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260B1 -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260B1
KR101138260B1 KR1020057020892A KR20057020892A KR101138260B1 KR 101138260 B1 KR101138260 B1 KR 101138260B1 KR 1020057020892 A KR1020057020892 A KR 1020057020892A KR 20057020892 A KR20057020892 A KR 20057020892A KR 101138260 B1 KR101138260 B1 KR 10113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raveling
coke oven
guide post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811A (ko
Inventor
히로노부 이나마수
노부키 타카야마
순지 호리노우치
히로후미 야마시타
Original Assignee
간사이네쯔카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사이네쯔카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간사이네쯔카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9/00Other details of coke ovens
    • C10B29/06Preventing or repairing leakages of the brick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or breaking away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로의 로상에 부설된 궤조에 걸쳐져서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3)를 갖고, 이 주행대차(3)상에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주행 대차(4)가 구비되며, 이 가로주행 대차(4)에 코크스로내의 로벽을 보수하는 작업장치(5)가 탑재되어 있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치(5)는 가로주행 대차(4)로부터 기립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가로주행 대차에 설치된 지지부에 대해서 피벗축(42)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포스트(31)와, 이 가이드 포스트(31)를 따라 승강하는 랜스(32)와, 피벗축(42)을 지점으로 해서 가이드 포스트(31)를 전경자세와 후경자세 사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멍을 통해 삽입된 랜스(32)를 탄화실내에서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하도록 한 기복장치(45)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크스로의 보수장치{REPAIRING APPARATUS OF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로의 내벽을 보수하는데에 바람직한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로는 내화벽돌에 의한 탄화실과 연소실이 로단(爐團, 석탄탑에 의해 분리된 일련의 로실의 집합)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연소실의 열을 그 내화벽돌을 통해 탄화실에 전달함으로써 탄화실내에 장입(裝入)된 석탄을 건류하여 코크스를 제조하도록 되어 있다. 또, 탄화실에의 석탄장입은 코크스로의 로상을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는 석탄 장입차로부터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코크스로의 대부분은 축로로부터 30년을 경과해서 노령화되어 있지만, 거대한 코크스로의 설비를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와 장기의 공사기간이 필요하게 된다는 점에서, 현재 가지고 있는 코크스로를 보수함으로써 연명화가 꾀해지고 있다.
코크스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탄화실을 구성하고 있는 내화벽돌의 손상부(이음매 떨어짐이나 균열 등)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용사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14에 나타내듯이, 작업자(100,101)가 수작업으로 보수를 행하는 경우, 2m ~10m의 길이의 랜스를 이용하여 보수작업이 행해진다. 단, 작업자(100)가 지지할 수 있는 랜스(102)의 길이는 대략 1m가 한계이며, 랜스의 길이가 4m이상의 장척으로 되면 사람의 손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자(101)가 행하고 있듯이, 지지다리를 갖는 지지대(103)를 로내에 배치해서 그 지지대(103)를 지점으로 해서 장척 랜스(104)를 조작하게 된다.
이렇게 장척 랜스(104)를 사용한 보수작업은 지지대(103)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보수범위는 로내 하부로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100)에 의한 보수범위와 작업자(101)에 의한 보수범위를 합한 범위(105) 이외의 범위에 대해서는 보수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도면중 부호 106은 작업자를 싣고 승강하는 작업장치이다.
그래서, 도14의 좌측에 나타내는 보수장치(107)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보수장치(107)는 코크스로(108)의 작업바닥(109) 상에 부설된 궤도(110)위를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는 대차(111)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대차(111) 상에 텔레스코프식의 신축 랜스(112)가 탑재되어 있다.
이 신축 랜스(112)의 기단부(113)는 지지 프레임(114)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축(115)에 지지되어 있으며, 신축 실린더(116)를 신축시킴으로써 신축 랜스(112)를 상하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신축 랜스(112)를 신장시킨 경우, 기단부(113)로부터 제1단 랜스(112a)~제3단 랜스(112c)가 각각 인출되어, 랜스 선단부의 랜스 헤드(117)를 보수부까지 도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랜스 헤드(117)내의 용사노즐로부터 보수부에 대해서 내화재가 분사되어 결함부분의 보 수가 행해진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1-18164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 보수장치(107)를 사용해도 보수가 가능한 작업범위는 탄화실내 전체의 약 50%로, 여전히 보수를 할 수 없는 미보수 부분(118)이 로내에 남는다.
코크스 사이드(코크스 수해(受骸)측)과 머신 사이드(코크스 압출측)의 양쪽에 상기 보수장치(107)를 배치하면, 로내 전체를 보수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대형이며 비용이 높은 보수장치(107)를 복수대 도입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못하다. 또, 보수장치(107)는 통상, 작업장치가 주행하는 궤도를 이용해서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를 우선시키면 작업장치를 대기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코크스로의 가동율이 저하되고, 작업장치의 주행을 우선시키면 보수장치(107)를 빈번히 대피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보수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15에 나타내는 보수장치(120)는 코크스로(121)의 로상에 부설된 석탄 장입차용의 궤도(122)위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궤도(122)위를 전동(轉動)하는 차륜(123)을 갖는 한쌍의 지주(124,124)에 주행대차(125)가 지지되어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주행대차(125)상에 또한 로 길이방향(A방향)으로 가로주행하는 가로주행 대차(12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가로주행 대차(126)에 설치된 랜스(127)는 가로주행 대차(126)에 기립설치된 승강 가이드(128)를 가이드로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내의 손상부를 보수하는 경우, 주행대차(125)를 로단방향으로, 또, 가로주행 대차(126)를 로 길이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킴으로써, 랜스(127)를 예를 들면 탄화실의 장입구멍 바로위에 위치결정하여 랜스(127)를 탄화실내에 강하시킨다.
랜스(127)의 선단이 보수 대상부에 도달한 시점에서 강하를 정지시키고, 랜스(127)의 선단에 설치된 용사노즐로부터 내화재를 용사해서 결함부분의 보수를 행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38159호 공보 참조).
이 보수장치(120)는 장입구멍을 순차적으로 이동해서 보수작업을 행하므로, 상기 보수장치(107)에 비해 보수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랜스(127)를 강하시키는 보수장치(120)에서는 지름 40~50cm 정도의 좁은 장입구멍을 통해 랜스(127)를 강하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보수범위는 랜스(127)가 강하하는 경로의 근방으로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종래의 보수장치(107,120)에서는 어느 방법이나 로벽에 보수할 수 없는 범위가 남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보수장치에 있어서의 과제를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조업을 정지시키지 않고 코크스로의 탄화실 로벽을 광범위하게 보수할 수 있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코크스로의 로상에 부설된 궤조에 걸쳐져서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를 갖고, 이 주행대차상에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주행 대차가 구비되며, 이 가로주행 대차에 코크스로내의 로벽을 보수하는 작업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는 가로주행 대차로부터 기립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가로주행 대차에 설치된 지지부에 대해서 피벗축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포스트와, 이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랜스와, 피벗축을 지점으로 해서 가이드 포스트를 전경자세와 후경자세 사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멍을 통해 삽입된 랜스를 탄화실내에서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되도록 한 랜스 요동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상의 장입구멍으로부터 랜스를 삽입하고, 탄화실내에 삽입된 랜스를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탄화실내에 있어서의 보수범위를 확대할 수 있어 탄화실내에 미보수부분이 남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랜스 요동수단으로서, 가이드 포스트와 가로주행 대차에 걸쳐져서 신축동작하는 신축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랜스 요동수단을 상기 신축장치와 상기 가로주행 대차로 구성하면, 가이드 포스트의 경사방향으로 가로주행 대차를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장입구멍으로부터 삽입된 랜스의 로 길이방향 요동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와 가로주행장치를 연동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면, 장입구멍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탄화실내에 삽입된 랜스의 요동각을 최대로 하는 조작을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 또한, 랜스를 요동시킬 때에 그 승강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면,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되는 랜스 선단의 이동궤적을 직선으로 바꿀 수 있고,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발생한 이음매 떨어짐을 보수하는 경우여도 랜스 선단의 용사노즐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보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동 기능을 이용하면, 상기 랜스 선단을 탄화실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여 수직방향으로 발생한 이음매 떨어짐에 대해서도 정밀도 좋게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에 그 주행대차의 차륜을 궤조로부터 부상시키는 주행대차 승강장치와, 궤조로부터 부상한 주행대차를 궤조와 평행한 대기위치까지 선회시키는 선회장치를 구비하면, 보수장치 자체만으로 궤조와 평행한 배치, 즉 대피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 승강장치는 주행대차의 저부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지는 받침대와, 주행대차의 언더프레임과 받침대에 접속되는 승강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상기 주행대차상에 도복시키는 기복장치를 겸하도록 구성하면, 가이드 포스트의 요동동작과 가이드 포스트의 절첩동작을 하나의 수단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를 궤조와 평행한 대기배치에 선회시키고, 또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상기 주행대차상에 도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수장치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신축장치를 포함하는 단면의 윤곽이, 석탄 장입차의 주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로 개구부의 단면형상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통로 개구부의 단면 형상보다 작게 상기 보수장치의 외형치수를 정하면, 석탄 장입차의 주행의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로상에 보수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또, 보수장치는 석탄 장입차의 통로를 빠져나갈 수 있으므로, 크레인이나 레커 등의 건설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보수장치를 석탄 장입차의 임의의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석탄 장입차의 대기시간이 해소되어, 가동률을 저하시키지 않고 코크스로를 연속운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는 로상을 주행하는 석탄 장입차용의 궤조를 이용해서 주행하도록 구성하면, 기존의 설비를 개조 또는 보수장치용의 새로운 궤조 부설공사를 행하지 않고 보수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업장치에 의하면, 조업을 정지시키지 않고 코크스로 탄화실의 로벽을 광범위하게 보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주행대차 승강장치 부분의 단면을 포함하는 확대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가로주행 대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4는, 보수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유압 액츄에이터의 유압회로도이다.
도5는, 주행대차에 구비되어 있는 클램프기구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6은, 가로주행 대차상에 탑재되는 작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에 있어서, (a)는 도6에 나타내는 가이드 포스트 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b)는 승강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을 갖는 확대도이다.
도8은, 가이드 포스트 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9는, 가이드 포스트의 도복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랜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11은, 보수장치의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2는, 보수장치의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은, 랜스의 요동지점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4는, 종래의 보수장치의 구성 및 작업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5는, 종래의 다른 보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코크스로(H)의 로상에 배치된 본 발명의 보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또, 로상에는 탄화실(J)로 석탄을 장입하는 석탄 장입차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면중, 2점쇄선(S)으로 그 윤곽을 나타내고 있다. 또, S'는 석탄 장입차(S)에 있어서 로단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통로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보수장치(1)는 로상에 있어서 로단방향으로 부설된 궤조(2,2)위를 이들에 걸쳐진 상태로 주행하는 주행대차(3)와, 이 주행대차(3)상에 설치되어 로 길이방향(화살표(B)방향)으로 가로주행하는 가로주행 대차(4)와, 이 가로주행 대차(4)에 탑재되는 작업장치(5)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행대차(3)의 언더프레임(6)은 예를 들면 C형 강이나 I형 강을 조합해서 창틀형상으로 구성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을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보조 프레임(도시생략)으로 이루어지고, 평면에서 볼 때 사다리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대차(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차륜(7,7(바로 앞측만 도시)이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으며, 한쌍의 차륜(7,7)은 궤조(2)에 대해서 2점에서 접촉한 상태로 그 궤조(2)위를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궤조(2)는 석탄 장입차의 주행용 궤조를 이용하고 있다.
또, 주행대차(3)에는 궤조(2)로부터 차륜(7,7)이 이간되는 높이까지 주행대차(3)를 상승시키는 주행대차 승강장치(8)와, 궤조(2)로부터 부상한 주행대차(3)를 수직축 둘레로 선회시키는 선회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도2는 주행대차 승강장치(8) 부분의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또, 중심선(CL)보다 우측은 주행대차 승강장치(8)의 구성을, 좌측의 단면도는 주행대차 승강장치(8)내에 수납되는 선회장치(9)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주행대차 승강장치(8)는 수직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원주상(대차(3)를 평면에서 본 경우)으로 대략 균등하게 설치된 4개의 승강 실린더(8a(우측 바로 앞측만 도시))와, 이들 승강 실린더(8a)의 각 로드(8b) 선단에 고정된 원반상의 받침대(10)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대(10)의 저판(10a)은 승강 실린더(8a)가 신장된 경우에, 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도시생략)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는 승강 실린더(8a)를 신장시킨 상태, 즉 대차(3)를 궤조(2)로부터 부상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주행대차(3)의 언더프레임(6)에는 승강 실린더(8a)가 축소되는 경우에 그 축소한계를 검지하는 검지센서(8c)가 설치되어 있으며, 받침대(10)의 비선회 프 레임(10b)에 설치된 검출판(10c)이 검지센서(8c)의 검지범위내에 접근하면 검지신호가 출력되어 승강 실린더(8a)의 축소동작을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선회 프레임(1Ob)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선회장치(9)로서의 선회모터(9a)가 수납되어 있다. 이 선회모터(9a)의 구동축은 비선회 프레임(10b)의 저판에 형성된 관통구멍(9b)을 관통해서 받침대(10)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실린더(8a)를 신장시켜서 주행대차(3)를 궤조(2)로부터 부상시킨 상태에서 선회모터(9a)를 구동시키면 주행대차(3)가 선회하게 된다.
또, 비선회 프레임(10b)에는 다른 검지센서(8d)가 설치되며, 받침대(10)상에는 그 검지센서(8d)에 의해 검지되는 검출판(10d)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대차(3)가 소정 각도 선회해서 검출판(10d)을 검출하면 검지센서(8d)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어 선회동작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검지센서(8c,8d)는 고주파 발진식, 자기식 또는 정전용량식의 근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주행대차 승강장치(8)는 4개의 승강 실린더(8a)를 신축시킴으로써, 주행대차(3)를 궤조(2)로부터 부상 또는 궤조(2)에 실을 수 있고, 한편, 선회장치(9)는 주행대차(3)가 궤조(2)로부터 부상한 상태에서 선회모터(9a)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주행대차(3)를 궤조(2)와 직교하는 자세(주행자세)와 궤조(2)와 평행한 자세(대기자세) 사이에서 선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1에 있어서, 도면 좌측의 한쌍의 차륜(7,7)의 회전축은 각각 스프로킷 을 갖고 체인이 걸쳐져서 연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한쪽의 회전축은 주행모터(11)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도면 우측의 한쌍의 차륜(7,7)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어 주행모터(11)에 의해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대차(3)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는 합계 4개의 차륜(7)은 전부 구동륜을 구성하고 있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가로주행 대차(4)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또, 작업장치(5)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주행대차(3)의 상면에는 언더프레임(6)의 길이방향으로 가로주행용 궤조(12,12)(바로 앞측만 도시)가 부설되어 있으며, 이 가로주행용 궤조(12,12)위를 가로주행 대차(4)가 로 길이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가로주행 대차(4)는 창틀형상으로 구성된 언더프레임(13)을 갖고, 이 언더프레임(13)의 길이방향(화살표(B) 방향) 양단부에 차륜(14 및 15)이 설치되어 있다. 16은 언더프레임(13)상에 설치된 전동모터(이하, 가로주행 모터라고 함)이며, 이 출력축은 감속기(17)에 연결되고, 감속기(17)의 출력축에 스프로킷(17a)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차륜(14)의 회전축에도 스프로킷(14a)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프로킷(14a)과 상기 스프로킷(17a)에 체인(18)이 걸쳐져 있다. 따라서, 차륜(14)은 가로주행 대차(4)를 가로주행시키기 위한 구동륜이 되며, 차륜(15)은 유동륜이 된다.
또, 언더프레임(13)의 길이방향 한쪽 끝면(13a)에는 한쌍의 브래킷 (13b,13b)(바로 앞측만 도시)이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으며, 각 브래킷(13b)의 하단에는 가이드 차륜(19)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드 차륜(19)은 언더프레임(6)을 구성하고 있는 단면 I형 프레임(6a)의 상측 리브(6b) 하면에 접촉하면서 전동하고, 그것에 의해, 가로주행 대차(4)가 가로주행용 궤조(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언더프레임(13)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면(13c)에도 마찬가지로 가이드 차륜(19)을 구비한 브래킷(13d,13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로주행 모터(16) 및 그 회전력을 차륜(14)에 전달하는 전달기구는 가로주행장치로서 기능한다.
도4는 상술한 각 유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20은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며, 직류모터(21)를 구동원으로 해서 동작하는 것이다.
이 유압펌프(20)로부터 송출되는 압유는 유로(油路)(22)를 통해, 주행대차(3)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방향제어밸브(23), 보수작업시에 주행대차(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방향제어밸브(24), 주행대차(3)를 선회시키기 위한 선회용 방향제어밸브(25) 및 주행대차(3)를 궤조(2)상에서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용 방향제어밸브(26)에 각각 공급된다.
또, 상기 직류모터(21)는 주행대차(3)에 탑재된 충전지를 전원으로 해서 구동할 수 있지만, 충전지의 충전잔량이 적게 된 경우에는 로상에 장착되어 있는 전력단자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도 구동할 수 있다.
승강용 방향제어밸브(23)는 중립(a), 상승(b), 하강(c)의 각 전환위치를 갖고, 상승(b)으로 전환되면, 유로(23a)→유로(23b)를 통해 각 승강 실린더(8a~8d)의 헤드측에 압유가 도입되어서 로드가 신장하고, 각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받침대(10)를 눌러 내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강(c)으로 전환되면, 유로(23c)→유로(23d)를 통해 각 승강 실린더(8a~8d)의 로드측에 압유가 도입되어서 로드가 축소되어 각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받침대(10)를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고정용 방향제어밸브(24)는 중립(d), 클램프(e), 클램프 해제(f)의 각 전환위치를 갖고, 클램프(e)로 전환되면, 유로(24a)를 통해 각 클램프 실린더(27a~27d)의 헤드측에 압유가 도입되어서 로드가 신장되고, 각 로드에 연결되어 있는 클램프 클로(후술함)를 폐쇄동작시켜서 궤조(2)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클램프 해제(f)로 전환되면, 유로(24b)를 통해 각 클램프 실린더(27a~27d)의 로드측에 압유가 도입되어 로드가 축소되고, 클램프 클로가 개방동작하여 궤조(2)의 파지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술한 클램프 동작은 주행대차(3)를 궤조(2)에 고정함으로써, 작업상태에 있는 보수장치(1)를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5는 클램프 실린더(27a 및 27b)를 대표해서 클램프 및 클램프 해제동작을 설명한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주행대차(3)의 언더프레임(6)에는 궤조(2)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클램프 클로(27e,27f)가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클로(27e)는 언더프레임(6)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축(27g)을 통해 매달려 있다. 클램프 클로(27e)에 있어서 지지축(27g)보다 하방에는 클램프 실린더(27a)의 로드(27i)가 연결되어 있으며, 클 램프 실린더(27a)를 신축시킴으로써 클램프 클로(27e)를 화살표(S)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실린더(27a 및 27b)를 각각 신장시키면, 클램프 클로(27e 및 27f)가 폐쇄동작하고, 그것에 의해, 궤조(2)를 그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중, 2점쇄선으로 나타낸 클램프 클로(27i)는 클램프 해제시의 클램프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 클램프 실린더(27c 및 27d)도 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함으로써, 다른 한쪽의 궤조(2)에 대해서 클램프 동작 또는 클램프 해제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4로 되돌아와서 설명한다.
선회용 방향제어밸브(25)는 중립(g), 우선회(h), 좌선회(i)의 각 전환위치를 갖고, 우선회(h)로 전환되면, 유로(25a)를 통해 선회모터(9)에 압유가 도입되어서 주행대차(3)가 우측방향으로 선회한다. 한편, 좌선회(i)로 전환되면, 유로(25b)를 통해 선회모터(9)에 역방향으로부터 압유가 도입되어 주행대차(3)가 좌측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주행용 방향제어밸브(26)는 중립(j), 남쪽주행(k), 북쪽주행(l)의 각 전환위치를 갖고, 남쪽주행(k)으로 전환되면, 유로(26a)→유로(26b)를 통해 주행모터(11,11)에 평행하게 압유가 도입되어서 주행대차(3)가 남쪽방향으로 주행한다. 한편, 북쪽주행(l)으로 전환되면, 유로(26c)→유로(26d)를 통해 주행모터(11,11)에 역방향으로부터 압유가 도입되어 주행대차(3)가 북쪽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크스로의 로단방향이 남북방향이기 때문에, 주행방향을 남쪽 및 북쪽으로 하고 있지만, 주행대차(3)의 주행방향은 이 방향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중 28은 압유가 축적됨과 아울러 복귀 오일이 복귀되는 탱크, 29는 그 탱크(28)로 통해지는 복귀 유로, 3O은 카운터 밸런스 밸브이다.
도6은 가로주행 대차(4)상에 탑재되는 작업장치(5)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작업장치(5)는 가로주행 대차(4)로부터 기립설치되는 각통형상의 가이드 포스트(31)와, 이 가이드 포스트(3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는 랜스(3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포스트(31)의 하부 양측(Y-Y'방향에 있어서)에는 감속기가 부착된 전동모터(33)에 의해 회전하는 한쌍의 구동 스프로킷(34a,34b)(바로 앞측만 도시)이 설치되고, 가이드 포스트(31)의 상부 양측(Y -Y'방향에 있어서)에는 한쌍의 종동 스프로킷(35a,35b)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34a)과 종동 스프로킷(35a) 및 구동 스프로킷(34b)과 종동 스프로킷(35b)에는 각각 엔드리스의 체인(36a,36b)이 걸쳐져서 주회(周回)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체인(36a,36b)의 일부에 승강장치(37)가 고정되어 있다.
도7은 가이드 포스트 상부(도6의 C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며, (a)는 외관도를, (b)는 승강장치(37)를 절결해서 그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양 도면에 있어서, 승강장치(37)는 평면에서 볼 때 단면이 コ자상으로 형성된 커버(37a)를 갖고, 이 커버(37a)의 측면(37b)에 설치된 상부 고정부(37c)에 체인(36a)의 한쪽끝이 고정되고, 하부 고정부(37d)에 체인(36a)의 다른쪽끝이 고정되 어 있다. 배면측의 측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부 고정부(37c)와 하부 고정부(37d)가 설치되어 체인(36b)이 고정되어 있다.
커버(37a)내에는 도7(b)에 나타내듯이, 가이드 포스트(31)의 앞측 리브판(31a)(X-X'방향에 있어서)을 끼운 상태로 전동하는 복수의 차륜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37a)의 내벽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차륜(38a,38a) 및 내벽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차륜(38b,38b)은 앞측 리브판(31a)의 외면을 따라 전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리브판(31a)을 경계로 해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상부 차륜(38a',38a') 및 하부 차륜(38b',38b')은 앞측 리브판(31a)의 내면을 따라 전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체인(36a,36b)이 화살표(E) 방향으로 주회하면 승강장치(37)는 상승하고, 화살표(E) 방향과 역방향으로 주회하면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커버(37a)의 외면에는 상부 고정부품(39a)과 하부 고정부품(39b)이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고정부품(39a,39b)에 랜스(32)의 상단부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면중, 40은 종동 스프로킷(35a,35b)을 Y-Y'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는 회전축이며, 이 회전축(40)은 가이드 포스트(31)의 상단에 설치된 베어링(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8은 가이드 포스트 하부(도6의 D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이드 포스트(31)의 하부에는 X'방향을 향해서 브래킷(31b)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31b)에 대해서 피벗축(42)이 Y-Y'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 피벗축(42)의 각 축단은 가로주행 대차(4)로부터 기립설치된 한쌍의 지지 프레임(4a,4a)(바로 앞측만 도시)에 피벗지지되어 있다.
또, 앞측 리브판(31a)의 하부에는 X방향을 향해서 한쌍의 암(43a,43b)이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이들 암(43a,43b)에 대하여 랜스(32)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롤러(44a,44b)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롤러(44a,44b)는 파이프상의 랜스(32)를 X-X'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운 상태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각각 중앙부가 가늘어진 북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37)를 구비한 가이드 포스트(31)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복장치(45)에 의해 대략 수직으로 기립한 자세와, 대략 수평하게 도복한 자세 사이에서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복장치(45)는 신축동작하는 실린더부(45a)(신축장치)를 갖고, 한쪽이 가이드 포스트(31)의 대략 중앙부에 대해서 브래킷(31c)을 통해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쪽은 가로주행 대차(4)로부터 연장설치된 브래킷(4b)에 연결되어 있으며, 전동모터(4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로드(45b)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서 가이드 포스트(31)를 기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화실내에서의 랜스(32)의 요동각을 크게 할 목적으로 상기 기복장치(45)에 의한 가이드 포스트(31)의 요동과 가로주행 대차(4)의 주행에 의한 요동지점의 이동을 동시에 행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복장치(45)와 가로주행 대차(4)가 랜스 요동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9는 가이드 포스트(31)를 도복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47은 주행대차(3)의 길이방향 한쪽 끝부에 설치되어 있는 주행대차 제어반 이며, 주행대차(3)의 승강, 선회, 주행을 행하기 위한 각 유압 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또, 48은 유압유닛을 수납한 기기 케이스이다. 단, 각 유압 액츄에이터는 주행대차 제어반(47)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리모트 컨트롤장치에 의해 원격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49는 가로주행 대차(4)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로주행 대차 제어반이며, 가로주행 모터(16), 랜스(32)를 승강시키는 전동모터(33), 가이드 포스트(31)를 기복시키는 전동모터(46)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 각 전동모터(16,33,46)는 펄스입력에 의해 동작하는 펄스 제어식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가로주행 대차 제어반(49)에는 각 전동모터(16,33,4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의 컨트롤러(49a)(후술함)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컨트롤러(49a)에 대해서 리모트 조작에 의해 지령을 부여하는 조이스틱(도시생략)이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랜스(32)의 기본구성에 대해서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랜스(32)는 2중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관 내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외측관으로부터 냉각에 제공된 배수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랜스(32)내의 하부에는 용사노즐(32a)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용사노즐(32a)에 대해서 내화재료 및 금속분으로 이루어지는 용사재와 산소가 혼합상태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용사노즐(32a)의 근방에는 측온저항체(32b)가 설치되고, 이 측온저항체(32b)에 의해 측정된 온도신호는 외부의 온도계에 취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용사노즐(32a)의 용사방향(F방향)과 반대측의 랜스 선단부(32c)에는 용사재를 화살표(F) 방향으로만 안내하기 위한 플러그(32d)가 부착되어 있으며, 용사방향을 화살표(F)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용사노즐(32a)과 플러그(32d)의 배치를 바꿈으로써 용사방향을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갖는 보수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도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는 보수장치(1)의 주행대차(3)가 궤조(2)와 평행한 자세로 대기하고 있으며, 주행대차(3)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져 있는 고정다리(3a 및 3b)가 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대(50a 및 50b)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 받침대(10)는 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받침판(51)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보수작업을 개시함에 있어서, 주행대차 승강장치(8)의 승강 실린더(8a~8d)를 신장시켜서 받침판(51)을 향해서 받침대(10)를 강하시킨다. 받침대(10)가 받침판(51)과 접촉한 상태에서 또 승강 실린더(8a~8d)를 신장시킴으로써, 고정다리(3a,3b)가 설치대(50a,50b)로부터 떨어져서 보수장치(1)가 부상한다.
이 상태에서 선회모터(9a)를 구동시켜 주행대차(3)를 궤조(2,2)와 직교하는 배치, 즉 주행대차(3)가 궤조(2,2)에 걸쳐지는 자세가 될 때까지 주행대차(3)를 선회시킨다.
선회완료후, 승강 실린더(8a~8d)를 축소시키면 주행대차(3)가 하강하여, 주행대차(3)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륜(7,7)이 궤조(2,2)에 탑재된다. 그것에 의해, 주행대차(3)는 궤조(2,2)위를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9에 나타낸 보수장치(1)는 보수대상의 탄화실까지 자주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기복장치(45)를 구동해서 로드(45b)를 신장시키고, 가이드 포스트(31)를 대략 수직으로 기립시킨다.
도12는 보수장치(1)의 작업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랜스(32)를 탄화실(J)내에 강하시키고 있는 상태(도면의 좌측에 나타내는 보수장치(1))와 랜스(32)를 탄화실(J)내에서 요동시키고 있는 상태(도면의 우측에 나타내는 보수장치(1))를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랜스(32)를 탄화실(J)내에 강하시키는 것에 있어서는 템플릿(template)을 사용하여, 먼저, 장입구멍(K)의 중심에 랜스(32)의 선단을 위치결정한다. 이 위치결정에 의해 제로좌표가 결정되고, 결정된 제로좌표는 가로주행 대차 제어반(49)내의 컨트롤러(49a)에 보내진다.
컨트롤러(49a)의 기억부에는 미리 각 탄화실의 형상 데이터(장입구멍의 지름, 장입구멍의 깊이, 탄화실의 깊이 등)가 기억되어 있으며, 그 형상 데이터와, 제로좌표로부터 이동을 개시하는 랜스(32)의 현재좌표에 기초하여 탄화실(J)내에 삽입된 랜스(32)와 탄화실 벽면의 상대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랜스(32)의 선단이 결함부(M1)에 도달하면, 랜스(32)의 강하를 정지시키고, 용사노즐(32a)로부터 용사재를 용사한다.
랜스(32)를 수직으로 강하시키는 경로근방에 있는 결함부에 대해서는 상기 방법으로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결함부(M2)가 랜스(32)의 강하경로로부터 로 길이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자는 조이스틱을 조작함으로써, 랜스(32)를 수직축(장입구멍(K)의 중심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그린 가상선)(N)을 기준으로 해서 각도(θ1)만큼 기울이는 지령을 부여한다.
이 때, 컨트롤러(49a)는 기울어지는 랜스(32)의 지점(P)을 장입구멍(K)의 중심(Kc)이며 또한 장입구멍(K)에 있어서의 원통부(Kd)의 깊이방향 중심(도13참조)에 설정하고, 전동모터(46)의 구동과 가로주행 모터(16)의 구동을 연동시킴으로써, 기울어지는 랜스(32)의 중심이 그 지점(P)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랜스(32)의 자세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랜스(32)를 각도(θ1)로 기울여서 전경자세(P1)로 하는 경우, 전동모터(46)를 구동해서 기복장치(45)의 로드(45b)를 신장시켜 가이드 포스트(31)를 화살표(S)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과 아울러, 가로주행 모터(16)를 구동해서 가로주행 대차(4)를 화살표(S) 방향으로 약간 가로주행시킨다.
이것과는 반대로, 결함부(M3)를 보수하기 위해 랜스(32)를 각도(θ2) 기울여서 후경자세(P2)로 하는 경우에는, 전동모터(46)를 구동해서 기복장치(45)의 로드(45b)를 축소시켜, 가이드 포스트(31)를 화살표(S) 방향과 역방향으로 기울임과 아 울러, 가로주행 모터(16)를 구동해서 가로주행 대차(4)를 화살표(S) 방향과 역방향으로 약간 가로주행시킨다.
상기 가이드 포스트(31)의 요동동작 및 가로주행 대차(4)의 왕복동작은 컨트롤러(49a)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 컨트롤러(49a)는 랜스(32)를 예를 들면 G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경우이어도, 용사노즐(32e)의 이동궤적은 수평방향으로 직선으로 되도록 랜스(32)의 제어를 행한다.
즉, 랜스(32)의 높이를 일정하게 해서 수직자세로부터 전경자세(P1)까지 기울이면, 랜스(32) 선단의 궤도궤적은 원호를 그리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이음매 떨어짐을 정확하게 트레이스(trace)할 수는 없다. 그래서, 랜스(32)선단의 이동궤적을 원호상으로부터 수평방향의 직선으로 바꾸도록 전동모터(33)(도8참조)도 동시에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랜스(32)를 전경자세(P1)로 하는 경우, 컨트롤러(49a)는 랜스(32)의 경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수평방향으로 발생한 결함부(M2)상의 목표좌표를 계산해서 용사노즐(32a)이 그 목표좌표에 위치하도록 전동모터(33)를 구동해서 승강장치(37)를 하강시킨다.
다음에 수직축(N)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발생한 이음매 떨어짐을 보수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49a)는 랜스(32)의 승강동작과 가이드 포스트(31)의 요동 동작과 가로주행 대차(4)의 가로주행동작을 연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랜스(32)를 후경자세(P2)로 해서 하강시키는 경우, 컨트롤러(49a)는 전동모터(33)(도8참조)를 구동해서 랜스(32)를 하강시키면서 랜스(32)의 강하량에 따라 전동모터(46)를 구동해서 기복장치(45)의 로드(45b)를 신장시키고, 가이드 포스트(31)를 화살표(S) 방향으로 기울임과 아울러, 가로주행 모터(16)를 구동시켜 가로주행 대차(4)를 화살표(S)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것에 의해, 랜스(32)의 선단을 수직축(N)과 평행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또, 랜스(32)를 전경자세(P1)로 해서 하강시키는 경우, 컨트롤러(49a)는 전동모터(33)를 구동해서 랜스(32)를 하강시키면서 랜스(32)의 강하량에 따라 전동모터(46)를 구동해서 기복장치(45)의 로드(45b)를 축소시키고, 가이드 포스트(31)를 화살표(S) 방향과 역방향으로 기울임과 아울러, 가로주행 모터(16)를 구동시켜 가로주행 대차(4)를 화살표(S)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 랜스(32)를 후경자세(P2)(또는 전경자세(P1))로 한 상태에서 랜스(32)의 선단을 수직축(N)과 평행하게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제어가 행해진다.
그것에 의해, 수직축(N)으로부터 떨어진 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발생한 이음매 떨어짐에 대해서도 랜스(32)의 선단을 정확하게 추종시켜서 보수할 수 있다.
이렇게 탄화실(J)내에서 랜스(32)를 요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폭넓은 범위에서 탄화실내의 보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랜스(32)를 삽입하는 장입 구멍(K)을 순차적으로 로의 폭방향으로 바꾸어서 보수를 행하면, 탄화실(J)내에 미보수 부분이 남는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 보수장치(1)의 주행대차(3)를 궤조(2)와 평행한 대기배치에 선회시키고, 또한 가이드 포스트(31)를 주행대차(3)상에 도복시킨 상태에서 보수장치(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의 윤곽은 석탄 장입차에 설치되어 있는 통로 단면형상(도1의 S'참조)과 간섭하지 않도록 보수장치(1)의 외형치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보수장치(1)가 대기상태에 있을 때는 석탄 장입차는 그 보수장치(1)위를 자유롭게 주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용사노즐(32a)을 구비한 랜스(32)를 사용해서 보수작업을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랜스(32)내에 감시 카메라나 계측장치를 구비하면, 보수장치를 검사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코크스로의 보수장치는 코크스로 탄화실내의 로벽보수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코크스로의 로상에 부설된 궤조에 걸쳐져서 로단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대차를 갖고, 이 주행대차상에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주행 대차가 구비되며, 이 가로주행 대차에 코크스로내의 로벽을 보수하는 작업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는 상기 가로주행 대차로부터 기립설치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상기 가로주행 대차에 설치된 지지부에 대해서 피벗축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포스트, 이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승강하는 랜스, 및 상기 피벗축을 지점으로 해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전경자세와 후경자세 사이에서 요동시킴으로써,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멍을 통해 삽입된 상기 랜스를 탄화실내에서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하도록 한 랜스 요동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랜스 요동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가로주행 대차에 걸쳐져서 신축동작하는 신축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 요동수단이 상기 신축장치와 상기 가로주행 대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와 상기 가로주행 대차를 연동시킴으로써, 상기 장입구멍과 접촉하지 않는 범위에서 탄화실내에 삽입된 상기 랜스의 요동각을 최대로 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또한 랜스를 요동시킬 때에 그 승강량을 제어함으로써,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하는 상기 랜스 선단의 이동궤적을 직선으로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또한 로 길이방향으로 요동된 상태의 상기 랜스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랜스의 요동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랜스 선단을 탄화실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7.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에 그 주행대차의 차륜을 상기 궤조로부터 부상시키는 주행대차 승강장치와, 궤조로부터 부상한 주행대차를 궤조와 평행한 대기위치까지 선회시키는 선회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 승강장치는 상기 주행대차의 저부로부터 아래로 늘어뜨려지는 받침대와, 상기 주행대차의 언더프레임과 상기 받침대에 접속되는 승강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9.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장치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상기 주행대차상에 도복시키는 기복장치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를 궤조와 평행한 대기배치에 선회시키고, 또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상기 주행대차상에 도복시킨 상태에서 상기 보수장치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신축장치를 포함하는 단면의 윤곽이, 석탄 장입차의 주행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통로 개구부의 단면형상과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통로 개구부의 단면 형상보다 작게 상기 보수장치의 외형치수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대차는 로상을 주행하는 석탄 장입차용의 궤조를 이용해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KR1020057020892A 2005-02-28 2005-02-28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KR101138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03806 WO2006092867A1 (ja) 2005-02-28 2005-02-28 コークス炉の補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811A KR20070106811A (ko) 2007-11-06
KR101138260B1 true KR101138260B1 (ko) 2012-04-25

Family

ID=3694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892A KR101138260B1 (ko) 2005-02-28 2005-02-28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47377B2 (ko)
EP (1) EP1803790B1 (ko)
JP (1) JP4808210B2 (ko)
KR (1) KR101138260B1 (ko)
CN (1) CN1898359B (ko)
PL (1) PL1803790T3 (ko)
TW (1) TWI349699B (ko)
WO (1) WO20060928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786A (ko) * 2018-09-18 2020-03-27 주식회사 엠티에스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431B1 (ko) * 2006-02-21 2009-12-1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손잡이 보수 장치
KR100910483B1 (ko) * 2007-12-26 2009-08-04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정비 장치
US9243186B2 (en) 2012-08-17 2016-01-2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plant including exhaust gas sharing
US9359554B2 (en) 2012-08-17 2016-06-0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Automatic draft control system for coke plants
PL2938701T3 (pl) 2012-12-28 2020-05-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Pokrywy kominów upustowych i powiązane sposoby
WO2014105063A1 (en) 2012-12-28 2014-07-0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hot car in a coke plant
BR112015015667A2 (pt) 2012-12-28 2017-07-11 Suncoke Tech & Development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a remoção de mercúrio das emissões
US10883051B2 (en) 2012-12-28 2021-01-05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coke quenching
US9273250B2 (en) 2013-03-15 2016-03-01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quench tower design
EP3090034B1 (en) 2013-12-31 2020-05-06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for decarbonizing coking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devices
CN103980913A (zh) * 2014-05-30 2014-08-13 武汉科技大学 一种焦炉高温检测及炉墙陶瓷焊补设备
CA2961207C (en) 2014-09-15 2023-04-1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Coke ovens having monolith component construction
EP3240862A4 (en) 2015-01-02 2018-06-20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ntegrated coke plant automation and optimization using advanced control and optimization techniques
BR112018013220B1 (pt) 2015-12-28 2020-11-17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étodo e sistema para abastecer dinamicamente um forno de coque
CN109313443A (zh) 2016-06-03 2019-02-05 太阳焦炭科技和发展有限责任公司 用于在工业设施中自动生成补救措施的方法和系统
CN106225483B (zh) * 2016-07-21 2018-08-10 金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闪速炉平炉顶热态挖补修复方法
CN106185738A (zh) * 2016-08-30 2016-12-07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氧化镁喷枪升降机构
CN110832055B (zh) 2017-05-23 2023-02-03 太阳焦炭科技和发展有限责任公司 用于修补炼焦炉的系统和方法
BR112021012511B1 (pt) 2018-12-28 2023-05-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istema de forno de recuperação de calor carregado por mola e método
WO2020140079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Decarbonizatign of coke oven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00208063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Gaseous tracer leak detection
WO2020140074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Improved oven uptakes
WO2020140092A1 (en) 2018-12-28 2020-07-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Heat recovery oven foundation
CA3125589A1 (en) 2018-12-31 2020-07-09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orrosion resistant surfaces in contaminant treatment systems
BR112021012412A2 (pt) 2018-12-31 2021-09-08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Sistemas e métodos aprimorados para utilizar gás de combustão
KR102039126B1 (ko) 2019-06-21 2019-10-31 (주)달성 코크스 오븐 도어 수리용 대차
CN112143994B (zh) * 2019-06-27 2022-11-11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锌锅耐材在线修补作业平台
KR20230004855A (ko) 2020-05-03 2023-01-06 선코크 테크놀러지 앤드 디벨로프먼트 엘엘씨 고품질 코크스 제품
US11946108B2 (en) 2021-11-04 2024-04-02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processing methods via cupolas
AU2022381759B2 (en) 2021-11-04 2024-05-23 Suncoke Technology And Development Llc Foundry coke products, and associate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572A (ja) 1983-07-08 1985-01-30 Sumitomo Metal Ind Ltd コ−クス炉炉壁の遠隔補修装置
JPH083564A (ja) * 1994-06-22 1996-01-09 Sumitomo Metal Ind Ltd コークス炉装炭口下部の炉壁補修方法および装置
JP2000136386A (ja) * 1998-10-30 2000-05-16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炉点検・補修設備及び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
JP2002285164A (ja) * 2001-03-26 2002-10-03 Nittetsu Yahata Eng Kk コークス炉燃焼室の観察補修設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1342A (en) * 1978-06-26 1980-05-06 Weldon Hydraulics, Inc. Mobile refractory apparatus for repairing interior furnace walls
JP3009955B2 (ja) 1992-01-31 2000-02-14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系の配設構造
DE19910300C1 (de) * 1999-03-09 2000-09-07 Thyssen Krupp Encoke Gmbh Verfahren zur Heißreparatur der Heizzüge einer Koksofenbatterie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ieses Verfahrens
JP3616536B2 (ja) 1999-11-05 2005-02-0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コークス炉補修設備
JP3603181B2 (ja) 1999-12-22 2004-1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炉壁の補修装置
JP4434445B2 (ja) 2000-07-19 2010-03-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炉燃焼室の観察補修装置
US6780351B2 (en) * 2001-04-30 2004-08-24 Emil J. Wirth, Jr. Vessel inspection and repair system
JP4133557B2 (ja) * 2003-05-01 2008-08-13 関西熱化学株式会社 コークス炉における作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572A (ja) 1983-07-08 1985-01-30 Sumitomo Metal Ind Ltd コ−クス炉炉壁の遠隔補修装置
JPH083564A (ja) * 1994-06-22 1996-01-09 Sumitomo Metal Ind Ltd コークス炉装炭口下部の炉壁補修方法および装置
JP2000136386A (ja) * 1998-10-30 2000-05-16 Nippon Steel Corp コークス炉点検・補修設備及びコークス炉の補修方法
JP2002285164A (ja) * 2001-03-26 2002-10-03 Nittetsu Yahata Eng Kk コークス炉燃焼室の観察補修設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786A (ko) * 2018-09-18 2020-03-27 주식회사 엠티에스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KR102178217B1 (ko) 2018-09-18 2020-11-13 (주)엠티에스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3790A4 (en) 2008-03-12
EP1803790B1 (en) 2013-09-04
US20070102278A1 (en) 2007-05-10
CN1898359A (zh) 2007-01-17
US7547377B2 (en) 2009-06-16
TW200630474A (en) 2006-09-01
JPWO2006092867A1 (ja) 2008-08-07
WO2006092867A1 (ja) 2006-09-08
JP4808210B2 (ja) 2011-11-02
CN1898359B (zh) 2011-08-10
PL1803790T3 (pl) 2014-01-31
TWI349699B (en) 2011-10-01
EP1803790A1 (en) 2007-07-04
KR20070106811A (ko) 200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260B1 (ko)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US4497153A (en) Method and device for erecting building structures such as bridges, using pre-fabricated concrete beams
US5582467A (en) Displaceable work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boom
JP5815432B2 (ja) 資材運搬装置及び資材運搬方法
CN104773527B (zh) 一种双向链斗式分层窖池出料机及其工作方法
CN113210993A (zh) 一种板单元纵缝船位焊接系统及其应用、焊接方法
KR100995739B1 (ko) 회전형 작업 로봇
JP4474445B2 (ja) 送出し工法
CN113213346B (zh) 一种长枕埋入式无砟轨道床板钢筋吊运装置及使用方法
JP4434445B2 (ja) コークス炉燃焼室の観察補修装置
CN115333002A (zh) 一种电缆上架装置及方法
JP2007321399A (ja) 線路上空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その装置
JP4718027B2 (ja) コークス炉燃焼室の観察補修設備
JP4527604B2 (ja) 柱材の建て起こし装置および方法
KR101200681B1 (ko) 용접 로봇을 위한 장애물 승월용 리프트
CN219951659U (zh) 一种适用于隧道深埋涵管安装的栈桥
CN215927437U (zh) 一种液压门式支架辅助升降运移装置及支护系统
CN215213542U (zh) 一种自移式巷道支护装置
CN214978933U (zh) 一种板单元纵缝船位焊接系统
JP4133557B2 (ja) コークス炉における作業装置
CN215432328U (zh) 一种板单元纵缝船位焊接的内焊系统
JP3583354B2 (ja) 高炉改修用炉体リングブロックの吊換装置
JPS6236838Y2 (ko)
CN112901224A (zh) 一种自移式巷道支护装置
GB2367050A (en) Beam lif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