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190A -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190A
KR20000008190A KR1019980027912A KR19980027912A KR20000008190A KR 20000008190 A KR20000008190 A KR 20000008190A KR 1019980027912 A KR1019980027912 A KR 1019980027912A KR 19980027912 A KR19980027912 A KR 19980027912A KR 20000008190 A KR20000008190 A KR 20000008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tu
china
network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정상길
반동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27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190A/ko
Publication of KR2000000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6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 H04M7/1265Interworking of session control protocols where the session control protocols comprise H.323 and SS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04Q11/0457Connec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1000)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망내에 장착된 ITU 교환기(3000)를 연동시키기 위해, VLR(3100)과, 문답처리 기능부인 TCAP(3200)와, 신호연결 제어부인 SCCP(3300)로 구성된 ITU 교환기(3000)에 있어서, ITU망내에 장착된 HLR(2000)에서 챠이나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ITU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1000)로 전송시켜 주고, 챠이나 교환기(3000)에서 ITU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챠이나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ITU망내에 장착된 HLR(2000)로 전송시켜 주는 MTP(3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ITU 교환기의 MTP L3 계층에서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NO.7 메시지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NO.7 메시지를 상호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줌으로써,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교환기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교환기가 상호 연동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24비트(bit)를 사용하는 챠이나(CHINA)망과 14비트(bit)를 사용하는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이하 ITU라 칭함.)망을 연동시키기 위한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CDMA 시스템의 ITU망에서 사용하는 ITU 교환기는 메지시 발신점(Origination Point Code; 이하 OPC라 칭함.), 메시지 착신점(Destination Point Code; 이하 DPC라 칭함.)를 14비트로 사용하는 ITU NO.7 메시지 포맷(Format)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OPC, DPC가 24비트인 챠이나 NO.7 메시지를 사용하는 챠이나망내의 챠이나 교환기와 연동이 불가능하였고, 이로인해 ITU망의 ITU 교환기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챠이나망을 사용하는 나라로 ITU 교환기를 수출할 수 없어서 교환기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ITU 교환기의 MTP L3 계층에서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NO.7 메시지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NO.7 메시지를 상호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줌으로써,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교환기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교환기가 연동되도록 해주는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는, 24비트(bit)를 사용하는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와 14비트(bit)를 사용하는 ITU망내에 장착된 ITU 교환기를 연동시키기 위해,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이하 VLR이라 칭함.)과, 문답처리 기능부인 TCAP(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 이하 TCAP라 칭함.)와, 신호연결 제어부인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이하 SCCP라 칭함.)로 구성된 ITU 교환기에 있어서, ITU망내에 장착된 HLR(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칭함.)에서 챠이나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ITU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로 전송시켜 주고, 챠이나 교환기에서 ITU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챠이나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ITU망내에 장착된 HLR로 전송시켜 주는 MTP(Message Transfer Part; 이하 MTP라 칭함.)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방법을 나타 낸 순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에서 ITU NO.7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1 에 따른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에서 챠이나 NO.7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챠이나 교환기 2000 : HLR
3000 : ITU 교환기 3100 : VLR
3200 : TCAP 3300 : SCCP
3400 : MTP 3410 : MTP L1
3420 : MTP L2 3421 : ITU L2
3422 : 챠이나 L2 3430 : MTP L3
3431 : ITU L3 3432 : 챠이나 L3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1000)는 최상위 이동가입자 응용부인 MAP와, 문답처리 기능부인 TCAP와, 신호연결 제어부인 SCCP와, 챠이나 NO.7 메시지 전달기능을 수행하는 MTP 등의 계층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챠이나 교환기(1000)내에 장착된 MTP는 신호 데이터 링크(Link)의 물리적, 기능적인 특성을 규정한 챠이나 레벨(Level; 이하 L이라 칭함.)1과, 한 개의 신호 데이터 링크를 통해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을 규정한 챠이나 L2와, 신호망의 신호점들간의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을 규정한 챠이나 L3로 구성된다.
한편, ITU망내에 장착된 HLR(2000)은 최상위 이동가입자 응용부인 MAP와, 문답처리 기능부인 TCAP와, 신호연결 제어부인 SCCP와, ITU NO.7 메시지 전달기능을 수행하는 MTP 등의 계층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ITU망내의 HLR(2000)에 장착된 MTP는 신호 데이터 링크의 물리적, 기능적인 특성을 규정한 ITU L1과, 한 개의 신호 데이터 링크를 통해 ITU NO.7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을 규정한 ITU L2와, 신호망의 신호점들간의 ITU NO.7 메시지를 전달하는 동작에 관련된 절차 및 기능을 규정한 ITU L3로 구성된다.
또한, ITU망내에 장착되어 있는 ITU 교환기(3000)는 VLR(3100)과, 문답처리 기능부인 TCAP(3200)와, 신호연결 제어부인 SCCP(3300)와,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 전달기능을 수행하는 MTP(3400) 등의 계층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상기 챠이나 교환기(1000)와 ITU망내에 장착된 상기 HLR(2000)을 연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된 MTP(3400)는 ITU망내에 장착된 상기 HLR(2000)에서 챠이나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ITU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상기 챠이나 교환기(1000)로 전송시켜 주고, 상기 챠이나 교환기(1000)에서 ITU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챠이나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ITU망내에 장착된 상기 HLR(2000)로 전송시켜 준다.
한편,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된 MTP(3400)는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를 물리적으로 송/수신해 줌으로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를 각각의 DPC로 전달해 주는 MTP L1(3410)과,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MTP L2(3420)와, NI값에 따라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를 각각 변환시켜 주는 MTP L3(34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ITU 교환기(3000)의 MTP(3400)내에 장착된 MTP L2(3420)는 ITU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ITU L2(3421)와,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챠이나 L2(3422)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ITU 교환기(3000)의 MTP(3400)내에 장착된 MTP L3(3430)는 전송된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일 경우 챠이나 NO.7 메시지로 변환한 후 출력하고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일 경우 ITU NO.7 메시지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ITU L3(3431)와,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챠이나 L3(3432)로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의 동작과정을 도 1, 도 2, 도 3,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ITU NO.7 메시지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 4바이트인 루팅레이블 부분과, MTP Mgmt.Info 부분과, 4비트의 SSF(Sub Service Field; 이하 SSF라 칭함.) 부분과, 4비트의 SI(Service Indication; 이하 SI라 칭함.)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 정보는 4비트의 SSF 부분중 2비트에 기록된다.
한편, ITU NO.7 메시지의 루팅레이블은 14비트의 OPC와, 14비트의 DPC와, 4비트의 SLS(Signalling Link Selection; 이하 SLS라 칭함.)로 구성된다.
또한, ITU NO.7 메시지의 루팅레이블에서 OPC는 메시지를 발생한 가입자가 위치한 신호점 번호이고, DPC는 메시지를 최종처리하는 교환 신호점을 가리킨다.
그리고, ITU NO.7 메시지의 MTP Mgmt.Info 부분에는 헤딩코드(Heading code)(H0, H1) 8비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헤딩코드(H0, H1)는 MTP 관리 메시지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한편, 챠이나 NO.7 메시지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챠이나 표준 루팅레이블 부분과, MTP Mgmt.Info 부분과, SSF 부분과, SI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 정보는 SSF 부분중 2비트에 기록된다.
또한, 챠이나 NO.7 메시지의 루팅레이블은 24비트의 OPC와, 24비트의 DPC와, 4비트의 SLS와, 예비 4비트로 이루어짐으로 총 7바이트로 구성된다.
한편, 챠이나 NO.7 메시지의 루팅레이블에서 OPC는 메시지를 발생한 가입자가 위치한 신호점 번호이고, DPC는 메시지를 최종처리하는 교환 신호점을 가리킨다.
그리고, 챠이나 NO.7 메시지의 SLS 부분은 착신점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링크세트를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값이다.
또한, 챠이나 NO.7 메시지의 MTP Mgmt.Info 부분은 두문부(1바이트)등이 포함되며 이는 MTP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NO.7 메시지가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망으로 전송될 때, ITU NO.7 메시지를 챠이나 NO.7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된 MTP L1(3410)은 상기 HLR(2000)의 MTP에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은 ITU NO.7 메시지가 출력되면, 이를 입력한 후 상기 MTP L2(3420)내에 장착된 ITU L2(3421)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MTP L2(3420)내에 장착된 ITU L2(3421)는 상기 MTP L1(3410)를 통해 전송된 ITU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상기 MTP L3(3430)내에 장착된 ITU L3(3431)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MTP L3(3430)내에 장착된 ITU L3(3431)는 상기 ITU L2(3421)를 통해 전송된 ITU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전송된 NO.7 메시지가 ITU NO.7 메시지임을 인식한다(S10).
이때,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된 ITU L3(3431)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은,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인가를 판단한다(S20).
즉, 상기에서 통신망 식별자가 2라는 것은 챠이나망을 의미함으로,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이면 ITU NO.7 메시지가 챠이나망으로 전송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ITU L3(3431)는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인가를 판단하여(S20),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일 경우, 루팅레이블 추출함수인 RTLB_ITU2CHINA() 함수를 사용하여,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은 ITU NO.7 메시지에서 루팅레이블 부분만을 추출한다(S31).
한편, 상기 ITU L3(3431)는 Trans_ITU2CHINA() 함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ITU NO.7 메시지의 루팅레이블 부분에서 14비트인 OPC, DPC를 24비트로 변환한다(S32).
즉, ITU NO.7 메시지를 챠이나 NO.7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의 핵심은 14비트인 OPC, DPC를 24비트인 OPC, DPC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ITU L3(3431)는 RTLB_ITU2CHINA() 함수를 사용하여, 24비트로 변환된 OPC, DPC를 다시 루팅레이블에 재구성함으로,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해 준다(S33).
그리고, 상기 ITU L3(3431)는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된 NO.7 메시지를 상기 챠이나 L3(3432)로 전송해 주고, 상기 챠이나 L3(3432)는 챠이나 L2(342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챠이나 L2(3422)는 상기 챠이나 L3(3432)를 통해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된 NO.7 메시지를 상기 MTP L1(341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되어 있는 MTP L1(3410)은 상기 챠이나 L2(3422)를 통해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DPC에 따라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상기 챠이나 교환기(1000)로 전송해 준다(S34).
그리고, 상기 ITU L3(3431)는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인가를 판단하여(S20),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일 경우, ITU NO.7 메시지를 ITU망으로 전송시켜 주는 동작을 수행한다(S40).
한편,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NO.7 메시지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망으로 전송될 때, 챠이나 NO.7 메시지를 ITU NO.7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된 MTP L1(3410)은 상기 챠이나 교환기(1000)의 MTP를 통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챠이나 NO.7 메시지가 출력되면, 이를 입력한 후 상기 MTP L2(3420)내에 장착된 챠이나 L2(342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MTP L2(3420)내에 장착된 챠이나 L2(3422)는 상기 MTP L1(3410)를 통해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상기 MTP L3(3430)내에 장착된 챠이나 L3(3432)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MTP L3(3430)내에 장착된 챠이나 L3(3432)는 상기 챠이나 L2(3422)를 통해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상기 ITU L3(3431)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ITU L3(3431)는 상기 챠이나 L3(3432)를 통해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전송된 NO.7 메시지가 챠이나 NO.7 메시지임을 인식한다(S10).
이때,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된 ITU L3(3431)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인가를 판단한다(S50).
즉, 상기에서 통신망 식별자가 3이라는 것은 ITU망을 의미함으로,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이면 챠이나 NO.7 메시지가 ITU망으로 전송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ITU L3(3431)는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인가를 판단하여(S40),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일 경우, 루팅레이블 추출함수인 RTLB_CHINA2ITU() 함수를 사용하여,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챠이나 NO.7 메시지에서 루팅레이블 부분만을 추출한다(S61).
한편, 상기 ITU L3(3431)는 Trans_CHINA2ITU() 함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챠이나 NO.7 메시지의 루팅레이블 부분에서 24비트인 OPC, DPC를 14비트로 변환한다(S62).
즉, 챠이나 NO.7 메시지를 ITU NO.7 메시지로 변환하는 과정의 핵심은 24비트인 OPC, DPC를 14비트인 OPC, DPC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ITU L3(3431)는 RTLB_CHINA2ITU() 함수를 사용하여, 14비트로 변환된 OPC, DPC를 다시 루팅레이블에 재구성함으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은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해 준다(S63).
그리고, 상기 ITU L3(3431)는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된 NO.7 메시지를 상기 ITU L2(3421)로 전송해 주고, 상기 ITU L2(3421)는 상기 MTP L1(341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ITU 교환기(3000)내에 장착되어 있는 MTP L1(3410)은 상기 ITU L2(3421)를 통해 전송된 ITU NO.7 메시지를 입력한 후, DPC에 따라 ITU망내에 장착된 상기 HLR(2000)로 전송해 준다(S64).
한편, 상기 ITU L3(3431)는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인가를 판단하여(S50),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일 경우, 챠이나 NO.7 메시지를 챠이나망으로 전송시켜 주는 동작을 수행한다(S70).
따라서, 상기 ITU 교환기(3000)의 MTP L3(3430)를 통해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NO.7 메시지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NO.7 메시지가 상호 변환됨으로써, 24비트를 사용하는 상기 챠이나 교환기(1000)와 14비트를 사용하는 상기 ITU 교환기(3000)가 상호 연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은, ITU 교환기의 MTP L3 계층에서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NO.7 메시지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NO.7 메시지를 상호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줌으로써, 24비트를 사용하는 챠이나 교환기와 14비트를 사용하는 ITU 교환기가 상호 연동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24비트(bit)를 사용하는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와 14비트(bit)를 사용하는 ITU망내에 장착된 ITU 교환기를 연동시키기 위해, VLR과, 문답처리 기능부인 TCAP와, 신호연결 제어부인 SCCP로 구성된 ITU 교환기에 있어서, ITU망내에 장착된 HLR에서 챠이나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ITU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로 전송시켜 주고, 챠이나 교환기에서 ITU망으로 전송하기 위해 챠이나 NO.7 메시지를 출력하면 이를 입력한 후,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여 ITU망내에 장착된 HLR로 전송시켜 주는 MTP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TP는,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를 물리적으로 송/수신해 줌으로, ITU NO.7 메시지 및 챠이나 NO.7 메시지를 각각의 DPC로 전달해 주는 MTP L1과; ITU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ITU L2와,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챠이나 L2로 구성된 MTP L2와; 전송된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2일 경우 챠이나 NO.7 메시지로 변환한 후 출력하고 전송된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3일 경우 ITU NO.7 메시지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ITU L3와, 챠이나 NO.7 메시지를 전송시켜 주는 챠이나 L3로 구성된 MTP L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3. 타교환기에서 수신된 NO.7 메시지가 ITU NO.7 메시지인지 챠이나 NO.7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 10 단계(S10)와; 상기 제 10 단계(S10) 이후, 전송된 NO.7 메시지가 ITU NO.7 메시지일 경우,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를 식별하여 ITU NO.7 메시지가 챠이나망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제 20 단계(S20)와; 상기 제 20 단계(S20) 이후,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챠이나망으로 전송될 메시지일 경우, ITU NO.7 메시지를 챠이나 NO.7 메시지로 변환한 후 챠이나망으로 전송시켜 주는 제 30 단계(S30)와; 상기 제 30 단계(S30) 이후, ITU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챠이나망으로 전송될 메시지가 아닐 경우, ITU망으로 전송시켜 주는 제 40 단계(S40)와; 상기 제 10 단계(S10) 이후, 전송된 NO.7 메시지가 챠이나 NO.7 메시지일 경우,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를 식별하여, 챠이나 NO.7 메시지가 ITU망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인가를 판단하는 제 50 단계(S50)와; 상기 제 50 단계(S50) 이후,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ITU망으로 전송될 메시지일 경우, 챠이나 NO.7 메시지를 ITU NO.7 메시지로 변환한 후 ITU망으로 전송시켜 주는 제 60 단계(S60)와; 상기 제 60 단계(S60) 이후, 챠이나 NO.7 메시지의 통신망 식별자가 ITU망으로 전송될 메시지가 아닐 경우, 챠이나망으로 전송시켜 주는 제 70 단계(S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 단계(S30)는, 입력된 ITU NO.7 메시지중에서 루팅레이블 부분만을 추출하는 제 31 단계(S31)와; 상기 제 31 단계(S31) 이후, 추출한 루팅레이블 부분에서 14비트인 OPC, DPC를 24비트로 변환하는 제 32 단계(S32)와; 상기 제 32 단계(S32) 이후, 24비트로 변환된 OPC, DPC를 루팅레이블에 재구성함으로 챠이나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제 33 단계(S33)와; 상기 제 33 단계(S33) 이후, 변환된 챠이나 NO.7 메시지를 챠이나망내에 장착된 챠이나 교환기의 DPC로 전송해 주는 제 34 단계(S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0 단계(S60)는, 입력된 챠이나 NO.7 메시지중에서 루팅레이블 부분만을 추출하는 제 61 단계(S61)와; 상기 제 61 단계(S61) 이후, 추출한 루팅레이블 부분에서 24비트인 OPC, DPC를 14비트로 변환하는 제 62 단계(S62)와; 상기 제 62 단계(S62) 이후, 14비트로 변환된 OPC, DPC를 루팅레이블에 재구성함으로 ITU NO.7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제 63 단계(S63)와; 상기 제 63 단계(S63) 이후, 변환된 ITU NO.7 메시지를 ITU망내에 장착된 ITU 교환기의 DPC로 전송해 주는 제 64 단계(S6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방법.
KR1019980027912A 1998-07-10 1998-07-10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KR20000008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912A KR20000008190A (ko) 1998-07-10 1998-07-10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912A KR20000008190A (ko) 1998-07-10 1998-07-10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90A true KR20000008190A (ko) 2000-02-07

Family

ID=1954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912A KR20000008190A (ko) 1998-07-10 1998-07-10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1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631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점 변환방법
KR100377687B1 (ko) * 2000-06-14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넘버 세븐 신호망 간의 상호 연동 방법
KR100476479B1 (ko) * 2002-10-09 200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631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점 변환방법
KR100377687B1 (ko) * 2000-06-14 200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넘버 세븐 신호망 간의 상호 연동 방법
KR100476479B1 (ko) * 2002-10-09 2005-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규격 공통선 신호방식 간의 연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0999C (zh) 在电信系统中的网络协议转换模式
RU98106472A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телесвязи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 пунктом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ов
CN100518215C (zh) 增加带有分离的呼叫控制和载体控制的通信网的灵活性的方法
KR100475754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엠티피 사용자부의 폭주 상태 처리방법
US6870923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ssage in a message transfer part with high speed
EP1111940B1 (en)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08190A (ko) 타 시스템 연동시 no.7 관리 메시지 변환장치 및 방법
US5862484A (en) Wide area paging sevic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of a radio paging system
RU2001109240A (ru) Применение кик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вызовов при использовании пчку вместе с протоколом обмена сигналами уаа типа 2
KR100196716B1 (ko) 교환기내의 통신망 연동을 위한 공통선 메세지변환방법
EP1125443A2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CN100461762C (zh) 移动通信网络系统及信令消息传送方法
CN100583833C (zh) 为不同业务消息选择信令路由的方法及装置
KR100418967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의 총괄명 번역 장치 및방법
KR100325386B1 (ko)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신호연결 제어부 메시지 루팅 방법
KR100201809B1 (ko) 다중 신호점을 처리하기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메세지전달부동작방법
KR100269590B1 (ko) 공통선 신호망에서 디폴트 루트 구성을 통한 신호메시지 라우팅 방법
KR100264058B1 (ko) 넘버7 메시지 처리장치의 신호점 관리방법
KR100335693B1 (ko) 공통선 신호 망에서의 중계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환기
KR100249857B1 (ko)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 루팅주소, 서비스 제어 기능번호, 상관관계 번호 파라미터 처리방법
CN100426813C (zh) 在7号信令系统型网络中传输信令报文的方法
CN100450214C (zh) 一种消息传送的方法、系统及设备
KR100268234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넘버7 신호처리 방법
CN100396048C (zh) 网络互通方法
CN100544300C (zh) 实现信令网互通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