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781B1 -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781B1
KR101137781B1 KR1020050122898A KR20050122898A KR101137781B1 KR 101137781 B1 KR101137781 B1 KR 101137781B1 KR 1020050122898 A KR1020050122898 A KR 1020050122898A KR 20050122898 A KR20050122898 A KR 20050122898A KR 101137781 B1 KR101137781 B1 KR 10113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de
service providing
providing device
execution result
inter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079A (ko
Inventor
최문정
박상도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7781B1/ko
Priority to US11/518,888 priority patent/US8307133B2/en
Publication of KR2007006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58Service discovery by the service manag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들웨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이종 기기간에 즉각적이고 안정적인 연동이 가능한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에 적합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기종 기기들이 즉각적이고 안정적으로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미들웨어, 모바일 코드, 애드혹 네트워크

Description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TIBILITY OF HETEROGENEOUS NETWORK DEVICES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코드 전송 및 실행 결과 수신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PDA 및 포토 프린터의 상호 연동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테스트 코드 생성부 320: 테스트 코드 송/수신부
330: 판단부 340: 환경 설정부
350: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
본 발명은 미들웨어(middlewar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이종(heterogeneous) 기기간에 즉각적이고 안정적인 연동이 가능한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들웨어(middleware)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간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들을 연결해주는 소프트웨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좁은 범위로는 한 기업에 설치된 다양한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응용 프로그램, 근거리통신망 환경, PC 환경 및 운영체제의 차이를 메워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즉, 미들웨어는 복잡한 이기종(異機種)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을 이룰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초고속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하여 유비쿼터스(ubiquitous)가 화두가 되면서, 이종 기기간의 상호 연동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유비쿼터스 환경의 홈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홈 네트워크 기기들은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경우 각각의 기기들을 효과적으로 연동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은 동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기기들은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의 특성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주변의 다른 기기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새로 PDA를 구입하여 오디오 시스템이 설치된 집으로 가지고 왔을 때, 사용자가 PDA에 저장된 MP3 파일을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서로 상대방 기기의 특성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기기들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필요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물론, 네트워크 내의 모든 네트워크 기기들이 특정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기들과 연동하는 경우에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기기들을 연동시킬 수 있으나,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는 기기들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각각의 기기들의 플랫폼이나 프로토콜 등이 다른 경우가 많은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은 환경에서 주변의 다른 기기의 특성을 모르는 기기들이 서로 즉각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이종 기기간에 즉각적으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연동이 가능한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상대방 기기의 특성을 모르는 이기종 기기들 간에 즉각적으로 유연하고 안정적인 연동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의 종류나 시스템 특성에 제약을 받지 않고 기기들 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이기종 기기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기기에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적절히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제공하여 연동에 필요한 기능을 확장하도록 함으로써 동적으로 기능을 확장하여 즉각적인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기기와 기존의 기기들이 용이하게 연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방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 있는 상호 연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에 적합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가 상기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상기 테스트 코드에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기능 확장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 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테스트 코드 생성부,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상호 연동성 판단부, 및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에 적합한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가 상기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하여,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이 상기 테스트 코드에 포함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애드혹(ad-hoc) 네트워크 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은 모바일 코드(mobile code)의 형태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S110).
즉, 도 1에 도시된 동작의 주체가 되는 제어 기기와, 서비스 제공 기기가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통해 서로 기기 정보를 교환하여 제어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 기기의 기기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서비스 어나운스먼트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 등의 기기 상호연동은 량데뷰(Rendezvous) 프로토콜 및 "Beep" 프로토콜 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기기 정보는 기기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정보,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정보, 시스템 라이브러리 정보, JVM(Java Virtual machine) 정보, 메모리 정보 및 언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기기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 기기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 기기 및 수행할 서비스를 선택 받는다(S120).
예를 들어, 제어 기기가 PDA이고, 서비스 제공 기기가 MP3 플레이어일 때, 사용자는 PDA를 조작하여 서비스 제공 기기인 MP3 플레이어로 MP3 파일을 전송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기기 및 수행할 서비스가 선택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예를 들어, 제어 기기가 PDA이고, 서비스 제공 기기가 MP3 플레이어일 때, 사용자가 PDA에서 MP3 플레이어로 MP3 파일을 전송하도록 선택하였다면, PDA는 MP3 플레이어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와 PDA 자신의 기기 정보 및 MP3 파일 전송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전송을 위한 MP3 플레이어와 PDA의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 코드의 생성 가능성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PDA와 MP3 플레이어와의 기기 정보를 비교한 결과 파일 전송을 위한 연동이 전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테스트 코드 생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테스트 코드의 생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한다(S140).
즉, 도 1에 도시된 단계의 수행 주체인 제어 기기의 정보,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 및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고려하여 적절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 테스트 코드의 생성은 각종 서비스 및 기기 정보마다 상응하는 테스트 코드가 저장된 테이블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및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에 상응하는 테스트 코드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테스트 코드가 생성되면, 생성된 테스트 코드를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한다(S150).
이 때, 단계(S150)는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 테스트 코드를 바꾸어가면서 소정 횟수 반복될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코드는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기기에서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였을 때 발생하는 오류의 종류에 따라 테스트 코드를 바꾸어가면서 소정 횟수 반복하여 테스트 코드의 전송 및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 수신 동작이 반복될 수 있다.
이 때, 제어 기기는 서비스 제공 기기로 테스트 코드를 전송하였음에도 불고하고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소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수신되지 아니하면 해당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테스트 코드를 전송한 이후에 서비스 제공 기기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제대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 대상 기기가 계속 서비스 제공 기기의 반응을 기다리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의 상호 연동 방법은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간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한다(S160).
예를 들어,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테스트 코드가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는 것이면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의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는 실패이나, 이후 반복적인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들 중 성공한 것이 있으면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연동에 적합한 환경으로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를 설정하고, 연동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S170).
이 때, 연동에 적합한 환경은 테스트 코드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환경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테스트 코드 전송 및 실행 결과 수신 단계(S150)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테스트 코드 전송 및 실행 결과 수신 단계는 생성된 테스트 코드를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한다(S210).
또한, 테스트 코드 전송 및 실행 결과 수신 단계는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여 실행 결과가 성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는 성공/실패 여부에 관한 정보 및 실패의 경우에 실패의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성공은 서비스 제공 기기에서 테스트 코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실패는 서비스 제공 기기에서 테스트 코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는 소정 시간 이상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으면 테스트 코드 실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20)의 판단 결과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성공으로 판단되면, 도 1에 도시된 단계(S160)로 가서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가 상호 연동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20)의 판단 결과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기기는 테스트 코드의 전송이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단계(S230)의 판단 결과 테스트 코드의 전송이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되었으면 제어 기기는 더 이상 테스트 코드를 전송하지 아니하고, 도 1에 도시된 단계(S160)로 가서 제어 기기와 서비스 기기간에 상호 연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30)의 판단 결과 테스트 코드의 전송이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되지 아니하였으면 제어 기기는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을 위한 기능 확장 모듈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이 때, 기능 확장 모듈이 필요한지 여부의 판단은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240)의 판단 결과 상호 연동을 위한 기능 확장 모듈이 필요한 경우에 제어 기기는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 때, 기능 확장 모듈은 서비스 제공 기기가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모바일 코드(mobile code)일 수 있다.
모바일 코드(또는 이동 코드)는 원격지에서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플랫폼에 상관없이 쉽게 수행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모바일 코드를 이용하여 기능 확장 모듈을 송/수신하면 효과적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기능을 동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 때, 모든 경우에 모바일 코드가 필요한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기기에서 수행되는 테스트 코드의 실행결과에 따라 그 필요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각종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따라 기능 확장 모듈이 저장된 테이블을 검색하여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기능 확장 모듈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S250)의 판단 결과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기기는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한다(S260).
예를 들어, 단계(S260)는 각종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따라 기능 확장 모듈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찾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능 확장 모듈이 생성되었거나, 단계(S240)에서 기능 확장 모듈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어 기기는 테스트 코드를 수정한다(S270). 이 때, 테스트 코드의 수정은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코드 전송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코드마다 저장되어 있는 테스트 코드 전송 결과 유형에 따른 수정 코드를 저장해둔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수정 코드를 찾는 방식으로 테스트 코드의 수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기능 확장 모듈이 생성된 경우에, 단계(S270)에서 제어 기기는 생성된 기능 확장 모듈이 수정된 테스트 코드에 포함되도록 한다.
이 때, 기능 확장 모듈은 모바일 코드(mobile code) 형태로 테스트 코드에 포함되어 제어 기기에서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 기능 확장 모듈이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되면 서비스 제공 기기는 수신된 기능 확장 모듈을 실행하여 동적으로 기능 확장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테스트 코드를 수정한 후에 다시 단계(S210)로 가서 테스트 코드를 전송한다. 서비스 제공 기기는 테스트 코드에 기능 확장 모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능 확장 모듈을 실행하여 동적으로 기능을 확장한 후 테스트 코드를 수행하고, 테스트 코드 수행 결과를 제어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 기기는 수신된 테스트 코드 수행 결과가 성공인 경우에 단계(S160)로 가서 제어 기기 및 서비스 제공 기기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테스트 코드 생성부(310), 상호 연동성 판단부(325), 환경 설정부(340) 및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350)를 포함한다. 이 때, 상호 연동성 판단부(325)는 테스트 코드 송/수신부(320) 및 판단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코드 생성부(310)는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 네트워크는 애드혹 네트워크일 수 있고,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는 서비스 제공 기기가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한 기기 정보를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통해서 얻은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어나운스먼트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은 랑데뷰(Rendezvous) 프로토콜 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기기 정보는 기기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정보,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정보, 시스템 라이브러리 정보, JVM(Java Virtual machine) 정보, 메모리 정보 및 언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코드 생성부(310)는 각종 서비스 및 기기 정보마다 상응하는 테스트 코드가 저장된 테이블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및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에 상응하는 테스트 코드를 검색하여 테스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호 연동성 판단부(325)는 테스트 코드를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한다.
이 때, 테스트 코드 송/수신부(320)는 테스트 코드를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고, 판단부(330)는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테스트 코드 송/수신부(320)는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 테스트 코드를 바꾸어가면서 테스트 코드 전송 및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 수신을 소정 횟수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환경 설정부(340)는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에 적합한 환경을 설정한다.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350)는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 테스 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기기가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한다.
이 때,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350)는 각종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따라 기능 확장 모듈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찾는 방식으로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기능 확장 모듈은 모바일 코드 형태로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350)에서 생성된 기능 확장 모듈이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되어 서비스 제공 기기의 기능이 동적으로 확장된 경우에, 판단부(330)는 기능 확장 모듈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기능 확장한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는 소정 시간 동안 대상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PDA(410) 및 포토 프린터(420)의 상호 연동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DA(410)는 포토 프린터(420)의 서비스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를 디스커버리(discovery)하여 사용자가 PDA(410)를 이용하여 포토 프린터(420)로 그림 파일을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PDA(410)를 조작하여 포토 프린터(420)로 그림 파일을 출력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PDA(410)는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420)로 그림 파일을 출력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포토 프린터(420)의 기기 정보와 PDA(410)의 기기 정보 및 선택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PDA(410)와 연동하여 동작하기 위한 기능을 포토 프린터(420)에서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한다.
이 때, 테스트 코드는 포토 프린터(420) 또는 PDA(410)의 기기 특성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테스트 코드가 생성되면 PDA(410)는 테스트 코드를 포토 프린터(420)로 전송하고, 포토 프린터(420)는 테스트 코드를 수신하고 실행한다.
포토 프린터(420)는 테스트 코드를 수행한 후에 테스트 코드 수행 결과를 PDA(410)로 전송한다.
PDA(410)는 테스트 코드 수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테스트 코드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PDA(410) 및 포토 프린터(420)의 상호 연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PDA(410) 및 포토 프린터(420)의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PDA(410)는 포토 프린터(420)와의 상호 연동에 적합한 환경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포토 프린터(420)로 출력하기 위한 그림 파일(baby.gif)을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PDA(410)의 그림 파일(baby.gif)을 선택하면, 포토 프린터(420)는 이를 수신하여 그림 파일(baby.gif)를 인쇄한다.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연동하는 네트워크 기기들의 동작을 살펴보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PDA(410)는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 포토 프린터(420)가 PDA(41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데 필요한 기 능 확장 모듈을 포토 프린터(420)로 전송하여 포토 프린터(420)가 동적으로 기능을 확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PDA(410)는 포토 프린터(420)로 테스트 코드를 전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포토 프린터(420)로부터 소정 시간 동안 아무런 응답이 없으면 테스트 코드의 실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PDA(410)는 테스트 코드의 실행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테스트 코드를 바꾸어가면서 테스트 코드 전송 및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 수신 과정을 소정 횟수만큼 반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는 서로 상대방 기기의 특성을 모르는 이기종 기기들 간에 즉각적으로 유연하고 안정적인 연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의 종류나 시스템 특성에 제약을 받지 않고 기기들 간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이기 종 기기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기기에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적절히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제공하여 연동에 필요한 기능을 확장하도록 함으로써 동적으로 기능을 확장하여 즉각적인 상호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7)

  1.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장치의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에 대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포함된 상호 연동성 판단부가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 사이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을 위해 요구되는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가 상기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상기 테스트 코드에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기능 확장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종 기능 확장 모듈들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찾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상기 테스트 코드에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모바일 코드 형태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 상기 테스트 코드를 바꾸어가면서 소정 횟수 반복하여 상기 테스트 코드 전송 및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 수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대상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애드혹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종 테스트 코드들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상기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에 상응하는 테스트 코드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9. 네트워크상의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관한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테스트 코드 생성부;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에 대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상호 연동성 판단부; 및
    상호 연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와의 상호 연동을 위해 요구되는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가 상기 상호 연동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하여,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이 상기 테스트 코드에 포함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동성 판단부는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기능 확장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상호 연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장 모듈 생성부는
    각종 기능 확장 모듈들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에 상응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찾는 방식으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은 모바일 코드 형태로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 상기 테스트 코드를 바꾸어가면서 테스트 코드 전송 및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 수신을 소정 횟수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대상 기기로부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에 상기 테스트 코드 실행 결과가 실패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애드혹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코드 생성부는 각종 테스트 코드들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상기 수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제공 기기로부터 수신된 기기 정보에 상응하는 테스트 코드를 검색하여 상기 테스트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050122898A 2005-12-14 2005-12-14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KR10113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98A KR101137781B1 (ko) 2005-12-14 2005-12-14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US11/518,888 US8307133B2 (en) 2005-12-14 2006-09-12 Method of providing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network devices and network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2898A KR101137781B1 (ko) 2005-12-14 2005-12-14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079A KR20070063079A (ko) 2007-06-19
KR101137781B1 true KR101137781B1 (ko) 2012-04-17

Family

ID=3814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898A KR101137781B1 (ko) 2005-12-14 2005-12-14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07133B2 (ko)
KR (1) KR101137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800B1 (ko) * 2007-12-18 2010-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위 테스트 코드를 이용하는 단위 코드의 테스트 방법 및테스트 장치
CN102064976B (zh) * 2009-11-17 2013-05-29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测试网元和模拟网元测试工具的同步配置系统和方法
KR101337021B1 (ko) * 2011-11-29 2013-12-06 이가형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CN104796302A (zh) * 2015-04-17 2015-07-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模拟网元的测试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93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기기간의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2837B1 (ko) 1997-12-29 2001-11-02 윤종용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KR100250991B1 (ko) 1997-12-31 2000-04-15 이계철 이기종 망관리 시스팀간 상호 연동성 처리 방법
CA2325287A1 (en) 1999-12-10 2001-06-10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improved protocols
US20020018066A1 (en) * 2000-07-05 2002-02-14 Amos Vizer System and method for a dynamic professional syllabus
US7275243B2 (en) 2002-03-22 2007-09-25 Sun Microsystems, Inc. Mobile download system
KR100476479B1 (ko) 2002-10-09 200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US20040093536A1 (en) * 2002-11-12 2004-05-13 Weller Christopher Tod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herency during the evaluation of a multiprocessor system
US8180620B2 (en) * 2004-01-27 2012-05-15 Arm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rdware and software co-verification testing
US7712111B2 (en) * 2004-06-08 2010-05-04 Covia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linear tasking among a plurality of processing units
US7664081B2 (en) * 2004-12-22 2010-02-16 Nokia Corporation Wireless gateway for enabling wireless devices to discover and interact with various short-range services/devices
US7577876B2 (en) * 2005-06-28 2009-08-18 Intel Corporation Debug system for data trac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93A (ko) * 2003-12-17 2005-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기기간의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6451A1 (en) 2007-06-14
KR20070063079A (ko) 2007-06-19
US8307133B2 (en)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8862A (ko) 오류 처리 가능한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JP6536226B2 (ja) 通信機器
JP5673436B2 (ja) 無線通信装置
JP5736986B2 (ja) 無線通信装置
JP6572702B2 (ja) 通信機器
JP5736987B2 (ja) 無線通信装置
JP6477132B2 (ja) 通信機器
KR101137781B1 (ko)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JP2015070557A (ja) 通信機器
JP5540963B2 (ja) 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690172B2 (ja) 通信機器
JP4462910B2 (ja) 無線lan送受信装置
JP6776932B2 (ja) 通信システム、印刷仲介サーバ、及び、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031138B (zh) 物联网的通信方法和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147221B2 (ja) 通信装置及び端末装置のため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6565551B2 (ja) 通信機器
JP6544029B2 (ja) 端末装置
JP6849961B2 (ja) 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
JP6398750B2 (ja) 通信機器
JP6213307B2 (ja) 無線通信機器
JP7456470B2 (ja) 通信機器
JP6638786B2 (ja) 通信機器
JP6337984B2 (ja) 通信装置
JP2007086883A (ja) サーバ装置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6593074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