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21B1 -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021B1
KR101337021B1 KR1020110125661A KR20110125661A KR101337021B1 KR 101337021 B1 KR101337021 B1 KR 101337021B1 KR 1020110125661 A KR1020110125661 A KR 1020110125661A KR 20110125661 A KR20110125661 A KR 20110125661A KR 101337021 B1 KR101337021 B1 KR 101337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gram
sub
item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608A (ko
Inventor
이가형
Original Assignee
이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가형 filed Critical 이가형
Priority to KR102011012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021B1/ko
Priority to PCT/KR2012/010193 priority patent/WO2013081380A1/ko
Priority to US14/360,651 priority patent/US20150326645A1/en
Publication of KR2013005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5Initialisation of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2Remote windowing, e.g. X-Window System, desktop virtu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7Remote procedure calls [RPC];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은, 메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이 상호 연동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과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이 분담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이 분담한 제1 항목이 상기 메인 단말에 의해 처리되거나,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제2 항목이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1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처리된 제2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메인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저사양 단말을 이용한 고연산 작업이 가능해지게 되고, 하나의 단말을 이용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화면 시청 방해 문제가 해소가능해진다.

Description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Program divisional controlling method by multiple terminals}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때 필요한 항목들에 대한 처리를 복수의 단말이 분담하여 진행하는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 메뉴나 앵커와 같은 GUI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는 기술은 이미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방식을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커맨드 실행 방법으로는, 메뉴로부터 커맨드를 선택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메뉴로부터 커맨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메뉴 화면을 호출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조작, 메뉴 화면을 호출하는 조작, 메뉴 화면에서 원하는 커맨드가 표시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커맨드를 선택하는 조작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이라는 특성상, 이러한 조작이 수행되는 시간에는 화면에 대한 시청이 방해되거나 기실행중인 연산 작업에 대한 부담이 생기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은 일반적으로 휴대가 가능한 단말이기 때문에 초박형 구현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위해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 성능 면에서 일정한 손해를 감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되 다수의 단말에 기능을 분담시켜 보다 단일 단말에서의 연산량을 줄이고 사용자 입장에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은, 메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이 상호 연동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과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이 분담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이 분담한 제1 항목이 상기 메인 단말에 의해 처리되거나,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제2 항목이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1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처리된 제2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메인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사용가능한 메뉴, 도구, 설정,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서브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는 상기 서브 단말의 화면에서 사용가능한 항목과 사용불가한 항목으로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메뉴 중 일부인 경우, 상기 일부 메뉴는 상기 서브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메뉴는 상기 메인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은, 단말별로 서로 다르게 분담되거나 균등하게 분담되거나 단말의 연산량을 고려하여 분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메인 단말 또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구비되지 않은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메인 단말은 상기 서브 단말의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처리된 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항목 및 상기 제2 항목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서브 단말 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한 상기 서브 단말에서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거나 상기 제2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한 상기 메인 단말에서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단말에서 커맨드가 실행된 결과가 상기 메인 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메인 단말에서 커맨드가 실행된 결과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터치 스크린 방식이 사용되지 않던 프로그램도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인터페이스의 다양화와 효율적인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연산능력보다 휴대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단말 간에 연산 작업을 분담함으로써, 저사양 단말을 이용한 고연산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말을 이용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화면 시청 방해 문제가 해소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100)를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i는 전술한 항목들 중 메뉴 항목을 분담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세 개의 단말기가 항목을 분담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단말기2와 단말기3이 인터페이스를 분담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단말기1과 단말기2가 인터페이스를 분담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작업 내용에 따라 메뉴 일부가 비활성화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단말기3이 단말기2에 구비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분담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9a 및 도 9l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단말기 간의 화면 및 메뉴의 분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e는 단말기 간의 프로그램 연산량 분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2a 내지 도 12g는 단말기 간의 연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타 단말기와 함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항목들을 분담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항목이란, 실행되는 프로그램 전부나 일부, 그리고, 프로그램과 관련된 메뉴, 도구, 설정,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및 프로그램에 대한 서브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일 예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항목의 분담은, A라는 단말기가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때 화면에 (a)라는 메뉴와 (b)라는 메뉴가 함께 존재하는 경우, (a)메뉴는 A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어 A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b)메뉴는 다른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어 다른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항목의 분담은, A라는 단말기가 (a)라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다른 단말기에 구비된 (b)라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쉽게 처리되는 작업에 대해서는 다른 단말기에 구비된 (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시키고 (a)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쉽게 처리되는 작업에 대해서는 A라는 단말기에 구비된 (a)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을 진행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항목의 분담은, A라는 단말기가 처리해야할 연산작업 중 일부를 다른 단말기가 처리하여 처리결과만을 A라는 단말기로 전달해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예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열거된 사항들 이외에 프로그램 전부나 일부, 그리고, 프로그램과 관련된 메뉴, 도구, 설정, 인터페이스를 분담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기능 분할 제어가 가능한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구비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기지국, 다른 단말기, 위성 등과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며,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로 구성된다.
특히,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에 있는 타 단말기와 연동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한 항목을 분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나열된 구성들 이외의 구성이 추가되거나 나열된 구성들 중 일부만 구비되도록 구현가능하다.
A/V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카메라 모듈(121) 및 마이크 모듈(122)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121)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마이크 모듈(122)은 음성을 획득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하거나 음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도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나열된 구성들 이외의 구성이 추가되거나 나열된 구성들 중 일부만 구비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조작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여 후술할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작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센싱부(140)는 적외선 감지 센서,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등으로 구현되어 적외선, 기울기, 조도 등을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출력부(150)는 후술할 제어부(180)에 의해 처리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출력 모듈(153)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체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각종 설정사항등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전술한 조작부(130) 이외의 사용자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지문 감지 모듈, 햅틱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본 단말기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술한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80)는 타 단말기과 연동된 경우, 타 단말기와 본 단말기(100)가 함께 기능 분할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이라는 본연의 목적과 기능 분할 제어라는 추가적인 목적을 위해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본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 시스템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스마트폰), 단말기2(PC) 및 단말기3(타블렛PC)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1, 단말기2 및 단말기3은 모두 전술한 도 1의 단말기가 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1이 전술한 도 1의 단말기와 동일하고, 단말기2는 단말기1의 구성 중 A/V입력부(120)가 제외되어 있으며, 단말기3은 단말기1의 구성 중 무선통신부(110)가 제외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2에서 메인 프로그램이 구동된다고 가정할 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과 단말기2를 연동시키고, 단말기2와 단말기3을 연동시키면, 단말기2에서는 메인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단말기1과 단말기3에서는 연결 프로그램이 구동되게 된다.
단말기1과 단말기2는 일반적인 무선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연동될 수 있고, 단말기3에 무선통신부(110)가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기2와 단말기3은 젠더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i는 전술한 항목들 중 메뉴 항목을 분담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모습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단에는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묶음(A메뉴묶음, B메뉴묶음, C메뉴묶음,…)이 나열되어 있고, 좌측에는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들(ㄱ,ㄴ,ㄷ,…)이 나열되어 있으며, 우측 하단에는 미니맵이 나열되어 있다.
메뉴 묶음은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여러 가지 메뉴들 중 공통된 사항이 있는 메뉴들끼리 묶어놓은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여러 메뉴 묶음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 묶음에 속한 메뉴들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 시스템에서는, 단말기2가 메뉴 항목을 분담하기 위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묶음(A메뉴묶음, B메뉴묶음, C메뉴묶음,…)이 연동된 단말기1에 리스트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연동된 단말기1에 리스트화되어 표시된 메뉴 묶음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메뉴 묶음의 선택은 단말기1의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라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의 화면을 통해서도 제공 가능하다.
한편, 단말기2와 연동된 단말기1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메뉴 묶음들을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하지 않고, 일부 메뉴 묶음(B 메뉴 묶음)에 속한 하위 메뉴들만 화면에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하위 메뉴들은 도 3e와 같이 하나의 메뉴 묶음에 속한 하위 메뉴들 뿐만 아니라도 도 3f와 같이 둘 이상의 메뉴 묶음에 속한 하위 메뉴들도 축소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3g와 같이 하나의 메뉴 묶음에 속한 하위 메뉴들 중 일부만 확대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2와 연동된 단말기1에 표시된 메뉴 묶음 또는 하위 메뉴들을 조작하여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단말기1은 단말기2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되는 하위 메뉴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치, 순서, 크기, 범위 등을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이 편한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3h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하위 메뉴들을 드래그 조작을 통해 위치를 변경시키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도 3i는 위치 및 크기가 변경된 상태인 사용자 입맛에 맞는 인터페이스 환경이 꾸며진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세 개의 단말기가 항목을 분담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 분할 제어 시스템은 두 개의 단말기 뿐만 아니라 세 개 이상의 단말기들 간의 기능 분할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위치한 단말기1은 메뉴 항목을 분담하고 하단에 위치한 단말기3은 작업되는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분담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이 분담한 B 메뉴묶음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에서도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에서 제거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단말기2와 단말기3이 인터페이스를 분담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단말기3과 우측의 단말기2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연동된 경우, 메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말기2의 작업상태가 단말기3의 화면에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2에 대한 조작없이 단말기3을 조작하여 메인 프로그램의 작업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멀티터치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줄이는 모션을 취하는 경우, 단말기3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크기도 줄어들지만, 이와 연동된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의 크기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단말기3은 단말기2에 대한 터치 인터페이스 기능을 분담하여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5c와 같이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도 5d와 같이 오브젝트를 회전시키는 모션에도 동일한 논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제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기능도 단말기3을 통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단말기1과 단말기2가 인터페이스를 분담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좌측의 단말기1과 우측의 단말기2가 연동된 경우, 메인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말기2의 B메뉴묶음에 속한 하위 메뉴들이 단말기1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2에 대한 조작없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에서 하위 메뉴 'B-2'를 터치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에서 'B-2'메뉴를 선택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메뉴의 기능이 그대로 적용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작업 내용에 따라 메뉴 일부가 비활성화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1이 선택된 경우, 오브젝트1에 대해 사용가능한 메뉴들은 단말기1에서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오브젝트1에 대해 사용불가한 메뉴들은 단말기1에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여기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오브젝트2가 다시 선택된 경우, 오브젝트2에 대해 사용가능한 메뉴들은 단말기1에서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고고 오브젝트2에 대해 사용불가한 메뉴들은 단말기1에서 비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비활성화된 상태로 변경되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단말기3이 단말기2에 구비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분담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하단에 위치한 단말기2가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지 않았거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도 8a의 우측과 같이 단말기2와 연동된 단말기3에 있는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a의 우측 화면과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3을 기울일 경우, 단말기3과 연동된 단말기2는 단말기3으로부터 기울여진 방향,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신호로 전달받아, 도 8b와 같이 단말기2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가 회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의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도 같이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 및 도 9l은 복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9a 및 도 9l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예시로서 3D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네 개의 단말기를 이용해 병 모양의 도형을 생성하는 과정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는 네 개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3D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시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상단의 단말기2가 메인 프로그램인 3D 디자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주체가 된다.
좌상단의 단말기1은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된 또는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용도로 단말기2에 연동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러한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된 메뉴를 선택하여, 선택한 메뉴에 대응되는 커맨드가 단말기2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좌하단의 단말기3은 스케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분담하기 위한 용도로 단말기2에 연동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2와 연동된 단말기1을 통해 'sketch'라는 메뉴를 선택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기2와 연동된 단말기3을 통해 'sketch'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케치된 오브젝트는 스케치 작업이 수행된 단말기3 뿐만 아니라, 단말기2의 메인화면, 단말기2의 미니맵화면 그리고, 단말기2와 연동된 좌하단의 단말기4의 화면에도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물론, 단말기들 중 일부에만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기4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단말기1에서 'extrude' 메뉴를 선택하면, 사용자는 메인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단말기2를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을 통해 'extrude'가 선택되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에서 작업이 수행되면, extrude된 오브젝트는 extrude 작업이 수행된 단말기2의 메인 화면, 단말기2의 미니맵 화면 및 단말기4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단말기4는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메뉴들이나 화면의 터치 또는 드래그 조작만으로 가능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기2와 연동된다.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4를 통해 크기 축소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연동된 단말기들에서 오브젝트가 축소되게 된다.
여기서 다시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된 메뉴('winding')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에서 'winding' 메뉴를 선택하고, 단말기3을 통해 작업을 수행하면, 도 9h와 같이 작업 과정에 대한 사항이 연동된 단말기들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이후 도 9i와 같이 작업 완료된 사항이 연동된 단말기들에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또한,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된 메뉴('material')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9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에서 'material'이 선택되고 'material'이 추가적인 하위 메뉴를 가진다면, 도 9k와 같이 하위 메뉴들이 단말기1에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사용자는 단말기1에 디스플레이된 하위 메뉴를 선택하고 단말기2에서 선택된 하위 메뉴가 적용될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도 9l과 같이 연동된 단말기들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해 선택된 하위 메뉴와 관련된 커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단말기 간의 화면 및 메뉴의 분배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에서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단말기2에서 메인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단말기3에서 작업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는 설정 변경을 통해 도 10b와 같이 각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변경시키거나 도 10c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e는 단말기 간의 프로그램 연산량 분담에 대한 설명을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단말기2에서 메인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단말기1과 단말기3이 단말기2에 연동된 경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2가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부담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단말기1과 단말기3이 연동은 되어 있더라도 작업에 대한 관여를 하지 않는 경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말기1과 단말기3은 도 11b 내지 도 11e와 같이 단말기2가 단독으로 작업을 진행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총 연산량을 부담하여 작업에 대해 분담할 수 있다. 특히 도 11b는 모든 단말기가 연산량을 동일하게 분담하는 경우이고, 도 11c 및 도 11d는 최적화된 연산 분담량에 따라 분담하는 경우이며, 도 11e는 기능별로 연산량을 분담시킨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단말기 간의 연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들은 직렬형으로 상호 연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로 떨어진 단말기 간에 정보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단말기를 경유하여 전달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들은 특정 단말기(단말기3)를 코어로 하여 연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3을 제외한 다른 단말에서 또 다른 단말로 전달되는 정보는 모두 단말기3을 경유하여 전달되게 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단말기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든 단말기들이 무선으로 연동되었다면 한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는 다른 단말기들로 브로드캐스팅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 내지 단말기5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연산하기 위한 집합체가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2,3과 단말기4,5가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연산하기 위한 집합체가 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 집합1에서 그래픽작업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해 연산하는 경우, 단말기 집합2에서는 문서작업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해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도 12f는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원격 저장, 연산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그램의 실행과 제어에 고성능 단말기가 필요한 경우, 도시된 프로그램 메인 연산기와 같이 고성능 단말기에서 연산량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는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메인 연산기가 하나의 프로그램을 연산하고 나머지 제어용 단말기집합이 다른 하나의 프로그램을 연산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1a 내지 도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량 분담에 있어서, 프로그램 메인 연산기와 같은 고성능 단말기가 연산량의 대부분을 담당한다고 볼 수도 있다.
도 12g는 단말기1과 단말기3이 각각 조작부1 및 조작부2가 되고 단말기2가 디스플레이부가 되어, 게임기기와 단말기 집합을 이룸으로써, 게임기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게임기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게임기기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멀티미디어 기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고 볼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무선 통신부 111 : 방송 수신 모듈
112 : 이동통신 모듈 113 : 무선 인터넷 모듈
114 : 근거리 통신 모듈 115 : GPS 모듈
120 : A/V 입력부 121 : 카메라 모듈
122 : 마이크 모듈 130 : 조작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 모듈 152 : 음향 출력 모듈
153 : 알람 출력 모듈 160 : 저장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81 :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 190 : 전원공급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이 상호 연동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과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이 분담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이 분담한 제1 항목이 상기 메인 단말에 의해 처리되거나,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제2 항목이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1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처리된 제2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메인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사용가능한 메뉴, 도구, 설정,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서브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는 상기 서브 단말의 화면에서 사용가능한 항목과 사용불가한 항목으로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4.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에 있어서,
    메인 단말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단말이 상호 연동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정보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과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이 분담되는 단계;
    상기 메인 단말이 분담한 제1 항목이 상기 메인 단말에 의해 처리되거나,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제2 항목이 상기 서브 단말에 의해 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제1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처리된 제2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가 상기 메인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사용가능한 메뉴, 도구, 설정,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및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서브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메뉴 중 일부인 경우,
    상기 일부 메뉴는 상기 서브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메뉴는 상기 메인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항목은,
    단말별로 서로 다르게 분담되거나 균등하게 분담되거나 단말의 연산량을 고려하여 분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메인 단말 또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구비되지 않은 인터페이스인 경우, 상기 메인 단말은 상기 서브 단말의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처리된 결과를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 및 상기 제2 항목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단말 및 상기 서브 단말 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한 상기 서브 단말에서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거나 상기 제2 항목과 관련된 커맨드를 수신한 상기 메인 단말에서 상기 커맨드가 실행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단말에서 커맨드가 실행된 결과가 상기 메인 단말로 전송되거나 상기 메인 단말에서 커맨드가 실행된 결과가 상기 서브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단말이 분담한 상기 제2 항목이 메뉴인 경우,
    상기 메뉴는 상기 서브 단말 또는 상기 메인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상태를 기초로 변화되면서, 상기 서브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사용가능한 항목과 사용불가한 항목으로 구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KR1020110125661A 2011-11-29 2011-11-29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KR101337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61A KR101337021B1 (ko) 2011-11-29 2011-11-29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PCT/KR2012/010193 WO2013081380A1 (ko) 2011-11-29 2012-11-28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US14/360,651 US20150326645A1 (en) 2011-11-29 2012-11-28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sharing by plurality of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61A KR101337021B1 (ko) 2011-11-29 2011-11-29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608A KR20130059608A (ko) 2013-06-07
KR101337021B1 true KR101337021B1 (ko) 2013-12-06

Family

ID=4853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61A KR101337021B1 (ko) 2011-11-29 2011-11-29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26645A1 (ko)
KR (1) KR101337021B1 (ko)
WO (1) WO2013081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0754S1 (en) * 2013-12-18 2016-07-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6972A (ja) * 2004-10-26 2006-05-18 Denso It Laboratory Inc データ共有方法及びデータ共有システム並びにエージェントプログラム
KR20070031378A (ko) * 2004-06-08 2007-03-19 다트디바이시스 코포레이션 디바이스 팀 모집을 위한 아키텍쳐 장치 및 방법 그리고보편적 디바이스 상호운용성 플랫폼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위한 콘텐트 렌디셔닝
JP2008092524A (ja) * 2006-10-05 2008-04-17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00049370A (ko) * 2008-11-03 2010-05-12 최백준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 분산 처리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분산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813B1 (en) * 2000-09-11 2004-05-18 Mercury Interactiv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erformance of a server system using otherwise unused processing capacity of user computing devices
US7103666B2 (en) * 2001-01-12 2006-09-05 Siemens Medical Solutions Health Services Corporation System and user interface supporting concurrent application operation and interoperability
WO2003025741A1 (en) * 2001-09-19 2003-03-27 Belovich Steven 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rus-immune, rule-based
US7210132B2 (en) * 2002-05-30 2007-04-24 Microsoft Corporation Interoperability of objects between various platforms
CN101031882B (zh) * 2004-06-08 2010-09-08 达尔特设备互操作有限公司 用于通用设备互操作性平台的设备组招募和内容再现的体系结构、装置和方法
US7818350B2 (en) * 2005-02-28 2010-10-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playlist
KR101137781B1 (ko) * 2005-12-14 2012-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기기간 상호 연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US8135001B1 (en) * 2008-04-16 2012-03-13 Globaltel IP, Inc. Multi ad hoc interoperable communicating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378A (ko) * 2004-06-08 2007-03-19 다트디바이시스 코포레이션 디바이스 팀 모집을 위한 아키텍쳐 장치 및 방법 그리고보편적 디바이스 상호운용성 플랫폼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위한 콘텐트 렌디셔닝
JP2006126972A (ja) * 2004-10-26 2006-05-18 Denso It Laboratory Inc データ共有方法及びデータ共有システム並びにエージェントプログラム
JP2008092524A (ja) * 2006-10-05 2008-04-17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00049370A (ko) * 2008-11-03 2010-05-12 최백준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프로그램 분산 처리를 위한 장치 및 프로그램 분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608A (ko) 2013-06-07
WO2013081380A1 (ko) 2013-06-06
US20150326645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2683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28788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33410B1 (ko)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52424B1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WO2018120533A1 (zh) 一种多屏显示的方法和设备
US10108337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ybrid keyboard
US1130110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tem list and cursor
CN105683894A (zh) 显示设备的应用执行方法及其显示设备
KR1023010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82603A1 (en) Browser Display Casting Techniques
CN105739815A (zh) 图像显示设备和图像显示方法
KR202100748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337021B1 (ko) 복수의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분담 제어 방법
CN105122179A (zh) 显示接收的用户界面的设备
US20170147167A1 (en) Time-based scheduling for touchscreen electronic devices
CN104111774A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10011845A (ko)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4773B1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3167042A2 (zh) 快捷按钮的生成方法及装置、移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