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602B1 -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및 렌즈미터 - Google Patents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및 렌즈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602B1
KR101142602B1 KR1020030046659A KR20030046659A KR101142602B1 KR 101142602 B1 KR101142602 B1 KR 101142602B1 KR 1020030046659 A KR1020030046659 A KR 1020030046659A KR 20030046659 A KR20030046659 A KR 20030046659A KR 101142602 B1 KR101142602 B1 KR 101142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ectacle
measurement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299A (ko
Inventor
나카무라신이치
야나기에이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ublication of KR2004000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01M11/0214Details of devices holding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1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determining the optical axis or position of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G01M11/023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by measuring multiple properties of lenses, automatic lens me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렌즈누름에 의하여 측정광속이 저해되지 않는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 및 렌즈미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안경(5)의 좌우의 안경렌즈(LL, LR)를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9L, 9R)의 광로 도중의 렌즈받이축(17a, 28a)에서 각각의 점에서 지지시켜서, 안경렌즈(LL, LR)의 안경프레임(MF)을 앞뒤방향에서 한 쌍의 프레임유지판 (36, 37)으로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안경렌즈(LL, LR)를 렌즈누름축(68L, 68R)으로 렌즈받이축(17a, 28a)에 대하여 누름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프레임유지판(36, 37)에 의한 안경프레임(MF)의 유지상태를 수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더구나, 수정 후에는, 렌즈누름축(68L, 68R)을 측정광학계(9L, 9R)의 측정광로로부터 퇴피시키고, 안경렌즈(LL, LR)를 투과시키는 렌즈축받이(17a, 28a)의 주위의 측정광속을 측정광학계(9L, 9R)의 CCD(24)에 수광시키고, CCD(24)로부터의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안경렌즈(LL, LR)의 광학특성을 연산제어회로(80)에 의해 구하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및 렌즈미터{METHOD OF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SPECTACLE LENSES AND LENS MET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미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미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렌즈미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1-A1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도 4에 나타낸 렌즈미터의 광학계 및 제어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2~도 4에 나타낸 연설 상자체의 뒤쪽을 벗어나서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낸 렌즈미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렌즈미터의 연설 상자체의 앞벽을 배면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9의 A2-A2를 따르는 프레임유지기구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렌즈미터를 화살표 A3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4-A4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A5-A5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A6-A6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 도 11, 도 12의 한 쌍의 링크판의 한 쪽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8, 도 11, 도 12의 한 쌍의 링크판의 다른 쪽의 설명도이다.
도 15(a)는 도 1~도 14에 나타낸 렌즈미터를 정면에서 본 작용설명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16(a)는 도 1~도 14에 나타낸 렌즈미터를 정면에서 본 작용설명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17(a)는 도 1~도 14에 나타낸 렌즈미터를 정면에서 본 작용설명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18(a)는 도 1~도 14에 나타낸 렌즈미터를 정면에서 본 작용설명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19(a)는 도 1~도 14에 나타낸 렌즈미터를 정면에서 본 작용설명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 20(a)는 도 1~도 14에 나타낸 렌즈미터를 정면에서 본 작용설명도, (b)는 (a)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즈미터
5 : 안경
9L, 9R : 측정광학
17a, 28a : 렌즈받이축(렌즈받이)
24 : CCD(수광소자)
36, 37 : 프레임 유지판(프레임 유지부재)
36a, 37a : 대향면(경사면)
54 : 구동모터(유지부재 구동수단)
57 : 코받침지지부재
64 : 마이크로스위치{스위치)
68L, 68R : 렌즈누름축(렌즈누름부재)
74 : 구동모터(누름부재 구동수단)
80 : 연산제어회로
LL, LR : 안경렌즈
MF : 안경프레임
S : 코일스프링(힘을 가하는 수단)
본 발명은, 안경의 좌우의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2개의 측정광학계로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안경렌즈의 광학특성 측정방법 및 렌즈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렌즈미터는, 본체 케이스의 앞면의 상부 및 하부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여 설치된 상부수납돌출부 및 하부수납돌출부와, 이 하부수납돌출부의 상면에 설치된 1개의 렌즈받이와, 좌우로 연장되고 또한 렌즈받이에 대하여 앞뒤로 이동조작 가능하게 본체케이스에 장착된 렌즈테이블과, 렌즈테이블에 좌우이동 및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코받침지지부재와, 렌즈받이에 얹혀 놓여지는 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는 측정광학계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렌즈미터에 있어서 측정광학계는, 본체케이스 및 상부수납돌출부내에 설치된 조명광학계와, 하부수납돌출부 및 본체케이스내에 설치된 수광광학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렌즈미터에 있어서는, 안경의 코받침을 코받침지지부재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안경프레임의 좌우의 렌즈테두리를 렌즈테이블의 앞면에 접촉시켜, 코받침지지부재를 좌우 및 상하로 이동조작하는 동시에 렌즈테이블을 앞뒤로 이동조작하여, 좌우의 안경렌즈의 한쪽을 렌즈받이에 접촉시켜, 측정광학계에 의해 한쪽의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다른 쪽의 안경렌즈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다른 쪽의 안경렌즈를 렌즈받이에 접촉하도록 안경프레임을 상기와 같이 이동조작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렌즈미터로 좌우의 안경렌즈를 측정하는 경우, 1개의 렌즈받이에 대하여 안경렌즈를 교체하여 접촉?지지시킬 필요가 있어 번거로웠다.
이것을 해소하는 렌즈미터로서는, 안경의 좌우의 안경렌즈를 측정하는 광학계를 한 쌍 설치한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렌즈미터에서는, 안경렌즈의 정확한 굴절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각 수광(受光)광학계의 측정 광축상에서 안경렌즈의 아래면으로부터 수광 광학계의 수광수단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렌즈받이로서 축 형상의 렌즈받이를 좌우의 측정광학계의 광로 도중에 설치하여, 안경렌즈의 아래면과 수광 광학계의 수광수단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렌즈미터로서는, 핀 형상의 렌즈받이의 주위를 통과하는 측정광속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의 다수의 점의 광학특성을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결과에 근거하는 다수의 점의 굴절력 등을 매핑(mapping) 표시하도록 한 것도 고려되고 있다. 이 경우, 렌즈받이에 지지되는 안경렌즈가 측정시에 움직여버리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렌즈누름으로 안경렌즈를 렌즈받이에 눌러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렌즈누름으로 안경렌즈를 눌러대고 있기 때문에, 렌즈누름이 있는 부분은 측정광속의 안경렌즈로의 투영이 저해되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부분이 생기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 발명은, 이러한 렌즈누름에 의하여 측정광속이 저해되지 않는 안경렌즈의 광학특성 측정방법 및 렌즈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렌즈의 광학특성 측정방법은, 안경의 좌우의 안경렌즈를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의 광로의 도중의 렌즈받이에 의해 각각의 점에서 지지하고, 상기 안경렌즈의 안경프레임을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에 의해서 앞뒤방향으로부터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측정광학계의 측정광로에 진출시킨 렌즈누름부재에 의해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눌러 상기 프레임유지부재에 의한 상기 안경프레임의 상기 유지상태를 수정하고,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측정광학계의 상기 광로로부터 퇴피(退避)시키고,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광로로부터 퇴피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경렌즈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의 주위의 측정광속을 상기 측정광학계에 의해 측정하여, 상기 측정광학계로부터의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연산제어회로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2의 렌즈미터는, 안경의 좌우의 안경렌즈를 각각의 점에서 지지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렌즈받이와, 상기 렌즈받이에 상기 안경렌즈가 지지된 상기 안경의 안경프레임을 앞뒤방향으로부터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와, 상기 렌즈받이에 지지된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누르기 위한 렌즈누름부재와, 상기 렌즈받이에 지지된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상기 렌즈받이의 주위를 통과하는 측정광속에 따라서 측정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와, 상기 측정광학계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을 실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측정광학계로부터의 측정신호를 기초로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연산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렌즈미터로서,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측정광학계의 측정광로에 진출시키고,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누르는 누름위치와 해당 누름위치로부터 퇴피된 퇴피위치에 이동시키는 누름부재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렌즈누름이 상기 누름부재 이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측정광학계를 제어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의 측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의 대향면은, 각각 아래쪽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3의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렌즈받이에 지지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상기 안경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검출수단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를 구동하여 상대적으로 접근?이반시키기 위한 유지부재 구동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프레임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프레임이 검출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유지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제어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 부재를 서로 접근시켜 상기 안경프레임을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부재 이동수단을 작동제어함으로써,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누름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누른 후,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검출수단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의 중간에 배치되고 또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안경의 코받침을 지지하기 위한 코받침지지부재와, 상기 코받침지지부재를 앞쪽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과, 상기 코받침지지부재가 상기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한 상기 힘에 대항하여 뒤쪽으로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일례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구성]
<장치본체>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렌즈미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렌즈미터의 우측면도이다.
이 도 1, 도 2에 있어서, 1은 장치본체(본체 케이스)이다. 이 장치 본체(1)는, 상부 상자체부(2)와 하부 상자체부(3) 및 이들을 연이어 설치하고 있는 연설 상자체부(4)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형상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 상자체(2)와 하부 상자체(3)와의 사이에는 도 5에 나타낸 안경(5)의 세트공간(6)으로 되어 있다. 또, 연설 상자체부(4)는, 뒷부분 쪽의 상자체부(4b)가 앞벽(4a)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안경(5)은, 본 실시예에서는, 안경프레임(MF)과, 안경프레임(MF)의 좌우의 렌즈테두리(LF, RF)에 테두리가 넣어진 안경렌즈(LL, LR)와, 좌우의 렌즈테두리(LF, RF)를 연이어 설치하고 있는 브리지(B)와, 좌우의 렌즈테두리(LF, RF) 등에 설치되는 코받침(NP)과, 좌우의 렌즈테두리(LF, RF)에 설치된 안경다리(LT, RT)를 갖는다.
또한, 하부 상자체(3)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윗벽(7)을 갖고, 이 윗벽(7)의 부분에는 개구(8L, 8R)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상자체(3)의 안은, 좌우방향의 중앙에 배치된 칸막이벽(3a)에 의해, 좌우의 공 간(실)(3L, 3R)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장치본체(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좌우의 한 쌍의 측정광학계(9L, 9R)를 갖는다.
<측정광학계(9L, 9R)>
{왼쪽의 측정광학계(9L)}
측정광학계(9L)는, 상부 상자체(2)내에 내장된 투광 광학계(조명 광학계) (10L)와, 하부 상자체(3)에 내장된 수광 광학계(11L)를 갖는다.
투광 광학계(10L)는, 측정광속 투영용의 광원인 LED(12, 13), 색선별거울 (dichroic mirror)(14L), 반사미러(15) 및 콜리메이트 렌즈(collimator lens)(16)를 구비하고 있다. LED(12)는 적외광을 발하고, LED(13)는 적색광(파장 630㎚)을 발한다. 색선별거울(14L)은 LED(12)로부터의 적외광을 반사하고, LED(13)로부터의 적색광을 투과한다. 콜리메이트 렌즈(16)는 LED(12, 13)로부터 발해진 발산광속을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반사미러(15)는 중앙부에서 왼쪽의 절반이 사용된다.
또한, 수광광학계(11L)는, 개구(8L)에 설치된 허트만의 패턴판(17), 상면에 스크린(18a)이 설치된 필드렌즈(18), 반사미러(19, 20, 21), 광로합성 프리즘(22), 결상렌즈(23), 및 CCD(수광소자, 수광수단)(24)를 갖는다. 패턴판(17)에는 다수의 광투과부(도시하지 않음)가 매트릭스형상으로 설치된다.
이 패턴판(17)의 중앙부에는 핀 형상의 렌즈받이축(렌즈받이)(17a)이 기준 핀으로서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축받이(17a)는, 위쪽 끝단부가 반구(半球)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축선(軸線)이 측정광학계(9L)의 광축(OL)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오른쪽의 측정광학계(9R)}
측정광학계(9R)는, 상부 상자체부(2)내에 내장된 투영광학계(조명광학계) (10R)와, 하부 상자체(3)에 내장된 수광광학계(11R)를 갖는다.
투광광학계(10R)는, 측정광속투영용의 광원인 LED(25, 26), 색선별거울 (14R), 반사미러(15) 및 콜리메이트 렌즈(27)를 구비하고 있다. LED(25)는 적외광을 발하고, LED(26)는 적색광(파장 630㎚)을 발한다. 상술한 색선별거울(14R)은 LED(25)로부터 적외광을 반사하여, LED(26)로부터 발해진 발산광속을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반사미러(15)는 중앙부로부터 오른쪽 절반이 사용된다.
또한, 수광광학계(11R)는, 개구(8R)에 장착된 하트만의 패턴판(28), 상면에 스크린(29a)이 설치된 필드렌즈(29), 반사미러(30, 31), 광로합성프리즘(22), 결상렌즈(23), 및 CCD(수광소자, 수광수단)(24)를 갖는다. 패턴판(28)에는, 다수의 광투과부(도시하지 않음)가 매트릭스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패턴판(28)의 중앙부에는 핀형상의 렌즈받이축(렌즈받이)(28a)이 기준 핀으로서 위쪽방향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축받이(28a)는, 위쪽 끝단부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축선이 측정광학계(9L)의 광축(OL)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유지기구>
또한, 장치본체(1)에는, 안경(5)의 좌우의 안경렌즈(LL, RL)를 렌즈받이축 (17a, 28a)에 지지시켰을 때에, 이 안경(5)의 안경프레임(MF)을 유지하기 위한 아래와 같은 프레임유지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윗벽(7)의 앞가장자리부 및 뒤가장자리부의 좌우방향 중앙부분(32, 33)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칸막이벽 (3a)을 따라 앞뒤방향으로 늘어나는 슬릿(34, 3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유지기구(32)는, 좌우로 늘어나고 윗벽(7)의 뒤가장자리부 및 앞가장자리부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유지판(36, 37)을 프레임유지부재(렌즈유지부재, 렌즈테두리유지부재)로서 갖는다. 이 프레임유지판(36, 37)의 대향면(36a, 37a)은, 도 2, 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해 근소하게 경사진 테이퍼 형상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프레임유지기구(렌즈테두리 유지기구)는, 하부 상자체부(3)내에 배치된 한 쌍의 링크판(이동부재, 슬라이드판)(38, 39)을 갖는다(도 8, 도 11, 도 12 참조). 이 링크판(38, 39)은, 칸막이벽(3a)의 일측면의 상부를 따라서 앞뒤를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링크판(38)은, 도 8,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끝단부에 위쪽방향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된 장착편(38a)과, 도 8, 도 12,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슬릿(38b, 38c)과, 다른 끝단부에 아래쪽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된 걸어맞춤편(38d)과, 걸어맞춤편(38d)에 아래쪽을 향해서 형성된 걸어맞춤절결(38e)을 갖는다. 그리고, 장착편(38a)은, 슬릿(34)을 통하여 윗벽(7)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프레임유지판(3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링크판(39)은, 길이방향의 중간부에 위쪽방향을 향해서 돌출 설치된 장착편(39a)과, 일끝단부 및 중간부에 형성된 슬릿(39b, 39c)과, 다른 끝단부에 위쪽방향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된 걸어맞춤편(39d)과, 걸어맞춤편(39d)에 위쪽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걸어맞춤절결(39e)을 갖는다. 그리고, 장착편(39e)은, 슬릿(35)을 통해서 윗벽(7)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프레임유지판(37)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나사(40)는, 링크판(38, 39)의 슬릿(38b, 39b)에 각각 끼워 통해진 후, 앞끝부분이 칸막이벽(3a)에 나사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나사(41)는, 링크판(38, 39)의 슬릿(38c, 39c)에 각각 끼워 넣어진 후, 앞끝부분이 칸막이벽(3a)에 나사부착되어 있다. 이 가이드나사(40, 41)는, 링크판(38, 39)을 길이방향에 상대적으로 슬라이드변위 가능하게 결합(걸어맞춤)시키고 있다.
또한, 프레임유지기구는, 도 7, 도 8,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상자체부(3)의 상부 및 칸막이벽(3a)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설 상자체부(4)의 앞벽(4a)에 형성된 개구(42)와, 개구(42)의 옆가장자리에 뒤쪽방향{하부 상자체부(3)내}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된 지지편(43)과, 이 지지편(43)에 장착된 지지나사(44)를 갖는다.
이 지지나사(44)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42)측에 위치하는 머리부(44a)와, 머리부(44a)에 연이어 설치된 큰 지름의 축부(44b)와, 큰 지름의 축부(44b)에 연이어 설치된 나사부(44c)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나사(44)는, 나사부 (44c)를 지지편(43)에 나사부착함으로써, 지지편(43)에 장착하고 있다. 또한, 나사부(44c)는, 지지편(43)을 관통하여 개구(42)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나사부(44c)의 돌출부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형상의 스페이서(45)가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너트(46)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이 너트(46)는, 스페이서(45)측에 작은 지름의 축부(46a)를 갖는 동시에, 스페이서(45)를 지지편 (43)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유지기구는, 큰 지름의 축부(44b)에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 회전판(연결부재)(47)과, 회전판(47)의 링크판(38, 39)측의 부분에 180°의 간격을 두고 부착된 걸어맞춤핀(48, 49)과, 지지편(43)측에 돌출하여 설치된 걸어맞춤핀 (50)을 갖는다. 그리고, 걸어맞춤핀(48, 49)에는 링크판(38, 39)의 걸어맞춤절결 (38e, 39e)이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링크판(38, 39)의 장착편(38a, 39a)의 기초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51)이 개재되어 있고, 코일스프링(51)은 프레임유지판(36, 37)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링크판(38, 39)에 스프링력을 가하고 있다.
또한, 너트(46)의 작은 지름의 통부(46a)에는 기어(52)가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되고, 기어(52)의 근방에는 연설 상자체부(4)의 앞벽(4a)에 장착된 펄스모터 등의 구동모터(구동수단)(5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동모터(54)의 출력축(54a)에는 기어(52)에 걸어맞춤하는 피니언(5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3a)에는, 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가 최대로 벌어졌을 때의 링크판(38)의 이동정지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56)가 위치검출수단으로서 장착되어 있다(도 8 참조).
<코받침지지기구>
또한, 윗벽(7)의 위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8L, 8R)사이 및 프레 임유지판(36, 37)사이에 위치시켜서 반(半)원주형상의 코받침지지부재(5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코받침지지부재(57)는 상하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평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코받침지지부재(57)의 하단에는 지지축 (58)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윗벽(7)에는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8L, 8R)사이에 위치시켜 앞뒤로 연장되는 슬릿(5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59)에는 코받침지지부재(57)의 하단에 돌출하여 설치된 지지축(58)이 끼워 통해져 있다. 또한, 윗벽 (7)의 상하에는 슬릿(59)을 따라 늘어나는 지지판(60, 61)이 배치되고, 지지축(58)은 지지판(60, 61)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지지판(60, 61)사이에는 지지축(58)에 끼워맞춤한 스페이서 통(62)이 개재되고, 지지축(58)의 하단부에는 고정너트(63)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너트(63)는, 지지판(60, 61) 및 스페이서 통(62)을 코받침지지부재(57)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스페이서 통(62)은,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슬릿(59)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통(62)은, 윗벽(7)의 판두께 치수보다도 근소하게 길게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60, 61)은 윗벽(7)의 판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지지축(58)과 지지판(60, 61)은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61)의 용수철 걸어멈춤 돌기부(61a)와 칸막이벽(3a)의 용수철 걸어멈춤 돌기부(3b)와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S)이 개재되어 있고, 코일스프링(S)은 지지판(60, 61) 및 코받침지지부재(57)를 프레임유지판(36)측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칸막이벽(3a)에는, 지지판(61)의 프레임유지판(37)측의 끝단부 (61b)의 위치에 대응시키고, 마이크로스위치(64)가 이동검출수단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스위치(64)는, 코받침지지부재(57) 및 지지판(60, 61)이 프레임유지판(37)측으로 이동되었을 때에, 액츄에이터(64a)가 지지판(61b)에 의해 눌러져서 ON하는 것에 의해, 코받침지지부재(57)의 이동조작을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렌즈누름기구>
또한, 연설 상자체부(4)의 앞벽(4a)에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누름기구(65)가 렌즈누름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누름기구(65)는, 프레임유지판(37)의 위쪽 또는 앞벽(4a)의 좌우의 측부에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 회전축(66L, 66R)을 갖는다. 이 회전축(66L, 66R)은, 앞벽(4a)에서 앞쪽을 향해서 서로 평행하게 돌출하고 있다.
또한, 렌즈누름기구(65)는, 회전축(66L, 66R)에 각각 고정된 L자 형상의 아암(67L, 67R)과, 아암(67L)의 앞끝부분에 장착된 한 쌍의 렌즈누름축(68L){도 19(b) 참조}과, 아암(67R)의 앞끝부분에 장착된 한 쌍의 렌즈누름축(68R){도 19(b) 참조}을 갖는다.
또, 렌즈미터(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한 쌍의 렌즈누름축(68L 및 68R)은 각각 한 개 밖에 보이지 않지만, 도 19(a)의 렌즈미터(1)를 오른쪽에서 보았을 때에 도 19(b)와 같이 렌즈누름축(68R)은 한 쌍 보인다. 이 때, 한 쌍의 렌즈누름축(68L)은 한 쌍의 렌즈누름축(68R)과 겹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의 렌즈누름축(68L)의 부호를 한 쌍의 렌즈누름축(68R)의 부호의 부분으로 기재하여 설명한다. 이 렌즈누름축(68L, 68R)은 앞끝부분이 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누름축(68L, 68R)은 아암(67L, 67R)이 도 1, 도 2와 같이 세워져 있을 때, 앞끝부분이 도 1과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렌즈누름축{68L, 68L(68R, 68R)}은, 아암{67L(67R)}이 도 6과 같이 수평으로 넘어뜨려졌을 때에, 기준 핀인 렌즈받이{17a(28a)}의 축선, 즉 광축 {OL(OR)}의 앞뒤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렌즈누름기구(65)는,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설 상자체부( 4)내에서 회전축(66L, 66R)에 각각 고정된 대략 부채형상의 회전판(69L, 69R)과, 회전판(69L, 69R)의 아래쪽 가장자리부에 연이어 설치된 폭이 좁은 걸어맞춤편 (70L, 70R)과, 회전판(69L, 69R)의 아래쪽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용수철걸어멈춤부 (71L, 71R)와, 용수철걸어멈춤부(71L, 71R)의 아래쪽 방향에 위치하고, 앞벽(4a)에 돌출하여 설치된 용수철걸어멈춤부(72L, 72R)와, 용수철걸어멈춤부(72L, 72R) 사이에 개재된 인장코일스프링(73L)과, 용수철걸어멈춤부(71L, 71R)사이에 개재된 인장코일스프링(73R)을 갖는다.
또한, 렌즈누름기구(65)는, 연설 상자체부(4)내에서 앞벽(4a)의 상부에 장착된 펄스모터 등의 구동모터(74)를 갖는다. 이 구동모터(74)는, 출력축(74a)이 상하방향을 향하고 있는 동시에 출력축(74a)이 연설 상자체부(4)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축(74a)에는 피니언(7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앞벽(4a)에는 구동모터(74)의 아래쪽에 위치시켜서 L자형상의 브라켓(76)이 장착되어 있다. 이 브라켓(76)에는 앞벽(4a)을 따라 상하로 늘어나는 나사(77)의 상단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브라켓(76)에 통 형상의 베어링을 상하를 향하여 고정하여, 이 축받이에 이송나사(77)의 상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상하이동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또한, 베어링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송나사(77)의 상?하단부를 베어링으로 앞벽(4a)에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더라도 좋다.
이 이송나사(77)의 상단부에는 피니언(75)에 맞물리는 기어(78)가 장착되어 있다. 이 이송나사(77)는 연설 상자체부(4)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이 이송나사(77)의 하부의 나사부(77a)에는 승강부재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이 승강부재(79)의 하단부에는 도 7 중 좌우로 늘어나는 플랜지(79a)가 앞벽(4a)을 향해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79a)는, 앞벽(4a)에 대하여 접촉시켜지고 있고, 승강부재(79)의 승강에 의해 앞벽(4a)에 대하여 상하로 미끄럼접촉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79a)상에는 걸어맞춤편(70L, 70R)의 앞끝부분이 인장코일스프링(73L, 73R)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접촉시켜지고 있다.
<제어회로>
상술한 CCD(24)의 출력(측정신호)은 도 5의 연산제어회로(연산제어수단)(80)에 입력되어, 리미트스위치(56) 및 마이크로스위치(64)는 연산제어회로(8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연산제어회로(80)는, LED(12, 13, 25, 26)를 점등제어하여, 구동모터(54 및 74)를 작동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연산제어회로(80)에는 측정개시스위치(Sa)가 접속되어 있다.
[작용]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렌즈미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원투입 전)
이 렌즈미터의 전원을 투입하기 전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52)의 걸어맞춤 돌출부(53)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난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도 8,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유지판(36, 37)은 코일스프링(51)의 장력에 의해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되고, 프레임 유지판(36, 37)의 간격이 최소로 되어 있다. 이 위치일 때, 걸어맞춤핀(48, 49, 50)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배치되고, 걸어맞춤 돌출부(53)는 걸어맞춤핀(50)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근소하게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렌즈미터의 전류를 투입하기 전에는, 코일스프링(73L, 73R)의 장력에 의해, 승강부재(79)가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나사(77)의 나사부 (77a)의 하단부에 위치시켜지고 있다. 이 위치일 때, 회전판(69L, 69R)의 걸어맞춤편(70L, 70R)은, 같은 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73L, 73R)의 장력에 의해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된 상태가 되어 있고, 아암(67L, 67R)은 수평으로 넘어뜨려진 상태가 되어 있다.
(전원투입에 의한 초기화)
이러한 상태로부터 렌즈미터(1)의 전원을 투입하면 연산제어회로(80)는, 코받침지지부재(57)의 이동을 검출하여, 그에 대응하여 구동모터(54)를 작동제어하여 피니언(55)을 회전시켜, 이 피니언(57)의 회전에 의해 기어(52)를 도 8 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이 회전에 따라 기어(52)의 측면에 돌출하여 설치한 걸어맞춤 돌출부(53)는, 회전판(47)의 걸어맞춤 핀(50)에 접촉한 후, 이 걸어맞춤 핀(50)을 도 8 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판(47)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판(47)의 회전에 따라, 걸어맞춤핀(48, 49)이 회전판(47)과 일체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고, 링크판(38, 39)이 코일스프링(51)의 장력에 대항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도 8 중, 링크판(38)은 도시를 생략한 초기위치로부터 오른쪽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변위되고, 링크판(39)은 도시를 생략한 초기위치로부터 왼쪽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변위된다. 링크판(38)이 도 8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변위되면, 이 링크판(38)의 끝단부에 의해 리미트스위치(56)가 ON되고, 이 ON신호가 연산제어회로(80)에 입력된다. 이 연산제어회로(80)는, 리미트스위치(56)로부터의 ON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링크판(38, 39)의 상대변위에 의해, 프레임유지판(36, 37)은 도 8, 도 15(b)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화살표(82, 83)로 나타낸 방향(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변위시켜지고, 프레임유지판 (36, 37)의 간격이 최대로 넓어져서, 측정작업의 대기상태가 된다.
또한, 연산제어회로(80)는, 렌즈미터(1)의 전원투입에 대응하여 도 6, 도 7의 구동모터(74)를 작동시켜서 피니언(75)을 회전시키고, 이 피니언(75)의 회전을 기어(78)를 통해 이송나사(77)로 전달시켜, 승강부재(79)가 도 7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나사(77)의 나사부(77a)의 상단부까지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측정을 시작하기 전에는, 회전판(69L, 69R)의 걸어맞춤편(70L, 70R)이 위쪽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고, 아암(67L, 67R)이 도 1, 도 2와 같이 세워지고, 렌즈누름축(68L, 68R)의 앞끝부분이 도 1과 같이 서로 대향시켜져서 측정작업의 대기상태가 된다.
(안경의 배치 및 보존)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렌즈미터에 의해 안경(5)의 굴절특성 등의 광학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6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5)의 코받침 (NP, NP)을 코받침지지부재(57)의 상단부의 측면에 접촉시키고, 안경(5)을 코받침지지부재(57)에 대하여 프레임유지판(37)측에 누르는 것에 의해, 코받침지지부재 (57)를 도 16(b)의 화살표(8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유지판(37)측에 코일스프링(S)의 용수철힘에 대항하여 이동시키는 동시에, 안경(5)의 안경프레임(MF)을 내려서 프레임유지판(36, 37)사이에 배치한다.
이 때, 코받침지지부재(57)의 이동에 의해, 지지판(60, 61)이 프레임유지판 (37)측에 코받침지지부재(57)와 일체로 이동시켜지면, 마이크로스위치(64)의 액츄에이터(64a)가 지지판(61)의 끝단부(61a)에 의해 눌러져서 ON 시켜진다. 이 ON신호는 연산제어회로(80)에 입력되어, 코받침지지부재(57)의 이동조작이 검출된다.
연산제어회로(80)는, 마이크로스위치(64)로부터의 ON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54)를 소정수의 구동 펄스로 작동제어하여 피니언(55)을 소정회전수만큼 회전시켜, 이 피니언(55)에 의해 기어(52)를 도 8 중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어(52)의 측면에 돌출하여 설치한 걸어맞춤 돌출부(53)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구동모터(54)의 회전은, 걸어맞춤돌출부(53)가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 에 이동할 때까지 회전시킨다. 또, 이 위치를 마이크로스위치나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검출하여, 구동모터(54)를 정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회전판(47)의 걸어맞춤핀(50)은, 코일스프링(51)의 장력에 의해 걸어맞춤부(53)에 추종하여 도 8 중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고, 회전판(47)이 시계회전방향으로 걸어맞춤핀(50)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회전판(47)의 회전에 따라, 걸어맞춤핀(48, 49)이 회전판(47)과 일체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지고, 링크판(38, 39)이 코일스프링(51)의 장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위시켜진다. 이 때, 링크판(38)이 도 8 중 왼쪽으로 변위시켜지고, 링크판(38)과 일체의 프레임유지판(36)이 도 8 중 화살표(8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왼쪽으로 변위시켜지는 동시에, 링크판(39)이 오른쪽으로 변위시켜지고, 링크판(39)과 일체의 프레임유지판(37)이 도 8 중 화살표(8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변위시켜진다.
이에 따라, 프레임유지판(36, 37)은, 도 17(b)에 화살표(84, 8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8(b)과 같이 안경(5)의 안경프레임(MF)을 경사지는 대향면(36a, 37a)사이에서 유지(끼워 지지)한다.
또한, 이와 같이 안경프레임(MF)을 경사지는 대향면(36a, 37a) 사이에서 유지(끼워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리미트스위치(64)가 지지판(61)에서 ON 시켜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프레임(MF)의 렌즈테두리(LF)와 안경렌즈(LL)는 대략 같은 두께이고, 안경프레임(MF)의 렌즈테두리(RF)와 안경렌즈(LR)는 대략 같은 두께이기 때문에, 도 16~도 20에서는 부호 LL을 부호 LF와 같은 부분에 붙이고, 부호 LR을 부호 RF와 같은 부분에 붙여서 설명한다.
(안경프레임의 세트상태의 수정)
다음에, 측정시작스위치(Sa)를 누르면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7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피니언(75)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을 기어(78)를 통해 이송나사(77)로 전달시키고, 이 이송나사(77)에 의해 승강부재(79)를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구동모터(74)의 작동은, 승강부재(79)가 이송나사(77)의 하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행하여진다. 그리고, 승강부재(79)가 이송나사(77)의 하단부에 도달하면 구동모터(74)의 작동이 정지시켜진다. 또, 이러한 작동은, 펄스모터인 구동모터(74)를 소정회전수만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부재(79)의 상하의 이동위치를 마이크로스위치 등의 위치검출수단으로 검출하여, 이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해 구동모터(74)의 작동정지를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승강부재(79)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판(69L, 69R)의 걸어맞춤편(70L, 70R)의 앞끝부분이 승강부재(79)의 플랜지(79a)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회전판(69L)이 코일스프링(73L)의 스프링력으로 도 7중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지는 동시에, 회전판(69R)이 코일스프링(73R)의 스프링력으로 도 7 중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이러한 회전판(69L, 69R)의 회전은 회전축(66L, 66R)을 통해 아암(67L, 67R)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아암(67L) 및 렌즈누름축(68L)이 도 18(a)의 화살표 (86)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 변위시켜지는 동시에, 아암 (67R) 및 렌즈누름축(68R)이 도 18(a)의 화살표(87)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 변위시켜진다. 이와 같이, 렌즈누름축(68L, 68L) 및 (68R, 68R)은 회전하면서 강하하여,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5)의 좌우의 안경렌즈(LL 및 LR)를 앞끝부분에서 렌즈받이축(17a 및 28a) 에 대하여 각각 눌러댄다.
이 때, 안경렌즈(LL, LR)가 렌즈미터의 앞뒤방향에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2개의 렌즈누름축(렌즈누름부재)(68L, 68L)이 렌즈받이축(17a)의 축선(광축 OL과 일치)의 양측을 눌러대고, 2개의 렌즈누름축(68R, 68R)은 렌즈받이축(28a)의 축선(광축 OR와 일치)의 양쪽을 눌러대기 때문에, 안경렌즈(LL, LR)의 수평방향의 경사가 수정된 위치에서, 안경프레임(MF)이 프레임유지판(36, 37)의 경사지는 대향면(36a, 37a)사이에서 정확히 유지되게 된다. 이 때, 렌즈누름축(68L, 68L)에 의한 안경렌즈(LL, LR)의 눌러대는 힘은,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힘만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이후,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74)를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승강부재(79)를 상승시켜, 이 승강부재(79)에 의해 걸어맞춤편(70L, 70R)의 앞끝부분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판(69L, 69R)을 코일스프링(73L, 73R)의 스프링힘에 대항하여 상기와는 반대로 회전시켜서, 아암(67L, 67R)을 도 20에 화살표(88, 8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방향을 향하는 위치까지 수직으로 회전시킨다. 이 위치에서는, 아암(67L, 67R)을 도 20에 화살표(88, 8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하는 위치까지 수직으로 회전시킨다. 이 위치에서 는, 아암(67L, 67R)에 장착된 렌즈누름축(68L, 68R)이 허트만 플레이트(17, 28)의 위쪽에서 좌우로 퇴피하기 때문에, 렌즈누름축(68L, 68R)이 측정광속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굴절특성의 측정)
<안경렌즈 LL의 굴절특성측정>
이 상태에서 연산제어회로(80)는, 측정광학계(9L)의 LED(12, 13)를 순서대로 점등시켜서, 안경렌즈(LL)의 측정을 실행시킨다. 이 때, LED(12)로부터의 측정광속은, 색선별거울(14L) 및 전반사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메이트 렌즈(16)에 의해 평행광속이 되어 안경렌즈(LL)에 투광된다.
안경렌즈(LL)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17)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이 되어,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18)의 표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 (18)의 표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16), 반사미러(19, 20, 2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통해 CCD(24)에 안내된다. 이 때, CCD (24)상에 패턴판(17)의 패턴상을 결상(結像)시킨다.
또한, LED(13)로부터의 측정광속은, 색선별거울(14L)를 투과하여 전반사미러 (15)로 반사한 후, 콜리메이트 렌즈(16)에서 평행광속이 되어 안경렌즈(LL)에 투광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LL)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17)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이 되어,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18)의 표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18)의 상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18)의 상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18), 반사미러(19, 20, 2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통하여 CCD(24)에 안내된다. 이 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판(17)의 패턴상을 결상시킨다.
그리고, 연산제어회로(80)는, CCD(24)에 결상된 패턴상의 상태로부터 안경렌즈(LL)의 각 부의 굴절특성을 측정하여, 안경렌즈(LL)의 각 부의 굴절특성을 측정하고, 안경렌즈(LL)의 각 부의 굴절특성의 매핑(mapping) 데이터를 구한다. 이 굴절특성으로서는, 구면도수(S), 원주도수(C), 원주축각도(A) 등이 있다.
<안경렌즈(LR)의 굴절특성측정>
한편, 연산제어회로(80)는, 측정광학계(9R)의 LED(25, 26)를 순서대로 점등시켜서, 안경렌즈(LR)의 측정을 한다. 이 때, LED(25)로부터의 측정광속은, 색선별거울(14R) 및 전반사(全反射)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메이트 렌즈(27)에 의해 평행광속이 되어 안경렌즈(LR)에 투광된다. 이에 따라, 안경렌즈(LR)를 투과한 측정광속은, 패턴판(28)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이 되어,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29)의 표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29), 반사미러(30, 3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통해 CCD(24)에 안내된다. 이 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판(28)의 패턴상을 결상시킨다.
또한. LED(26)로부터의 측정광속은, 색선별거울(14R) 및 전반사 미러(15)로 반사한 후, 콜리메이트 렌즈(27)에 의해 평행광속이 되어 안경렌즈(LR)에 투광된다. 그에 따라, 안경렌즈(LR)를 투광한 측정광속은, 패턴판(28)을 투과하여 다수의 측정광속이 되고, 이 다수의 측정광속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다. 이 필드렌즈(29)의 상면에 투영된 다수의 측정광속은, 필드렌즈(29), 반사미러(30, 31), 광로합성 프리즘(22) 및 결상렌즈(23)를 통해 CCD(24)로 안내된다. 이 때, 결상렌즈(23)는, CCD(24)상에 패턴(28)의 패턴상을 결상시킨다.
그리고, 연산제어회로(80)는, CCD(24)에 결상된 패턴상의 상태로부터 안경렌즈(LR)의 각 부의 굴절특성을 측정하여, 안경렌즈(LR)의 각 부의 굴절특성의 매핑 데이터를 구한다. 이 굴절특성으로서는, 구면도수(S), 원주도수(C), 원주축각도 (A) 등이 있다.
또한, 연산제어회로(80)는, 이와 같이 하여 구한 안경렌즈(LL, LR)의 굴절특성(광학특성)을 도시하지 않는 것 이외의 안과장치에 송신수단(네트워크나 케이블, 무선)을 통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렌즈미터의 상부 상자체(2)의 정면에 액정표시부(표시수단)을 설치하고, 이 액정표시기에 측정한 안경렌즈(LL, LR)의 굴절특성의 매핑표시를 행하게 하더라도 좋다.
{안경(5)의 떼어냄}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측정이 행하여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안경프레임(MF)은 코일스프링(51)의 용수철힘에 의해 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어 있을 뿐이다. 따라서, 프레임유지판(36, 37)을 앞쪽으로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링크판(38)이 코일스프링(51)의 용수철힘에 대항하여 도 8 중 왼쪽으로 이동시켜져서, 회전판(47)이 링크판(38)과 걸어맞춤핀(48)을 통하여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이동시켜진다. 한편, 이 회전에 의해 링크판(39)이 걸어맞춤핀(49)을 통하여 도 8 중 왼쪽으로 이동시켜지고 프레임유지판(37)이 프레임유지판(36)으로부터 이반( 離反)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유지판(36)을 앞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프레임유지판(36, 37)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측정기에 안경(5)을 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서 떼어내는 경우에는, 프레임유지판(36)을 앞쪽으로 잡아당겨서, 프레임유지판(36, 37)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안경(5)을 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서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이 떼어냄에 의하여, 코받침지지부재(57)가 코일스프링(S)의 용수철힘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고, 마이크로스위치(64)가 OFF하고, 이 OFF신호가 연산제어회로(8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연산제어회로(80)는, 구동모터(5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작동제어하여 피니언(55)을 회전시켜, 이 피니언(55)에 의해 기어(52)를 도 8 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따라 기어(52)의 측면에 돌출하여 설치한 걸어맞춤 돌출부(53)는, 회전판(47)의 걸어맞춤핀(50)에 접촉한 후, 이 걸어맞춤핀(50)을 도 8 중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판(47)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판(47)의 회전에 따라, 걸어맞춤핀(48, 49)이 회전판(47)과 일체로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지고, 링크판(38, 39)이 코일스프링(51)의 장력에 대항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변위시켜진다. 즉, 도 8 중, 링크판(38)은 도시를 생략한 위치로부터 오른쪽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변위시켜지고, 링크판(39)은 도시를 생략한 위치로부터 왼쪽에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변위시켜진다. 이 링크판(38)이 도 8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변위시켜지 면, 이 ON신호가 연산제어회로(80)에 입력된다. 이 연산제어회로(80)는, 리미트 스위치(56)로부터 ON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5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링크판(38, 39)의 상대변위에 의해, 프레임유지판(36, 37)이 도 8, 도 15(b)중,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화살표(82, 83)로 나타낸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고, 프레임유지판(36, 37)의 간격이 최대로 넓어져, 다음 측정에 준비하는 상태가 된다.
(기타)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54, 74)에 펄스모터를 사용하고, 구동모터(54, 74)를 소정수의 구동펄스로 소정회전수만큼 회전 제어시키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구동모터(54, 74)에 DC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유지판(36, 37)을 링크판(38, 39), 걸어맞춤핀(48, 49) 및 회전판(47)을 통해 연달아 이동시킴으로써, 프레임유지판(36, 37)끼리의 상대접근?상대이반의 동기(同期)를 꾀하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각 프레임유지판(36, 37)을 에어실린더 및 에어회로를 사용하여 서로 접근?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프레임유지판(36, 37)끼리의 상대접근?상대이반의 동기를 꾀할 수 있으면 다른 구성을 채용하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굴절특성 측정방법에서는, 안경(5)의 좌우의 안경렌즈(LL, LR)를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9L, 9R)의 광로도중의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로 각각의 점에서 지지시켜서, 상기 안경프레임(MF)을 앞뒤방향으로부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로 유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안경렌즈(LL, LR)를 렌즈누름부재 {렌즈누름축(68L, 68R)}로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대하여 눌러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에 의한 상기 안경프레임(MF)의 유지상태를 수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더구나, 보정 후는 상기 렌즈누름부재{렌즈누름축(68L, 68R)}를 상기 측정광학계(9L, 9R)의 측정광로로부터 퇴피시켜서, 상기 안경렌즈(LL, LR)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의 주위의 측정광속을 상기 측정광학계(9L, 9R)의 수광소자{CCD(24)}에 수광시켜서, 상기 수광소자{CCD(24)}로부터의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안경렌즈(LL, LR)의 광학특성을 연산제어회로(80)에 의해 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측정광학계(9L, 9R)는 수광소자{CCD(24)}를 공용하고 있지만, 수광소자는 측정광학계(9L, 9R)마다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굴절특성 측정방법에 의하면, 상기 안경렌즈(LL, LR)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의 주위의 측정광속이 렌즈누름부재{렌즈누름축(68L, 68R)}나 아암(67L, 67R)에 의해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패턴판(17, 28)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광속을 사용하여 안경렌즈의 다수의 개소의 굴절특성의 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렌즈미터는, 안경(5)의 좌우의 안경렌즈(LL, LR)를 점에서 지지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렌즈받이 렌즈받이축(17a, 28a)와,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안경렌즈(LL, LR)가 지지된 안경(5)의 안경프레임(MF)을 앞뒤방향으로부터 끼워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와,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지지된 안경렌즈(LL, LR)에 대하여 진퇴하고 상기 안경렌즈(LL, LR)를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대하여 눌러 지지하는 렌즈누름부재{렌즈누름축(68L, 68R)}와, 상기 한 쌍의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얹혀 놓여지는 안경렌즈(LL, LR)의 굴절특성을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의 주위의 측정광속에 의해 각각 측정 가능한 좌우 한쌍의 측정광학계(9L, 9R)와, 상기 측정광학계(9L, 9R)의 수광소자{CCD(24)}로부터의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안경렌즈(LL, LR)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연산제어회로(8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측정광학계(9L, 9R)는 수광소자{CCD(24)}를 공용하고 있지만, 수광소자는 측정광학계(9L, 9R)마다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 렌즈미터의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은, 상기 안경렌즈(LL, LR)를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대하여 눌러지는 누름위치와, 상기 누름위치 및 상기 측정광학계의 광로로부터 퇴피한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안경렌즈(LL, LR)를 지지시킨 안경(5)의 안경프레임(MF)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로 유지되는 동시에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이 퇴피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연산제어회로(80)는 상기 수광소자{CCD(24)}로부터의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측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렌즈미터에 의하면, 상기 안경렌즈(LL, LR)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의 주위의 측정광속이 렌즈누름부재{렌 즈누름축(68L, 68R)}나 아암(67, 67)에 의해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패턴판(17, 28)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광속을 사용하여 안경렌즈의 다수의 개소의 굴절특성의 측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렌즈미터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의 대향면(36a, 37a)은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져서 테이퍼형상이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경프레임(MF)을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의 대향면(36a, 37a)으로 유지(끼워 지지)시켰을 때, 안경프레임 (MF)이 대향면(36a, 37a)의 경사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져서, 안경프레임(MF)의 안경렌즈(LL, LR)가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눌러지게 된다. 따라서, 안경프레임(MF)이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사이로부터 빠지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렌즈미터에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 {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는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에 얹혀 놓여지는 안경렌즈(LL, LR)의 안경프레임(MF)을 검출하는 프레임검출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을 유지부재 구동수단{구동모터(54)}에 의해 상대 접근?이반시키는 프레임유지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을 상기 누름위치와 상기 퇴피위치에 이동시키는 누름부재 구동수단{(구동모터(7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산제어회로(80)는, 프레임검출수단으로부터의 프레임검출신호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유지기구의 유지부재 구동수단{구동모터(54)}을 작동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 재{프레임유지판(36, 37)}을 서로 접근시켜서, 상기 안경프레임(MF)을 상기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서 유지시킨 후, 상기 누름부재 구동수단{구동모터(74)}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을 상기 누름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안경렌즈(LL, LR)를 렌즈누름 {렌즈누름 축(68L, 68R)}으로 일단 누르고, 다음에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을 누름위치에서 퇴피위치까지 이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안경프레임(MF)이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 {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 배치되면, 이 안경프레임(MF)이 프레임검출수단으로 검출된다. 그리고, 연산제어회로(80)는, 이 프레임 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검출신호에 따라서 유지부재 구동수단{구동모터(54)}를 작동제어하는 것에 의해, 안경프레임(MF)을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유지(끼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산제어회로(80)는, 누름부재 구동수단{구동모터(74)}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을 상기 누름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안경렌즈(LL, LR)를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으로 일단 누르게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유지부재{프레임유지판(36, 37)} 사이에 끼워 지지된 안경프레임(MF) 및 안경렌즈(LL, LR)의 자세가 경사지고 있더라도, 이 경사를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수정 후에는,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을 누름위치에서 퇴피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더구나, 상기 렌즈누름{렌즈누름축(68L, 68R)}을 누름위치에서 퇴피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굴절특성을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경렌즈(LL, LR)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렌즈받이축(17a, 28a)}의 주위의 측정광속이 렌즈누름부재{렌즈누름축(68L, 68R)}나 아암(67L, 67R)에 의해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측정광속을 사용하여 안경렌즈의 다수의 개소의 굴절특성의 측정을 정확히 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렌즈미터에서는, 상기 프레임검출수단이,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의 중앙에 배치되고 또한 앞뒤로 이동 가능한 코받침지지부재 (57)와, 상기 코받침지지부재(57)를 앞쪽에 힘을 가하는 수단{코일스프링(S)}과, 코받침지지부재(57)가 뒤쪽으로 이동시켜졌을 때에 이 이동을 검출하는 스위치{마이크로스위치(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안경프레임(MF)의 좌우의 안경렌즈(LL, LR)를 코받침지지부재(57)에 의해 좌우의 측정광학계(9L, 9R)의 측정광로에 정확히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코받침지지부재(57)를 사용하여 안경프레임(MF)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코받침지지부재(57)는 앞뒤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사용하였지만, 상하로 승강하도록 구성한 코받침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안경프레임(MF)의 위치결정과 안경프레임(MF)의 검출을 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청구항 1, 2의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렌즈누름에 의하여 측정광속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의 대향면이 아래쪽 을 향하여 경사지고 테이퍼 형상이 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프레임을 프레임유지부재의 대향면에서 유지(끼워 지지)시켰을 때, 안경프레임이 대향면의 경사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러져서, 안경프레임의 안경렌즈가 렌즈받이에 눌러지게 된다. 따라서, 안경프레임이 프레임유지부재로부터 빠지는 것과 같은 일은 없다.
또한, 연산제어회로(80)는, 프레임검출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검출신호를 따라서 유지부재 구동수단을 작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안경 프레임을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유지(끼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산제어회로는, 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제어하여 상기 렌즈누름을 상기 누름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안경을 렌즈누름으로 일단 누르게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유지부재 사이에 협지된 안경 프레임 및 안경렌즈의 자세가 경사지고 있더라도, 이 경사를 자동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정 후에는, 상기 렌즈누름을 누름위치에서 퇴피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다. 더구나, 상기 렌즈누름을 누름위치에서 퇴피위치까지 이동시킨 상태에서 굴절측정을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안경렌즈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의 주위의 측정광속이 렌즈누름부재에 의해 저해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측정광속을 사용하여 안경렌즈의 다수의 개소의 굴절특성의 측정을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 검출수단이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의 중앙에 배치되고 또한 앞뒤로 이동 가능한 코받침지지부재와, 상기 코받침지지부재를 앞쪽에 힘을 가하는 수단과, 상기 코받침지지부재가 뒤쪽에 이동시켜졌 을 때에 이 이동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안경프레임의 좌우의 안경렌즈를 코받침지지부재에 의해 좌우의 측정광학계의 측정광로에 정확히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코받침지지부재를 사용하여 안경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다.

Claims (6)

  1. 안경의 좌우의 안경렌즈를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의 광로의 도중의 렌즈받이에 의해 각각의 점에서 지지하고, 상기 안경렌즈의 안경프레임을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에 의해서 앞뒤방향으로부터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측정광학계의 측정광로에 진출시킨 렌즈누름부재에 의해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눌러 상기 프레임유지부재에 의한 상기 안경프레임의 유지상태를 수정하고,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측정광학계의 상기 광로로부터 퇴피시키고,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광로로부터 퇴피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경렌즈를 투과하는 상기 렌즈받이의 주위의 측정광속을 상기 측정광학계에 의해 측정하여, 상기 측정광학계로부터의 측정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연산제어회로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2. 안경의 좌우의 안경렌즈를 각각 점에서 지지 가능한 좌우 한 쌍의 렌즈받이와, 상기 렌즈받이에 상기 안경렌즈가 지지된 상기 안경의 안경프레임을 앞뒤방향으로부터 끼움이 가능한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와, 상기 렌즈받이에 지지된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누르기 위한 렌즈누름부재와, 상기 렌즈받이에 지지된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상기 렌즈받이의 주위를 통과하는 측정광속에 따라서 측정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와, 상기 측정광학계를 제어하여 상기 측정을 실행시킴과 동시에, 상기 측정광학계로부터의 측정신호를 기초로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구하는 연산제어회로를 구비하는 렌즈미터로서,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측정광학계의 측정광로에 진출시키고,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누르는 누름위치와 해당 누름위치로부터 퇴피된 퇴피위치에 이동시키는 누름부재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렌즈누름이 상기 누름부재 구동수단에 의해서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측정광학계를 제어하여 상기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의 측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의 대향면은, 각각 아래쪽으로 향하여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받이에 지지되는 상기 안경렌즈의 상기 안경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프레임검출수단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부재를 구동하여 상대 접근?이반시키기 위한 유지부재구동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연산제어회로는,
    상기 프레임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프레임이 검출된 것에 대응하여 상기 유지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제어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프레임유지 부재를 서로 접근시켜 상기 안경프레임을 유지시키고,
    상기 누름부재 구동수단을 작동제어함으로써, 상기 렌즈누름부재를 상기 누름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안경렌즈를 상기 렌즈받이에 대하여 누른 후, 상기 렌즈 누름부재를 상기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검출수단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정광학계의 중간에 배치되고 또한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안경의 코받침을 지지하기 위한 코받침지지부재와, 상기 코받침지지부재를 앞쪽으로 힘을 가하는 수단과, 상기 코받침지지부재가 상기 힘을 가하는 수단에 의한 상기 힘에 대항하여 뒤쪽으로 이동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6. 삭제
KR1020030046659A 2002-07-11 2003-07-10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및 렌즈미터 KR101142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2839A JP3827619B2 (ja) 2002-07-11 2002-07-11 眼鏡レンズの光学特性測定方法及びレンズメータ
JPJP-P-2002-00202839 2002-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299A KR20040007299A (ko) 2004-01-24
KR101142602B1 true KR101142602B1 (ko) 2012-05-10

Family

ID=2977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659A KR101142602B1 (ko) 2002-07-11 2003-07-10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및 렌즈미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47441B2 (ko)
EP (1) EP1382954A3 (ko)
JP (1) JP3827619B2 (ko)
KR (1) KR101142602B1 (ko)
CN (1) CN10042519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542B2 (en) * 1998-06-30 2002-12-31 Lj Laborator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DE102006059190B4 (de) * 2006-12-15 2009-09-10 Vistec Semiconductor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Wafer-Inspektion
BRPI0720499A2 (pt) * 2006-12-21 2014-02-0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Cubeta para lente oftálmica
WO2012019263A1 (pt) * 2010-08-13 2012-02-16 Luiz Eduardo Azambuja Sauerbronn Dispositivos e processos para análise de lentes
KR101816932B1 (ko) * 2010-09-30 2018-01-09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렌즈미터
FR2974424B1 (fr) * 2011-04-21 2013-09-13 Essilor Int Support de lentille ophtalmique
BR112015024512B1 (pt) 2013-05-02 2022-02-22 Carl Zeiss Ag Método e sistema para determinar a estrutura espacial de um objeto, método para determinar o efeito óptico dependente de localização e direção de um objeto e uso de um sistema
DE102013208090B4 (de) * 2013-05-02 2020-09-03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Brillenglas-Qualitätskontrolle sowie Computerprogramm
CN103471816A (zh) * 2013-09-24 2013-12-25 上海理工大学 一种多光轴测量渐变焦眼镜的方法
CN105738076A (zh) * 2015-05-25 2016-07-06 崔英奎 两孔一托式电脑焦度计
CN104889076B (zh) * 2015-05-30 2017-06-20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3d眼镜集中测试装置
CN106840611A (zh) * 2017-02-07 2017-06-13 长沙青波光电科技有限公司 简易评判光学系统优劣的方法
WO2020081871A1 (en) * 2018-10-18 2020-04-23 Jand, Inc. Fixtureless lensmeter system
CN112326209B (zh) * 2020-11-26 2022-08-19 李妍 一种眼镜片光学质量测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7793B1 (de) * 1979-04-06 1983-02-09 Feldmühle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einer nichtgestrichenen Papierbahn im Rotationstiefdruckverfahren
US20020085196A1 (en) * 2000-12-28 2002-07-04 Kabushiki Kaisha Topcon Lens me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002A (en) * 1977-06-13 1978-07-04 Humphrey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for locating inter-pupilary of nose bridge mounted spectacles to lens meter
US4212538A (en) * 1978-11-29 1980-07-15 Esmond William G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rescription glasses and other dual lenses optical devices
US4410267A (en) * 1980-02-26 1983-10-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Hand-held lens meter
JPS6190035A (ja) * 1984-10-11 1986-05-08 Tokyo Optical Co Ltd レンズメ−タ−の自動印点装置
JP3029054B2 (ja) * 1991-02-28 2000-04-04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
IL107605A (en) * 1992-12-21 1998-01-0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 Lens test system
JP3653925B2 (ja) * 1996-04-10 2005-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の検査方法、検査装置
IL126694A (en) * 1998-10-21 2003-04-10 Visionix Ltd Holding assembly for lens measuring device
JP3810784B2 (ja) * 2000-12-28 2006-08-16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
JP3810666B2 (ja) * 2000-12-28 2006-08-16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
JP3775579B2 (ja) * 2000-12-28 2006-05-17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
JP4646014B2 (ja) * 2001-08-09 2011-03-09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
JP5362159B2 (ja) * 2001-09-04 2013-12-11 株式会社ニデック レンズメ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7793B1 (de) * 1979-04-06 1983-02-09 Feldmühle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einer nichtgestrichenen Papierbahn im Rotationstiefdruckverfahren
US20020085196A1 (en) * 2000-12-28 2002-07-04 Kabushiki Kaisha Topcon Lens 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5204A (ja) 2004-02-12
KR20040007299A (ko) 2004-01-24
CN1512158A (zh) 2004-07-14
EP1382954A2 (en) 2004-01-21
US6847441B2 (en) 2005-01-25
CN100425196C (zh) 2008-10-15
JP3827619B2 (ja) 2006-09-27
EP1382954A3 (en) 2008-01-23
US20040061847A1 (en)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602B1 (ko)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측정방법 및 렌즈미터
TWI827566B (zh) 光學設備對準方法
KR100647964B1 (ko) 렌즈의 굴절특성 측정장치
CN111766047B (zh) 一种模拟人眼的激光显示视觉散斑检测装置
CN212410025U (zh) 一种模拟视觉感知的激光显示散斑测量装置
CN103492123A (zh) 眼镜片固持器
JP3810784B2 (ja) レンズメータ
US5296914A (en) Electro-optical measurement and focusing apparatus
JP2002257680A (ja) レンズメータ
JP4473002B2 (ja) 眼鏡レンズの光学特性測定方法及びレンズメータ
JP3810666B2 (ja) レンズメータ
US3439987A (en) Arrangement for measuring of angles,especially for measuring the angular position of wheels of a motor vehicle
KR101383211B1 (ko) 3d 직교리그용 하프미러 품질평가장치
JP4357974B2 (ja) レンズメータ
CN115153421B (zh) 一种一体式验光光路系统以及验光设备
US1977446A (en) Segment locator for bifocal lenses
CN218925162U (zh) 一种用于智能头戴显示眼镜的显示系统定中心设备
JP7225645B2 (ja) カップ取付装置
KR100876154B1 (ko) 렌즈 주광선 출사각 측정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JP2006337580A (ja) 色合成光学装置の製造装置
JP2003194670A (ja) レンズメータ
KR100873310B1 (ko) 평판 표시패널 검사장비의 검사장치
JP2020008601A (ja) 眼鏡測定システム及び眼鏡測定プログラム
KR101370813B1 (ko) 광학모듈, 반사판모듈, 광원모듈 및 이를 구비한 수평측정장치
RU20378U1 (ru) Интерферометр для контроля опт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