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724B1 -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724B1
KR101141724B1 KR1020100011566A KR20100011566A KR101141724B1 KR 101141724 B1 KR101141724 B1 KR 101141724B1 KR 1020100011566 A KR1020100011566 A KR 1020100011566A KR 20100011566 A KR20100011566 A KR 20100011566A KR 101141724 B1 KR101141724 B1 KR 10114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lead screw
unit
characteristic valu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098A (ko
Inventor
차홍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7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9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72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 아암의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상기 답력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답력 조절부는, 상기 페달 아암 회동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에 대응하는 답력을 제공하는 답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는 탄성 특성치 변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Foot effort adjustable pedal apparatus}
본 발명은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 아암의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가속 장치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과 엔진룸내 흡기 계통에 설치된 스로틀 기구 및 페달과 스로틀 기구 사이에서 조작력의 전달을 위해 이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케이블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페달은 단순히 회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페달을 천천히 밟으면 페달은 천천히 회동하면서 운전자의 발에 점점 증가하는 답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답력이란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 운전자의 발바닥으로 제공되는 반작용력을 말한다.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 페달의 위치에 따라 페달을 밟는 힘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운전자의 발바닥에 제공되는 답력의 크기도 달라지게 된다.
운전자가 페달을 밟을 때 운전자가 느끼게 되는 답력은 페달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고유 탄성 특성치와 스로틀 바디에서 발생되는 마찰력 등에 의해 결정되는 바, 이러한 답력은 운전자 취향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임의대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답력 프로파일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구조의 변경이 필요하여 이로 인해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의 변경없이도 운전자의 취향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답력 프로파일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답력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답력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다양한 프로파일의 답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상기 답력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답력 조절부는, 상기 페달 아암 회동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에 대응하는 답력을 제공하는 답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는 탄성 특성치 변경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답력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답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의 변경없이도 운전자의 취향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프로파일의 답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다양한 프로파일의 답력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제공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특성치 변경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모드에서의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모드에서의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1)는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 아암(100) 및 페달 아암(100)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답력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프링의 초기 탄성 특성치, 즉 변경 전의 탄성 특성치에 따라 답력을 제공하는 모드를 "패시브 모드"라 칭하고,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답력을 제공하는 모드를 "액티브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패시브 모드 및 액티브 모드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며,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답력 조절부(200)는 페달 아암(100) 회동시 답력을 제공하는 답력 제공부(210), 스프링에 가해지는 외력을 조절하여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함으로써 페달 아암(100)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을 조절하는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 및 답력 제공부(210)와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를 내장하는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30)이 답력 제공부(210)와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를 모두 내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만 내장할 수도 있다.
답력 제공부(210)는 리드 스크류(211), 리드 스크류(211)가 삽입되어 리드 스크류(211) 회전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212), 페달 아암(100)의 회동시 발생되는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하는 전달부(213), 전달부(213)와 페달 아암(1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너트(212)는 리드 스크류(211)의 일측이 삽입되는 일면이 개방되어 스프링(215)이 삽입될 수 있으며, 리드 스크류(211)의 타측은 하우징(230)에 결합되는 스프링 커버(21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212)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215)이 압축 또는 이완되는 경우에도 스프링 커버(126)에 의해 스프링(215)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215)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리드 스크류(211)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너트(212)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스프링(215)의 탄성 특성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은 전술한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리드 스크류(211)에는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하여 너트(212)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너트(21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1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토퍼(217)에 의해 제한되는 이동 범위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달부(213)는 일측에 리드 스크류(211)가 삽입되는 삽입 홈(213a)이 형성되며, 타측은 연결부(214)에 형성된 연결 홈(214a)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제공부(210)는 하우징(230)에 형성된 홀(231)을 통해 페달 아암(10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214)의 연결 홈(214a) 주위에는 연결 홈(214a)에 삽입된 전달부(213)의 일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돌기(214b)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 홈(214a) 둘레의 일부에만 이탈 방지 돌기(214b)가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부(214)는 페달 아암(100)의 일측에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214)의 이동은 답력의 히스테리시스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달 아암(100)에 외력이 가해져 회동할 때에는 연결부(214)는 주위 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나, 페달 아암(100)에 가해지던 외력이 약해지거나 제거되는 경우에는 소정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주위 면과 접촉하게 되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히스테리시스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모터(221), 모터(221)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모터(221)의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하는 동시에 모터(221)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로 감속시켜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하는 감속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부(222)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222a, 222b, 22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구동 기어(222a, 222b, 222c)들간의 기어비 등에 따라 모터(221)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222a, 222b, 222c)는 모터(221)의 회전축(221a)에 연결되는 제 1구동 기어(222a), 회전축에 리드 스크류(211)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2구동 기어(222b) 및 제 1구동 기어(222a)와 제 2구동 기어(222b) 사이에서 모터(2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구동 기어(222c)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터(221)의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하기 위하여 제 1 내지 제 3구동 기어(222a, 222b, 222c)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되는 구동 기어의 수나 종류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드 스크류(211)의 회전 속도에 따라 사용되는 구동 기어의 수를 변경하거나 기어비 등을 달리할 수 있다.
회전축에 리드 스크류(211)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2구동 기어(222b)에는 리드 스크류(2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211a)가 삽입되는 홈(222d)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구동 기어(222b)에 형성된 홈(222d)는 리드 스크류(211)에 형성된 돌기(211a)가 삽입되어 모터(221)가 구동되지 않을 때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221)에는 모터 홀더(225)가 결합되어 하우징(230)에 모터(221)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제공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답력 제공부(210)는 리드 크류(211)가 너트(212)에 삽입되어 있으며, 너트(212)는 스프링(215)가 삽입되는 일면이 개방된 것을 알 수 있다. 리드 스크류(211) 회전시 리드 스크류(211)를 따라 너트(212)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너트(212)는 리드 스크류(211)의 회전시 리드 스크류(211)의 장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너트(212)에 삽입된 리드 스크류(211)의 일측은 전달부(213)에 형성된 삽입 홈(213a)에 삽입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211)에서 너트(212)에 삽입되는 일측의 반대측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211a)는 전술한 제 2구동 기어(222b)의 회전축 둘레에 형성된 홈(222d)에 삽입되어 모터(221) 구동시에만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드 스크류(211)에는 리드 스크류(211)의 회전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21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21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토퍼(217)에 의해 제한되는 이동 범위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스토퍼(217)의 크기 또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특성치 변경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모터(221)와 모터(221) 구동시 모터(221)의 회전축(221a)에 연결되는 제 1구동 기어(222a), 리드 스크류(21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2구동 기어(222b) 및 제 1구동 기어(222a)와 제 2구동 기어(222b)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구동 기어(222c)를 포함하는 감속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부(222)는 모터(221)의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하는 동시에 제 1 내지 제 3 구동 기어(222a, 222b, 222c)를 통해 모터(221)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게 된다.
제 1구동 기어(222a)는 모터(221)의 회전축(221a)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구동 기어(222b)는 제 2구동 기어(222b)의 회전축의 둘레에 형성된 홈(222d)에 리드 스크류(211)의 일측 둘레에 형성된 돌기(211a)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 3구동 기어(222c)는 제 1구동 기어(222a) 및 제 2구동 기어(222b) 사이에서 모터(221)의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모터(221) 회전시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모터(221)를 구동시켜 너트(212)가 스프링(215)을 압축 또는 이완시키도록 하여 페달 아암(100)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페달 아암(100)의 회동시 각도나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스프링(215)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답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페달 아암(100)의 회동 각도가 커질수록 그에 따른 답력 또한 증가하게 되는데, 그 증가폭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상태,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 전방 차량과의 거리, 차량의 주행 차선 상태, 노면 상태 등에 따라 스프링(215)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할 수 있다.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너트(212)를 일방향으로만 이동하여 답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고, 너트(212)의 이동 방향을 교대로 바꿔가면서 진동 패턴의 답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특성치 변경부(220)는 페달 아암(100)의 회동시 회동 각도에 따른 답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차량이 방향 지시등의 점멸없이 주행 차선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 패턴의 답력이 제공되도록 스프링(215)의 탄성 특성치를 교대로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213)의 일측은 연결부(214)에 형성된 연결 홈(214a)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페달 아암(100)의 회전 운동을 리드 스크류(211)의 직선 운동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홈(214a)의 둘레에는 전달부(213)의 일측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이탈 방지 돌기(214b)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4)는 페달 아암(100)의 회동시에는 주위 면(214c)과 접촉되지 않으나, 도 6과 같이 연결부(214)가 주위 면(214c) 측으로 이동하여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여 히스테리시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시브 모드의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가 도시된 단면이다. 이때, 도 6은 작동 전의 페달 장치이며, 도 7은 작동 후의 페달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너트(212)는 스프링(215)의 압축도가 가장 낮은 위치(즉, 초기 탄성 특성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작동 전의 페달 장치는 스프링(215)의 압축도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작동 전의 페달 장치에서 너트(212)의 위치는 용도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전술한 도 7의 상태에서 페달 아암(100)이 회동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는데, 도 8에서는 페달 아암(100)이 회동함에 따라 연결부(214)에 연결된 전달부(213)에 의해 페달 아암(100)의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되며, 이로 인해 리드 스크류(211)가 삽입된 너트(212)가 스프링(215)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시브 모드에서의 답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너트(212)에 스프링(215)이 압축되는 것은 하우징(230)에 결합되는 스프링 커버(216)에 의해 스프링(215)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도 8에서 페달 아암(100)이 회동 전, 즉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에는 연결부(214)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위 면(214c)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되어 히스테리시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모드의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때, 도 9는 작동 전의 페달 장치이며, 도 10은 작동 후의 페달 장치이다.
도 9를 살펴보면, 전술한 도 7의 패시브 모드에 비하여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하면서 너트(212)가 스프링(215)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너트(212)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215)의 탄성 특성치가 변경되면서 제공되는 답력 또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전술한 도 9의 상태에서 페달 아암(100)이 회동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는데, 도 10에서는 페달 아암(100)이 회동함에 따라 연결부(214)에 연결된 전달부(213)에 의해 페달 아암(100)의 회전력이 리드 스크류(211)에 전달되며, 이로 인해 리드 스크류(211)가 삽입된 너트(212)가 스프링(215)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액티브 모드에서의 답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도 10에서 페달 아암(100)이 회동 전, 즉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에는 연결부(214)가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위 면(214c)과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되어 히스테리시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도 7 및 8과 도 9 및 도 10에서는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각각 별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는 서로 병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를 병용하는 모드를 "혼합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초기에는 액티브 모드였다가 페달 아암(100)이 회동하는 도중에 패시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에는 액티브 모드이기 때문에 전술한 도 9와 같이,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하여 너트(212)가 스프링(215)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페달 아암(100)이 회동하는 도중 패시브 모드로 전환되면, 리드 스크류(211)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너트(212)가 스프링(215)이 초기 탄성 특성치를 가지도록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초기에는 패시브 모드였다가 페달 아암(100)이 회동하는 도중에 액티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에는 패시브 모드이기 때문에 전술한 도 7과 같이 너트(212)가 스프링(215)이 초기 탄성 특성치를 가지는 위치에 있다가 페달 아암(100)이 회동하는 도중 액티브 모드로 변환되면, 리드 스크류(211)가 회전하여 너트(212)가 스프링(215)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혼합 모드가 두 모드 중 어느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두 모드 간의 전환은 답력 프로파일(예를 들어, 증가 또는 감소, 진동 패턴 등)에 따라 수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기에 액티브 모드였다가 패시브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시브 모드와 액티브 모드는 페달 아암(100)의 회동 각도나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페달 아암
200: 답력 조절부
210: 답력 제공부
220: 탄성 특성치 변경부
230: 하우징

Claims (10)

  1. 차량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 아암; 및
    상기 페달 아암 회동시 제공되는 답력에 대응하는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여 상기 답력을 조절하는 답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답력 조절부는,
    상기 페달 아암 회동시 상기 스프링의 탄성 특성치에 대응하는 답력을 제공하는 답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 특성치를 변경하는 탄성 특성치 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답력 제공부는,
    리드 스크류;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측이 삽입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 회전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
    일측이 상기 너트에 위치하는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는 스프링 커버; 및
    상기 너트에 삽입되는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페달 아암의 회전력을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특성치 변경부는,
    상기 리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력 조절부는,
    상기 답력 제공부 및 상기 탄성 특성치 변경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력 제공부는,
    상기 전달부의 일측과 상기 페달 아암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답력 제공부는,
    상기 리드 스크류에 설치되어 상기 너트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달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 홈; 및
    상기 연결 홈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된 상기 전달부의 일측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돌기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페달 아암의 회동에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페달 아암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주위 면과 접촉하여 마찰력 발생으로 히스테리시스 구현이 가능한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특성치 변경부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로 감속시켜 상기 리드 스크류에 전달하는 감속부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 1구동 기어;
    회전축에 상기 리드 스크류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 2구동 기어; 및
    상기 제 1구동 기어 및 상기 제 2구동 기어 사이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3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구동 기어는,
    상기 제 2구동 기어의 회전축 둘레에 상기 리드 스크류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KR1020100011566A 2010-02-08 2010-02-08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KR101141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66A KR101141724B1 (ko) 2010-02-08 2010-02-08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566A KR101141724B1 (ko) 2010-02-08 2010-02-08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098A KR20110092098A (ko) 2011-08-17
KR101141724B1 true KR101141724B1 (ko) 2012-05-04

Family

ID=4492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566A KR101141724B1 (ko) 2010-02-08 2010-02-08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26B1 (ko) * 2011-11-23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520B1 (ko) * 2010-11-18 2013-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속페달장치
KR101383719B1 (ko) * 2012-11-08 2014-04-08 에스엘(주)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417421B1 (ko) 2012-11-21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KR101428398B1 (ko) 2013-06-24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2077687B1 (ko) * 2013-08-30 2020-04-07 에스엘 주식회사 답력 가변형 페달 장치
JP6753710B2 (ja) * 2016-07-05 2020-09-09 株式会社ミクニ アクセルペダ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970A (ja) * 1998-11-30 2000-06-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JP2006193012A (ja) * 2005-01-12 2006-07-27 Toyota Motor Corp ペダル反力制御装置
KR100666865B1 (ko) * 2005-12-1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엑셀 페달 시스템
KR20100008416A (ko) * 2008-07-16 2010-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특성 구현 타입 전자 페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970A (ja) * 1998-11-30 2000-06-1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アクセルペダル反力制御装置
JP2006193012A (ja) * 2005-01-12 2006-07-27 Toyota Motor Corp ペダル反力制御装置
KR100666865B1 (ko) * 2005-12-19 2007-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엑셀 페달 시스템
KR20100008416A (ko) * 2008-07-16 2010-01-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히스테리시스 특성 구현 타입 전자 페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926B1 (ko) * 2011-11-23 2013-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098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724B1 (ko) 답력 조절식 페달 장치
US8701522B2 (en) Operation mode pendant type adjustment pedal apparatus
KR101894853B1 (ko) 스위블 액츄에이터
CA1181324A (en) Shifting actuator
CN104011614B (zh) 反力踏板装置
KR20130064083A (ko) 모터 차량용 구동 페달 유닛
CN111131569B (zh) 电子设备及使用方法
JP4282665B2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アセンブリ
KR20150113080A (ko) 가속 페달 유닛
CN105539396A (zh) 可调节的汽车踏板及汽车
JP2018031474A (ja) 荷重依存性を有するブレーキを備えている回転駆動装置
KR10141219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텔레스코픽 록킹 구조
KR101327103B1 (ko) 운전자 운전성향 감응형 가속페달 제어 유닛트
JP2014215804A (ja) 反力発生装置
KR100927695B1 (ko) 능동형 페달 장치
KR101565574B1 (ko) 시트용 높이 조절장치
KR20160046894A (ko) 움직임을 억제를 구비하는 거울 조정장치
JP2008309516A (ja) 張力センサおよび同張力センサを採用した車両用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101649263B1 (ko) 답력 가변형 가속페달 장치
JP4370681B2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装置
CN108556626B (zh) 踏板和车辆
CN109693754B (zh) 一种轮毂制动锁、轮毂制动系统、轮毂组件以及自行车
KR102077687B1 (ko) 답력 가변형 페달 장치
KR101000412B1 (ko) 자동차 가속페달 장치
KR100803073B1 (ko)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변속감 향상을 위한 디텐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