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240B1 - 고분자 조성물,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무연신 필름,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 - Google Patents
고분자 조성물,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무연신 필름,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1240B1 KR101141240B1 KR1020127003365A KR20127003365A KR101141240B1 KR 101141240 B1 KR101141240 B1 KR 101141240B1 KR 1020127003365 A KR1020127003365 A KR 1020127003365A KR 20127003365 A KR20127003365 A KR 20127003365A KR 101141240 B1 KR101141240 B1 KR 1011412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composition
- unsaturated carboxylic
- carboxylic acid
- ionomer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2—Copolymers of propene at least partially crystalline copolymers of propene with other olefi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08L2203/162—Applications used for films sealable fil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17—Polyalkenes
- C09K2200/062—Polyethyl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0/00—Chemical nature of 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200/0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 C09K2200/0615—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e.g. pre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K2200/0625—Polyacrylic 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에 있어서의 상기 아이오노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의 값(2160g 하중 하)이, 동일한 조건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의 값의 50~250%인 고분자 조성물.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분자 조성물,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무연신 필름,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튜브 형상 또는 플랫 필름 형상의 포장 재료를 히트 시일로 밀봉(록 시일)하고, 내용물을 내포하여 보존 및 보호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록 시일시의 시일 강도의 향상에 대해서는, 포장 재료, 포장 기계, 혹은 포장 조건 등의 면에서 여러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포장 재료에 사용하는 폴리머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가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아이오노머(「이오노머」라고도 한다.)는, 열간 시일성, 저온 시일성, 내유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어느 정도 강한 시일성을 가지고 내용물을 내포하면서, 내용물을 포장 안에서 꺼내고 싶을 때에는, 시일부를 박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봉 가능하도록 히트 시일(필러블 시일)하는 포장 기술도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산 이오노머 80~93 중량% 및 프로필렌/α-올레핀 코폴리머 7~20 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머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평1-49382호 참조). 이 폴리머 재료를 사용한 포장 재료는, 온도 의존적으로 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폴리머 재료를 사용해 필름이나 적층물을 형성하여 포장 기계로 충전 포장하는 경우, 높은 온도 조건에서 시일한 부분이 록 시일부가 되고, 낮은 온도 조건에서 시일한 부분이 필러블 시일부가 된다. 즉, 1개의 포장 재료를 사용하여 록 시일부와 필러블 시일부를 겸비한 포장이 가능하게 된다.
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의 양방이 가능한 포장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층 등의 기재층(基材層)과 아이오노머층을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한 적층 포장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적층 포장재는, 저온(예를 들면, 100~130℃ 정도)에서 시일한 경우, 4N/10㎜ 정도의 시일 강도를 나타내고, 고온(예를 들면, 150℃ 이상)에서 시일한 경우, 10N/10㎜ 이상의 시일 강도를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용상에서는, 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을 안정적으로 행하기 위하여, 포장 재료에는, 필러블 시일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온도 영역이 요구된다. 즉, 포장 재료에는, 시일 강도가 온도에 의존하여 크게 변화되지 않는 영역을 비교적 저온 측에 가지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일 기술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의 금속염 60~95 중량부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4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용 적층 필름이 개시 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평5-11549호 참조). 이 포장용 적층 필름은, 넓은 저온 영역에서 비교적 낮고 또한 일정한 시일 강도가 얻어짐과 함께, 고온 시일 조건 하에서 높은 시일 강도를 나타낸다고 되어 있다.
또한, 에틸렌 및 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에 더하여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5~25 중량% 함유하는 이오노머와 프로필렌코폴리머를 혼합한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평1-49382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한 필름의 필러블 시일 강도는, 보존시나 운반시의 취급성이나 내용물의 다양성에 대응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다. 필러블 시일의 시일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넓은 저온 영역에 있어서 필러블 시일의 실현이 가능하고, 또한, 고온 영역에서는 강고한 시일 강도를 가지는 재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용융 T다이 캐스팅법(가공 온도:200~250℃ 정도)(이하, 간단히 「T다이 캐스팅법」이라고도 한다.)에 의해 성형된 필름은, 인플레이션법(가공 온도:170~180℃ 정도)에 의해 성형된 필름에 비해, 필름에 록 시일성과 필러블 시일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보 평1-49382호의 실시예 30에는, 시일층이 50㎛, 총 두께 510㎛의 3층 공압출의 T다이 캐스팅 후, 2축 연신하여 제조된 연신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트의 필러블 시일 강도는 3.7N/15㎜, 록 시일 강도는 5.7N/15㎜로, 양 시일 강도에 거의 차이가 없다. 시장에서 요구되는 록 시일 강도는 용도에 따라 달라, 10N/15㎜ 이상의 경우도 있으면 15N/15㎜ 이상의 경우도 있지만, 상기 실시예의 록 시일 강도는, 시장이 요구하는 이들 강도와 동떨어져 있기 때문에, 실용성이 부족하다. 즉, 일본 특허공보 평1-49382호의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고분자 조성물에서는, T다이 캐스팅법으로 성형된 필름이 충분한 2단 시일 성능(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을 달성할 수 없다.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필름은, 두께가 균일하고, 평활성, 투명성 및 광택성이 우수한, 무연신이고 생산성이 좋다는 유리한 특징을 가진다. 그 때문에,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한 필름 성형에 적합하고, 양호한 2단 시일 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고분자 조성물이 기다려지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고온 시일 조건에서는 높은 시일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저온 시일 조건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적당한 세기의 시일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이 얻어지는,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한 필름 성형에 적합한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무연신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이오노머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고분자 조성물로서, 아이오노머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고, 필름 성형 온도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와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의 비가 소정의 범위인 고분자 조성물이다. 이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성형한 필름은, 고온 시일 조건에서는 높은 시일 강도(예를 들면, 180℃ 이상에서 25N/15㎜ 이상)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필름은, 저온 시일 조건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예를 들면, 100~150℃ 정도)에 걸쳐 고온 시일 조건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은 시일 강도(예를 들면, 20N/15㎜ 이상의 차이)를 나타냄과 함께, 적당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2~10N/15㎜)를 나타낸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이하와 같다.
<1>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에 있어서의 상기 아이오노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의 값(2160g 하중 하)이, 동일한 조건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의 값의 50~250%인 고분자 조성물.
<2> 상기 3원 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아이오노머의 전체 질량의 1~10 질량%인 <1>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3> 상기 아이오노머와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아이오노머의 함유량이 85~95 질량부이고,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5~15 질량부인 <1> 또는 <2>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4> 상기 아이오노머 중의 산기의 중화도가, 10~60%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5> 상기 3원 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6> 상기 공중합체 및 상기 3원 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되고, 또한, 상기 3원 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아크릴산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7> 상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아크릴산의 탄소수 4의 알킬에스테르인 <6>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8> 상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아크릴산 이소부틸인 <6>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9> 상기 아이오노머가 에틸렌?(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아크릴산?(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Zn 아이오노머이고,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10> 상기 공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11> 상기 3원 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3원 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12> 상기 3원 공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3원 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인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13> 상기 가공 온도가, 200~250℃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두께 300㎛ 이하의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5>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가, 200~250℃인 <14>에 기재된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16> <14> 또는 <15>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두께 300㎛ 이하의 무연신 필름.
<17>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 재료.
<18> <17>에 기재된 히트 시일 재료를 기재 위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재료.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시일 조건에서는 높은 시일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저온 시일 조건에서는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적당한 세기의 시일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이 얻어지는,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한 필름 성형에 적합한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무연신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나타내진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A)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와, (B)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에 있어서의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의 값이, 동일한 조건에 있어서의 (B)의 MFR의 값의 50~250%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는, 저온으로 시일하였을 때의 시일 강도가 향상되면서, 당해 시일 강도의 온도 의존적인 변화가 광범위한 온도 영역(예를 들면, 100~150℃ 정도)에 걸쳐 낮게 억제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시일 강도가 높은 필러블 시일부를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온에서 시일하였을 때의 시일 강도가 크게 손상되는 일도 없다.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에 있어서, 상기 (A)의 MFR 값은, 상기 (B)의 MFR 값의 50~250%이고, 바람직하게는 55~200%, 더 바람직하게는 80~160%이다. (A)의 MFR 값이 (B)의 MFR 값의 50%에 미치지 않으면, 저온 시일성이 발현되기 어렵다. 한편, (A)의 MFR 값이 (B)의 MFR 값의 250%를 넘으면, 2단 히트 시일 성능(록 시일과 필러블 시일)이 발현되기 어렵다. 여기서, MFR은,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하중 2160g으로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필름 성형 방법의 하나인 용융 T다이 캐스팅법이란, 용융 수지를 표면이 평활한 냉각 롤 위에 압출하여 밀착시키고, 냉각하여 고체화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공 온도란, 필름 성형기의 압출기 및 다이에 있어서의 수지 온도의 설정 온도를 말한다. T다이 캐스팅법에 있어서는, 통상, 200~250℃ 정도이다. 특히 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여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하는 경우, 230℃ 전후를 목표로 하여 상기의 수지 온도를 설정한다.
(A) 아이오노머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이하, 간단히 「3원 공중합체」라고도 한다.)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는, 적어도,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 상기 3원 공중합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금속 이온으로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와 상기 3원 공중합체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면, 저온 영역에서의 시일 강도가 온도 의존적으로 변화되기 쉬워, 필러블 시일부를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아이오노머에 포함되는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과,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서 선택되는 모노머를 중합 성분으로서 공중합시킨 중합체이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아이오노머에 포함되는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저온 시일된 필러블 시일부의 시일 강도를 종래보다 높이고, 그 시일 강도를 넓은 온도 영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는 점에서, 에틸렌과 α, β-불포화 카르본산만의 공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말레산 모노메틸, 말레산 모노에틸 등), 무수말레산 모노에스테르(무수말레산 모노메틸, 무수말레산 모노에틸 등) 등의 카르본산기를 가지는 탄소수 4~8의 불포화 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무수말레산 모노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상기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25 질량%, 특히는 5~15 질량%이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면, 예를 들면, 100~150℃의 저온에서 시일하였을 때, 적당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2~10N/15㎜)가 얻어진다.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MFR(190℃, 하중 조건 2160g)은, 0.01~50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 안이면, 필름 성형성(성형시의 파단 현상이 없고, 유동성이 양호하며, 연속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압출량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등)의 점에서 유리하다.
아이오노머에 포함되는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과,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서 선택되는 모노머와,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모노머를 중합 성분으로서 공중합시킨 중합체이고,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이 저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모노머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3원 공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은, 상기 서술한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과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의 예시 및 바람직한 양태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 3원 공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이미 서술한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의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에틸헥실, 이소옥틸 등의 알킬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는,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옥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말레산 디메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이소프로필,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이소부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탄소수1~5)가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n-부틸에스테르나 이소부틸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아크릴산의 탄소수 4의 알킬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며, 특히 이소부틸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상기 3원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3원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3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원 공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상기 3원 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5~25 질량%, 특히는 5~15 질량%이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이면, 예를 들면, 100~150℃의 저온에서 시일하였을 때, 적당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2~10N/15㎜)가 얻어진다.
상기 3원 공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상기 3원 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2~20 질량%, 특히는 5~11 질량%이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 질량% 이상, 특히 5 질량% 이상이면, 예를 들면, 100~150℃의 저온에서 시일하였을 때, 적당한 시일 강도(예를 들면, 2~10N/15㎜)가 얻어진다. 또한, 필러블 시일이 가능한 저온의 온도 영역을 넓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모든 아이오노머의 전체 질량의 1~10 질량%가 바람직하다.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하이면, 필름의 과잉한 유연성과 끈적거림이 억제되어 제대성(製袋性)이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함유량이 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이면, 필러블 시일이 가능한 저온의 온도 영역을 넓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함유량은, 넓은 온도 영역에 있어서 저온 시일하였을 때에 원하는 안정적인 시일 강도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9 질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8 질량%이다.
상기 3원 공중합체의 MFR(190℃, 하중 조건 2160g)은, 0.01~50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MFR이 상기 범위 안이면, 필름 성형성의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는, 상기 3원 공중합체로서 MFR이 다른 2종 또는 3종 이상의 3원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 경우의 어느 2종의 3원 공중합체의 조합 중, MFR이 높은 쪽의 3원 공중합체의 MFR 값(고MFR)과, MFR이 낮은 쪽의 3원 공중합체의 MFR 값(저MFR)의 비(고MFR/저MFR)를 2~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은, 필러블 시일부의 시일 강도를 종래보다 높이고, 그 시일 강도를 넓은 온도 영역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고MFR/저MFR의 비는, 3~4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고MFR은, 20~60g/10분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0~50g/10분의 범위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0~40g/10분의 범위이다. 고MFR이 이 범위에 있으면, 필러블 시일 강도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이 경우, 상기 저MFR은, 1~3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는, 적어도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상기 3원 공중합체와 이것들을 중화하는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이들 분자쇄 사이에서 분자측쇄에 존재하는 카르본산기가 금속 이온에 의해 가교된 구조를 가진다. 금속 이온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세슘 등의 1가 금속 이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구리, 아연 등의 2가 금속 이온, 알루미늄, 철 등의 3가 금속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일부의 시일성이 우수한 점에서, 나트륨, 아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의 중화도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의 중화도는,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중화도가 10% 이상이면 히트 시일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60% 이하이면 필름 성형시의 유동성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 혹은 이것들의 아이오노머는, 예를 들면,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사제의 상품명 하이밀란(HIMILAN) 시리즈, 상품명 뉴크렐(NUCREL) 시리즈, 미국 듀폰사제의 상품명 썰린(SURLYN) 시리즈, 미국 엑슨?모빌사의 아이오테크(IOTEK) 시리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아이오노머는, (1) 상기 3원 공중합체 및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모두 아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다)와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이면 된다. 또한, (2) 상기 3원 공중합체(아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다)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의 혼합, (3) 상기 3원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와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의 혼합, (4)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아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다)와 상기 3원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의 혼합, (5)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상기 3원 공중합체(모두 아이오노머를 포함하지 않는다)와 상기 3원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의 혼합, 등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B) 프로필렌계 중합체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필러블 시일이 가능한 저온의 온도 범위가 넓어진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다른 모노머가 공중합한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고결정성의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α-올레핀(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8)의 랜덤, 블록, 교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필름 성형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점에서,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230℃, 하중 조건 2160g)은, 필름 성형성의 점에서, 0.5~100g/10분이 바람직하고, 1~50g/10분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낼 수 있다는 점에서, (A) 아이오노머가 에틸렌?(메타) 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 아크릴산?(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Zn 아이오노머로서, (B)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조합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 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필러블 시일부의 시일 강도의 향상, 및 그 강도 가 얻어지는 온도 영역의 확대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A) 아이오노머와 (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A) 아이오노머의 함유량을 85~95 질량부의 범위로 하고, 또한, (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을 5~15 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아이오노머와 (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고온에서의 시일 강도를 높게 유지하면서, 저온 영역에서 안정적인 필러블 시일 강도를 얻을 수 있다.
(A) 아이오노머의 함유량이 85 질량부 미만인[(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15 질량부를 넘는] 경우, 시일 강도(특히 고온에서의 시일 강도)가 저하되고, 필러블 시일부에서는 이(易)개봉성과 시일 강도의 밸런스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A) 아이오노머의 함유량이 95 질량부를 넘는[(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5 질량부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너무 적어져서, 필러블 시일부에서의 이개봉성을 손상하여, 필러블 시일이 가능한 온도 영역이 좁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A) 아이오노머와 (B) 프로필렌계 중합체 외에,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방지제, 내후안정제, 활제, 방운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필러블 시일성과 록 시일성의 밸런스를 조정할 목적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기타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것들의 폴리머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는, 적어도 (A) 아이오노머와 (B)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동시에 또는 차차 드라이 블렌드 또는 멜트 블렌드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드라이 블렌드에 의한 경우에는, 성형기 중에서 (A) 아이오노머 및 (B)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쌍방이 용융 가소화되어서 균일하게 용융 혼합된다. 멜트 블렌드에 의한 경우에는,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반바리 믹서 등의 각종 믹서, 롤, 각종 니더 등을 사용하여 용융 혼합된다. 혼합성의 점에서는, 멜트 블렌드가 바람직하다. 혼합 순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에는, 필름은, 단층으로 가공된 것이어도, 복수의 층을 겹친 형상(다층)으로 가공된 것이어도 된다. 다층으로 가공하는 경우,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과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시킬 수 있다.
T다이 캐스팅법은,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압출기 내에서 예를 들면, 200℃ 이상이면서 고분자 조성물에 눌어붙음이나 탄 흔적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 이하(바람직하게는 200~250℃)에서 용융하고, 압출기 선단의 T다이로부터 필름 형상으로 냉각 롤 상에 압출, 연신하지 않고 고체화시킨다. 고체화한 필름은 무연신이고, 두께는 3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께」란, 필름을 성형할 때에 단층으로 가공된 것은 당해 층의 두께를, 다층으로 가공된 것은 전체 층의 총 두께를 말한다.
필름의 두께는, 필름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예를 들면, 수 ㎛에서 300㎛까지의 두께의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30~70㎛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고, 당해 필름과 각종 기재를 적층한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또한, 액체와 같은 중량물을 수납하는 포장 재료로서는,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50~200㎛ 두께의 필름을 성형하고, 당해 필름과 각종 기재를 적층한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스티렌, 폴리부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종이, 알루미늄박, 금속 증착 필름 등의 각종 기재에 시일재로서 부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시일재는, 기재 위에, 접착제를 통해 부여되어도 되고, 기재 표면에 직접 부여되어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고압법 폴리에틸렌 등의 에틸렌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2관능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의해 쇄(鎖)신장을 실시한 폴리에스테르우레탄폴리올의 어느 단체(單體) 또는 그 혼합물에 가교제를 배합하여 얻어지는 접착제 조성물 등의 공지된 앵커 코트제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기재 위에 부여하는 방법을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방법은, 조합하여 적용해도 된다.
(1) 열융착법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미리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기재 위에 접착제을 통해 얹어 열압착하는 방법이다. 혹은, 기재 또는 상기 성형물의 적어도 일방의 표면에, 공압출법, 압출 피복법 등에 의해 미리 접착제를 적층한 후에, 기재와 상기 성형물을 열압착하는 방법이다.
(2) 샌드위치 라미네이션법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미리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물과 기재를, T다이 캐스팅법 등에 의해 성형한 접착제의 용융막을 개재하여 맞붙이는 방법이다.
(3) 공압출법
기재 수지와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혹은 기재 수지와 접착제와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적층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이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한 필름 성형에 적합하기 때문에, 적층하는 기재 재료가 열가소성 수지인 경우, 본법에 의하면 양호한 생산성으로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4) 접착제를 사용한 압착?접착법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미리 필름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 성형물 또는 기재의 일방 또는 쌍방에 접착제를 도포해 압착하여, 접착하는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부여하는 기재의 표면에는,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공지된 표면 처리를 미리 실시해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기재 위에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 재료가 적층된 적층체는, 포장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인 야채나 곤약 등의 수물(水物) 포장, 액체 수프, 액체 조미료, 드레싱, 올리브 오일 등의 액체 식품 포장, 액체 샴푸, 중성 세제 등의 식품 이외의 액체 포장, 분체 수프, 소맥분, 식염, 향신료 등의 분체 포장, 스낵 과자 등의 건조 식품 포장, 주사기 시린지, 수액 백 등의 의료용 포장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성분을 이용하여, 단축 압출기(40㎜φ, 선단 덜메이지 스크루)에 의해, 수지 온도 180℃, 스크루 회전수 50rpm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배합 및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의 상세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하기 표 2의 MAA량, IBA량 및 중화도는, 고분자 조성물 중의 아이오노머(고분자 조성물로부터 프로필렌계 중합체와 첨가제를 제외한 것)에 대한 비율이다.
<성분>
?아이오노머 1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3원 공중합체의 아연 아이오노머
[메타크릴산 함량 10 질량%,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 10 질량%, 중화도 70%, MFR(190℃, 2160g 하중) 1.0g/10분, MFR(230℃, 2160g 하중) 4.6g/10분.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주)제]
?EMAA 1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 함량 9 질량%, MFR(190℃, 2160g 하중) 8.0g/10분, MFR(230℃, 2160g 하중) 26.6g/10분.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주)제]
?PP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MFR(190℃, 2160g 하중) 3.3g/10분, MFR(230℃, 2160g 하중) 8.0g/10분, 밀도 910kg/㎥. 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F219DA, 프라임 폴리머(주)제]
-캐스트 필름의 제조-
하기의 3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기 및 T다이에 있어서의 수지 온도를 230℃로 설정한 캐스트 성형기(3종 3층 성형기, 냉각:에어 나이프, 가공 속도 20m/분)로, 시일층(두께 20㎛)/중간층(두께 15㎛)/기재 접착층(두께 15㎛)의 적층 구조로 성형된 총 두께 50㎛의 무연신의 캐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 성형성에 문제는 없었다. 이 무연신의 캐스트 필름을 이하, 캐스트 필름(50)이라고 칭한다.
<시일층용의 조성물>
상기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로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을 성형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중간층용의 조성물>
하기의 아이오노머 2와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하기 LLDPE 1)을 질량비 50:50의 비율로 성형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아이오노머 2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연 아이오노머
[메타크릴산 함량 12 질량%, 중화도 35%, MFR(190℃, 2160g 하중) 1.5g/10분, MFR(230℃, 2160g 하중) 6.5g/10분.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주)제]
?LLDPE 1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MFR(190℃, 2160g 하중) 4.3g/10분, 밀도 937kg/㎥. 상품명 에보류 SP4030S, 프라임 폴리머(주)제]
<기재 접착층용의 조성물>
LLDPE 1과 EAZ-10(안티 블로킹제로서 합성 실리카를 10 질량%,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90 질량% 배합한 조성물. 프라임 폴리머(주)제)을 질량비 100:5의 비율로 성형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평가-
12㎛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12)〕/15㎛ 두께의 폴리에틸렌〔PE(15)〕의 적층 기재를 준비하고, 그 PE(15) 측에 다른 PE(15)를 거쳐서, 상기 캐스트 필름(50)을 그 시일층이 표면이 되도록(기재 접착층이 적층 기재 측이 되도록) 얹었다. 그리고, 65㎜φ 라미네이터(온도 315℃)로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함으로써, PET(12)/PE(30)/캐스트 필름(50)의 적층 구조로 성형된 샘플을 얻었다. 또한, PE(30)는, 30㎛ 두께의 필름 형상 폴리에틸렌을 나타낸다.
얻어진 샘플을 사용하여, 시일층 측의 면끼리 겹쳐 히트 실러(실압 0.2MPa, 시일 시간 0.5초, 바 시일 타입)로 편면 가열하여 히트 시일을 행하였다. 그리고, 히트 시일부를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박리하고(박리 속도 300㎜/분, 박리 각도 T형, 시험 편폭 15㎜), 박리시의 박리 강도를 시일 강도(N/15㎜)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2~6, 및 8)
실시예 1에 있어서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50㎛의 무연신의 캐스트 필름을 성형하고,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을 하여,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샘플을 사용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히트 시일을 행하고,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6, 및 8은, 모두 필름 성형성에 문제는 없었다.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의 상세를 하기 표 2에,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50㎛의 무연신의 캐스트 필름을 성형하고,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을 하여,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샘플을 사용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히트 시일을 행하고,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7은, 필름 성형성에 문제는 없었다.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의 상세를 하기 표 2에,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 표 1의 아이오노머 2는, 실시예 1의 캐스트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중간층의 조성물에 사용한 것이다. 또한, EMAA 2의 조성은 이하와 같다.
?EMAA 2
에틸렌?메타크릴산?아크릴산 이소부틸 3원 중합체
[메타크릴산 함량 11%, 아크릴산 이소부틸 함량 8%, MFR(190℃, 2160g 하중) 10.0g/10분, MFR(230℃, 2160g 하중) 32.7g/10분.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주)제]
(비교예 1 및 4)
실시예 1에 있어서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총 두께 50㎛의 무연신의 캐스트 필름을 성형하고,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을 하여,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샘플을 사용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히트 시일을 행하고,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및 4는, 필름 성형성에 문제는 없었다.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의 상세를 하기 표 2에,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의 상세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캐스트 필름의 제조-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기 및 T다이에 있어서의 수지 온도를 230℃로 설정한 캐스트 성형기(40㎜ 단층 성형기, 냉각:에어 나이프, 가공 속도 30m/분)로, 두께 30㎛의 무연신의 단층 캐스트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는, 필름 성형성에 문제는 없었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을 한 후, 히트 시일을 행하고,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한 각 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의 상세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인플레이션 필름의 제조-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압출기 및 다이에 있어서의 수지 온도를 170℃로 설정한 50㎜φ 인플레이션 성형기(3종 3층 성형기)로, 총 두께 50㎛(두께비:1/1/1)의 인플레이션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3은, 필름 성형성에 문제는 없었다. 필름의 3층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시일층>
상기 고분자 조성물의 조제로 얻어진 고분자 조성물을 성형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중간층>
아이오노머 2와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하기 LLDPE 2)을 질량비 50:50의 비율로 성형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LLDPE 2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MFR(190℃, 2160g 하중) 1.8g/10분, 밀도 937kg/㎥. 상품명 에보류 SP4020, 프라임 폴리머(주)제]
<기재 접착층>
LLDPE 2와 안티 블로킹제 배합 마스터배치(규조토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질량비 50:50의 비율로 배합한 조성물)를 질량비 100:1의 비율로 성형기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였다.
계속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샌드 라미네이션 가공을 한 후, 히트 시일을 행하고, 시일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한 실시예 1~8은, 저온 영역(110~150℃ 정도)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가, 종래의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성형된 비교예 3과 동일한 정도나 그 이상이었다. 또한, 상기의 저온 영역에서 시일 강도의 온도 의존적인 변화가 억제되어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성형한 필름은, 안정적인 필러블 시일을 행할 수 있음이 명확했다. 또한, 실시예 1~8은, 고온 영역의 시일 강도가 손상되는 일도 없고, 저온 영역의 시일 강도와 고온 영역의 시일 강도의 차는, 2단 시일 성능을 달성하는데 충분했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이 아닌 조성물을 이용한 비교예 1은, 상기의 저온 영역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의 온도 의존적인 변화가 컸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2 및 4는, 상기의 저온 영역에 있어서의 시일 강도의 온도 의존적인 변화가 매우 크고, 필러블 시일 가능한 온도 영역이 협소하였다.
2009년 7월 9일에 출원한 일본국 출원 번호 제2009-162844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2009년 8월 5일에 출원한 일본국 출원 번호 제2009-182626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각각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면서 각각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18)
-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α, β-불포화 카르본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이오노머와, 프로필렌계 중합체를 함유하고,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에 있어서의 상기 아이오노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의 값(2160g 하중 하)이, 동일한 조건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MFR의 값의 50~250%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원 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아이오노머의 전체 질량의 1~10 질량%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와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상기 아이오노머의 함유량이 85~95 질량부이고, 또한,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함유량이 5~15 질량부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 중의 산기의 중화도가, 10~60%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원 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및 상기 3원 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이,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에서 선택되고, 또한, 상기 3원 중합체에 중합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아크릴산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5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고분자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아크릴산의 탄소수 4의 알킬에스테르인 고분자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가, 아크릴산 이소부틸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오노머가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아크릴산?(메타) 아크릴산 에스테르 3원 중합체를 포함하는 Zn 아이오노머이고, 상기 프로필렌계 중합체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공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원 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3원 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원 중합체 중의 α, β-불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상기 3원 중합체의 전체 질량의 1~30 질량%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온도가, 200~250℃인 고분자 조성물. - 제1항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두께 300㎛ 이하의 무연신 필름을 제조하는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용융 T다이 캐스팅법에 의해 필름을 성형할 때의 가공 온도가, 200~250℃인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 제14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두께 300㎛ 이하의 무연신 필름.
- 제1항에 기재된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 재료.
- 제17항에 기재된 히트 시일 재료를 기재 위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포장 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62844 | 2009-07-09 | ||
JP2009162844 | 2009-07-09 | ||
JPJP-P-2009-182626 | 2009-08-05 | ||
JP2009182626 | 2009-08-05 | ||
PCT/JP2010/061209 WO2011004754A1 (ja) | 2009-07-09 | 2010-06-30 | 高分子組成物、無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無延伸フィルム、ヒートシール材料及び包装材料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3191A KR20120023191A (ko) | 2012-03-12 |
KR101141240B1 true KR101141240B1 (ko) | 2012-05-04 |
Family
ID=43429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365A KR101141240B1 (ko) | 2009-07-09 | 2010-06-30 | 고분자 조성물,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무연신 필름,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08754A1 (ko) |
EP (1) | EP2452974A4 (ko) |
JP (1) | JP4621303B1 (ko) |
KR (1) | KR101141240B1 (ko) |
CN (1) | CN102471546B (ko) |
IN (1) | IN2012DN00698A (ko) |
MX (1) | MX2012000236A (ko) |
WO (1) | WO201100475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84220A4 (en) * | 2008-05-30 | 2011-05-25 | Mitsui Du Pont Polychemical | POLYMER COMPOSITION |
MX2012013793A (es) * | 2010-06-02 | 2012-12-17 | Mitsui Du Pont Polychemical | Composicion de resina, pelicula con sello por calor y pelicula en capas. |
US8921488B2 (en) * | 2010-12-27 | 2014-12-30 |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 Resin composition for extrusion coating, and layer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WO2018016439A1 (ja) * | 2016-07-20 | 2018-01-25 | 東洋鋼鈑株式会社 | 易引裂性無延伸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用積層フィルム |
KR101933322B1 (ko) * | 2017-12-06 | 2018-12-27 | 한화토탈 주식회사 |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AR114704A1 (es) * | 2018-03-20 | 2020-10-07 | Dow Mitsui Polychemicals Company Ltd | Composición para paquete de piel, sellador para paquete de piel y envase para paquete de pie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0719A (ja) | 2000-10-31 | 2002-07-16 |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 積層体 |
JP2007520586A (ja) | 2004-02-04 | 2007-07-26 |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 樹脂組成物及びその積層体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46196A (en) * | 1980-09-10 | 1982-08-24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Heat seal composition comprising a blend of metal neutralized polymers |
US4550141A (en) * | 1983-08-22 | 1985-10-29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Blends of ionomer with propylene copolymer |
JPS60239238A (ja) * | 1984-05-11 | 1985-11-28 |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 多層包装材料 |
JPS6351438A (ja) * | 1986-08-22 | 1988-03-04 |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 包装用積層フィルム |
AU2002360214A1 (en) * | 2001-12-27 | 2003-07-15 |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 Resin composition, and container packaging film, container packaging bag and container package using the resin composition |
US7055683B2 (en) * | 2002-12-20 | 2006-06-06 |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Multiple compartment pouch and beverage container with smooth curve frangible seal |
DE602005027685D1 (de) * | 2004-05-24 | 2011-06-09 | Du Pont | Polymermischungen für abziehbare und/oder permanente dichtungen |
TWI387526B (zh) * | 2006-06-06 | 2013-03-01 | Fujifilm Corp | 熱可塑性樹脂薄膜及其製法、以及偏光板、光學補償薄膜、抗反射薄膜與液晶顯示裝置 |
JP5398139B2 (ja) | 2007-12-28 | 2014-01-29 | 日東光学株式会社 | 手振れ補正装置 |
JP4965473B2 (ja) | 2008-01-30 | 2012-07-04 |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周波数シンセサイザ |
EP2284220A4 (en) * | 2008-05-30 | 2011-05-25 | Mitsui Du Pont Polychemical | POLYMER COMPOSITION |
-
2010
- 2010-06-30 CN CN201080027646.9A patent/CN102471546B/zh active Active
- 2010-06-30 US US13/381,247 patent/US2012010875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6-30 IN IN698DEN2012 patent/IN2012DN00698A/en unknown
- 2010-06-30 MX MX2012000236A patent/MX2012000236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6-30 KR KR1020127003365A patent/KR1011412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6-30 JP JP2010532365A patent/JP4621303B1/ja active Active
- 2010-06-30 EP EP10797065A patent/EP245297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6-30 WO PCT/JP2010/061209 patent/WO201100475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0719A (ja) | 2000-10-31 | 2002-07-16 |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 積層体 |
JP2007520586A (ja) | 2004-02-04 | 2007-07-26 |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 樹脂組成物及びその積層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52974A1 (en) | 2012-05-16 |
CN102471546A (zh) | 2012-05-23 |
KR20120023191A (ko) | 2012-03-12 |
WO2011004754A1 (ja) | 2011-01-13 |
EP2452974A4 (en) | 2013-03-06 |
US20120108754A1 (en) | 2012-05-03 |
IN2012DN00698A (ko) | 2015-06-19 |
JP4621303B1 (ja) | 2011-01-26 |
CN102471546B (zh) | 2014-06-25 |
MX2012000236A (es) | 2012-01-25 |
JPWO2011004754A1 (ja) | 2012-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84366B2 (ja) | 高分子組成物 | |
KR101141240B1 (ko) | 고분자 조성물, 무연신 필름의 제조 방법, 무연신 필름, 히트 시일 재료 및 포장 재료 | |
TWI801533B (zh) | 密著包裝用封合劑及密著包裝用包裝體 | |
TW200402461A (en) | Sealant, a resin composition for sealant, a sealant film, laminate film and the container thereof | |
CN108367552A (zh) | 具有可剥离和不可剥离热密封件的包装 | |
KR101312476B1 (ko) | 수지 조성물, 히트 시일 필름, 및 적층 필름 | |
JP6262071B2 (ja) | ヒートシール性フィルム及び積層体 | |
JP5061267B2 (ja) | 押出しコーティング用樹脂組成物並びに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575769B2 (ja) | プロピレン・ベースのシーラント組成物および応用 | |
JP6391519B2 (ja) | ヒートシール用組成物及び積層体 | |
JP2009227790A (ja) | 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易剥離性フィルム、該組成物層を有する積層体 | |
JPS643228B2 (ko) | ||
JP7011925B2 (ja) | 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用樹脂組成物、易開封性ヒートシール材、包装材および包装体 | |
JP2004066603A (ja) | 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 |
JP7127117B2 (ja) |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蓋材、及び包装体 | |
JP2918614B2 (ja) | 多層包装材料 | |
JPH024425B2 (ko) | ||
JP2005002144A (ja) |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シーラン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