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322B1 -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22B1
KR101933322B1 KR1020170166727A KR20170166727A KR101933322B1 KR 101933322 B1 KR101933322 B1 KR 101933322B1 KR 1020170166727 A KR1020170166727 A KR 1020170166727A KR 20170166727 A KR20170166727 A KR 20170166727A KR 101933322 B1 KR101933322 B1 KR 10193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resin
foam
present
melting tempera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실
박지용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22B1/ko
Priority to CN201810895571.4A priority patent/CN10987999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08Low density, i.e. < 0.91 g/c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 및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상기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의 상관관계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관한 것이다.
<식 1>
3.5Tm-330 ≤ Tv ≤ 3.5Tm-325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조된 성형품은 발포특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Polyethylene resin for expanded particles and article produc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발포특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인장강도가 우수한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드(bead)형 발포체 중 폴리스티렌계 제품이 범용 포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제품 포장의 고급화 및 안전성 향상 요구가 증가하면서 이에 폴리스티렌계 제품의 물리적 취약성(깨짐성, 반복 완충성)을 보강하는 대체품으로 올레핀 계통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계 제품이 선호되고 있다. 이 중 폴리에틸렌계 발포체는 폴리스티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발포체 대비 유연성과 인성이 우수한 장점으로 최근 침대용 매트리스, 휴대폰과 같은 전자제품 박스 내장재 등의 용도로 사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폴리에틸렌계 발포체는 첨가제와 폴리에틸렌 수지를 혼합하여 소형 펠렛으로 제립하는 단계, 소형 펠렛을 발포제 및 발포 향상을 위한 첨가제와 함께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내에서 혼합 후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서 함침, 상압으로 급격히 감압하면서 발포체 비드를 제조하는 단계, 발포체 비드를 금형에 넣고 고온 스팀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 제품을 성형하는 단계, 총 3단계로 제조 공정을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발포체 비드 제조 시 우수한 발포특성이 요구된다.
종래기술로 미국 등록특허 제9,309,384호에 따르면 폴리에틸렌계 수지의 발포 배율 및 입자 크기 등의 발포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중화제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한 첨가제 총량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수지 자체 특성을 통한 발포 특성 개선이 아니며,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은 언급하고 있지 않고, 일본 등록특허 제5498162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발포 입자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를 통해 저온측 및 고온측의 흡열피크가 나타나며, 각각의 흡열피크의 온도와 융해열량이 상기 특허에서 제시한 범위 내 일 때 발포특성, 외관,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흡열피크의 온도와 연화점의 상관관계식을 통해 제시한 범위 내에서 발포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됨을 설명한 본 특허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1-219688호에에 따르면, 폴리에틸렌계 수지 발포 입자가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를 통해 저온측 융해열량 영역과 고온측 융해열량 영역의 2개 영역을 가지고, 저온측 융해 열량 영역이 DSC 상 미분곡선 중 극소값을 가질 때 발포 성형체의 융착성이 좋고 외관이 우수하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발포 특성 및 발포체의 기계적 물성은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흡열피크의 온도와 연화점의 상관 관계식을 통해 제시한 범위 내에서 발포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144096호에 따르면 융점이 상이한 2종의 수지를 혼합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관한 것이며, 2종의 수지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았을 때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특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인장강도가 우수한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에틸렌 및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의 상관관계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식 1>
3.5Tm-330 ≤ Tv ≤ 3.5Tm-325
본 발명에 따른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는 발포 특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침대용 매트리스, 휴대폰 등 전자제품 박스 내장재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포특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인장강도가 우수한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에 관한 것으로, 에틸렌 및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의 상관관계가 하기 <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3.5Tm-330 ≤ Tv ≤ 3.5Tm-32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에틸렌 및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며, 에틸렌 호모 중합체와 하나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또한, 중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경우 밀도가 높고, 연화점(Tv) 역시 높기 때문에 발포 효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헥센-1, 옥텐-1과 같은 6 내지 10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선형 올레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의 상관관계는 하기 <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3.5Tm-330 ≤ Tv ≤ 3.5Tm-325
상기 <식 1>은 용융온도(Tm)에 상응하는 적절한 연화점(Tv) 값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식 1>에서 용융온도(Tm)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고, 상기 용융온도가 <식 1>을 만족하면, 폴리에틸렌 수지는 발포 특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발포체의 셀 크기가 일정하다. 또한, 상기 연화점(Tv)이 식 1을 만족하면 발포 특성이 우수하여 셀 크기가 균일하다.
따라서, 상기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이 <식 1>을 만족시키면 발포특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연화점(Tv)가 <식 1> 보다 높을 경우 발포가 잘 안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낮을 경우 발포체의 사이즈가 불균일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온도(Tm, Melting temperature)가 120 내지 130℃이고, 연화점(Tv, Vicat softening temperature)이 100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용융온도(Tm, Melting temperature)는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통해 ASTM E793에 따라 측정했을 때 120℃ 내지 13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2℃ 내지 128℃이다.
상기 용융온도가 120℃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30℃를 초과할 경우 발포 효율이 떨어지며, 셀의 크기가 작게 성형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화점(Tv, Vicat softening temperature)은 100 내지 125℃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20℃이다.
상기 연화점이 100℃ 미만이면, 발포체의 사이즈가 불균일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특성이 있으며, 125℃를 초과하면 발포 효율이 떨어지고 셀의 크기가 작게 성형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Melt Index)는 ASTM D1238 2.16kg의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했을 때 0.1 내지 10g/10min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g/10min이다.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0.1g/10min 미만인 경우 흐름성이 저하되어 가공 및 발포가 어렵고, 10g/10min을 초과할 경우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21.6kg의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와 2.16kg의 하중으로, 190℃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의 비율(MI 21.6kg/MI 2.16kg)인 용융흐름지수 비(Melt Flow Rate Ratio, MFRR)는 20 내지 8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용융흐름지수 비가 20 미만이면, 흐름성이 저하되어 소형 펠렛 제조 시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80을 초과하면 인장 특성이 저하되어 발포체 성형품의 내구성이 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제로전단점도(Zero shear viscosity, η0)는 레오메트릭 ARES 유량계를 사용하여 190℃의 온도에서 주파수 스윕(Frequency Sweep) 방식으로 동적 유동성 데이터를 측정되었으며, 10,000 내지 100,000Poise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전단박화지수(STI)는 1 내지 20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이다.
상기 전단박화지수가 1 미만일 경우 소형 펠렛 제조 시 흐름성이 저하되어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20을 초과하면 인장 특성이 저하되어 발포체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밀도는 0.925 내지 0.945g/cm3이며, 바람직하게는 0.930 내지 0.940g/cm3 이다.
상기 밀도가 0.925/cm3 미만일 경우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0.945g/cm3을 초과하면 범위보다 높을 경우 발포가 어려워 폼 가공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화제 0.01 내지 0.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01 내지 0.3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화제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가공시 중합체 내에 잔류하는 촉매 잔사를 충분히 중화시키기 못해 변색 또는 산화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2중량부를 초과하면 발포 공정에서 셀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중화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카보네이트, 산화아연, 마그네슘 하이드록시 스테아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보관시 변색, 가공 중 점도 변화 등의 문제가 있고, 0.3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1,3,5-Trimethyl-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yl)benzene), 1,6-비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헥산(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hexane), 1,6-비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아미도]프로판(1,6-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o]propane),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시나메이트)]메탄(tetrakis[methyl ene(3,5-di-ter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6-di-tert-butyl-4-methylphenyl)pentaerythritol-di-phosphite), 비스 (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Bis(2,4-di-tert-butylphenyl)Pentraerythritol-di-phosphite),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methane,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ert-butylphenyl) phosphite)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틸렌 수지는 발포 시트를 포함한 성형품 제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은 발포효율이 좋고 동시에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용융온도(Melt temperature, Tm )
용융온도(Tm)은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통해 ASTM E793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료를 200℃까지 승온한 다음, 등온상태로 10분간 유지 후 10℃/min의 속도로 30℃까지 냉각하여 시료에 남아 있는 열이력을 제거하였다. 이를 1분간 유지한 다음 10℃/min의 속도로 200℃까지 승온하여 vacant dish와의 열출입량 차이를 비교 측정하여 용융온도(Tm)를 측정하였다.
제로전단점도 (Zero shear viscosity, η0 )
제로전단점도는 레오메트릭 ARES 유량계를 사용하여 190℃의 온도에서 주파수 스윕 (Frequency Sweep) 방식으로 동적 유동성 데이터를 측정하여 계산되었다. 평행 플레이트 구조 내의 간격은 2mm이고, 플레이트 직경은 25mm이며, 변형진폭은 10%, 주파수는 0.05~300rad/sec 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케로모델(Carraeu Model)을 사용하여 값이 계산되었다.
전단박화지수 (Shear thinning index, STI )
전단박화지수는 ARES로부터 측정된 주파수 0.1rad/sec에서의 콤플렉스점도와 주파수 100rad/sec에서의 콤플렉스 점도의 비로부터 계산되었다.
연화점 ( Vicat softening temperature, Tv )
ASTM D152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용융흐름지수 (Melt Index, MI)
ASTM D1238에 따라서 190℃에서 2.16kg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용융흐름지수 비 (Melt Flow Rate Ratio, MFRR )
MI21.6(21.6k하중, 190℃에서의 용융흐름지수)/MI2.16(2.16kg하중, 190℃에서의 용융흐름지수)
밀도
ASTM D150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셀 밀도
리터 당 발포체 중량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율
제조된 비드 발포체를 금형 내에 충전하여 압축성형을 통해 발포시트를 제조한 후 ISO 1798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2의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제조
[ 지글러 - 나타 촉매의 제조]
마그네슘 47.8g(1.968mol)과 요오드 5.0g(0.02mol)을 기계식 교반기가 장착된 5리터의 유리반응기 내에서 2400ml의 정제된 헵탄에 현탁시켰다. 이 혼합물의 온도를 85℃로 올려서 테트라부톡시티타늄 44.9ml(0.165mol)과 티타늄테트라클로라이드 22.8ml(0.205mol)를 주입하여 혼합한 다음, 1-클로로부탄 318ml(3.05mol)을 4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주입 완료 후 2시간의 추가반응을 실시한 다음, 충분한 양의 헥산으로 4회 세척을 하였다. 여기에 테트라에톡시실란 8.240ml(0.037mol)을 주입하여 60℃에서 1시간 추가 반응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촉매는 정제된 헥산에 슬러리 상태로 보관하였다.
[에틸렌 및 알파-올레핀 공중합]
상기 제조된 촉매와 조촉매 트리노말옥틸알루미늄(TnOA) 및 중합온도 90℃, 중합압력 19.5kgf/cm2, 에틸렌 35mol% 조건으로 기상 유동층 반응기에서 폴리에틸렌 수지를 중합하였다.
[ 제립 ]
상기 제조된 파우더 형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산화방지제로 Songnox-1010 0.05중량부, Songnox-6260 0.03중량부, Irgafos-168 0.08중량부 및 중화제로 calcium stearate 0.05중량부를 헨셀믹서로 혼합한 후, 이축압출기로 200℃에서 가공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발포입자 제조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포 입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127℃의 온도 조건에서 압출기 내에서 용융 후 대기압 하에서 스트랜드 형상으로 밀어내고, 이어서 수중에 가라앉혀 냉각시킨 후 펠렛타이저로 커트하여 소형 펠렛 입자를 제조한다. 소형 펠렛 입자로서는 통상 길이가 0.5~2mm, 바람직하게는 1~1.5mm가 되도록 조절하며 개당 평균 중량은 0.1~50mg, 바람직하게는 0.5~10mg이 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소형 수지 펠렛 입자를 내압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내에서 발포제를 혼합하여 126℃, 4Mpa의 발포 조건에서 20배 배율로 발포하여 비드(bead) 발포체를 얻는다.
[ 실시예 1]
상기 제조방법으로 중합된 용융지수(MI) 2.0g/10min, 밀도(Density) 0.930g/cm3의 1-헥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된 용융지수(MI) 2.2g/10min, 밀도(Density) 0.935g/cm3의 1-헥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 비교예 1]
지글러-나타 촉매 하에 중합된 용융지수(MI) 4.5g/10min, 밀도(Density) 0.933g/cm3의 1-부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 비교예 2]
지글러-나타 촉매 하에 중합된 용융지수(MI) 2.2g/10min, 밀도(Density) 0.948g/cm3의 1-부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 비교예 3]
메탈로센 촉매 하에 중합된 용융지수(MI) 0.8g/10min, 밀도(Density) 0.927g/cm3의 1-헥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발포체 물성 비교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지
물성
용융흐름지수
(190℃, 2.16kg)
g/10분 2.0 2.2 4.5 2.2 0.8
용융흐름지수 비
(21.6kg/2.16kg)
- 29 30 27 30 33
밀도 g/cm3 0.930 0.935 0.933 0.948 0.927
제로전단점도 Poise 62,720 61,310 42,470 67,080 159,300
전단박화지수 - 4.4 4.1 4.9 4.7 7.2
용융온도 125 126 123 131 125
연화점 111 115 118 126 107
발포체
물성
셀 크기 - stable stable unstable unstable unstable
셀 밀도 g/L 36 36 40 48 28
인장강도 Kpa 330 430 280 420 440
신율 % 69 89 60 73 78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의 상관관계가 하기 식 1을 만족하여, 발포체의 셀 크기가 일정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식 1>
3.5Tm-330 ≤ Tv ≤ 3.5Tm-325
비교예 1은 용융온도 대비 높은 연화점으로 <식 1>을 만족하지 못해 발포체의 셀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인장강도 및 신율 또한 낮은 특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2는 밀도가 본 발명에서 제시한 범위를 초과하였으며, 용융온도와 연화점의 상관관계 또한 <식 1>을 벗어났다. 따라서, 높은 용융온도로 인해 인장강도는 실시예와 유사한 수준이나, 연화점이 높아 발포체의 셀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셀이 작게 형성되어 셀 밀도가 크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3은 메탈로센 촉매로 중합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용융온도와 연화점의 상관관계가 <식 1>을 벗어나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발포 특성이 열세하여 셀 크기가 균일하지 않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발포특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며, 침대용 매트리스, 휴대폰 등 전자제품 박스 내장재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에틸렌 및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온도(Tm)와 연화점(Tv)의 상관관계가 하기 <식 1>로 표시되고,
    전단박화지수(Shear thinning index, STI)가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식 1>
    3.5Tm-330 ≤ Tv ≤ 3.5Tm-32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알파-올레핀은 1-헥센 또는 1-옥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용융온도(Tm, Melting temperature)가 120 내지 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연화점(Tv, Vicat softening temperature)이 100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ASTM D1238, 190℃, 2.16kg)는 0.1 내지 10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의 용융흐름지수 비(MI 21.6kg/MI 2.16kg)는 2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화제 0.01 내지 0.2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01 내지 0.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밀도(ASTM D1505, 23℃)가 0.925 내지 0.945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11.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조된 성형품.
KR1020170166727A 2017-12-06 2017-12-06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3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727A KR101933322B1 (ko) 2017-12-06 2017-12-06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201810895571.4A CN109879999B (zh) 2017-12-06 2018-08-08 发泡体用聚乙烯树脂及由其制造的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727A KR101933322B1 (ko) 2017-12-06 2017-12-06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22B1 true KR101933322B1 (ko) 2018-12-27

Family

ID=6495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727A KR101933322B1 (ko) 2017-12-06 2017-12-06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3322B1 (ko)
CN (1) CN10987999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11A1 (ko) * 2019-10-23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3544211A (zh) * 2019-10-23 2021-10-22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0031A (ja) 2004-08-13 2008-04-03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高分子組成物、その使用、及びその生産方法
WO2012121163A1 (ja) * 2011-03-08 2012-09-13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ポリエチレン系樹脂型内発泡成形体、およ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2015189911A (ja) * 2014-03-28 2015-11-0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粒子、複合樹脂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1211B2 (ja) * 2004-08-20 2010-09-22 グンゼ株式会社 壁装材表面保護用無延伸積層フィルム、壁装材及び壁装材の製造方法
CN102471546B (zh) * 2009-07-09 2014-06-25 三井-杜邦聚合化学株式会社 高分子组合物、无拉伸膜的制造方法、无拉伸膜、热封材料以及包装材料
JP5798861B2 (ja) * 2011-09-28 2015-10-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熱伝導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体
JP6304705B2 (ja) * 2013-12-27 2018-04-04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熱可塑性樹脂組成物製シート
EP3199579B1 (en) * 2014-09-26 2019-03-13 Sekisui Plastics Co., Ltd. Composite resin particles, process for producing same, expandable beads, expanded beads, foamed molded object, and automotive interior tri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0031A (ja) 2004-08-13 2008-04-03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高分子組成物、その使用、及びその生産方法
WO2012121163A1 (ja) * 2011-03-08 2012-09-13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ポリエチレン系樹脂型内発泡成形体、および、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の製造方法
JP2015189911A (ja) * 2014-03-28 2015-11-02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系樹脂粒子、複合樹脂粒子、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211A1 (ko) * 2019-10-23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3544211A (zh) * 2019-10-23 2021-10-22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CN113544211B (zh) * 2019-10-23 2024-01-26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79999A (zh) 2019-06-14
CN109879999B (zh)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1298B1 (en) Polypropylene resin foam particle and molding thereof
US7022770B2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injection molding
CN101166785B (zh) α-烯烃均聚物或共聚物组合物
EP2828304B1 (en) Ethylene copolymers with a novel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JP4749725B2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成形体
JP4942525B2 (ja) ボトルキャップ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CA2466640C (en) Oxygen tailoring of polyethylene resins
JP7391516B2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33322B1 (ko) 발포체용 폴리에틸렌 수지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554936B1 (ko) 수지 발포체의 제조 방법, 및 수지 발포체
EP3814423B1 (en) Foam bead and sintered foam structure
JP5503123B2 (ja) スチレン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粒子、発泡性樹脂粒子、予備発泡粒子及び発泡成形体
KR20220079514A (ko)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무연신 필름 및 적층체
JP7257522B2 (ja) 非発泡シートおよび容器
JP2011111579A (ja) ボトルキャップ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JP2000159922A (ja) 予備発泡粒子の製造方法
KR101842787B1 (ko) 손잡이 일체형 중공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64656B1 (ko) 혼합 지글러 나타계 촉매를 사용한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JPH05179009A (ja) 熱可塑性樹脂改質用マスターバッチの製造方法
JP2013136679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押出シート及び容器
KR102511906B1 (ko) 이차전지 분리막용 폴리에틸렌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분리막
US20060020063A1 (en) Controlled finishes for free surface polyethylene resins
US20220176599A1 (en) Injection molded caps or closures, and methods thereof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2016141747A (ja) ポリエチレン製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