의 중심이 휘어지면서 내려앉아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각 포트구(624)로 물을 분무식으로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분무 습기로 인해 자묘이 잎이 각종 질병(탄저병 등)으로 시달리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43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7685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에 포트플레이트의 결합홈라인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조립으로 분리 및 분해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포트로부터 낙수구멍을 통해 수분유지배수부로 낙하된 물방울이 결합돌기라인과 결합홈라인의 굴곡진 결합에 따라 이격공간에서 수분상태로 지속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되어(습도 유지) 자묘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으로써 각 포트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유지배수부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의 경계 위에 단일의 포트플레이트가 눌러주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즉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의 경계에 하나의 포트플레이트의 결합홈라인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프레임 위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세팅되는 수분유지배수부 및 포트플레이트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을 더욱 강화시켜 그 수명을 보장케 한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포트로부터 수분유지배수부로 낙하된 물방울이 이너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 그리고 아우터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의 상호 합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된 경계 사이로 미세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이격공간의 수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자묘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과 동시에 각 포트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유지배수부의 물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수분유지배수부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 상호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이격시켜 배수를 보장하면서도 이너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 그리고 아우터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 상호간의 면 접촉을 여전히 유지케 하여, 외부의 공기가 순식간에 이격공간으로 밀려와 수분을 일거에 제거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공급호스로부터 물이 공급될 경우 가이드로에 채워지면서 양단의 물높이턱에 의해 이웃 가이드로로 곧바로 직행하지 아니하고 사이드로를 통해 각 포트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각 포트에 배양되는 자묘로의 물 공급을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높이턱 안의 가이드로에 채워지는 물이 전량 각 포트로 유인될 수 있도록 한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파이프에 쓰루홈이 연속하여 끼워지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분유지배수부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의 조립 및 미세한 이격 작업[물의 미세한 배수를 위한 이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을 지닌 수분유지배수부와, 자묘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이 뚫린 포트들을 지니면서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격공간을 두고 상기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에 얹혀지는 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각각 솟아오른 결합돌기라인과,
상기 포트플레이트의 양측 하부를 따라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라인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을 지닌 수분유지배수부와, 자묘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이 뚫린 포트들을 지니면서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격공간을 두고 상기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에 얹혀지는 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지배수부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너돌출턱과 더불어 마련된 아우터오목턱과,
상기 수분유지배수부의 길이방향의 타측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아우터돌출턱과 더불어 마련된 이너오목턱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을 지닌 수분유지배수부와, 자묘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이 뚫린 포트들을 지니면서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이격공간을 두고 상기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에 얹혀지는 포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포트들 사이의 상기 포트플레이트 상면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지며 상기 포트들에 사이드로를 통해 각각 연통됨과 동시에 물공급호스가 삽입되면서 양단에 물높이턱을 지닌 배수로들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그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에 포트플레이트의 결합홈라인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조립으로 분리 및 분해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포트로부터 낙수구멍을 통해 수분유지배수부로 낙하된 물방울이 결합돌기라인과 결합홈라인의 굴곡진 결합에 따라 이격공간에서 수분상태로 지속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되어(습도 유지) 자묘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으로써 각 포트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분유지배수부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의 경계 위에 단일의 포트플레이트가 눌러주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즉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의 결합돌기라인의 경계에 하나의 포트플레이트의 결합홈라인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프레임 위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세팅되는 수분유지배수부 및 포트플레이트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을 더욱 강화시켜 그 수명을 보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포트로부터 수분유지배수부로 낙하된 물방울이 이너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 그리고 아우터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의 상호 합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된 경계 사이로 미세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이격공간의 수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자묘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과 동시에 각 포트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분유지배수부의 물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수분유지배수부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 상호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이격시켜 배수를 보장하면서도 이너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 그리고 아우터돌출턱 및 아우터오목턱 상호간의 면 접촉을 여전히 유지케 하여, 외부의 공기가 순식간에 이격공간으로 밀려와 수분을 일거에 제거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공급호스로부터 물이 공급될 경우 가이드로에 채워지면서 양단의 물높이턱에 의해 이웃 가이드로로 곧바로 직행하지 아니하고 사이드로를 통해 각 포트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각 포트에 배양되는 자묘로의 물 공급을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물높이턱 안의 가이드로에 채워지는 물이 전량 각 포트로 유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파이프에 쓰루홈이 연속하여 끼워지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분유지배수부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의 조립 및 미세한 이격 작업[물의 미세한 배수를 위한 이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포트플레이트의 폭을 넓히면서 더 많은 자묘를 배양하더라도 포트플레이트를 서포터로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묘의 생산성까지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분유지배수부 및 포트플레이트의 강도 및 경량을 보장하면서 수명 및 작업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발포폴리프로필렌에 의한 표면 매끄러움으로 포트 내 자묘의 뿌리를 수직으로 건강하게 키울 수 있고, 나아가 수분유지배수부 자체 속으로 수분의 직접적인 침투를 방지하여 곰팡이의 서식 및 번식을 철저히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1c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를 이용해 육묘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1d는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상자에서 꺼내진 모종을 정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a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b의 (a)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2b의 (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실시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실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우스시설 속의 지면에 마련된 프레임(F) 위에 설치될 수 있고, 이 프레임(F)은 작업자의 용이한 작업을 위하여 대략 허리 높이로 세워짐과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파이프(P)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F)의 한쪽 길이방향으로 딸기의 어미묘(M)가 세팅되고 프레임(F)의 다른 쪽 길이방향으로 딸기의 어미묘(M)로부터 뻗어나오는 런너(R)의 발근 및 활착에 의해 번식된 자묘(S)가 배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가 조립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를 하측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하우스 속의 프레임(F) 위에 고정되는 수분유지배수부(60)와 더불어 포트플레이트(70)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수분유지배수부(60) 및 포트플레이트(70)는 프레임(F)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면서 연속하여 조립되며, 수분유지배수부(60)의 양끝단은 포트플레이트(70)의 길이방향 크기에 맞추어 절단된 후 이격공간(80)을 가림막(G)으로 커버링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수분유지배수부(60)는 베이스판(61)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을 지니고, 포트플레이트(70)는 자묘(S)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71a)이 뚫린 포트(71)들을 지니면서 베이스판(61)으로부터 이격공간(80)을 두고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에 얹혀진다.
프레임(F)의 한쪽 길이방향으로 세팅된 딸기의 어미묘(M)로부터 러너가 뻗어나와 어느 한 포트(71)의 배양토에 발근 및 활착하면서 자묘(S)가 배양되고, 다시 이 자묘(S)로부터 런너(R)가 뻗어나가 다른 포트(71)의 배양토에 발근 및 활착하여 다른 자묘(S)가 배양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포트플레이트(70)에 마련된 모든 포트(71)에 다수의 자묘(S)가 한꺼번에 배양될 수 있게 되고, 이때 베이스판(61)의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에 얹혀진 포트플레이트(70)의 각 포트(71)에 물이 공급될 경우 낙수구멍(71a)을 통해 베이스판(61)으로 낙하되면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각각 솟아오른 결합돌기라인(60a)과, 포트플레이트(70)의 양측 하부를 따라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어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결합돌기라인(60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라인(70a)을 포함한다.
포트플레이트(70)가 수분유지배수부(60)의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에 단순히 얹혀질 경우 초기 설치시는 물론이거니와 작업(물 공급, 약비 공급 또는 자묘(S) 수거)시 야외 바람이나 각종 농기계의 부딪힘 또는 작업자의 부딪힘에 따라 수분유지배수부(60)로부터 포트플레이트(70)가 쉽게 이탈되어 실시시의 어려움과 더불어 작업상 불편함이 상존할 수밖에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결합돌기라인(60a)에 포트플레이트(70)의 결합홈라인(70a)이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긴밀한 조립으로 분리 및 분해 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포트(71)로부터 낙수구멍(71a)을 통해 수분유지배수부(60)로 낙하된 물방울이 결합돌기라인(60a)과 결합홈라인(70a)의 굴곡진 결합에 따라 이격공간(80)에서 수분상태로 지속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되어(습도 유지) 자묘(S)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으로써 각 포트(71)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너(Inner)돌출턱(64a)과 더불어 마련된 아우터(Outer)오목턱(64b)과, 수분유지배수부(60)의 길이방향의 타측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아우터돌출턱(65a)과 더불어 마련된 이너오목턱(65b)을 포함한다.
수분유지배수부(60)와 더불어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가 이너돌출턱(64a) 및 아우터오목턱(64b) 그리고 아우터돌출턱(65a) 및 이너오목턱(65b)의 상호간 합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되고, 포트플레이트(70)와 더불어 이웃하는 포트플레이트(70)가 수분유지배수부(60)와 더불어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경계에 맞닿는 각 결합돌기라인(60a)을 중심에 두고 결합홈라인(70a)으로 하여금 끼움 결합되도록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되어, 수분유지배수부(60)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경계 위에 단일의 포트플레이트(70)가 눌러주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즉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결합돌기라인(60a)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결합돌기라인(60a)의 경계에 하나의 포트플레이트(70)의 결합홈라인(70a)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프레임(F) 위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세팅되는 수분유지배수부(60) 및 포트플레이트(70)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을 더욱 강화시켜 그 수명을 보장토록 하고, 나아가 각 포트(71)로부터 수분유지배수부(60)로 낙하된 물방울이 이너돌출턱(64a) 및 아우터오목턱(64b) 그리고 아우터돌출턱(65a) 및 아우터오목턱(64b)의 상호 합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된 경계 사이로 미세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이격공간(80)의 수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자묘(S)의 뿌리를 계속적으로 촉촉하게 보존토록 함과 동시에 각 포트(71)로의 물 공급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되는 유용함까지 발휘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분유지배수부(60)의 물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수분유지배수부(60)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 상호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이격시켜 배수를 보장하면서도 이너돌출턱(64a) 및 아우터오목턱(64b) 그리고 아우터돌출턱(65a) 및 아우터오목턱(64b) 상호간의 면 접촉을 여전히 유지케 하여, 외부의 공기가 순식간에 이격공간(80)으로 밀려와 수분을 일거에 제거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포트(71)들 사이의 포트플레이트(70) 상면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지며 포트(71)들에 사이드로(73)를 통해 각각 연통됨과 동시에 물공급호스(H)가 삽입되면서 양단에 물높이턱(72a)을 지닌 가이드로(72)들을 포함한다.
물공급호스(H)로부터 물이 공급될 경우 가이드로(72)에 채워지면서 양단의 물높이턱(72a)에 의해 이웃 가이드로(72)로 곧바로 직행하지 아니하고 사이드로(73)를 통해 각 포트(71)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각 포트(71)에 배양되는 자묘(S)로의 물 공급을 균일하게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물높이턱(72a)이 없을 경우 포트플레이트(70) 및 이웃하는 포트플레이트(70)의 기울기에 의해 가이드로(72)를 따라 낮은 곳[이웃하는 가이드로(72)]으로 빠르게 물이 흐를 수밖에 없어 사이드로(73)를 경유하여 각 포트(71)에 공급되어야 하는 물의 공급이 원활치 않게 되어 자묘(S)의 균일한 배양을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이드로(73)는 가이드로(72)로부터 포트(71)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져 물높이턱(72a) 안의 가이드로(72)에 채워지는 물이 전량 각 포트(71)로 유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다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셀블리는 베이스판(61)의 하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쓰루홈(66)들을 포함하여 프레임(F)의 파이프(P)에 쓰루홈(66)이 연속하여 끼워지면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분유지배수부(60) 및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조립 및 미세한 이격 작업[물의 미세한 배수를 위한 이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베이스판(61)으로부터 직립되어 포트플레이트(70)를 받쳐주는 서포터(67)를 더 포함하여 포트플레이트(70)의 폭을 넓히면서 더 많은 자묘(S)를 배양하더라도 포트플레이트(70)를 서포터(67)로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묘(S)의 생산성까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바람직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는 수분유지배수부(60) 및 포트플레이트(70)를 제작함에 있어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성형으로 제작하여 강도 및 경량을 보장하면서 수명 및 작업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발포폴리프로필렌에 의한 표면 매끄러움으로 포트(71) 내 자묘(S)의 뿌리를 수직으로 건강하게 키울 수 있으며[스트로폼으로 제작될 경우 스트로폼 사이의 미세한 틈새로 자묘(S)의 뿌리가 파고들어 자묘(S) 취출시 뿌리에 상처가 남], 나아가 수분유지배수부(60) 자체 속으로 수분의 직접적인 침투를 미연에 방지하여 곰팡이의 서식 및 번식을 없앨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은 딸기의 어미묘로부터 자묘를 대량 배양할 수 있는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F : 프레임 P : 파이프
G : 가림막 H : 물공급호스
M : 어미묘 S : 자묘
R : 런너 60 : 수분유지배수부
60a : 결합돌기라인 61 : 베이스판
62 : 일측수직판 63 : 타측수직판
64a : 이너돌출턱 64b : 아우터오목턱
65a : 아우터돌출턱 65b : 이너오목턱
66 : 쓰루홈 67 : 서포터
70 : 포트플레이트 70a : 결합홈라인
71 : 포트 71a : 낙수구멍
72 : 가이드로 72a : 물높이턱
73 : 사이드로 80 : 이격공간

Claims (9)

  1. 베이스판(61)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을 지닌 수분유지배수부(60)와, 자묘(S)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71a)이 뚫린 포트(71)들을 지니면서 상기 베이스판(61)으로부터 이격공간(80)을 두고 상기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에 얹혀지는 포트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각각 솟아오른 결합돌기라인(60a)과,
    상기 포트플레이트(70)의 양측 하부를 따라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라인(60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라인(7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2. 베이스판(61)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을 지닌 수분유지배수부(60)와, 자묘(S)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71a)이 뚫린 포트(71)들을 지니면서 상기 베이스판(61)으로부터 이격공간(80)을 두고 상기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에 얹혀지는 포트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지배수부(60)의 길이방향의 일측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이너돌출턱(64a)과 더불어 마련된 아우터오목턱(64b)과,
    상기 수분유지배수부(60)의 길이방향의 타측으로부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아우터돌출턱(65a)과 더불어 마련된 이너오목턱(65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각각 솟아오른 결합돌기라인(60a)과,
    상기 포트플레이트(70)의 양측 하부를 따라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라인(60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라인(7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지배수부(60)와 더불어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는 상기 이너돌출턱(64a) 및 아우터오목턱(64b) 그리고 상기 아우터돌출턱(65a) 및 이너오목턱(65b)의 상호 합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되고,
    상기 포트플레이트(70)와 더불어 이웃하는 포트플레이트(70)는 상기 수분유지배수부(60)와 더불어 이웃하는 수분유지배수부(60)의 경계에 맞닿는 상기 결합돌기라인(60a)을 중심에 두고 상기 결합홈라인(70a)으로 하여금 끼움 결합되도록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속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5. 베이스판(61)의 폭방향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직립된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을 지닌 수분유지배수부(60)와, 자묘(S)를 배양하는 배양토가 채워짐과 동시에 낙수구멍(71a)이 뚫린 포트(71)들을 지니면서 상기 베이스판(61)으로부터 이격공간(80)을 두고 상기 일측수직판(62) 및 타측수직판(63)에 얹혀지는 포트플레이트(70)를 포함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포트(71)들 사이의 상기 포트플레이트(70) 상면의 길이방향으로 뚫려지며 상기 포트(71)들에 사이드로(73)를 통해 각각 연통됨과 동시에 물공급호스(H)가 삽입되면서 양단에 물높이턱(72a)을 지닌 가이드로(7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로(73)는 상기 가이드로(72)로부터 상기 포트(71)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기울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61)의 하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뚫려진 쓰루홈(66)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61)으로부터 직립되어 상기 포트플레이트(70)를 받쳐주는 서포터(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유지배수부(60) 및 포트플레이트(70)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의 발포성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1020190034090A 2019-03-26 2019-03-26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20200113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90A KR20200113619A (ko) 2019-03-26 2019-03-26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90A KR20200113619A (ko) 2019-03-26 2019-03-26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619A true KR20200113619A (ko) 2020-10-07

Family

ID=7288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90A KR20200113619A (ko) 2019-03-26 2019-03-26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361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362B1 (ko) 1997-07-30 1999-12-01 정몽규 아이들 공기 유량 제어 방법
KR101768555B1 (ko) 2016-01-05 2017-08-17 윤여신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및 딸기 육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4362B1 (ko) 1997-07-30 1999-12-01 정몽규 아이들 공기 유량 제어 방법
KR101768555B1 (ko) 2016-01-05 2017-08-17 윤여신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및 딸기 육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1362B2 (ja) 作物の空中採苗用育苗装置
KR101916950B1 (ko) 딸기 고설 재배용 접이식 제자리 육묘 장치 및 방법
KR102316377B1 (ko) 다단식 재배장치
KR101866682B1 (ko) 종이포트가 삽입된 딸기 프러그육묘용 기능성육묘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딸기묘의 화아분화 촉진방법
KR101299354B1 (ko) 저면관수 구조를 갖는 고설식 딸기 육묘장치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101831294B1 (ko) 딸기 육묘용 장치
KR101768555B1 (ko)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및 딸기 육묘 시스템
KR200386097Y1 (ko) 급수장치가 설치된 조립식 식재상자 및 이를 이용한 조경시스템
KR100475938B1 (ko) 재배 장치
KR102095126B1 (ko)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JP2018085966A (ja) 育苗方法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20200113619A (ko) 딸기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KR102184907B1 (ko) 고설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고설재배 베드
KR102137565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CN210868958U (zh) 一种适用于花卉育苗的育苗盆
CN110537483B (zh) 绿叶蔬菜沙基质栽培生产系统
KR20060019335A (ko) 원예다농재배용 조립식 화분
JP4507444B2 (ja) 植物水耕栽培装置
KR20140001745U (ko) 딸기 육묘포트 조립체
KR102421177B1 (ko) 조립식 식물 재배 장치
CN210959629U (zh) 一种水稻育秧架
KR102558057B1 (ko) 고설 재배용 딸기화분 개별 분리 및 취출 기능을 갖는 화분거취대
KR102530550B1 (ko) 보안작물 시설 재배용 가변형 식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