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358A -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358A
KR20210144358A KR1020200061613A KR20200061613A KR20210144358A KR 20210144358 A KR20210144358 A KR 20210144358A KR 1020200061613 A KR1020200061613 A KR 1020200061613A KR 20200061613 A KR20200061613 A KR 20200061613A KR 20210144358 A KR20210144358 A KR 2021014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onic
transfer device
plate
vertical transfer
hydropon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진
조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to KR102020006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358A/ko
Publication of KR2021014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고 자동화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수경재배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의 양액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조; 각 수조에서 수경재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 수경재배판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송장치; 및 각 수조에 대하여 수경재배판을 설치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조는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되고,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의 한쪽 끝에 설치된 상기 수직이송장치를 통해서 수경재배판을 서로 다른 층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이송장치를 통해서 다층의 수로에 수경재배판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다층으로 수로를 배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공간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수로 사이에서의 수경재배판의 이동은 수직이송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각층의 수로에서도 수평이송장치에 의해서 수경재배판이 이동하기 때문에, 수경재배과정이 모두 자동화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HYDROPONICS APPARATUS HAVING IMPROVED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은 식물을 재배하는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고 자동화된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수경재배라고 한다. 과거에 특수한 목적으로만 사용되었던, 수경재배가 최근 친환경 무농약 재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식물에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수경재배의 경우 토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복수개의 수경재배판을 복층으로 설치하여 뿌리가 배양액에 닿아 식물이 성장하도록 하는 소위 "식물공장"이라고 부르는 수경재배장치가 제안되기도 한다.
이때, 모종이 심어진 수경재배판을 설치하거나 다 자란 식물을 회수할 때에 사람이 직접 수경재배판이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설치 및 회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모두 마련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설치 및 회수를 위하여 수경재배판을 가지고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경재배판이 이동하는 수로를 따라서 작업 공간을 배치하는 재배 시스템(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7795)이 개발되었으나, 재배가 수행되는 장기간 동안 수경재배판이 위치하는 수로가 길게 배치되기 때문에 매우 넓은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공간 활용성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수로부재에 수경재배판을 설치하고 회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제자리에 있고, 설치 과정에서는 설치된 수경재배판을 밀어서 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회수 과정에서는 인출선을 당겨서 먼 곳의 수경재배판이 작업자 쪽으로 이동하게 구성하는 수경재배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1210)가 개발되었으나, 작업자가 직접 수경재배판을 이동시켜야하는 단점과 함께 이로 인하여 다층으로 배열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공관 활용성이 높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9779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112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면서 자동화된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는, 복수의 수경재배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의 양액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조; 각 수조에서 수경재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 수경재배판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송장치; 및 각 수조에 대하여 수경재배판을 설치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조는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되고,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의 한쪽 끝에 설치된 상기 수직이송장치를 통해서 수경재배판을 서로 다른 층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 사이의 간격이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 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 사이의 간격은, 수조의 위치가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위쪽 수조와의 간격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이송장치는, 모터와 톱니바퀴와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는 상기 톱니바퀴는 회전과정에서 상기 체인을 움직이며, 수경재배판은 상기 체인에 설치된 거치부에 받쳐진 상태로 상기 체인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이 달라지는 것이 좋다.
상기 수직이송장치는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의 양쪽 끝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장치는 상기 수직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수직이송장치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작업장치는 수경재배판을 고정하는 홀딩부와 수경재배판을 수조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는 수경재배판의 일부를 밑에서 받쳐서 고정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홀딩부와 연결된 자바라 링크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수경재배판은 상기 홀딩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이송장치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수평이송장치가 설치된 보조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열에 미리 채워진 수경재배판을 수평이송장치가 이송하는 순서에 따라서 상기 수직이송장치와 상기 작업장치가 수조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수조 각각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수조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직이송장치를 통해서 다층의 수로에 수경재배판을 공급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공급하는 경우에 비하여 다층으로 수로를 배치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공간의 활용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수로 사이에서의 수경재배판의 이동은 수직이송장치에 의해서 수행되고 각층의 수로에서도 수평이송장치에 의해서 수경재배판이 이동하기 때문에, 수경재배과정이 모두 자동화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조 중에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조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직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직이송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직이송장치에 설치된 작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작업장치의 구조를 위쪽에서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작업장치에 수경재배판이 고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보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수경재배장치는
프레임(100)에 복수의 수조(200), 수직이송장치(300), 작업장치(400) 및 보조열(500)을 구비한다.
프레임(100)은 복수의 수조(200)를 다층으로 설치하기 위한 틀이며, 수직이송장치(30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함께 형성하였다. 프레임(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장치의 전체 무게와 장치 구성에 필요한 무게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프레임(100)의 여러 부분에 서로 다른 재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수조(200)는 수경재배판(10)이 설치되어 수경재배가 수행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양액이 채워질 수 있는 복수의 수조(200)가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되어 수직이송장치(300)를 통해서 수경재배판(10)이 각층의 수조(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수조(200)는 복수의 수경재배판(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이며, 수조(200)에서 수경재배판(10)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평이송장치를 구비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200)를 10개 층으로 설치하였으나, 미나리를 수경재배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기간과 성장 속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 개수이며, 수조(200)의 개수가 이에 특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미나리의 재배기간과 성장 속도에 맞추어 10개 층의 수조(200)들 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조가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위쪽 수조와의 간격이 넓도록 구성하였고, 처음 가장 위쪽의 수조에 설치된 수경재배판을 일정한 주기로 아래쪽 수조로 이동시킴으로써 미나리가 성장할수록 아래쪽 수조로 이동시키며, 최종적으로 가장 아래쪽에서 성장이 끝난 미나리를 수확하게 된다.
이는 미나리가 성장하는 키에 맞추어 간격을 설치한 것이며, 각 수조(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조명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동일한 광량을 받을 수 있도록 간격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미나리의 성장에 관계없이 일정한 광량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수조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구성하는 경우에 미나리가 가장 클 때를 기준으로 간격을 설정해야하기 때문에 장치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미나리를 기준으로 제작된 형태이며, 재배 대상인 식물의 특성에 맞추어 수조의 개수와 수조 사이의 간격은 적절하게 조절될 것이다.
수직이송장치(300)는 수경재배판(10)을 상하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조(200)의 한쪽 끝에 설치되거나 양쪽 끝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한쪽에만 수직이송장치(300)가 설치되어 수경재배판을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아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모두 수행한다.
작업장치(400)는 수경재배판(10)을 수조(200)에 설치하는 설치작업과 수조(200)에서 회수하는 회수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장치(400)가 수경재배판(10)이 수직이송장치(300)를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에 수경재배판(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보조열(500)은 수조(200)와는 달리 양액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경재배판(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수경재배장치에서는 수직이송장치(300)가 움직이면서 수경재배판을 설치 및 회수하기 때문에, 수직이송장치(300)가 수경재배판을 이송하는 동안에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하이송장치가 도착할 때에 맞춰서 수경재배판을 수직이송장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간 낭비가 생기지만, 보조열(500)에 미리 수경재배판을 위치시키면 작업자의 시간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수경재배판을 수직이송장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재배가 끝난 수경재배판을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열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조명과 함께 다층으로 배치된 수조(200)에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양액공급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수경재배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조 중에 하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조에서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수조(200)는 양액에 채워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양액조(210)와 수경재배판(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장치(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수평이송장치(220)는 모터(222), 톱니바퀴(224), 체인(226) 및 거치부(228)를 포함한다.
모터(222)는 톱니바퀴(224)를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서 톱니바퀴(224)에 연결된 체인(226)이 양액조(210)를 따라서 이동하고, 체인(226)에 형성된 거치부(228)에 수경재배판(10)에 거치된 상태로 체인(226)의 움직임에 따라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수조(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톱니바퀴가 설치되고, 복수의 톱니바퀴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모터(222)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한다. 수조(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톱니바퀴에 걸쳐서 체인(226)이 설치되어, 톱니바퀴의 회전에 따라서 체인(226)이 움직인다. 더욱 자세하게는 양액조(210)의 길이방향 양 측면벽을 따라서 2개의 체인(226)이 설치되어, 양액조(21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측면벽 위쪽으로 체인(226)이 움직인다.
이때, 본 실시예는 수조(200)의 한쪽 끝에만 수직이송장치(3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이송장치(300)에서 공급된 수경재배판을 수조(200)의 반대편 끝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동작과 수조(200)의 반대편 끝에 위치하는 수경재배판을 수직이송장치(300) 쪽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동작을 모두 수행해야한다. 따라서 모터(222)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모터(222)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체인(226)의 이동방향도 2가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만약, 수조(200)의 양단에 각각 수직이송장치가 설치된 형태라면, 수평이송장치(220)의 모터(222)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체인(226)도 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경재배판(10)은 수평이송장치(220)에 의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이송장치(220)의 거치부(228)가 양쪽 끝부분에서 접촉하여 받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다.
그리고 수평이송장치(220)는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경재배판(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액의 흐름을 통해서 양액 위에 떠있는 수경재배판이 이동하도록 구성하거나, 수조를 기울여서 양액 위에 떠있는 수경재배판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수직이송장치가 하나인 경우에는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고, 수직이송장치가 2개인 경우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직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수직이송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수조(200)의 한쪽 끝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수직이송장치(300)가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프레임 중에 일부를 수직이송장치(300)가 수직이동하는 레일로서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수직이송장치(300)의 가이드 롤러(310)가 프레임(100)을 따라서 수직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며, 수직이송장치(3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수경재배판(10)을 수조(200)에 설치하는 설치작업과 수조(200)에서 회수하는 회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400)가 수직이송장치(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경재배판(10)이 수직이송장치(300)를 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에 수경재배판(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직이송장치에 설치된 작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작업장치의 구조를 위쪽에서 도시된 도면이다.
수경재배판(10)의 설치 작업은 재배를 처음 시작할 때에 가장 위쪽의 수조에 수경재배판을 설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조의 위치를 바꾸어 수경재배판을 재설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수경재배판의 회수 작업은 성장이 끝난 미나리를 수확하기 위하여 맨 아래 수조에서 수경재배판을 회수하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수경재배판을 다른 수조로 이동하기 위하여 회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작업장치(400)는 수경재배판(10)을 고정하기 위한 홀딩부(410)와 홀딩부(410)에 고정된 수경재배판(10)을 움직이기 위한 가동부(420)를 포함한다.
홀딩부(410)는 수경재배판(10)의 양쪽 끝부분을 아래쪽에 받쳐서 작업장치(400)에 수경재배판(10) 고정되도록 하며, 수직이송장치가 이동하는 동안에도 수경재배판(10)을 고정하고 있다.
가동부(420)는 수경재배판을 수직이송장치(300)의 외부로 배출하여 수조(200)의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홀딩부(410)에 고정된 수경재배판(10)을 수평방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자바라 링크(422)와 링크 구동부(424)를 포함한다.
링크 구동부(424)의 동작에 의해서 자바라 링크(422)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홀딩부(410)에 고정된 수경재배판(1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자바라 링크(422)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수경재배판(10)이 아래쪽으로 쳐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직이송장치(300)의 측면벽을 따라서 수평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430)가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작업장치에 수경재배판이 고정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식물이 식재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수경재배판(10)은 양측면에 옆으로 길이가 연장된 연장부(11)를 구비하며, 홀딩부(410)가 연장부()의 아래쪽을 받치는 형태 고정된다. 그리고 수경재배판(10)의 연장부(11)는 앞서 살펴본 수평이송장치(220)의 거치부(228)가 아래쪽에 접촉하여 받치는 부분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보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보조열(500)은 수조(200)와는 달리 양액조는 포함하지 않고 수평이송장치(520)만 설치된 구조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 식물의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양액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열(500)은 수직이송장치(300)와 작업장치(400)의 동작에 무관하게 작업자가 미리 수경재배판(10)을 채워놓는 곳으로서, 수직이송장치(300)와 작업장치(400)가 보조열(500)에 준비된 수경재배판을 순차적으로 수경재배장치에 설치한다.
결국, 작업자가 작업공간에서 이동하지 않고 수직이송장치의 동작과 무관하게 수경재배판을 수경재배장치로 한 번에 투입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보조열을 수경재배장치의 설치에 대비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재배가 끝난 수경재배판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보조열로 모아놓고, 작업자가 한 번에 회수할 때에도 이용된다. 이러한 보조열은 1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설치용 보조열과 회수용 보조열을 구분하여 복수의 보조열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경재배판
100: 프레임
200: 수조
210: 양액조
220: 수평이송장치
222: 모터
224: 톱니
226: 체인
228: 거치부
300: 수직이송장치
310: 가이드 롤러
400: 작업장치
410: 홀딩부
420: 가동부
422: 자바라 링크
424: 링크 구동부
430: 가이드부
500: 보조열

Claims (12)

  1. 복수의 수경재배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의 양액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조;
    각 수조에서 수경재배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송장치;
    수경재배판을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송장치; 및
    각 수조에 대하여 수경재배판을 설치하거나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수조는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되고,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의 한쪽 끝에 설치된 상기 수직이송장치를 통해서 수경재배판을 서로 다른 층으로 이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 사이의 간격이 재배되는 식물의 성장 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 사이의 간격은, 수조의 위치가 아래쪽에 위치할수록 위쪽 수조와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는, 모터와 톱니바퀴와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하는 상기 톱니바퀴는 회전과정에서 상기 체인을 움직이며, 수경재배판은 상기 체인에 설치된 거치부에 받쳐진 상태로 상기 체인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체인의 이동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장치는 수직하게 다층으로 설치된 수조들의 양쪽 끝에 2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는 상기 수직이송장치에 설치되어 수직이송장치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는 수경재배판을 고정하는 홀딩부와 수경재배판을 수조로 이동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부는 수경재배판의 일부를 밑에서 받쳐서 고정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홀딩부와 연결된 자바라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경재배판은 상기 홀딩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이송장치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가 설치된 보조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열에 미리 채워진 수경재배판을 수평이송장치가 이송하는 순서에 따라서 상기 수직이송장치와 상기 작업장치가 수조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수조 각각에 대하여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층으로 배치된 수조에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KR1020200061613A 2020-05-22 2020-05-22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KR20210144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13A KR20210144358A (ko) 2020-05-22 2020-05-22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13A KR20210144358A (ko) 2020-05-22 2020-05-22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58A true KR20210144358A (ko) 2021-11-30

Family

ID=7872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613A KR20210144358A (ko) 2020-05-22 2020-05-22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43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95B1 (ko) 2007-08-30 2009-05-15 이승두 미나리 수경재배 시스템
KR101311210B1 (ko) 2012-05-30 2013-09-25 주식회사 베지텍스 수로부재 이용 식물 수경재배장치 및 식물 수경재배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795B1 (ko) 2007-08-30 2009-05-15 이승두 미나리 수경재배 시스템
KR101311210B1 (ko) 2012-05-30 2013-09-25 주식회사 베지텍스 수로부재 이용 식물 수경재배장치 및 식물 수경재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241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ертикальными фермами
KR101022025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0490674B1 (ko) 양액재배장치
US3254448A (en) Installation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plants, bacteria and other organisms
CN103552820A (zh) 一种苗床穴盘育苗自动输送机器装置与方法
KR20200054528A (ko) 다단식 플로우팅 산소공급 식물공장 기계
KR100921605B1 (ko) 재배효율을 향상시킨 수평형 작물 재배장치
KR200327215Y1 (ko) 식물의 다단 재배용 장치
JP2001095404A (ja) 植物の自動化栽培方法及び自動化栽培装置
KR20200045187A (ko) 수경재배장치
JP2020000212A (ja) 可動型育苗棚ユニット
KR20210144358A (ko)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자동화 수경재배장치
WO2021046656A1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 lighting system
CN112911925A (zh) 用于浇灌植物的设备、系统和方法
WO2020074861A1 (en) Apparatus for high density, automated cultivation
JP2928758B2 (ja) 植物栽培装置
KR101866506B1 (ko) 자동화 식물재배 시스템
KR101454747B1 (ko) 다단 작물 재배장치
JP2823846B2 (ja) 植物栽培装置
KR102146069B1 (ko) 수경 재배 자동화 공정라인
JP6064193B2 (ja) 栽培装置、栽培システム、植物の栽培方法
KR20200045186A (ko) 수경재배장치
KR102564130B1 (ko) 비닐하우스의 고설재배시스템
CN210470455U (zh) 一种自动化种植装置
KR20090019595A (ko) 양액 재배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