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786A -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 Google Patents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786A
KR20200032786A KR1020180111411A KR20180111411A KR20200032786A KR 20200032786 A KR20200032786 A KR 20200032786A KR 1020180111411 A KR1020180111411 A KR 1020180111411A KR 20180111411 A KR20180111411 A KR 20180111411A KR 20200032786 A KR20200032786 A KR 2020003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ing
driving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217B1 (ko
Inventor
안명길
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8011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2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는: 코크스오븐의 도어 전방에 위치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연결되며 주행부와 함께 수평 이동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승하강부와, 승하강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부와 함께 상하 이동되며 프레임부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승하강안내부 및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이동되기 위한 계단을 구비하는 이동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DOOR SERVICE CAR FOR COKE OVEN}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오븐(COKE OVEN)은 용광로로 투입되는 부원료인 코크스를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건류장치이다.
코크스오븐의 내측에는 연소실과 탄화실이 교대로 설치되며, 탄화실의 양측에는 도어부가 설치되어 탄화실을 개폐한다. 코크스오븐의 탄화실에 석탄을 장입하고 일정한 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적열코크스가 제조된다.
도어부를 청소하거나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경우, 작업자와 작업도구를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별도의 도어서비스카 장치가 요구된다. 도어서비스카 장치에는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부가 설치되나,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시 승하강부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34254호(2016.11.23 공개, 발명의 명칭: 챔버 보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코크스 오븐 설비와 코크스 오븐 탄화실 보수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는: 코크스오븐의 도어 전방에 위치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연결되며 주행부와 함께 수평 이동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승하강부와, 승하강부에 설치되어 승하강부와 함께 상하 이동되며 프레임부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승하강안내부 및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이동되기 위한 계단을 구비하는 이동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승하강안내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하강안내부는, 승하강부에 고정되며 승하강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회전지지브라켓 및 회전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일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안내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내롤러부재와 마주하는 레일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며, 안내롤러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안내롤러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계단부는,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계단프레임과, 이동계단프레임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계단을 구비하는 계단몸체부 및 프레임부에 몸체가 고정되고 작동로드는 계단몸체부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계단몸체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계단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는, 승하강부와 연결된 안내롤러부재가 안내가이드봉이 설치된 레일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므로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계단부의 계단몸체부가 상하로 이동되므로, 프레임부 이동시 다른 부재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동력전달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동력전달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와 프레임부가 회전연결부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의 외측에 가공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의 외측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돌기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돌기부가 동작되어 스토퍼레일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승하강안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승하강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수납부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롤러가 이동베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손잡이가 회전스크루바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몸체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몸체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동력전달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동력전달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와 프레임부가 회전연결부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의 외측에 가공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의 외측에 마찰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돌기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돌기부가 동작되어 스토퍼레일부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1)는, 주행부(10)와 프레임부(20)와 승하강부(30)와 구동부(40)와 동력전달부(50)와 낙하방지부(60)와 이동계단부(80)와 승하강안내부(100)와 회전연결부(110)를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10)는 코크스오븐의 도어(92)의 전방에 위치하며 레일부(96)를 따라 좌우 수평방향(도 1기준)으로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부(10)는 주행몸체부(12)와 걸림롤러부(14)와 주행롤러부(15)와 주행구동부(19)를 포함한다.
주행몸체부(12)는 레일부(96)의 하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몸체부(12)는 레일부(96)의 양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판 형상의 격벽이 구비되며, 하측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패널로 연결된다. 주행몸체부(12)의 상측은 개구된 형상이며, 주행몸체부(12)의 상측을 통해 레일부(96)의 진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행몸체부(1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걸림롤러부(14)는 주행몸체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일부(96)의 걸림턱(98)에 걸려서 회전된다. 걸림턱(98)의 상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걸림롤러부(14)는 주행몸체부(12)의 내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걸림롤러부(14)가 레일부(96)의 걸림턱(98) 상측에 걸리므로, 걸림턱(98)을 따라 걸림롤러부(14)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주행롤러부(15)는 레일부(96)의 하부와 마주하는 주행몸체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걸림턱(98)의 하부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 주행롤러부(15)는 주행구동부(19)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므로 주행부(10)는 고정된 레일부(96)를 따라 수평 이동된다.
이러한 주행롤러부(15)는 2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1개의 주행롤러부(15)만 사용한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2개의 주행롤러부(15)를 모두 사용하거나 사용중인 주행롤러부(15)가 고장난 경우 비상 대기 중인 주행롤러부(15)를 사용한다.
주행구동부(19)의 출력축은 롤러지지몸체(13)를 회전시키며, 롤러지지몸체(13)의 외측에 주행롤러부(15)가 설치되어 롤러지지몸체(13)와 함께 회전된다. 주행롤러부(15)는 우레탄을 포함하므로 슬립현상을 방지한다. 롤러지지몸체(13)와 주행롤러부(15)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롤러지지몸체(13)의 외측에는 결합홈부(11)가 형성된다.
우레탄으로 성형된 주행롤러부(15)가 롤러지지몸체(13)에서 떨어지는 박리현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우레탄이 코팅되는 모재인 롤러지지몸체(13)의 외경에 결합홈부(11)를 형성하며, 이러한 결합홈부(11)는 십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복수의 결합홈부(11)를 형성하므로 우레탄으로 성형되는 주행롤러부(15)의 일부가 결합홈부(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행롤러부(15)와 롤러지지몸체(13)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우레탄으로 성형된 주행롤러부(15)의 박리현상을 방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15)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우레탄이나 고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주행롤러부(15)가 걸림턱(98)의 하부에 접하며 회전될 때 탄성을 구비한 주행롤러부(15)가 걸림턱(98)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주행롤러부(15)가 헛도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96)에 접하는 주행롤러부(15)의 외측 둘레에는 주행롤러부(15)의 폭방향으로 복수의 가공홈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롤러부(15)와 걸림턱(98) 사이에 있는 이물질이 가공홈부(17)로 삽입된 후 주행롤러부(15)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되므로 주행롤러부(15)와 걸림턱(98) 사이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96)에 접하는 주행롤러부(16)의 외측 둘레에는 주행롤러부(16)의 폭방향으로 복수의 마찰돌기(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주행롤러부(16)와 걸림턱(98) 사이에 이물질이 있더라도 마찰돌기(18)가 레일부(96)의 걸림턱(98) 하부에 접촉되어 회전되므로 주행롤러부(16)와 걸림턱(98) 사이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주행부(10)는 롤러지지몸체(13)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돌기(150)가 복수로 구비되므로, 롤러지지몸체(13)와 주행롤러부(16)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주행롤러부(16)가 주행몸체부(13)에서 이탈됨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롤러부(15)와 주행구동부(19)는 주행몸체부(12)에 복수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15)와 주행구동부(19)는 회전연결부(110)의 사이에 2개가 설치된다. 2개의 주행구동부(19)가 동시에 동작되어 주행롤러부(15)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1개의 주행구동부(19)만 동작되고 나머지 주행구동부(19)는 비상용으로 대기하다가 비상시 동작되어 주행부(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주행구동부(19)는 주행몸체부(12)에 고정되며, 주행롤러부(15)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구동부(19)는 주행롤러부(15)의 측방향에 위치하며, 주행구동부(19)의 동력을 전달받는 주행롤러부(15)가 회전하면서 레일부(96)의 걸림턱(98) 하부면에 접하면서 회전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는 주행부(10)에 연결되며, 주행부(10)와 함께 수평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20)는 상부프레임(21)과 레일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5)과 하부프레임(26)과 베어링지지부(27)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21)은 주행몸체부(12)의 하측에 직접 연결되거나 회전연결부(110)를 통해 연결되며, 주행부(1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한다. 주행몸체부(12)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21)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상부프레임(21)의 양측은 상측으로 연장되어 주행몸체부(12)에 연결되거나 회전연결부(110)를 통해 주행몸체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프레임(25)의 내측에는 "X"자 형상의 리브가 배치되므로 프레임부(20)의 뒤틀림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연결부(110)는 주행부(10)에 프레임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110)는, 주행부(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편(112)과, 프레임부(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연결편(112)과 마주하는 제2연결편(114)과, 제1연결편(112)과 제2연결편(114)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며 설치되는 연결핀부재(116) 및 제1연결편(112)과 제2연결편(114)을 관통한 연결핀부재(116)에 결합되는 잠금부재(118)를 포함한다.
주행부(10)의 하측으로 연장된 제1연결편(112)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프레임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2연결편(114)은 제1연결편(112)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연결핀부재(116)가 제1연결편(112)과 제2연결편(114)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연결핀부재(116)의 머리는 제1연결편(112)의 외측에 걸리며, 연결핀부재(116)의 몸체는 제1연결편(112)과 제2연결편(114)을 관통한 후 링 형상의 잠금부재(118)와 체결된다. 따라서 제2연결편(114)과 프레임부(20)는 연결핀부재(11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22)은 상부프레임(21)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레일프레임(22)이 직접 주행몸체부(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주행몸체부(12)에 상부프레임(21)이 연결되고, 상부프레임(21)의 하부 양측에 레일프레임(22)이 연결될 수도 있다.
레일프레임(22)은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프레임(22)의 사이에는 코크스 오븐(90)의 열을 차단하는 별도의 차단판이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레일프레임(22)에는 승하강부(30)에 연결된 승하강안내부(100)의 제1안내롤러부(101)와 제2안내롤러부(10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승하강부(30)는 레일프레임(22)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22)의 횡단면은 "ㄴ"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레일프레임(22)의 제1측면(23)은 후방에 위치한 측면이며, 제2측면(24)은 제1측면(23)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굽어져서 레일프레임(22)의 측방향을 형성하는 측면이다. 이러한 제1측면(23)과 제2측면(24)은 수직으로 교차하며 설치되며, 제1안내롤러부(101)와 제2안내롤러부(10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레일프레임(22)의 측면에는 지지프레임(25)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프레임(22)과 지지프레임(25)의 하측은 하부프레임(26)에 의해 연결된다. 하부프레임(26)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프레임(26)의 상측에는 베어링지지부(27)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프레임(26)의 측부에는 이동계단부(80)가 고정되므로, 이동계단부(80)는 프레임부(2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승하강안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과 승하강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일프레임(140)은 사각형의 각관이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일프레임(140)의 제1측면(142)은 승하강안내부(130)의 일측(도 18기준 좌측)에 위치한 레일프레임(140)의 측면이며, 제2측면(146)은 제1측면(142)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굽어져서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레일프레임(140)의 다른 측면이다.
이러한 제1측면(142)에는 제1레일돌기(144)가 고정된다. 제1레일돌기(144)는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각관 형상이다. 그리고 제2측면(146)에도 제2레일돌기(148)가 고정된다. 제2레일돌기(148)도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각관 형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130)는, 승하강부(30)에 연결되며 레일프레임(140)의 제1측면(142)에 접하며 회전되는 제1안내롤러부(131) 및 제1안내롤러부(13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레일프레임(140)의 제2측면(146)에 접하며 회전되는 제2안내롤러부(134)를 포함한다.
제1안내롤러부(131)의 회전축과 제2안내롤러부(134)의 회전축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측면(142)과 제2측면(146)은 수직으로 교차하며 설치된다.
제1안내롤러부(131)는 "V"자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제1레일돌기(144)가 측면에 삽입되는 제1롤러(133)와, 제1롤러(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승하강부(30)에 연결되는 제1지지축(132)을 포함한다.
2개가 한 쌍을 이루며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안내롤러부(134)는 "V"자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며 제2레일돌기(148)가 측면에 삽입되는 제2롤러(136)와, 제2롤러(13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승하강부(30)에 연결되는 제2지지축(135)을 포함한다.
제1레일돌기(144)와 제2레일돌기(148)는 90도 각도로 굽어진 앵글이며, 제1레일돌기(144)와 제2레일돌기(148)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제1안내롤러부(131)와 제2안내롤러부(134)는 상하 이송되는 승하강부(30)의 상하좌우에 배치되므로 승하강부(3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므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승하강안내부(130)의 분해 및 조립작업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30)는 프레임부(20)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업자나 장비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30)는 승하강몸체부(32)와 지지부(34)와 안전펜스(38)를 포함한다.
승하강몸체부(32)는 레일프레임(22)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몸체부(3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판 형상이며, 승하강몸체부(32)에 설치된 승하강안내부(100)의 제1안내롤러부(101)와 제2안내롤러부(104)가 레일프레임(2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승하강몸체부(32)에는 동력전달부(50)의 체인부재(58)가 연결되므로, 체인부재(58)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체인부재(58)의 일단은 승하강몸체부(32)의 상측에 연결되며 타단은 승하강몸체부(32)의 하측에 연결된다. 또한 낙하방지부(60)의 안전걸림부(70)도 승하강몸체부(32)에 설치된다.
지지부(34)는 승하강몸체부(3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안전펜스(38)는 지지부(34)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탑승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펜스를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지지부(34)에 올라선 상태에서 승하강부(3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도어(92)의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안내부(100)는 승하강부(30)에 설치되어 승하강부(30)와 함께 상하 이동되며, 프레임부(20)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100)는, 승하강부(30)에 연결되며 레일프레임(22)의 제1측면(23)에 접하며 회전되는 제1안내롤러부(101) 및 제1안내롤러부(10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레일프레임(22)의 제2측면(24)에 접하며 회전되는 제2안내롤러부(104)를 포함한다.
제1안내롤러부(101)는 승하강부(30)의 승하강몸체부(32)에 연결되는 제1지지축(102)과, 제1지지축(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103)를 포함한다. 제1지지축(102)은 승하강몸체부(32)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지지축(1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롤러(103)는 레일프레임(22)의 제1측면(23)에 접한 상태로 회전된다.
제2안내롤러부(104)는 승하강부(30)의 승하강몸체부(32)에 연결되는 제2지지축(105)과, 제2지지축(10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106)를 포함한다. 제2지지축(105)은 승하강몸체부(32)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후 직각으로 굽어지며, 이러한 제2지지축(10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롤러(106)는 레일프레임(22)의 제2측면(24)에 접한 상태로 회전된다.
제1안내롤러부(101)의 회전축과 제2안내롤러부(104)의 회전축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각각 제1측면(23)과 제2측면(24)에 접하며 회전된다. 따라서 제1안내롤러부(101)는 승하강부(30)의 전후 흔들림을 감소시키며 제2안내롤러부(104)는 승하강부(30)의 좌우 흔들림과 승하강부(30)의 뒤틀림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제1안내롤러부(101)와 제2안내롤러부(104)는 승하강부(30)의 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측과 하측에 복수로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0)는 전력을 공급받아 승하강부(3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는 모터부재(42)와 변속부(44)와 조작핸들(46)을 포함한다. 모터부재(42)의 전방에는 조작핸들(46)이 설치되며, 모터부재(42)의 동력은 변속부(44)를 통해 구동축부재(52)로 전달된다. 모터부재(42)는 프레임부(20)에 설치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공급한다.
조작핸들(46)은 정전시 모터부재(42)의 브레이크 장치를 수동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으므로 모터부재(4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있다. 모터부재(42)의 브레이크 오프시 모터부재(42)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다.
동력전달부(50)는 구동부(40)의 동력을 승하강부(3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동력전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50)는 구동축부재(52)와 구동스프라켓(54)과 종동스프라켓(56)과 체인부재(58)를 포함한다.
구동축부재(52)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부(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변속부(44)를 통해 구동축부재(52)로 전달된 동력에 의해 구동축부재(52)가 회전되며, 구동스프라켓(54)은 구동축부재(52)에 고정되어 구동축부재(52)와 함께 회전한다.
레일프레임(22)의 하측에 구동축부재(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축부재(52)의 양측에 고정된 구동스프라켓(54)의 외측에는 체인부재(58)가 걸리므로, 구동축부재(52)의 회전에 의해 체인부재(58)가 이동된다.
종동스프라켓(56)은 승하강부(30)를 사이에 두고 구동스프라켓(54)과 마주하며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종동스프라켓(56)은 승하강부(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체인부재(58)는 구동스프라켓(54)과 종동스프라켓(56)에 걸려서 회전되며, 체인부재(58)의 일측과 타측은 승하강부(30)에 각각 연결된다.
도 3, 도 4,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방지부(60)는 승하강부(30)에 연결되며, 동력전달부(50)의 체인부재(58) 절단시 동작되어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므로 승하강부(30)의 낙하를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낙하방지부(60)는 스토퍼레일부(62)와 안전걸림부(70)와 와이어부재(77)와 연결블록(78)을 포함한다. 스토퍼레일부(62)는 승하강부(30)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레일부(62)는 레일본체(64)와 지지판(66)을 포함한다. 레일본체(64)의 단면 형상은 "H"빔 형상이며, 승하강부(30)와 코크스 오븐(90)의 도어(92) 사이에 설치된다. 레일본체(64)의 상측과 하측은 프레임부(20)에 고정되므로 프레임부(20)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지지판(66)은 레일본체(64)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판(66)은 레일본체(64)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설치되므로,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시 체인부재(58)가 절단되어도 낙하방지부(60)의 신속한 동작이 가능하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걸림부(70)는 스토퍼레일부(62)와 마주하는 승하강부(30)에 연결되며, 체인부재(58)의 장력 유무에 따라 동작되어 스토퍼레일부(62)에 걸리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걸림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걸림부(70)는 케이스부(71)와 안전돌기부(72)와 탄성가압부재(75)와 견인연결부(76)를 포함한다.
케이스부(71)는 상기 스토퍼레일부(62)와 마주하는 승하강부(3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승하강몸체부(32)의 측면에서 돌출된 케이스부(71)는 스토퍼레일부(6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안전돌기부(72)는 케이스부(71)의 내측에 위치하며, 케이스부(71)를 관통하여 스토퍼레일부(62)에 걸리는 돌기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돌기부(72)는 케이스부(71)의 내측에 위치하는 안전돌기몸체(74)와, 안전돌기몸체(74)에서 돌출되어 케이스부(7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전돌기(73)를 포함한다.
탄성가압부재(75)는 스토퍼레일부(62)를 향한 방향으로 안전돌기부(72)를 탄성 가압한다.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탄성가압부재(75)는 케이스부(71)의 내측에 설치되며, 탄성가압부재(75)의 일측은 안전돌기몸체(74)에 접하며 타측은 승하강부(30)에 접하므로 안전돌기부(72)가 케이스부(71)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견인연결부(76)는 체인부재(58)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77)와 안전돌기부(72)를 연결하며, 안전돌기부(72)를 케이스부(71)의 내측으로 견인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연결부(76)의 일측은 안전돌기부(72)에 연결되며, 타측은 와이어부재(77)가 걸리기 위한 고리를 형성한다.
와이어부재(77)의 양측은 안전걸림부(70)의 양측에 설치된 체인부재(58)에 각각 연결된다. 또는 체인부재(58)에 연결블록(78)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블록(78)에 와이어부재(77)가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부재(77)의 양측은 체인부재(58) 또는 연결블록(78)에 연결되며, 중앙 부분은 견인연결부(76)에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부재(77)의 장력에 의해 안전걸림부(70)는 케이스부(71)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토퍼레일부(62)에 걸리지 않는다.
도 1과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계단부(80)는 프레임부(20)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이동되기 위한 계단을 구비하며 접혀지거나 길이가 가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동계단부(80)는 프레임부(20)와 함께 수평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계단부(80)는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이 구비되며, 하측으로 이동된 승하강부(30)로 작업자가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이동계단부(80)의 설치위치는 프레임부(20)의 우측과 좌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고정식과 접이식과 회전식 중 적어도 어느 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80)는 프레임부(20)에 연결되는 제1계단부(82)와, 제1계단부(8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계단부(84) 및 일측은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로드(89)는 제2계단부(8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89)의 길이 변화에 의해 제2계단부(84)를 회전시키는 계단구동부(88)를 포함한다.
제1계단부(82)와 제2계단부(84)에는 작업자고 오르내리기 위한 계단이 구비되며, 제1계단부(82)의 상측은 프레임부(20)의 하부프레임(26)에 고정된다. 제2계단부(84)는 제1계단부(8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부(86)로 연결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상측으로 들여올려 진다.
계단구동부(88)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실린더이며, 계단구동부(88)의 몸체는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계단구동부(88)의 로드(89)는 제2계단부(8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계단부(80)는 바닥 푸셔카(PUSHER CAR)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제1계단부(82)는 고정되어 있으나 제2계단부(84)는 유압식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계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가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120)는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계단부(122) 및 일측은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의 로드(126)는 회전계단부(1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로드(126)의 길이 변화에 의해 회전계단부(122)를 회전시키는 계단구동부(124)를 포함한다.
회전계단부(122)의 상측이 프레임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계단구동부(124)의 동작시 회전계단부(122)가 회전 연결된 피봇 힌지를 중심으로 45도 각도로 회전된다. 이때 계단구동부(124)는 프레임부(20)와 마주하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므로 회전계단부(122)의 하측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회전계단부(122)나 승하강부에 작업자가 올라탄 후 계단구동부(124)의 작동을 조작하여 회전계단부(122) 전체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회전계단부(122)를 통하여 작업자가 내려올 때는 회전계단부(122)를 하강하여 지면을 향하게 한 후 회전계단부(122)에 구비된 계단을 통해 작업자가 걸어 내려온다.
또한 회전계단부(122)의 상승과 하강은 회전계단부(122)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조작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90)의 양 측에는 도어(92)가 설치되며, 코크스 오븐(90)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레일부(96)가 설치된다. 레일부(96)의 하부 양측으로 걸림턱(98)이 돌출되므로, 주행부(10)의 걸림롤러부(14)가 걸림턱(98)의 상측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한다. 레일부(96)는 코크스 오븐(90)의 본체에 연결된 고정프레임(94)에 의해 지지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1)가 레일부(96)에 연결된 상태에서,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주행구동부(19)가 동작된다. 주행구동부(19)의 동력에 의해 주행롤러부(15)가 회전되므로 주행부(10)를 포함한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1)는 레일부(96)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주행롤러부(15)는 우레탄으로 성형되므로 레일부(96)의 하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슬립현상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홈부(17)나 마찰돌기(18)가 추가로 주행롤러부(15)에 형성되므로 슬립현상 발생을 보다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구동부(19)와 주행롤러부(15)가 2개 이상 설치되므로, 1개의 주행구동부(19)와 주행롤러부(15)가 고장난 경우에도 다른 주행구동부(19)와 주행롤러부(15)가 동작되어 주행부(10)와 프레임부(20)를 레일부(96)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부재(42)의 동력을 전달받은 구동축부재(52)가 회전한다. 구동축부재(52)와 함께 구동스프라켓(54)이 회전하면서 체인부재(58)를 이동시키므로 승하강부(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워진다.
도 4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체인부재(58)가 절단되는 경우, 구동스프라켓(54)이 연결된 구동축부재(52)가 구동부(40)에 연결되므로 체인부재(58)의 회전이 구속되어 승하강부(3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체인부재(58) 또는 연결블록(78)에 연결된 와이어부재(77)의 장력이 저하되므로 탄성가압부재(75)의 탄성력에 의해 안전돌기부(72)가 케이스부(71)의 외측을 향하여 이동된다.
안전돌기부(72)가 스토퍼레일부(62)의 지지판(66)에 걸리므로 승하강부(3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 형태의 안전돌기부(72)가 체인부재(58)의 장력이 사라짐과 동시에 탄성가압부재(75)에 의해 순간 돌출되어 사다리 형태의 스토퍼레일부(62)에 걸리므로 승하강부(30)의 추락이 방지된다. 체인부재(58)가 끊어질 수 있는 위치는, 승하강부(30)와 구동스프라켓(54)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부재(58)와, 구동스프라켓(54)과 종동스프라켓(56)을 연결하는 체인부재(58) 및 종동스프라켓(56)과 승하강부(30)를 연결하는 체인부재(58)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30)와 구동스프라켓(54)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부재(58)가 끊어지는 경우, 종동스프라켓(56)에 체인부재(58)가 걸려있으므로 승하강부(30)의 추락이 방지된다. 또한 구동스프라켓(54)과 종동스프라켓(56)을 연결하는 체인부재(58)와 종동스프라켓(56)과 승하강부(30)를 연결하는 체인부재(58)가 끊어지는 경우, 와이어부재(77)의 장력이 사라지므로 안전돌기부(72)가 스토퍼레일부(62)에 걸려서 승하강부(30)의 추락이 방지된다.
구동부(40)는 유압으로 동작되지 않고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므로 유증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1)는, 유압시스템을 이용하는 장비 대비 정비가 간편하며, 부품교체 및 정기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유압라인의 파손 등과 같은 이유로 이상 작동 원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모터부재(42)와 주행구동부(19)에 사용되는 모터 모두를 AC 인버터 모터로 사용하므로 속도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시 승하강부(30)에 연결된 승하강안내부(100)의 제1안내롤러부(101)와 제2안내롤러부(104)가 레일프레임(22)의 서로 다른 측면에 접하며 회전되므로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시 뒤틀림이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며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1안내롤러부(101)는 레일프레임(22)의 제1측면(23)에 접하며 상하로 이동되며, 제2안내롤러부(104)는 레일프레임(22)의 제2측면(24)에 접하며 상하로 이동이 안내된다.
또는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프레임(140)의 측면에 횡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제1레일돌기(144)와 제2레일돌기(148)가 고정된다. 그리고 "V"자 형상의 홈부를 구비한 제1롤러(133)와 제2롤러(136)가 서로 다른 측면에 설치된 제1레일돌기(144)와 제2레일돌기(148)에 각각 접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므로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시 뒤틀림이나 흔들림 현상을 방지하며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회전연결부(110)에 의해 프레임부(20)는 주행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프레임부(20)를 수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연결핀부재(116)를 제1연결편(112)과 제2연결편(114)에서 분리한 후 프레임부(2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수납부의 정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롤러가 이동베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손잡이가 회전스크루바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몸체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단몸체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계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3)는, 실린더 방식으로 동작되는 구동부(240)에 의해 승하강부(30)가 레일프레임(2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실린더를 사용하는 구동부(240)는 한 쌍의 레일프레임(22)의 하측 가운데에 설치되며, 구동부(240)는 승하강부(30)에 직접 연결되거나 구동부(240)에 연결된 브라켓에 체인이 연결되어 승하강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실린더를 사용하는 구동부(240)에 의해 승하강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롤러부(15)의 외측에는 격자 형상의 가공홈부(17)가 형성되므로, 주행롤러부(15)의 슬립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주행롤러부(15)와 마주하는 롤러지지몸체(13)의 외측에는 돌출된 돌기 형상의 결합돌기(150)가 요철 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결합돌기(150)의 사이에는 결합홈부(11)가 구비되므로 주행롤러부(15)와 롤러지지몸체(13)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결합력이 증가한다.
도 20 및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수납부(200)는 프레임부(20)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프레임(26)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수납부(200)는, 수납베이스(201)와 가이드봉(202)과 받침롤러(203)와 회전스크루바(205)와 이동베이스(206)와 이동연장부재(207)와 착탈손잡이(208)를 포함한다.
수납베이스(201)는 하부프레임(26)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수납베이스(201)의 상부에서 좌우 양측에는 봉 형상의 가이드봉(202)이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봉(202)의 상측에 설치된 이동베이스(206)에서 연장된 부재가 가이드봉(202)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이동베이스(206)가 가이드봉(202)을 따라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롤러(203)도 수납베이스(20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받침롤러(203)의 상측에는 배터리케이스(209)를 지지하는 이동베이스(206)가 위치한다. 따라서 이동베이스(206)와 받침롤러(203)는 구름접촉을 하므로 이동베이스(206)의 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봉(202)의 가운데에는 회전스크루바(20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납베이스(20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스크루바(205)의 일단은 착탈 손잡이와 결합되며, 착탈손잡이(208)를 돌리는 동작에 의해 회전스크루바(205)가 회전된다.
배터리케이스(209)의 하부를 지지하는 이동베이스(206)의 하부로 연장된 이동연장부재(207)는 회전스크루바(205)와 마주하는 내측에 나선형의 기어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회전스크루바(205)에 결합된 이동연장부재(207)는 회전스크루바(205)의 회전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무거운 중량을 갖는 배터리케이스(209)의 수평 방향 이동이 착탈손잡이(208)를 돌리는 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20 및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안내부(210)는 프레임부(23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안내프레임(28)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하부프레임(26)에 연결된 안내프레임(28)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개구된 홈부를 형성한다.
이동계단프레임(281)은 안내프레임(28)의 내측에 삽입되며, 안내프레임(28)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계단프레임(281)에는 복수의 승하강롤러(28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내프레임(28)에 접하며 마찰력을 저감시킨다.
계단몸체부(282)는 이동계단프레임(281)의 하측에 연결되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러한 계단몸체부(282)는 작업자가 오르 내릴 수 있는 계단을 형성하며, 이동계단프레임(281)과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실린더 방식으로 동작되는 이동계단구동부(283)의 몸체는 프레임부(230)에 고정되며, 이동계단구동부(283)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구동로드(284)는 계단몸체부(282)의 하측에 힌지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계단구동부(283)의 동작에 의해 계단몸체부(28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8과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승하강안내부(210)는 승하강부(30)에 연결되며,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이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러한 승하강안내부(210)는 회전지지브라켓(212)과 안내롤러부재(214)와 안내가이드봉(250)을 포함한다.
회전지지브라켓(212)은 승하강부(30)의 상부에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승하강부(30)의 하부에서 좌우 양측에도 각각 설치된다. 승하강부(30)에서 연장된 회전지지브라켓(21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프레임부(230)와 레일프레임(232)의 측면과 마주한다.
레일프레임(23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러한 레일프레임(232)의 측면에는 봉 형상의 안내가이드봉(250)이 고정된다.
그리고 회전지지브라켓(2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내롤러부재(214)에 구비된 측면홈에 안내가이드봉(250)이 삽입되므로, 승하강부(30)와 함께 승하강안내부(2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내롤러부재(214)가 안내가이드봉(25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흔들림이 방지되므로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강부(30)와 연결된 안내롤러부재(214)가 안내가이드봉(250)이 설치된 레일프레임(23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므로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계단부(280)의 계단몸체부(282)가 상하로 이동되므로, 프레임부(230) 이동시 다른 부재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30)와 연결된 제1안내롤러부(101)와 제2안내롤러부(104)가 레일프레임(22)의 서로 다른 측면에 각각 접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므로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승하강부(3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40)가 전원의 공급에 의해 동작되어 고온의 동작환경에서도 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50)의 장력 유무에 따라 동작이 이루어져서 승하강부(30)의 낙하를 방지하므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96)에 접하며 회전되는 주행롤러부(15)가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므로 프레임부(20)의 수평 이동시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향상된 주행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행부(10)와 프레임부(20)가 회전연결부(11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손상이 발생된 프레임부(20)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프레임부(20) 등에 충격이 가해져도 회전연결부(1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를 하므로 주행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계단부(80)의 제2계단부(84)가 힌지부(86)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측으로 들리므로, 프레임부(20) 이동시 다른 부재와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3: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10: 주행부 11: 결합홈부 12: 주행몸체부 13: 롤러지지몸체 14: 걸림롤러부 15,16: 주행롤러부 17: 가공홈부 18: 마찰돌기 19: 주행구동부
20: 프레임부 21: 상부프레임 22: 레일프레임 23: 제1측면 24: 제2측면 25: 지지프레임 26: 하부프레임 27: 베어링지지부 28: 안내프레임
30: 승하강부 32: 승하강몸체부 34: 지지부 38: 안전펜스
40: 구동부 42: 모터부재 44: 변속부 46: 조작핸들
50: 동력전달부 52: 구동축부재 54: 구동스프라켓 56: 종동스프라켓 58: 체인부재
60: 낙하방지부 62: 스토퍼레일부 64: 레일본체 66: 지지판 70: 안전걸림부 71: 케이스부 72: 안전돌기부 73: 안전돌기 74: 안전돌기몸체 75: 탄성가압부재 76: 견인연결부 77: 와이어부재 78: 연결블록
80: 이동계단부 82: 제1계단부 84: 제2계단부 86: 힌지부 88: 계단구동부 89: 로드
90: 코크스 오븐 92: 도어 94: 고정프레임 96: 레일부 98: 걸림턱
100: 승하강안내부 101: 제1안내롤러부 102: 제1지지축 103: 제1롤러 104: 제2안내롤러부 105: 제2지지축 106: 제2롤러
110: 회전연결부 112: 제1연결편 114: 제2연결편 116: 연결핀부재 118: 잠금부재
120: 이동계단부 122: 회전계단부 124: 계단구동부 126: 로드
130: 승하강안내부 131: 제1안내롤러부 132: 제1지지축 133: 제1롤러 134: 제2안내롤러부 135: 제2지지축 136: 제2롤러
140: 레일프레임 142: 제1측면 144: 제1레일돌기 146: 제2측면 148: 제2레일돌기 150: 결합돌기
200: 배터리수납부 201: 수납베이스 202: 가이드봉 203: 받침롤러 205: 회전스크루바 206: 이동베이스 207: 이동연장부재 208: 착탈손잡이 209: 배터리케이스
210: 승하강안내부 212: 회전지지브라켓 214: 안내롤러부재
230: 프레임부 232: 레일프레임
240: 구동부
250: 안내가이드봉
280: 이동계단부 281: 이동계단프레임 282: 계단몸체부 283: 이동계단구동부 284: 구동로드 285: 승하강롤러

Claims (5)

  1. 코크스오븐의 도어 전방에 위치하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부와 함께 수평 이동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재공간이 구비되는 승하강부;
    상기 승하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와 함께 상하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접하며 구름운동을 하는 승하강안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이동되기 위한 계단을 구비하는 이동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승하강안내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안내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고정되며, 상기 승하강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는 회전지지브라켓; 및
    상기 회전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측면에 접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안내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안내롤러부재의 측면에 구비된 홈부로 삽입되어 상기 안내롤러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계단부는,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계단프레임;
    상기 이동계단프레임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작업자가 오르내리는 계단을 구비하는 계단몸체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몸체가 고정되고 작동로드는 상기 계단몸체부에 연결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계단몸체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계단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KR1020180111411A 2018-09-18 2018-09-18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KR102178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11A KR102178217B1 (ko) 2018-09-18 2018-09-18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11A KR102178217B1 (ko) 2018-09-18 2018-09-18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786A true KR20200032786A (ko) 2020-03-27
KR102178217B1 KR102178217B1 (ko) 2020-11-13

Family

ID=6995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411A KR102178217B1 (ko) 2018-09-18 2018-09-18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21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834U (ko) * 1993-06-01 1995-01-04 만도기계 주식회사 왕복동식 냉동기의 응축기 수냉장치
KR200228430Y1 (ko) * 2000-12-29 2001-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작업대의 사방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노체보수장치
KR100865309B1 (ko) * 2002-09-03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굴곡면에도 주행이 가능한 휠 장치
KR100907311B1 (ko) * 2008-03-28 2009-07-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너
KR101138260B1 (ko) * 2005-02-28 2012-04-25 간사이네쯔카가꾸가부시끼가이샤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KR20120126451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전기로의 용융물 높이측정장치
KR20130034561A (ko) * 2011-09-28 2013-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승강 작업대
CN106894511A (zh) * 2017-04-03 2017-06-27 大连理工大学 一种可移动的多层轻体房及其组装方法
KR20180075068A (ko) * 2016-12-26 2018-07-04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차량 승하차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834U (ko) * 1993-06-01 1995-01-04 만도기계 주식회사 왕복동식 냉동기의 응축기 수냉장치
KR200228430Y1 (ko) * 2000-12-29 2001-06-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작업대의 사방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노체보수장치
KR100865309B1 (ko) * 2002-09-03 2008-10-27 주식회사 포스코 레일 굴곡면에도 주행이 가능한 휠 장치
KR101138260B1 (ko) * 2005-02-28 2012-04-25 간사이네쯔카가꾸가부시끼가이샤 코크스로의 보수장치
KR100907311B1 (ko) * 2008-03-28 2009-07-13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너
KR20120126451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 에스엔엔씨 전기로의 용융물 높이측정장치
KR20130034561A (ko) * 2011-09-28 2013-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승강 작업대
KR20180075068A (ko) * 2016-12-26 2018-07-04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차량 승하차용 리프트
CN106894511A (zh) * 2017-04-03 2017-06-27 大连理工大学 一种可移动的多层轻体房及其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217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8982B (zh) 具有维修窗口的升降机机厢
CN105000446B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装置
JP5951104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20200032786A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KR20200032787A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KR102135025B1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CN109179271B (zh) 一种大角度斜爬式擦窗机
KR101901265B1 (ko) 코크스 오븐용 도어서비스카
KR101929753B1 (ko) 비계에 설치되는 조립용 케이블 레스 상하이송장치
CN209411563U (zh) 一种物料提升机防护门联动装置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208666828U (zh) 一种电梯门缝防护装置
CN108584637B (zh) 电梯装置
JP5748538B2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及びエレベータ
KR100336342B1 (ko) 승객 수송장치의 제어반 양중장치
CN216426400U (zh) 一种电梯曳引力的检测装置
CN105731208A (zh) 施工升降机及其防冲顶装置
CN218813174U (zh) 一种固定式梁底检查车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CN110964545B (zh) 拦焦车导焦栅不停产更换的方法
CN221680461U (zh) 家用电梯用机械阻止机构
No 261
CN220223139U (zh) 一种电梯防坠机构及链条电梯
CN217176530U (zh) 一种油田修井用油管滑车
TWI736963B (zh) 升降裝置及改造升降機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