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10B1 -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10B1
KR101142410B1 KR1020107016344A KR20107016344A KR101142410B1 KR 101142410 B1 KR101142410 B1 KR 101142410B1 KR 1020107016344 A KR1020107016344 A KR 1020107016344A KR 20107016344 A KR20107016344 A KR 20107016344A KR 101142410 B1 KR101142410 B1 KR 10114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housing
detected
mode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747A (ko
Inventor
나오키 마츠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9Power saving in cursor control device, e.g. mouse, joystick, track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패널의 로킹 또는 언로킹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휴대단말은 제1하우징,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상에 제공된 터치패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토대로, 복수의 가능성 있는 형태 중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형태검출부(S01, S08, S09),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S04), 및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존재/부존재 및 상기 검출된 형태를 토대로 로크 모드 및 언로크 모드간에 입력 모드를 절환시키기 위한 모드절환부(S05, S0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패널이 제공된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저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터치패널이 제공된 휴대전화기가 출현하였다. 이 휴대전화기는 예컨대 소지하고 있는 동안 터치패널이 외부 물체와 접촉하게 될 때 오동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스위치에 의해 터치패널을 잠그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하지만, 이 기술은 터치패널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를 턴 온시켜야 하므로, 조작들이 복잡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2-268776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패널의 언로킹(unlocking) 조작이 용이한 휴대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패널의 로킹(locking) 조작이 용이한 휴대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제1하우징;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 상에 제공된 터치패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토대로, 복수의 가능성 있는 형태 중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형태검출수단;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수단; 및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효화하는 로크모드(lock mode)인 상태에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에,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유효화하는 언로크모드(unlock mode)로 상기 입력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입력모드가 로크모드인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에 터치패널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다면, 상기 입력모드가 언로크모드로 절환된다. 이는 예컨대 상기 터치패널을 터치하는 동안 휴대단말의 형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입력모드를 언로크모드로 절환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상기 터치패널의 언로킹 조작이 용이한 휴대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제1형태에서 제2형태로 변화하고,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가 아닌 제3형태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시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력모드는 상기 제3형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존재/부존재를 토대로 절환된다. 이는 상기 형태를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 변화시켜 입력모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후의 시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력모드는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의 변화가 검출된 직후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존재/부존재를 토대로 절환된다. 이는 터치패널을 터치하면서, 또는 터치없이 상기 형태를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 변화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입력모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제3형태로부터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기 이전의 시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력모드는 상기 제3형태로부터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의 변화가 검출되기 전에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존재/부존재를 토대로 절환된다. 이는 터치패널을 터치하면서, 또는 터치없이 상기 형태를 상기 제3형태로부터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 변화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입력모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터치패널이 구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상기 터치패널이 상기 제3형태로 구동되어,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제1하우징;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 상에 제공된 터치패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토대로, 복수의 가능성 있는 형태 중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형태검출수단;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수단; 및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유효화하는 언로크모드(unlock mode)인 상태에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에,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효화하는 로크모드(lock mode)로 상기 입력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입력모드가 언로크모드인 상태에서,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에 터치패널로부터 신호가 출력되고 있지 않다면, 상기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절환된다. 이는 예컨대 상기 터치패널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휴대단말의 형태를 변경하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입력모드를 로크모드로 절환시킬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상기 터치패널의 로킹 조작이 용이한 휴대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제1형태에서 제2형태로 변화하고,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제1형태나 상기 제2형태도 아닌 제3형태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시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후의 시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제3형태로부터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기 이전의 시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부터 상기 제3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터치패널이 구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널의 언로킹 및 로킹 조작이 용이한 휴대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본 형태의 휴대단말의 사시도;
도 2는 열린 형태의 휴대단말의 사시도;
도 3은 중간 형태의 휴대단말의 사시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5는 휴대단말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6은 모드절환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 및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모드 절환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명칭과 기능을 갖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도 1은 기본 형태의 휴대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열린 형태의 휴대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중간 형태의 휴대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1)은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41)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41)은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기본 형태에서는, 휴대단말(1)이 근사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제1하우징(40)이 제2하우징(41) 위에 놓여 있다. 제1하우징(40)은, 제2하우징(41)을 향하고 있는 그 타측면에 대향하는 그 표면 상에 액정디스플레이(LCD)(16) 및 LCD(16) 위에 놓인 터치패널(25A)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41)은 제1하우징(40)을 향하고 있는 그 표면 상에, 풀키보드를 구성하는 조작키(25B)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본 형태(즉, 제1형태)의 휴대단말(1)에서는, 제1하우징(40)을 향하고 있는 제2하우징(41)의 표면이 제1하우징(40)에 의해 커버되어, 조작키(25B)가 감춰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1)이 기본 형태에 있는 동안 조작키(25B)를 조작할 수 없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1하우징(40)의 표면 상에 제공된 터치패널(25A)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터치패널(25A)을 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열린 형태(즉, 제2형태)의 휴대단말(1)에서는, 제1하우징(40)을 향하고 있는 제2하우징(41)의 표면이 부분적으로 외부에 노출된다. 이는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키(25B)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한편으로, 터치패널(25A)은 기본 형태의 경우에서와 같이 열린 형태로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로부터 터치패널(25A)을 터치하게끔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 형태(즉, 제3형태)는 기본 형태도 아니고 열린 형태도 아닌 형태에 상응한다. 휴대단말(1)이 기본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 있는 상태로부터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41)이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우, 휴대단말(1)은 중간 형태를 취한다. 휴대단말(1)이 중간 형태로 있는 상태로부터 제1하우징(40) 및 제2하우징(41)이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경우, 휴대단말(1)은 기본 형태 또는 열린 형태를 취한다. 상기 중간 형태는 복수의 형태를 포함하지만, 그들 중 한 가지가 예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1)은, 휴대단말(1)의 전체 제어를 책임지는 CPU(21); 안테나(22A)에 연결되는 무선회로(22); 사용자 조작의 입력을 받는 조작부(25); GPS 센서(26); 카드 인터페이스(I/F)(27);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부(28); 코덱부(28)에 연결되는 스피커(11)와 마이크로폰(13); LCD(16)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제어부(30); CPU(21) 및 기타기기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31); CPU(21)용 작업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32);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를 포함한다.
무선회로(22)에는 안테나(22A)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가 공급된다. 무선회로(22)는 무선신호를 복조하고, 그것을 CPU(21)에 출력한다. 복조된 무선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CPU(21)가 오디오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무선회로(22)가 CPU(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무선신호를 안테나(22A)에 출력한다. 코덱부(28)로부터 오디오 신호 수신 시, CPU(21)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회로(22)에 출력한다.
코덱부(28)는 CPU(2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이를 증폭시켜, 결과적인 신호를 수신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피커(11)에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코덱부(28)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코딩하여, 상기 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CPU(21)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제어부(30)는 CPU(21)에 의해 제어된다. 디스플레이제어부(30)는 CPU(21)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 LCD(16)를 제어하여, LCD(16)가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LCD(16) 상에 표시된 이미지는 이동 및 정지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조작부(25)는 터치패널(25A) 및 조작키(25B)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패널면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패널(25A)은 손가락 등으로 터치된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터치패널은 검출된 위치를 CPU(21)에 출력한다. 버튼 등이 LCD(16) 상에 표시되는 경우, 터치패널(25A)은 각각의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들 중 어떤 것이 눌렸는 지를 검출하여, CPU(21)가 각종 조작들을 받아들이도록 할 수도 있다.
조작키(25B)는 글자숫자(alphanumeric), 카나(kana), 카타카나(katakana) 및 기타 부호들로 할당된 복수의 키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키를 누르면, 조작키(25B)는 상기 누른 키에 할당된 글자숫자, 카나, 카타카나 및 기타 부호들을 CPU(21)에 출력한다. 조작부(25)는 또한 커서 및 선택을 이동시키기 위한 다기능키를 포함한다. 다기능키를 누르면, 조작키(25B)가 상기 누른 키에 할당된 지령을 CPU(21)에 출력한다.
CPU(21)는, 조작키(25B)로부터의 조작 수신 시, 입력 조작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 CPU(21)는 EEPROM(31)에 저장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을 독출 및 실행한다. 이들 응용프로그램은 C 또는 JAVA(등록상표)와 같은 프로그램 언어로 기록되지만, 응용프로그램들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언어들이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하한의 프로그램 언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EEPROM(31)에 저장되어 휴대단말(1) 안에 로딩되지만, 복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이 단일 프로그램 언어에 기록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프로그램 언어들로 기록될 수도 있다. 즉, 상이한 프로그램 언어들로 기록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이 있을 수도 있다.
폐쇄-형태 스위치(34)는 휴대단말(1)이 기본 형태에 있을 때 ON 되고, 기본 형태에 있지 않을 때에 OFF 된다. 개방-형태 스위치(35)는 휴대단말(1)이 열린 형태에 있을 때 ON 되고, 열린 형태에 있지 않을 때에 OFF 된다. 개방-형태 스위치(35) 및 폐쇄-형태 스위치(34)는 CPU(21)에 연결되고, CPU(21)는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의 상태들을 검출하여 휴대단말(1)의 형태를 검출한다.
GPS 센서(26)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GPS 위성으로부터 무선파를 수신하여, 지도 상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GPS 센서(26)는 지도 상에 획득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CPU(21)에 출력한다.
카드 I/F(27)에는 제거가능한 플래시메모리(27A)가 장착된다. CPU(21)는 카드 I/F(27)를 통해 플래시메모리(27A)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는 CPU(21)가 실행할 프로그램이 EEPROM(31)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상기 프로그램은 플래시메모리(27A)에 저장될 수도 있고, CPU(21)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플래시메모리(27A)로부터 독출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가 플래시메모리(27A)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플렉시블 디스크, 카셋트 테잎, 광학디스크(컴팩트 디스크-ROM(CD-ROM), 자기광학디스크(MO), 미니디스크(MD), 디지털다기능디스크(DVD)), IC 카드(메모리카드 포함), 광학 카드, 또는 마스크 ROM, EPROM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휴대단말(1)이 무선회로(22)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도 있고, CPU(21)에 의해 실행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다운로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은 CPU(21)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소스 프로그램, 압축 프로그램, 암호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있는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도 5는 휴대단말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CPU(21)는 휴대단말(1)의 형태를 검출하는 형태검출부(45);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46); 휴대단말(1)의 조작모드를 절환하는 모드절환부(47); 처리를 행하는 처리실행부(48); 및 터치패널(25A)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49)를 포함한다.
형태검출부(45)는 휴대단말(1)의 형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페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의 상태들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일 때 휴대단말(1)이 기본 형태에 있는 지를 검출하고,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일 때 휴대단말(1)이 열린 형태에 있는 지를 검출하며,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가 모두 OFF일 때 휴대단말(1)이 중간 형태에 있는 지를 검출한다. 형태검출부(45)는 상기 검출된 형태를 모드절환부(47) 및 구동제어부(49)에 출력한다.
신호수신부(46)는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46)는 수신된 신호를 모드절환부(47) 및 처리실행부(48)에 출력한다.
모드절환부(47)는 형태검출부(45)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 및 신호수신부(46)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존재/부존재를 토대로 입력모드를 절환시킨다. 상기 입력모드는 터치패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효화하기 위한 로크모드; 및 터치패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유효화하기 위한 언로크모드를 포함한다. 모드절환부(47)는 입력모드를 로크모드와 언로크모드 간에 절환시킨다. 모드절환부(47)는 입력모드를 처리실행부(48)와 구동제어부(49)에 출력한다.
처리실행부(48)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처리실행부(48)는 모드절환부(48)로부터 입력되는 입력모드에 따라 신호수신부(4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처리실행부(48)는 입력모드가 언로크모드인 경우 신호수신부(4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입력모드가 로크모드인 경우에는 신호수신부(4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신호수신부(4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처리실행부(48)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결정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동제어부(49)는 터치패널(25A)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패널(25A)에 전력을 공급할 지의 여부를 절환시킨다. 전력이 터치패널(25A)에 공급되지 않도록 구동제어부(49)가 제어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중간 형태로 변하는 경우, 구동제어부(49)가 상기 상태를 절환시켜 전력이 터치패널(25A)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입력모드가 로크모드인 경우에도,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중간 형태로 변경되면, 전력이 터치패널(25A)로 공급되어, 신호수신부(46)가 터치패널(25A)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전력이 터치패널(25A)로 공급되도록 구동제어부(49)가 제어하는 상태에서, 입력모드가 언로크모드로부터 로크모드로 절환되면, 구동제어부(49)가 상기 상태를 절환시켜 전력이 터치패널(25A)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터치패널(25A)로의 전력 공급은 입력모드가 로크모드일 때 정지되는데, 이는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용량형(capacitive type)의 터치패널(25A)이 사용되지만, 아날로그저항막형(analog resistive film type), 초음파표면음파형(ultrasonic surface acoustic wave type), 적외선절단형(infrared ray cutting off type), 전자기유도형(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또는 이미지인식형(image recognition type)의 터치패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소량의 전력만을 소비하는 저항막형의 터치패널(25A)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동제어부(49)가 전력 공급을 제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6은 모드절환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모드절환처리는 CPU(21)가 모드절환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CPU(21)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 모드절환처리는 휴대단말(1)이 기본 형태 또는 열린 형태에 있을 때 실시된다. 다시 말해,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폐쇄-형태 스위치(34) 중 어느 하나가 ON인 경우에 상기 처리가 실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CPU(21)는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가 모두 OFF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1). 다시 말해, 휴대단말(2)이 기본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중간 형태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처리는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가 모두 OFF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01에서 NO), 일단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개방-형태 스위치(35)가 모두 OFF되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2로 진행된다.
단계 S02에서,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설정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설정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3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04로 진행된다.
단계 S03에서, 전력은 터치패널(25A)을 구동하기 위하여 터치패널(25A)에 공급된다. 상기 처리는 입력모드가 로크모드일 때 단계 S03으로 진행된다. 로크모드에서, 단계 S07과 함게 후술할 바와 같이, 터치패널(25A)로의 전력 공급은 차단되어 그 구동이 금지된다. 터치패널(25A)의 구동이 금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터치패널(25A)의 일부분이 외부로부터 눌려지는 경우에도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단계 S03에서는, 터치패널(25A)이 구동되어, 터치패널(25A)의 일부분이 외부로부터 눌려질 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를 취하게 된다. 저항막형의 터치패널(25A)이 사용되고 그 구동이 제어되어서는 안되는 경우, 터치패널(25A)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단계 S02 및 S03의 처리들은 불필요하게 된다.
하기 단계 S04에서는, 신호가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신호가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았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6으로 진행된다. 터치패널(25A)은 그 일부분이 눌려질 때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처리는 사용자가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휴대단말(1)의 형태를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중간 형태로 변경한 경우에 단계 S05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처리는 사용자가 터치패널(25A)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휴대단말(1)의 형태를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중간 형태로 변경한 경우에 단계 S07로 진행된다.
단계 S05에서, 상기 입력모드는 언로크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처리는 단계 S08로 진행된다. 입력모드가 언로크모드인 경우, 터치패널(25A)로부터 받은 신호가 유효가 되는데, 이 경우 CPU(21)가 실행할 응용프로그램이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실시된다.
한편, 단계 S06에서는, 상기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처리는 단계 S07로 진행된다. 이는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효화시킨다. 따라서, 단말의 소지 시 등에 물체가 외부적으로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무효화되는데, 이는 휴대단말(1)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하기 단계 S07에서는, 터치패널(25A)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터치패널(25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절환되는 시간 동안,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무효화된다. 그러므로, 터치패널(25A)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어, 전력 소비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단계 S08에서는,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인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종료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09로 진행된다. 단계 S09에서는,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인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인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종료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09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처리는 휴대단말(1)이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형태가 변경될 때 종료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그 터치패널(25A)이 터치 중일 때 휴대단말(1)의 형태가 중간 형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입력모드는 언로크모드로 절환된다. 후속해서, 휴대단말(1)의 형태가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되면, 언로크모드로 절환된 입력모드가 유지된다. 다른 한편으로,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그 터치패널(25A)이 터치 중이지 않을 때 휴대단말(1)의 형태가 중간 형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입력모드는 로크모드로 절환된다. 후속해서, 휴대단말(1)의 형태가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되면, 로크모드로 절환된 입력모드가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본 또는 열린 형태에서 휴대단말(1)의 입력모드는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절환될 수 있다.
<변형예>
상술된 휴대단말(1)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는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또는 터치없이 휴대단말(1)의 형태를 기본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중간 형태로 변경하는 조작에 의하여 절환된다. 변형예에 따른 휴대단말(1)에서는, 상기 입력모드가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또는 터치없이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하는 조작에 의하여 절환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술된 휴대단말의 차이점들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모드 절환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변형예의 모드절환처리는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다시 말해, 폐쇄-형태 스위치(34) 및 폐쇄-형태 스위치(34) 중 어느 하나가 ON인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 내지 S13의 처리들은 각각 도 6에 도시된 단계 S01 내지 S03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설명을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지는 않기로 한다.
단계 S14에서는, 신호가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신호가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1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았을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18로 진행된다.
단계 S15에서는,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인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단계 S1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16으로 진행된다. 단계 S16에서는,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인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단계 S1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14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처리는 휴대전화(1)의 형태가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될 때 단계 S17로 진행된다.
단계 S17에서, 상기 입력모드는 언로크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처리는 사용자가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한 경우에 단계 S17로 진행된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휴대단말(1)의 입력모드를 언로크모드로 절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단계 S18에서는,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폐쇄-형태 스위치(34)가 ON인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20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19로 진행된다. 단계 S19에서는,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개방-형태 스위치(35)가 ON인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20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14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처리는 휴대전화(1)의 형태가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될 때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단계 S20에서는, 상기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절환되고, 상기 처리는 단계 S21로 진행된다. 이는 터치패널(25A)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무효화시킨다. 이에 따라, 단말의 소지 시 등 물체가 외부적으로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는 경우에도,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무효화되어, 휴대단말(1)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처리는 사용자가 터치패널(25A)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된 경우에 단계 S20으로 진행된다. 이는 터치패널(25A)의 터치없이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부터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휴대단말(1)의 입력모드를 로크모드로 절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 S21에서, 터치패널(25A)로의 전력 공급은 터치패널(25A)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차단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절환되는 시간 동안,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무효화된다. 따라서, 터치패널(25A)의 구동이 정지될 수 있어, 전력 소비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휴대단말(1)은 터치패널(25A)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존재/부존재 및 휴대단말(1)의 형태를 토대로 상기 입력모드를 로크모드와 언로크모드 간에 절환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터치패널의 터치없이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1)의 형태를 변경하는 조작 또는 터치패널을 터치하면서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1)의 형태를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입력모드를 절환시킬 수 있다.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모드는 손가락으로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언로크모드로 절환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상태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모드는 터치패널의 터치없이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1)의 형태를 중간 형태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로크모드로 절환될 수 있다.
변형예의 경우에는, 휴대단말(1)이 중간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모드는 손가락으로 터치패널(25A)을 터치하면서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1)의 형태를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언로크모드로 절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서는, 휴대단말(1)이 중간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모드는 터치패널을 터치하지 않으면서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1)의 형태를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로크모드로 절환될 수 있다.
나아가, 휴대단말(1)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로 있는 상태에서, 휴대단말(1)의 형태가 제2하우징(41)에 대하여 제1하우징(40)을 슬라이딩시켜 중간 형태로 변경될 때, 상기 터치패널이 구동된다. 입력모드가 로크모드로 절환될 때, 터치패널의 구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정전용량형의 터치패널(25A)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모드가 소비 전력이 저감되면서 절환될 수 있다.
이는 터치패널이 중간 형태로 터치되지 않을 때, 휴대단말이 기본 또는 열린 형태의 잠긴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었다. 대안적으로는, 휴대단말이 터치패널의 터치없이 개폐될 때, 로크모드 또는 언로크모드이건 간에, 개폐되기 전의 모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단말이 개폐되더라도, 상기 모드는 터치패널이 터치되지 않는 경우에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사용하기 원하는 경우에만 상기 터치패널을 터치하면서 상기 단말을 개폐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터치패널을 사용하기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패널의 터치없이 상기 단말을 개폐시켜 사용자가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터치패널을 조작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사용하기 편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모든 형태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며, 청구범위 내의 여하한의 변형예들과 그 균등론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Claims (10)

  1.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1하우징;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 상에 제공된 터치패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토대로, 복수의 가능성 있는 형태 중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형태검출수단;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수단; 및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효화하는 로크모드(lock mode)인 상태에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에,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유효화하는 언로크모드(unlock mode)로 상기 입력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닫힌 형태에서 열린 형태로 변화하고,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열린 형태로부터 닫힌 형태로 변화하고,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상기 열린 형태가 아닌 중간 형태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시기에 상응하는 휴대단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상기 중간 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후의 시기에 상응하는 휴대단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중간 형태로부터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기 이전의 시기에 상응하는 휴대단말.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상기 중간 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터치패널이 구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시키는 휴대단말.
  6. 휴대단말에 있어서,
    제1하우징;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제1하우징에 연결된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상기 제2하우징 상에 제공된 터치패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토대로, 복수의 가능성 있는 형태 중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형태검출수단;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수단; 및
    입력모드가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유효화하는 언로크모드(unlock mode)인 상태에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에, 상기 신호수신수단에 의해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상기 터치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효화하는 로크모드(lock mode)로 상기 입력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절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닫힌 형태에서 열린 형태로 변화하고, 또는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열린 형태로부터 닫힌 형태로 변화하고,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상기 열린 형태가 아닌 중간 형태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있는 시기에 상응하는 휴대단말.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상기 중간 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이후의 시기에 상응하는 휴대단말.
  9.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시기는, 상기 중간 형태로부터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형태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기 이전의 시기에 상응하는 휴대단말.
  10.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닫힌 형태 또는 열린 형태로부터 상기 중간 형태로의 변화가 상기 터치패널이 구동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패널을 구동시키는 휴대단말.
KR1020107016344A 2007-12-27 2008-12-25 휴대단말 KR101142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7607 2007-12-27
JP2007337607A JP4819031B2 (ja) 2007-12-27 2007-12-27 携帯端末
PCT/JP2008/073583 WO2009084579A1 (ja) 2007-12-27 2008-12-25 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747A KR20100097747A (ko) 2010-09-03
KR101142410B1 true KR101142410B1 (ko) 2012-05-07

Family

ID=4082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344A KR101142410B1 (ko) 2007-12-27 2008-12-25 휴대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18468B2 (ko)
JP (1) JP4819031B2 (ko)
KR (1) KR101142410B1 (ko)
WO (1) WO20090845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9031B2 (ja) * 2007-12-27 2011-1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5295940B2 (ja) * 2009-12-11 2013-09-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5753432B2 (ja) * 2011-04-18 2015-07-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EP2720447A4 (en) * 2011-06-08 2014-10-22 Nec Casio Mobile Comm Lt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2544070B1 (en) * 2011-07-08 2016-09-07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n electronic device
US8665212B2 (en) 2011-07-08 2014-03-04 Blackberr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n electronic device
JP5679929B2 (ja) * 2011-07-27 2015-03-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713841B2 (ja) * 2011-08-18 2015-05-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
TWI436234B (zh) * 2011-11-07 2014-05-01 Shuttle Inc 行動裝置的解鎖方法,使用該方法的行動裝置及應用程式
US10474409B2 (en) * 2014-09-19 2019-11-12 Lenovo (Beijing) Co., Ltd.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101877B2 (en) * 2015-04-16 2018-10-16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an application
KR102256042B1 (ko) * 2020-10-13 2021-05-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력을 유도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891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JP2003179678A (ja)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KR20070097271A (ko) * 2006-03-28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8776A (ja) 2001-03-13 2002-09-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3709356B2 (ja) 2001-06-29 2005-10-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携帯電話機
JP2003298699A (ja) * 2002-03-29 2003-10-17 Nec Corp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
JP4055116B2 (ja) * 2002-05-07 2008-03-0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961397B2 (ja) * 2002-10-29 2007-08-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8155718B2 (en) * 2003-09-03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US7280346B2 (en) * 2003-09-29 2007-10-09 Danger, Inc. Adjustable display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JP4213015B2 (ja) 2003-10-31 2009-01-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US7907121B2 (en) * 2003-11-19 2011-03-15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versatile keyboard
JP3974589B2 (ja) * 2004-03-22 2007-09-12 株式会社東芝 携帯情報端末
JP2006067532A (ja) * 2004-08-30 2006-03-09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US7603143B2 (en) * 2005-08-26 2009-10-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KR100700143B1 (ko) * 2005-12-02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키패드의 키선택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8122491B2 (en) * 2006-05-18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physical presence detection for a communications device
US20070287512A1 (en) * 2006-06-09 2007-12-13 Pekka Kilpi Layered mobile device
JP4185533B2 (ja) * 2006-06-15 2008-11-2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53464B2 (en) * 2006-07-13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20080051041A1 (en) * 2006-08-28 2008-02-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Hybrid portrait-landscape handheld device with trackball navigation and qwerty hide-away keyboard
US7548203B2 (en) * 2006-09-15 2009-06-16 Nokia Corporation Performance and power management in direction of arrival determination by utilizing sensor information
US20080119217A1 (en) * 2006-11-16 2008-05-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communication having accidental key press filtering
US7642933B2 (en) * 2006-11-30 2010-01-05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keypress validation in a slider form factor device
KR100810363B1 (ko) * 2007-05-1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인터페이스 표시방법
JP4819031B2 (ja) * 2007-12-27 2011-11-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9278411A (ja) * 2008-05-15 2009-11-2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装置
JP4927791B2 (ja) * 2008-06-26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EP2224693B1 (en) * 2009-02-26 201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operation of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9678A (ja)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KR20030046891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97271A (ko) * 2006-03-28 2007-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드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18468B2 (en) 2014-08-26
KR20100097747A (ko) 2010-09-03
WO2009084579A1 (ja) 2009-07-09
US20100279657A1 (en) 2010-11-04
JP2009157809A (ja) 2009-07-16
US20140335921A1 (en) 2014-11-13
JP4819031B2 (ja)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410B1 (ko) 휴대단말
US7158913B2 (en) Automatic activation of touch sensitive screen in a hand held computing device
KR10134872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EP2068540A1 (en) Mobile terminal device, key operation lock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2007003761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s of mobile terminal device and such a mobile terminal device
KR10199174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잠금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7091436A1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RU265816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разблокировки
JP4818478B1 (ja) 携帯端末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起動方法
JP200428037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1037231A1 (ja) 携帯通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372980B2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with collation function
US80184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5268951A (ja) 携帯電話機
JP5631275B2 (ja) 携帯端末
JP2004030160A (ja) 携帯情報端末、入力ロック制御方法、入力ロック制御プログラム
JP4652256B2 (ja) 電子機器、及び、電源供給プログラム
JP4302600B2 (ja) 移動体、非接触媒体の起動方法、起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138849B1 (ja) 電子機器
JP2005012425A (ja) 通信装置
JPH1185924A (ja) 非接触媒体および非接触媒体システム
JP2004287793A (ja) 情報処理装置
JP4430558B2 (ja) 携帯端末
JP2016148643A (ja) 電子機器および較正方法
KR20220043082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입력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실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