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479B1 -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479B1
KR100476479B1 KR10-2002-0061514A KR20020061514A KR100476479B1 KR 100476479 B1 KR100476479 B1 KR 100476479B1 KR 20020061514 A KR20020061514 A KR 20020061514A KR 100476479 B1 KR100476479 B1 KR 10047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yer
signal point
standard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398A (ko
Inventor
양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479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25Provisions for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웍에서 신호점들이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변환 계층을 추가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한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신호점 간의 접속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포맷의 신호 메시지를 상호 변환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신호변환장비를 운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웍에 존재하는 각 신호점의 SS7 프로토콜에 신호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변환 계층을 MTP 3 계층과 SCCP 계층에 구현하고, 각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과 인접(또는 대국)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함으로써, 별도의 신호변환장비를 이용하거나 기존 SS7 프로토콜을 변경하지 않고도 신호 메시지의 포맷을 등록된 SS7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에 효율적으로 연동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Interworking Method Between Signaling System No.7 Networks That Use Differ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웍에서 신호점들이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변환 계층을 추가하여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한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수반하여, 통신망에 대한 요구는 더욱 고도화, 다양화됨에 따라 컴퓨터 기술을 사용한 프로그램 축적제어형 교환기술을 통신망에 도입하는 동시에 통신망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아울러, 고속의 대용량 정보를 보다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신호 전달이 필수적이므로, 통신회선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신호전용의 회선(즉, 신호링크)을 사용하여 호 처리 또는 망 관리용 정보인 신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공통선 신호방식(SS7 신호방식 ; Signaling System No.7 Networks)을 채택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통선 신호방식은 일반 공중전화망(PSTN) 뿐 아니라, 가입자의 위치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홈위치등록기와 호를 연결시켜주는 교환장비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망에서도 이들 망 요소 상호간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신호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공통선 신호방식은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과 국제 통신 연맹(ITU-T)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 및 최근에 중국에서 정의한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각각의 규격은 공통선 신호방식의 기본 기능은 동일하지만 메시지 포맷을 다르게 정의하고 있으므로,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신호점들의 경우 별도의 연동장비를 통해서 연동해야만 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에서 홈위치등록기는 ANSI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고, 교환장비는 ITU-T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이때 상호간의 신호 메시지 변환은 별도의 신호변환장비에서 수행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네트웍을 구성하는 신호점들이 사용되는 공통선 신호방식이 다양한 규격으로 구현되어 있어,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신호점 간의 접속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포맷의 신호 메시지를 상호 변환해 줄 수 있는 별도의 신호변환장비를 운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웍에 존재하는 각 신호점의 SS7 프로토콜에 MTP 3 변환 계층과 SCCP 변환 계층을 추가한 후에 각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과 인접(또는 대국)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함으로써, 별도의 신호변환장비를 이용하거나 기존 SS7 프로토콜을 변경하지 않고도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에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이종 규격의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각 신호점의 신호 프로토콜에 신호 메시지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신호망 기능 변환 계층과 신호 연결 제어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각 신호점의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을 등록한 후에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여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위 또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하기로 등록한 신호 규격에 따라 상기 신호 메시지에 대한 변환/전달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프로토콜에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과정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인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될 신호 규격을 결정하여 신호 메시지의 송수신시 해당되는 신호 규격에 맞도록 신호망 기능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신호망 기능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단계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인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될 신호 규격을 결정하여 신호 메시지 송수신시 해당되는 신호 규격에 맞도록 신호 연결 제어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신호 연결 제어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 계층에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과정은,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부로부터 수신되는 자국 신호점 신호 규격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 간에 해당되는 변환 계층의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여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상기 변환 계층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변환 계층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대측 신호점으로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후에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하위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자국 신호점의 변환 계층을 마스터로 결정하여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는 중에 하위 계층을 통해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 만료 이전에 하위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을 정지시킨 후, 자국 신호점의 변환 계층을 슬레이브로 결정하여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상대측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변환 계층에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등록한 후에 하위 계층으로 재시동 명령 또는 재시작 프리미티브를 전달하여 해당되는 하위 계층을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는,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이 동시에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랜덤 지연 시간을 주기 위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신호 메시지에 대한 변환/전달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위 또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등록한 자국 신호점 사용 신호 규격이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하기로 등록한 신호 규격과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규격이 동일한 경우 상기 신호 메시지를 그대로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고, 상기 신호 규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메시지를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하기로 등록한 신호 규격의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한 후에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웍에서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신호점 간에 별도의 신호변환장비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호 연동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선 신호 프로토콜인 SS7 프로토콜에서 신호 메시지 처리 및 신호망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신호망 기능부 계층인 MTP 3 계층(Message Transfer Part Level 3 Layer)과, 신호 연결 제어부 계층인 SCCP 계층(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 Layer)에 메시지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변환 계층(Converting Layer)을 추가로 적용하게 되는데, 도 1의 (가)는 일반적인 SS7 프로토콜에 있어서 MTP 및 SCCP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고, (나)는 본 발명에 따른 MTP 3 변환 계층(신호망 기능부 변환 계층)과 SCCP 변환 계층(신호 연결 제어부 변환 계층)이 추가된 SS7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MTP 3 변환 계층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인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될 SS7 규격을 결정하여 신호 메시지의 송수신시 해당되는 SS7 규격에 맞도록 MTP 3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SCCP 변환 계층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인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될 SS7 규격을 결정하여 신호 메시지 송수신시 해당되는 SS7 규격에 맞도록 SCCP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인접 신호점이란 자국 신호점과 링크 셋으로 직접 연결된 신호점을 의미하며, 대국 신호점이란 자국 신호점에서 전달하는 신호 메시지의 목적지에 해당하는 신호점으로, 인접 신호점이 될 수도 있고 여러 신호점을 경유해야 도달할 수 있는 신호점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MTP 3 변환 계층과 SCCP 변환 계층에는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을 위해 먼저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한 후,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를 결정하여 두 개의 신호점(즉,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해야 하는데, 이러한 SS7 규격 등록 절차는 신호점 내의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부인 OAM(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에 의해 수행하게 되며, 이때 두 개의 신호점 사이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 중에서 어떤 신호점의 SS7 규격에 따라 신호 메시지를 변환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여 두 개의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한 후에는 각각의 변환 계층에서 실제 신호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달(Relay)하게 되는데, 이때 앞에서 슬레이브로 결정된 신호점의 변환 계층에서는 마스터로 결정된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고 있음에 따라 마스터 신호점의 SS7 규격에 따라 신호 메시지의 포맷을 변환하여 전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을 상호 연동하기 위한 동작 절차를 설명하면, 먼저 SS7 프로토콜에 MTP 3 변환 계층과 SCCP 변환 계층을 추가로 구성한 후에 각각의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과, 자국 신호점과 인접(또는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해야 하며, 이렇게 하여 SS7 규격의 등록이 완료된 후에는 신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연동 절차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을 위한 MTP 3 변환 계층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면, 첫째로, MTP 3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는 첨부한 도면 도 2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때 MTP 3 변환 계층의 초기 상태는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를 갖는다(스텝 S201).
이러한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에서 OAM으로부터 '자국 신호점 SS7 규격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202), MTP 3 변환 계층에서는 수신받은 '자국 신호점 SS7 규격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SS7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게 된다(스텝 S203).
그리고,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한 후에는 하위의 MTP 2 계층으로 재시동(Restart) 명령을 전달하여 해당되는 MTP 2 계층을 재시동시키게 되고(스텝 S204), MTP 3 변환 계층을 '인접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함으로써(스텝 S205),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둘째로, MTP 3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는 첨부한 도면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때 MTP 3 변환 계층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를 갖는다(스텝 S301).
이러한 '인접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에서 재시동된 하위의 MTP 2 계층으로부터 '초기 얼라인먼트 성공(Initial alignment succeed)'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302), MTP 3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링크 셋으로 직접 연결된 인접 신호점으로 '마스터 요청(Master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 후(스텝 S303),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하게 되는데(스텝 S304), 이때 '마스터 요청' 메시지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 정보 즉, 인접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의 신호 메시지를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의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SS7 규격 정보를 포함시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한 후에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게 되며, 이때 하위의 신호링크 기능부 계층인 MTP 2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할당(Master Allowed)'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305), 자국 신호점이 마스터로 결정되었음을 의미하므로 MTP 3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즉, 인접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을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으로 등록하게 된다(스텝 S306).
하지만, 스텝 S304에서 MTP 3 변환 계층을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한 후에 하위의 MTP 2 계층으로부터 '링크 셋 서비스 제한(Link Set Out Of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307), 이는 인접 신호점과 연결된 링크 셋이 서비스 제한되어 인접 신호점의 상태가 비접속(inaccess)되었음을 나타내므로,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MTP 3 변환 계층의 상태를 '인접 신호점 사용 SS7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308).
또한, 스텝 S304에서 MTP 3 변환 계층을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한 후에 인접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2 계층을 통해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311),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Tms)를 구동한 후(스텝 S312), MTP 3 변환 계층을 '충돌(Conflicting) 상태'로 갱신하게 되는데(스텝 S313), 이때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를 구동하는 이유는 랜덤 지연(Random Delay) 시간을 주어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이 동시에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타이머 값은 '랜덤 넘버 모듈로(Random Number modulo) 10' 의 결과 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MTP 3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한 후에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게 되며, 이때 하위의 MTP 2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게 되면(스텝 S314), 이는 자국 신호점이 슬레이브로 결정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앞에서 설명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스텝 S315), MTP 3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인접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으로 등록하게 된다(스텝 S316). 즉, MTP 2 계층을 통해 인접 신호점으로부터 전달받은 '마스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인접 신호점의 SS7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인접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으로 등록하게 된다.
하지만, 스텝 S313에서 MTP 3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한 후에 하위의 MTP 2 계층으로부터 '링크 셋 서비스 제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317), 이는 인접 신호점과 연결된 링크 셋이 서비스 제한되어 인접 신호점의 상태가 비접속되었음을 나타내므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스텝 S318),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MTP 3 변환 계층의 상태를 '인접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319).
또한, 스텝 S313에서 MTP 3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한 후에 어떠한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가 만료되면(스텝 S320), MTP 3 변환 계층에서는 MTP 2 계층을 통해 인접 신호점으로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후(스텝 S321)에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322).
한편, 스텝 S306과 스텝 S316에서 MTP 3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한 후에는 하위의 MTP 2 계층으로 재시동 명령을 전달하게 되고(스텝 S309), MTP 3 변환 계층을 '변환/전달(Converting/Relay) 상태'로 갱신함으로써(스텝 S310),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간에 신호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로, MTP 3 변환 계층에서 신호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는 첨부한 도면 도 4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때 MTP 3 변환 계층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및 인접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의 등록을 완료한 상태로서 신호 메시지 처리를 위해 '변환/전달' 상태를 갖는다(스텝 S401).
이러한 '변환/전달' 상태에서 MTP 2 계층 또는 MTP 3 계층으로부터 소정의 신호 메시지를 수신받게 되면(스텝 S402), MTP 3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하기로 등록한 SS7 규격과 기등록된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이 동일한지(즉,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이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인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403).
이때, SS7 규격이 동일한 경우에는 수신한 신호 메시지를 그대로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게 되고(스텝 S404), SS7 규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하기로 등록한 SS7 규격이 인접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이므로 수신한 신호 메시지를 인접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의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한 후에 이를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스텝 S405).
하지만, '변환/전달' 상태에서 하위의 MTP 2 계층으로부터 '링크 셋 서비스 제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406),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MTP 3 변환 계층의 상태를 '인접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407).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을 위한 SCCP 변환 계층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면, 첫째로, SCCP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는 첨부한 도면 도 5와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때 SCCP 변환 계층의 초기 상태는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를 갖는다(스텝 S501).
이러한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에서 OAM으로부터 '자국 신호점 SS7 규격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502), SCCP 변환 계층에서는 수신받은 '자국 신호점 SS7 규격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SS7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게 된다(스텝 S503).
그리고,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한 후에는 SCCP 변환 계층을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함으로써(스텝 S504),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둘째로, SCCP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는 첨부한 도면 도 6a 및 도 6b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때 SCCP 변환 계층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를 갖는다(스텝 S601).
이러한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에서 하위의 MTP 3 계층으로부터 'MTP 재시작(MTP-RESUME)'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02), SCCP 변환 계층에서는 대국 신호점으로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후(스텝 S603),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하게 되는데(스텝 S604), 이때 '마스터 요청' 메시지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 정보를 포함시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SCCP 변환 계층을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한 후에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게 되며, 이때 하위의 MTP 3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05), 자국 신호점이 마스터로 결정되었음을 의미하므로 SCCP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즉, 대국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을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으로 등록하게 된다(스텝 S606).
하지만, 스텝 S604에서 SCCP 변환 계층을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한 후에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3 계층을 통해 'MTP 일시정지(MTP-PAUSE)'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07), 이는 대국 신호점으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다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간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SCCP 변환 계층의 상태를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609).
또한,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에서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3 계층을 통해 'MTP 상태(MTP-STATUS)'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되는 'MTP 상태' 프리미티브의 원인 파라미터(cause parameter)를 분석하여 사용자부 비가용(User Part Unavailability) 상태인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부 비가용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즉, 사용자부 비가용 상태인 'MTP 상태'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08), 이는 대국 신호점 사용자부(User Part)인 SCCP 계층으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다시 대국 신호점의 SCCP 계층으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간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SCCP 변환 계층의 상태를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609).
한편으로, 스텝 S604에서 SCCP 변환 계층을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한 후에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3 계층을 통해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12),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Tms)를 구동한 후(스텝 S613), SCCP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하게 되는데(스텝 S614), 이때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를 구동하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덤 지연 시간을 주어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이 동시에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타이머 값은 '랜덤 넘버 모듈로 10' 의 결과 값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SCCP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한 후에는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게 되며, 이때 하위의 MTP 3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게 되면(스텝 S615), 이는 자국 신호점이 슬레이브로 결정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앞에서 설명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스텝 S616), SCCP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대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으로 등록하게 된다(스텝 S617). 즉, MTP 3 계층을 통해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전달받은 '마스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대국 신호점의 SS7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대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으로 등록하게 된다.
하지만, 스텝 S614에서 SCCP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한 후에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3 계층을 통해 'MTP 일시정지'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거나(스텝 S618), 사용자부 비가용 상태를 나타내는 'MTP 상태'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619), 먼저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스텝 S62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간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SCCP 변환 계층의 상태를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621).
또한, 스텝 S614에서 SCCP 변환 계층을 '충돌 상태'로 갱신한 후에 어떠한 메시지도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가 만료되면(스텝 S622), SCCP 변환 계층에서는 MTP 3 계층을 통해 대국 신호점으로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후(스텝 S623), '마스터/슬레이브 미결정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624).
한편, 스텝 S606과 스텝 S617에서 SCCP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한 후에는 사용자부인 SCCP 계층으로 'MTP 재시작' 프리미티브를 전달하게 되고(스텝 S610), SCCP 변환 계층을 '변환/전달 상태'로 갱신함으로써(스텝 S611),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간에 신호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로, SCCP 변환 계층에서 신호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는 첨부한 도면 도 7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때 SCCP 변환 계층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및 대국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의 등록을 완료한 상태로서 신호 메시지 처리를 위해 '변환/전달' 상태를 갖는다(스텝 S701).
이러한 '변환/전달' 상태에서 MTP 3 계층 또는 SCCP 계층으로부터 소정의 신호 메시지를 수신받게 되면(스텝 S702), SCCP 변환 계층에서는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하기로 등록한 SS7 규격과 기등록된 자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이 동일한지(즉,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이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인지)를 확인하게 된다(스텝 S703).
이때, SS7 규격이 동일한 경우에는 수신한 신호 메시지를 그대로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게 되고(스텝 S704), SS7 규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하기로 등록한 SS7 규격이 대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이므로 수신한 신호 메시지를 대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의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한 후에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스텝 S705).
하지만, '변환/전달' 상태에서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3 계층을 통해 'MTP 일시정지'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706), 이는 대국 신호점으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SCCP 변환 계층에서는 상위의 SCCP 계층으로 수신한 'MTP 일시정지' 프리미티브를 전달한 후(스텝 S707), 다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간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하여 SCCP 변환 계층의 상태를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709).
또한, '변환/전달' 상태에서 대국 신호점으로부터 하위의 MTP 3 계층을 통해 사용자부 비가용 상태를 나타내는 'MTP 상태' 프리미티브를 수신하게 되면(스텝 S708), 이는 대국 신호점 사용자부인 SCCP 계층으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SCCP 변환 계층에서는 상위의 SCCP 계층으로 수신한 'MTP 상태' 프리미티브를 전달한 후(스텝 S710),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간에 사용할 SS7 규격을 재설정하기 위해 '대국 신호점 사용 SS7 규격 미등록 상태'로 갱신하게 된다(스텝 S709).
정리해 보면, 본 발명에서는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을 위해 각 신호점의 SS7 프로토콜 스택에 MTP 3 변환 계층과 SCCP 변환 계층을 새롭게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변환 계층에 대해서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 및 인접(또는 대국)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함으로써, 신호점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메시지를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종 규격의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웍에 존재하는 각 신호점의 SS7 프로토콜에 신호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변환 계층을 MTP 3 계층과 SCCP 계층에 구현하고, 각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과 인접(또는 대국) 신호점과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함으로써, 별도의 신호변환장비를 이용하거나 기존 SS7 프로토콜을 변경하지 않고도 신호 메시지의 포맷을 등록된 SS7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종 규격을 사용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간에 효율적으로 연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SS7 프로토콜에 있어서의 MTP 및 SCCP 프로토콜 스택과, 본 발명에서 MTP 3 변환 계층과 SCCP 변환 계층이 추가된 SS7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TP 3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MTP 3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과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TP 3 변환 계층에서 신호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CCP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SCCP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할 SS7 규격을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SCCP 변환 계층에서 신호 메시지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Claims (10)

  1.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에 있어서,
    이종 규격의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각 신호점의 신호 프로토콜에 신호 메시지 포맷 변환을 수행하는 신호망 기능 변환 계층과 신호 연결 제어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과정과;
    상기 각 신호점의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을 등록한 후에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여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위 또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하기로 등록한 신호 규격에 따라 상기 신호 메시지에 대한 변환/전달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프로토콜에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과정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인 인접 신호점 사이에 사용될 신호 규격을 결정하여 신호 메시지의 송수신시 해당되는 신호 규격에 맞도록 신호망 기능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신호망 기능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단계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인 대국 신호점 사이에 사용될 신호 규격을 결정하여 신호 메시지 송수신시 해당되는 신호 규격에 맞도록 신호 연결 제어 메시지 포맷을 변환하는 신호 연결 제어 변환 계층을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층에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과정은,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부로부터 수신되는 자국 신호점 신호 규격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 규격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변환 계층에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을 변환 계층에 등록한 후에는 하위의 신호링크 기능 계층으로 재시동 명령을 전달하여 해당되는 신호링크 기능 계층을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층에 신호 규격을 등록하는 과정은,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 간에 해당되는 변환 계층의 마스터/슬레이브를 결정하여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상기 변환 계층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변환 계층에 등록하는 단계는, 상대측 신호점으로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 후에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하위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자국 신호점의 변환 계층을 마스터로 결정하여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자국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결정에 필요한 메시지 수신을 대기하는 중에 하위 계층을 통해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를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 만료 이전에 하위 계층으로부터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다시 수신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 구동을 정지시킨 후, 자국 신호점의 변환 계층을 슬레이브로 결정하여 상기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상대측 신호점에서 사용하는 신호 규격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계층에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할 신호 규격을 등록한 후에 하위 계층으로 재시동 명령 또는 재시작 프리미티브를 전달하여 해당되는 하위 계층을 재시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결정 타이머는, 자국 신호점과 상대측 신호점이 동시에 마스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랜덤 지연 시간을 주기 위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메시지에 대한 변환/전달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위 또는 하위 계층으로부터 신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등록한 자국 신호점 사용 신호 규격이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하기로 등록한 신호 규격과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규격이 동일한 경우 상기 신호 메시지를 그대로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고, 상기 신호 규격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메시지를 상대측 신호점과 사용하기로 등록한 신호 규격의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한 후에 다음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KR10-2002-0061514A 2002-10-09 2002-10-09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KR100476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14A KR100476479B1 (ko) 2002-10-09 2002-10-09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514A KR100476479B1 (ko) 2002-10-09 2002-10-09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398A KR20040032398A (ko) 2004-04-17
KR100476479B1 true KR100476479B1 (ko) 2005-03-17

Family

ID=3733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14A KR100476479B1 (ko) 2002-10-09 2002-10-09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81B1 (ko) 2005-12-14 2012-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KR100803279B1 (ko) * 2007-01-09 2008-0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신호점 제어 및 백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132A (ko) * 1990-11-22 1992-06-27 경상현 CCITT No.7 신호방식의 신호연결 제어부간의 신호망 데이터 일치 방법
KR970068299A (ko) * 1996-03-29 1997-10-13 김주용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 변환방법
KR19980056212A (ko) * 1996-12-28 1998-09-25 서정욱 서로 다른 규격의 공통선 신호망을 수용하는 스마트 신호중계기(Smatr-STP)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5852660A (en) * 1996-04-10 1998-12-22 Ericsson Inc. Network protocol conversion module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00008190A (ko) * 1998-07-10 2000-02-07 김영환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132A (ko) * 1990-11-22 1992-06-27 경상현 CCITT No.7 신호방식의 신호연결 제어부간의 신호망 데이터 일치 방법
KR970068299A (ko) * 1996-03-29 1997-10-13 김주용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 변환방법
KR100196716B1 (ko) * 1996-03-29 1999-06-15 김영환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변환방법
US5852660A (en) * 1996-04-10 1998-12-22 Ericsson Inc. Network protocol conversion module with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9980056212A (ko) * 1996-12-28 1998-09-25 서정욱 서로 다른 규격의 공통선 신호망을 수용하는 스마트 신호중계기(Smatr-STP)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000008190A (ko) * 1998-07-10 2000-02-07 김영환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398A (ko) 200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456A (en) Remote control system
US6571108B1 (en) Private branch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476479B1 (ko)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CN1316847C (zh) 通信系统、服务提供设备、公共设置信息管理设备通信控制方法
US61283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 communication attribute converting apparatus, and a system containing the apparatus
KR10025868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브이5.2 인터페이스 상태정보 관리방법
JP3632729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AU734545B2 (en) Multi-directional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ISDN servicing method therein
JP2874503B2 (ja) ユーザー・ユーザー情報のシステム内同報方式
KR100510271B1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2193B1 (ko) 음성통화중 데이터 송수신방법
KR100529009B1 (ko) 교환기와 유엠에스간의 정보 동기화 방법
KR100662188B1 (ko)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645509B1 (ko) 국설 교환기의 원격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JP3042465B2 (ja) 番号変換装置
KR20000066026A (ko) Pri를 이용한 회선 모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I81708C (fi) Foerfarande foer identifiering av en anropande abonnentapparat pao basen av dess anslutningskaennetecken i en transitstation vid en fjaerrskrift- och datavaexelanlaeggning.
KR100989981B1 (ko) 단일 에이에스피가 구현된 소프트스위치
KR100388611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에스씨씨피 서비스 자동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208270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페이징 처리 방법
KR100992673B1 (ko) 소프트스위치에서의 라우팅 정보 자동 등록 장치 및 그등록 방법
KR10027507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외부 호스트를 이용한 브이5.2 링크 수용장치
KR100438070B1 (ko) 1차군 인터페이스망을 이용한 네트웍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6181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비상호 처리 방법
KR101074547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