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2837B1 -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837B1
KR100302837B1 KR1019970075991A KR19970075991A KR100302837B1 KR 100302837 B1 KR100302837 B1 KR 100302837B1 KR 1019970075991 A KR1019970075991 A KR 1019970075991A KR 19970075991 A KR19970075991 A KR 19970075991A KR 100302837 B1 KR100302837 B1 KR 100302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bitstream
terminal device
response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6015A (ko
Inventor
이훈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8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통신방법에서 단말장치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타사 단말장치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사 단말장치간에는 신속히 통신을 시작할 수 있는 프로토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프로토콜 초기에 단말장치간에 표준화 프로토콜에 따른 협상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대방 단말장치가 자신과 동일하게 미리 설정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준화 프로토콜에 위배되는 않는 비트스트림의 전송에 의해 확인하는 과정과, 상대방 단말장치가 자신과 동일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협상과정을 생략하고 협상과정에서 얻어야할 정보를 미리 준비해 놓은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얻어 통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대방 단말장치가 자신과 동일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협상과정을 시작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단말장치간에 통신을 하는데 이용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PROTOCOL FOR COMMUNITION BETWEEN TERMINALS}
본 발명은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장치간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protocol)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토콜은 "통신" 이라는 특성상 표준화되어 있는 것이 많다. 또한 표준화는 일반화되어 있는 과정을 모두 만족해야 하므로, 시간상 비효율적인 면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요청과 응답의 과정을 통해 협상하는 과정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로토콜의 표준안을 따르지 않으면, 타사 제품과의 호환성을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프로토콜 표준화의 가장 큰 장점은 서로 다른 회사에서 만든 단말장치간에 통신이 가능하다는 호환성에 있다. 그러므로 타사의 단말장치와 멀티미디어(multimedia) 통신을 하고자 하는 제품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반드시 지원해야 한다. 특히 타사의 단말장치와 통신하려고 할 때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협상과정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표준화 프로토콜에 따르는 경우에는 서로 통신을 하고자하는 단말장치간에 반드시 규정된 협상과정을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그만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따라 사용자는 그 동안 기다려야만 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제조사가 다른 단말장치간에도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표준화 프로토콜을 채용함으로써 통신 시작 전에 협상과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함에 따라 통신을 시작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사 단말장치와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사 단말장치간에는 신속히 통신을 시작할 수 있는 프로토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H.245 프로토콜에 따른 단말장치간 통신 구성도,
도 2는 H.245 프로토콜에 따른 협상과정의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토콜 초기에 단말장치간에 표준화 프로토콜에 따른 협상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대방 단말장치가 자신과 동일하게 미리 설정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준화 프로토콜에위배되는 않는 비트스트림(bit stream)의 전송에 의해 확인하는 과정과, 상대방 단말장치가 자신과 동일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협상과정을 생략하고 협상과정에서 얻어야할 정보를 미리 준비해 놓은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얻어 통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대방 단말장치가 자신과 동일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협상과정을 시작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프로토콜의 예시 또는 메시지 포맷(message format)이나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을 멀티미디어 통신의 국제 표준 제어 프로토콜의 하나인 H.245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H.245 프로토콜에 따른 단말장치간 통신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한 2개의 단말장치(100,102) 서로간에 선로(108)를 통해 접속되는 각각의 모뎀(104,10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단말장치들(100,102)간에 H.245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신의 제일 처음에 단말간에 도 2로서 보인 바와 같은 협상과정을 필요로 한다.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과정은 상대방에게 자신의 상황을 알려주고, 상대방으로부터 들어온 상대방의상황을 협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H.245의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처음에 교환하게 되는데, 크게 4가지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단말기 능력 교환과정(200), 마스터 슬레이브 결정과정(202), 멀티플렉스 테이블 교환과정(204), 논리 채널 오픈과정(206)으로 이루어진다. 이 4가지 과정을 차례대로 협상하여 서로 만족하게 되면, 멀티미디어 통신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회사의 제품끼리도 H.245의 표준안을 따르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 프로토콜의 과정은 일반화되어 있고, 4가지 과정을 협상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게 되며, 일반적으로 모뎀 접속 후, 약 4~8초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 프로토콜의 협상 시간동안에는 사용자는 기다려야 한다. 이 프로토콜의 협상 시간동안에는 사용자는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자사 제품끼리의 통신에서는 굳이 위의 과정을 따르지 않고, 미리 정해진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보다 빨리 멀티미디어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표준안을 따르면서도, 독자 규격의 속도가 월등하게 향상된 새로운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자사 제품과의 통신할 때에는 표준안을 따르지 않고,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수행함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타사 제품과 통신할 때에는 표준화를 따름으로써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를 (300)∼(316)단계로 보인 것으로, 상기한 도 1의 단말장치들(100,102)이 모두 본 발명의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같은 제작사 제품인 경우에는 각각에 의해 수행된다. 이와달리 단말장치들(100,102)중에 어느 하나만이 본 발명의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경우에는 그 단말장치에서만 수행된다.
상기한 도 3의 처리 흐름도에 따라 프로토콜 초기에 표준화의 첫 번째 과정 전에 표준화의 과정에 위배되지 않는 비트스트림을 만들어 상대방에게 보낸다. 이때 타사의 제품이 이 비트스트림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표준화의 과정에 따라 상대방의 프로토콜이 다운되거나 거절하지 않고 단순히 무시되는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야 한다. 이 비트스트림에는 제작회사의 고유한 ID와 버전 정보를 포함시킨다.
예를들어 H.245의 예를 들면, H.245는 ASN.1이라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인코딩 신택스(syntax)를 이용하여 정의되어 있는 패킷 인코딩 룰(packet encoding rule) X.691을 사용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한다. 상기 X.691의 정의에 따르면 확장 마크(extension mark), 즉 "
Figure pat00001
" 부분에 어떠한 비트스트림이 들어와도 좋다고 되어 있다. 실예를 들어 H.245의 메시지 정의 부분은 다음과 같다.
Multimedia System Control Message :: = CHOICE
{
request Request Message,
response Response Message,
command Command Message,
indication Indication Message,
Figure pat00002
}
Request Message ::= CHOICE
{
nonStandard NonStandard Message,
master Slave Determination Master Slave Determination,
terminal Capability Set Terminal Capability Set,
:
:
round Trip Delay Request Round Trip Delay Request,
maintenance Loop Request Maintenance Loop Request
Figure pat00003
}
여기서 확장 마크인 "
Figure pat00004
"에 해당하는 곳에 비트스트림을 넣는다. 즉, 표준화의 권고에 따라 "
Figure pat00005
"에 해당하는 곳에는 어떠한 비트스트림이 와도 상관이 없으므로 "
Figure pat00006
"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정보를 ASN.1에 의거하여 넣는다. 여기서 "OBJECT IDENTIFIER"는 제작사 고유 ID이고, "::= INTEGER(1..65535)"는 버전정보이다.
Samsung Only Message ::= SEQUENCE
{
vendor Identifier OBJECT IDENTIFIER,
version ::= INTEGER(1..65535)
}
Samsung Only Message Ack ::= SEQUENCE
{
vendor Identifier OBJECT IDENTIFIER,
version ::= INTEGER
}
이 정보는 표준화를 따르는 타사 제품에는 해석되지 않으며, 표준화에 따라 이 메시지는 무시된다. 따라서 X.691 인코딩 룰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사용하면 된다.
새로 정의된 메시지는,
Multimedia System Control Message ::= CHOICE
{
request Request Message,
response Response Message,
command Command Message,
indication Indication Message,
Figure pat00007
Samsung Only Message,
Samsung Only Message Ack,
}
예를 들어 요구 "request"가 "01 xxx
Figure pat00008
", 응답 "response"가 "02 xxx", 커맨드 "command"가 "03 xxx
Figure pat00009
", 지시 "indication"이 "04 xxx
Figure pat00010
"이라면, "Samsung∵"은 "05 xxx", "06 xxx"이 되고 표준화의 상대방 단말장치에 의해 무시된다.
본 프로토콜을 사용한 자사 제품인 경우에는 이러한 비트스트림을 이해할 수 있는 디코더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즉, 단말장치(100,102)에서는 X.691 인코더와 X.691 디코더에 각각 이러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미리 셋팅해야 한다. 따라서 이 비트스트림을 받으면 제작사의 ID와 버전 정보로부터 자사 제품임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표준화에 위배되지 않는 응답신호 Ack의 비트스트림을 상대방에게 보내주어야한다. 마찬가지로 이 비트스트림에도 제작회사의 고유한 ID와 버전정보를 인코딩되어 있다.
이제 다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만일 단말장치들(100,102)이 모두 본 발명의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같은 제작사 제품인 경우라면, 프로토콜 초기에 표준화의 첫 번째 과정 전에 (300)단계에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비트스트림의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만일 상대방으로부터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비트스트림이 수신되지 않으면, (302)단계에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비트스트림을 먼저 상대방으로 전송한다. 즉, 자사의 고유 ID와 버전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화에 위배되지 않는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한다. 이후 (304)∼(308)단계에서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응답신호 Ack의 비트스트림 수신을 일정 대기시간동안 대기한다.
상기 (304)단계에서는 대기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독자모드 타이머를 시작시킨후, (306)단계에서 응답신호 Ack의 비트스트림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응답신호 Ack의 비트스트림이 수신되지 않으면, (308)단계에서 독자모드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아직 독자모드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으면, 즉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306)단계로 되돌아간다. 이를 계속하여 대기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응답신호 Ack의 비트스트림이 수신되지 않으면 (314)단계에서 표준안에 따른 협상과정을 시작한다. 여기서 만일 상대방 단말장치가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지 않는 단말장치인 경우 비트스트림을 무시하게 되고 상술한 협상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달리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응답신호 Ack의 비트스트림이 수신되면 (310)단계에서 상술한 협상과정을 생략하고 협상과정에서 얻어야할 정보를 버전정보로부터 미리 준비해 놓은 정보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얻어 (312)단계에서 바로 통신을 시작한다. 상기 정보테이블은 제작사에서 미리 준비해 놓는다.
한편 상기 (300)단계에서 만일 상대방으로부터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비트스트림 수신되면, (316)단계에서 자사의 고유 ID와 버전정보를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화에 위배되지 않는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응답신호 Ack로 전송한다. 이후 상술한 협상과정을 생략하고 협상과정에서 얻어야할 정보를 버전정보로부터 미리 준비해 놓은 정보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얻어 (312)단계에서 바로 통신을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토콜은 단 한번의 요구와 응답으로 바로 프로토콜의 초기 과정을 끝낼수 있기 때문에 통신 초기의 협상에 속도가 월등히 향상된다. 약 1초의 시간이면 모든 프로토콜 초기 과정이 끝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자사 제품끼리의 통신은 일반적인 표준안만을 지원하는 단말보다 휠씬 빠른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토콜은 표준안을 동시에 지원하기 때문에 프로토콜 표준안을 따르는 어떤 회사 제품과도 통신이 가능하다. 즉, 표준안만을 지원하는 제품에서는 멀티미디어 통신 초기에 약 4~8초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지만, 고안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1초 정도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타사의 프로토콜과도 호환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어떤 회사의 제품과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준안의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있어 다른 회사의 제품과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 내에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이 표준안의 프로토콜 범위에 위배되지 않는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타사 제품과의 호환성이 보장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245 프로토콜에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H.245뿐만아니라 H.245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H.324, H.323등을 포함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타사 제품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사 제품의 통신에서는 월등히 빠른 멀티미디어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단말장치간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방법에 있어서,
    프로토콜 초기에 상기 단말장치간에 표준화 프로토콜에 따른 협상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에 따라 자신에 대한 제작사의 고유 ID와 버전정보를 상기 표준화에 위배되지 않는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대방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비트스트림에 대한 응답신호의 비트스트림 수신을 일정 대기시간동안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가 상기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한 단말장치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는 자신의 제작사의 고유 ID와 버전정보를 상기 표준화 프로토콜에 위배되지 않는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응답신호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가 상기 독자 규격의 프로토콜을 채용하지 않는 단말장치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무시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하는 중에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신호의 비트스트림이 수신되면 상기 협상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협상과정에서 얻어야할 정보를 상기 버전정보로부터 미리 준비해 놓은 정보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얻어 통신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상기 상대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응답신호의비트스트림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협상과정을 시작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방법.
KR1019970075991A 1997-12-29 1997-12-29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KR10030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91A KR100302837B1 (ko) 1997-12-29 1997-12-29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91A KR100302837B1 (ko) 1997-12-29 1997-12-29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15A KR19990056015A (ko) 1999-07-15
KR100302837B1 true KR100302837B1 (ko) 2001-11-02

Family

ID=3752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991A KR100302837B1 (ko) 1997-12-29 1997-12-29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81B1 (ko) 2005-12-14 2012-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0916A (en) * 1992-02-20 1995-05-30 Nec Corporation Signaling network having common signaling node for protocol conver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0916A (en) * 1992-02-20 1995-05-30 Nec Corporation Signaling network having common signaling node for protocol conver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15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0493B2 (en) Fast session setup extensions to H.324
JP3095737B1 (ja) 端末装置間の通信プロトコル
CA2364722A1 (en) Telecommunication services identification
CA2364269C (en) Simultaneous setup of ppp on a um and rm interface
TW200400716A (en) Broadcast network access-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receivers operating within broadcast network
WO2011015089A1 (zh) 一种自适应编码/解码方法和装置
EP1761034B1 (en) Method for performing fax service and fax servic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on gateway
KR20010026522A (ko) 인터넷폰의 콜백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60114868A1 (en) MGW codec information managing method in MSC server
WO2003019361A3 (en) Methods and device for interfac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n different networks
JP2002529962A (ja) データ伝送のための通信リンクを構成する方法
KR100302837B1 (ko) 단말장치간 통신 프로토콜방법
CN100397846C (zh) 媒体网关控制器支持不同的端点标识的方法
US20060280167A1 (en) Method of setting up calls between a calling terminal and a called terminal
AU2003257504A1 (en) IP Network System and H.323 Gatekeeper
KR20050014897A (ko) 현존하는 접속들에서 페이로드 코딩 교환의 경우에트랜스코딩이나 인터럽션의 회피
GB2347305A (en) Telecommunication services identification
EP205142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timer and coun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8167985A (ja) 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の高速化方法
CN112511788B (zh) 一种视频会议的视频传输控制方法及视频传输系统
US6393004B1 (en) Communication scheme using check packets for guaranteeing data packet order in communication media exchange during communication
KR100746866B1 (ko) 효율적인 조기 프로토콜 검출 방법
EP0964597B1 (en) Communication scheme using check packets for guaranteeing data packet order in communication media exchange
KR20010028314A (ko)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0129613B1 (ko) 전송망에서 원격등록에 의한 유지보수 및 운용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