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684B1 - 체, 선별 장치, 땜납 볼 및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체, 선별 장치, 땜납 볼 및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684B1
KR101137684B1 KR1020090094061A KR20090094061A KR101137684B1 KR 101137684 B1 KR101137684 B1 KR 101137684B1 KR 1020090094061 A KR1020090094061 A KR 1020090094061A KR 20090094061 A KR20090094061 A KR 20090094061A KR 101137684 B1 KR101137684 B1 KR 10113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eve
long hole
hole
solder bal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253A (ko
Inventor
세이찐 기누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7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541443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Publication of KR2010004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9/00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 C22C19/03Alloys based on nickel or cobalt based on 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 효율(screening efficiency)을 향상시켜, 선별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으로 개선하는 선별 장치(screening device)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니켈 합금에 의해 제작되어, 땜납 볼(2)을 선별하는 구멍의 형상을 긴 구멍(3)으로 하는 동시에, 이 긴 구멍(3)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중점(a)과 직교시키도록 하여 복수 형성하고, 또한 긴 구멍(3)의 폭(W)을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x)과 동등하게 한 체(1)를 구비하여 선별 장치를 구성한다.
땜납 볼, 직경, 중점, 연장선, 니켈 합금

Description

체, 선별 장치, 땜납 볼 및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SIEVE, SORTING DEVICE, SOLDER BALL AND SORTING METHOD OF SPHERICAL PARTICLE}
본 발명은, 분급 효율이 우수한 금속제의 체를 구비하는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에 형성하는 복수의 구멍의 배치에 대하여 제안하여 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선별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 개선시킬 수 있는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형의 입자를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작업 속도는 모든 산업의 생산성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 기술로서 알려져 있다. 특히, 진원에 가까운 구형 입자, 예를 들어 땜납 볼을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것은, 예를 들어 비용, 품질 등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종래, 선별 장치를 구성하는 체에 있어서의 구멍의 형상은, 대부분이 원 형상 혹은 정사각 형상이다. 또한, 구멍의 배치는 대부분이 규칙적으로 사각으로 배치되거나, 혹은 드물게 삼각형의 정점에 오도록 배치되는데, 모두 균일하게 배치되어, 소위 「체 메쉬」라고 불리고 있다.
이 체 메쉬를 사용할 경우, 선별 작업 중에는 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외에, 래디얼 방향 등으로 구동시켜 항상 진동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 작업은 입자가 체의 구멍에 접촉한 후, 가능한 한 빨리 구멍을 빠져나가게 하여 낙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입자는 상하의 진동에 의해 체의 구멍 주위에서 날리게 되어, 좀처럼 구멍을 통과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전후좌우의 소위 이차원 평면적 진동으로는 그 속도 및 가속도에 따라서는 입자가 구멍의 상부를 통과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체의 구멍의 형상이, 종래의 정사각형 또는 진원에 가까운, 즉 가장 짧은 구멍의 원호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에는 입자는 오목부에 메워지듯이 고정되어버려 구멍이 막힌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입자가 구멍을 통과하는 메커니즘은, 진동하는 입자가 구멍 벽에 접근하여 접촉하고, 이 구멍 벽의 단부에 포착된 후에 낙하한다. 즉, 입자가 통과하려는 구멍 벽의 길이가 길수록 통과하려는 입자와의 접촉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일반적인 체 메쉬에서는 이 메쉬 평면 상을 횡방향의 힘에 의존하면서 운동하는 입자에 있어서, 구멍을 통과하는데 충분한 기회가 있다고는 할 수 없어 선별 작업이 효율적이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자가 날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는 20㎛ 오더 이하의 입자를 선별하는 경우에는 입자측에 정압(positive pressure)을 가하는 동시에 선별된 측에 음압(negative pressure)을 가함으로써 선별 작업이 원활해지도록 하고는 있으나, 일 단 구멍에 입자가 포착되면 음압에 의한 힘으로 구멍으로부터 입자가 떨어지기 어렵다는 등의 현상도 발생하여 종래의 체 메쉬 구멍에서는 구멍 막힘을 발생시키기 쉬워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이들 문제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하기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체의 구멍의 형상을 긴 구멍으로 하여 미분(微粉)을 선별하는 경우에 분리 효율을 향상시킨 미분 분리 제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직경(a)의 미소 구(球)를 선별하여 남기기 위해, 구멍의 형상을 길이가 0.9a 이하인 단변(b)과, 길이가 a를 초과하는 장변(c)의 직사각 형상으로 한 체가 제안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 문헌 3, 4도 구멍의 형상을 긴 구멍으로 한 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06-170160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122826호 공보
<특허 문헌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11-347491호 공보
<특허 문헌4>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 11-4769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내지 4에서는 체에 형성된 복수의 긴 구멍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이차원 평면적 진동으로 입자를 선별하는 경우, 어느 한쪽의 진동 방향에 있어서는 분급 속도가 느려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에서는 입자를 가능한 한 빨리 구멍을 빠져 나가게 하여 낙하시키는 것, 체 메쉬의 구멍 막힘을 방지하는 것 등 다양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기는 하나, 선별 작업을 효율적인 것으로 하는 결정적인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제안하는 것으로, 체 효율을 향상시켜 선별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제1 형태의 발명은, 긴 구멍을 갖는 금속판의 체로서, 상기 긴 구멍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2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긴 구멍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이 서로 직교하도록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3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긴 구멍의 폭을 분급하는 구형의 상기 입자의 직경과 동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4 형태의 발명은, 상기 체의 표면측의 긴 구멍의 폭이, 상기 체의 이면측 의 긴 구멍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긴 구멍의 단면이 유발 형상으로 되고, 상기 체의 이면측의 긴 구멍의 폭이 상기 입자의 직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5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긴 구멍은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다른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점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6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긴 구멍의 코너부를, 둥근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7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금속판에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8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0.1㎛ 내지 2㎛의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9 형태의 발명은,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에 1㎛ 내지 30㎛의 두께가 될 때까지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이다.
제10 형태의 발명은, 적어도 평면 2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수단에 의해 제1 형태 내지 제9 형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체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장치가다.
제11 형태의 발명은, 제10 형태에 기재된 선별 장치로 분급된 복수의 땜납 볼로서, 상기 복수의 땜납 볼 중 표면에 흠집을 갖는 땜납 볼의 존재 확률이 0.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볼이다.
제12 형태의 발명은, 상기 복수의 땜납 볼 중 표면에 변색을 갖는 땜납 볼의 존재 확률이 0.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볼이다.
제13 형태의 발명은, 제10 형태에 기재된 선별 장치를 사용하여 구 형상의 구형 입자를 선별하는 공정과, 상기 선별하는 공정에 의해 상기 긴 구멍을 통과한 상기 구형 입자를 얻는 공정을 갖는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이다.
즉, 본 발명은, 메쉬 형상의 체를 금속으로 구성하고, 구멍의 형상을 연구하여, 그 배치에 관하여 개선하고, 구멍의 배열을 진동의 움직임에 의거한 배치를 행함으로써, 체 효율을 향상시켜 선별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체의 구멍의 형상을, 타원 또는 직사각형으로 하고 또한 만곡시킨 형상도 포함한 긴 구멍으로 하여 배치하고 있다. 또한, 이 긴 구멍을 각각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판상의 체를 금속에 의해 제작하고, 구 형상의 입자를 선별하는 구멍의 형상을 긴 구멍의 형상으로 하고, 긴 구멍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의 길이 방향과 교차시키도록 하여 복수 형성하였으므로, 입자를 분급할 때에 체를 여러 진동 방향에서 진동시켜도 입자가 긴 구멍을 통과하기 쉬워져, 분급 속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체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긴 구멍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의 길이 방향과 직교시키도록 하여 복수 형성하면 보다 분급 속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긴 구멍의 폭을, 분급하는 입자의 직경과 동등하게 또는 분급하는 입자의 직경 이상으로 하는 것, 상기 긴 구멍이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점과 직교하는 것, 체의 긴 구멍의 코너부를 둥근 형상으로 함으로써, 체의 작업 효율을 특히 유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체의 긴 구멍의 코너부를 둥근 형상으로 함으로써, 체가 선별 장치의 기계적 진동에 노출되어 기계적 피로에 의해 균열 등을 발생시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추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를 전기 주조에 의해 제작하고, 구체적으로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사용하여 체의 표면에 0.1㎛ 내지 2㎛의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고, 체의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으로부터 1㎛ 내지 30㎛의 두께까지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므로, 전기 주조 기판으로부터, 예를 들어 10㎛ 두께의 체를 0.1㎛ 내지 2㎛의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에 의해 제작하고, 계속하여 박리하고, 또한 체의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으로부터 1㎛ 내지 30㎛의 두께까지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는 일련의 조작을 제어하면서 행함으로써, 긴 구멍의 크기를 제어하면서 체의 두께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긴 구멍의 면적비에 비교하여 체 메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으로부터 1㎛ 내지 30㎛의 두께까지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함으로써 긴 구멍의 단면 형상이 구멍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가 좁아진 결과, 분급하는 입자가 긴 구멍을 통과할 때 에 구멍 벽 내측과의 접촉 시간이 최소로 되어, 통과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체의 작업 효율을 더욱 유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는 것은, 체의 표면의 미끄럼이 좋아지고 내마모성도 향상되어 체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키는 효과까지 갖는다.
이 외에, 진동 수단에 의해 체를 진동시켰으므로, 입자가 체의 구멍에 접촉한 후, 가능한 한 빨리 구멍을 빠져 나가게 하여 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체의 작업 효율을 더욱 유효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장치의 몇 개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제1 비교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는 제2 비교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5는 종래의 체의 구멍을 정사각형 또한 규칙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배치한 체 메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을 깊이 방향으로 단면으로 한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와 긴 구멍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판상의 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예를 들어 니켈 또는 니켈 합금에 의해 제작되어, 구 형상의 입자,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땜납 볼(2)을 선별하는 구멍의 형상을 긴 구멍(3)으로 한 것이다. 체(1)에는 긴 구멍(3)이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중점(a)과 직교되도록 하여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간격(b)은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x)의 3배 내지 5배, 예를 들어 3배로 설정되고, 또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길이(L)는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x)의 3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긴 구멍(3)의 폭(W)은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x)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x)은 67㎛이다. 또한, 체(1)의 두께(T1)는 35㎛이다.
체(1)는 전기 주조에 의해 제작되고, 표면에는 예를 들어 10㎛ 두께로, 0.1㎛ 내지 2㎛의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컴포짓 전착시키고 있다. 또한, 체(1)의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31)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내지 30㎛의 두께(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의 두께)까지,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고, 긴 구멍(3)의 깊이 방향으로 서서히 그 두께가 증가되도록 하고 있어, 단면에서 보면 대략 반원형의 유발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체(1)를 구비한 선별 장치를 가동할 때는 소정의 주파수와 진폭을 구비한 진동 수단에 의해 체(1)를 진동시켜 땜납 볼(2)의 분급을 행 하여 선별 작업을 실행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체(1)는 형성하는 구멍을 상기한 긴 구멍(3)으로 함으로써, 높은 개공율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선별 작업 효율이 매우 향상된다. 또한, 긴 구멍(3)을 배치하는 그 간격(b)을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의 3배로 설정하여 적당한 개구율로 하고 있으므로, 긴 구멍(3)끼리가 과도하게 접근하여 밀집되어 체(1)의 약체화로 연결되는 것이 방지되어, 체의 작업 효율이 최적화된다. 또한, 체(1)의 긴 구멍(3)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중점(a)과 직교시키도록 하여 복수 형성한다고 하는 긴 구멍(3)의 배치에 의해, 낙하 속도가 매우 양호해진다. 긴 구멍(3)의 구멍 직경을 전기 주조에 의해 제어하여 제작했으므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31)이 단면에서 볼 때 긴 구멍(3)의 깊이 방향으로 팽창된 유발 형상으로 되어, 긴 구멍(3)의 구멍 직경이 땜납 볼(2)이 낙하하면서 통과하는데 최소의 저항이 된다.
(제2 실시예)
본 제2 실시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체(1)에 복수 형성하는 긴 구멍(3)이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임의의 위치와 직교시키도록 한 점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체(1)의 전기 주조를 사용한 제작 방법에 대해 도 6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전기 주조는, 개공율을 올리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구멍 과 구멍을 근접시키면 되지만, 실제로는 접근한 긴 구멍(3)이 밀집되어 그 격벽이 얇아지는 결과, 체(1)의 강도가 저하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벽[긴 구멍(3)의 구멍 벽(31)]을 깊이 방향으로 두껍게 하여 어스펙트비(폭에 대한 깊이의 비)를 크게 하고자 하는 바, 어스펙트비를 크게 하면 상대적으로 체(1)의 두께(T1)[긴 구멍(3)의 깊이 방향]가 커져 체의 기능이 영향을 받아 땜납 볼(2)의 낙하 속도가 느려지거나, 또는 긴 구멍(3)의 도중에서 막힐 기회가 많아지는 것을 해결하는 것이다.
체(1)를 전기 주조로 제작하면 일반적으로 레지스트의 두께를 초과하여 옆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체(1)가 깊이 방향으로 성장한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긴 구멍(3)이 매립되게 된다. 따라서, 전기 주조의 공정에서는, 2 내지 10㎛ 정도, 예를 들어 10㎛ 두께의 Ni 메쉬로서 체(1)의 표면에 전착한 후, 이 Ni 메쉬를 체(1)의 기판(4)면으로부터 박리한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체(1)의 양면을 복합 전착함으로써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31)은 긴 구멍(3)의 깊이 방향으로 팽창된 단면에서 보아 유발 형상으로 된다. 이때, 긴 구멍(3)의 구멍 직경은 니켈 도금에 의한 추가 전착(5)의 두께(t)를 2㎛ 이상으로 하면, 땜납 볼(2)이 낙하하면서 통과하는 구멍으로서 최소의 저항으로 되도록 긴 구멍(3)의 구멍 직경이 제어된다. 또한, 체(1)의 두께(T1)와 추가 전착한 체(1)의 두께(T2)와 추가 전착(5)의 두께(t)는 T2=T1+2t의 관계에 있으며,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31)에 있어서의 전착 두께(t)는 전착이 진행되어 긴 구멍(3)의 직경(Dφ)이 -2t만큼 수축되는 양과 동등하다.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복합 전착시키는 니켈 도금은 체(1)의 표면의 미끄럼을 좋게 하고 땜납 볼(2)의 낙하 시의 마찰을 가능한 한 낮게 억제하기 때문에 광택(Ni)이 바람직하다.
이때,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복합 전착은, 두께가 양 구멍 벽(31) 합계 1 내지 60㎛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이다. 이에 의해, 내마모성도 향상되어 체(1)의 수명이 대폭 신장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장치의 성능 시험의 결과에 대해 개략을 설명한다.
<작업 효율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 도 3에 도시된 제1 비교예, 도 4에 도시된 제2 비교예 및 도 5에 도시된 제3 비교예 사이에서 입자[땜납 볼(2)]가 체(1)의 통과에 필요로 하는 시간, 땜납 볼(2)의 회수 중량, 체(1)의 개공율을 지표로 하여 성능을 비교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교예 또는 제2 비교예와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 사이의 차이점은 긴 구멍(3)의 배치에 있으며, 제1 비교예와 제2 비교예의 차이점은 긴 구멍(3)의 크기(종횡 비율)에 있다. 제3 비교예에는, 종래예로서 대표적인 정사각형 또한 규칙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배치한 체(1)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어느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있어서도, 체(1)의 두께(T1)는 35㎛이며, 니켈 합금으로 전기 주조에 의해 제작하여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을 긴 구멍(3)의 깊이 방향으로 팽창되는 형태로 하고 있다.
시험에서는, 땜납 입자와 동일한 입자 직경 분포를 갖는 땜납 볼(2), 구체적으로는 입자 직경이 62㎛ 이상 내지 67㎛ 이하인 입자를 50그램, 67.1㎛ 내지 72㎛ 이하인 입자를 50그램 혼합한 100그램의 땜납 볼(2)을 사용하고, 67㎛ 이하의 땜납 볼(2)을 분급하는 목적으로 각각의 체(1)를 75밀리φ의 스테인리스 프레임에 장착하여 일반적인 진동형 선별 장치에 걸어 선별 작업의 속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또한, 개공율이란, 종방향, 횡방향에 있어서 각각 긴 구멍(3)과 그 간격(b)을 반복 단위(1변)로 한 경우의 면적(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사선의 영역으로 나타내는 면적)당의 긴 구멍(3)의 면적률을 말한다.
입자가 통과에 필요한 시간 회수 중량(g) 개공율(%)
제1 실시예 8분 10초 50.1 18.75
제2 실시예 8분 23초 50.1 18.75
제1 비교예 12분 32초 50.1 20
제2 비교예 15분 21초 50.2 16
제3 비교예 16분 50초 50.1 25
표 1의 결과로부터, 도 1의 제1 실시예의 체(1)는 통과 시간이 최단이며, 따라서 통과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회수 중량은 모두 50.1그램, 혹은 50.2그램으로, 거의 동일하였다. 그리고, 선별 속도는 개공율에 의존하는 것보다도 긴 구멍(3)으로서의 효과가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비교로부터 긴 구멍(3)의 배치에 의해 선별 속도에 미묘한 영향이 있는 것도 판명되었다. 제1 비교예와 제2 비교예의 비교로부터, 긴 구멍(3)의 종횡 비율에 의해서도 선별 속도에 미묘한 영향이 있는 것도 판명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같은 긴 구멍(3)을 배치함으로써 제1 비교예 내지 제3 비교예 모두에 대해서도 체의 작업 효율이 매우 향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니켈 합금을 사용한 전기 주조에 의해 판상의 체(1)를 제작하여 땜납 볼(2)을 선별하는 구멍의 형상을 긴 구멍(3)의 형상으로 하고, 긴 구멍(3)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다른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중점(a)과 직교시키도록 하여 복수 형성하고, 긴 구멍(3)의 폭(w)을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과 동등하게 하고, 또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길이(L)를 분급하는 땜납 볼(2)의 직경의 3배로 했으므로, 긴 구멍(3)을 배치하는 데 있어서, 높은 개구율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체의 작업 효율을 유효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그 간격(b)을 분급하는 입자의 직경의 3배로 설정하여, 적당한 개구율로 했으므로, 긴 구멍(3)끼리가 과도하게 접근하여 밀집되어 체(1)의 메쉬의 약체화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의 작업 효율을 유효하게 하는데 최적의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주조의 공정에 있어서는, 체(1)를 10㎛ 두께까지 기판(4)의 상면에 전착에 의해 제작하고, 계속하여 박리하고, 또한 체(1)의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31)으로부터 1㎛ 내지 30㎛의 두께까지, 체(1)의 양면으로부터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는 일련의 공정을 제어하면서 행함으로써, 긴 구멍(3)의 크기를 제어하면서 체(1)의 두께(T1)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긴 구멍의 면적비에 비교하여 체 메쉬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31)으로부터 1㎛ 내지 30㎛의 두께까지 추가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함으로써 긴 구멍(3)의 단면 형상이 구멍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 서서히 좁아지는 결과, 분급하는 입자가 긴 구멍(3)을 통과할 때에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구멍 벽(31)과의 접촉 시간이 최소가 되어 통과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 체(1)의 작업 효율을 더욱 유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하는 것은, 체(1)의 표면의 미끄럼이 좋아지고, 내마모성도 향상되어 체(1)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키는 효과까지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체 효율을 향상시켜 선별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1)를 구비한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길이(L)와 선별 속도의 관계에 대해서>
다음에, 제2 실시예의 긴 구멍(3)의 배치에 있어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길이(L)를 변화시켜 길이(L)가 선별 속도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 평가에서는, 제2 실시예의 체(1) 전체의 크기를 직경 50㎜의 원반 형상으로 하고 긴 구멍(3)의 폭(W)을 300㎛로 했다. 그리고, 이 긴 구멍(3)의 폭(W)[선별된 땜납 볼(2)과 동일 사이즈]에 대하여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길이(L)를 1배(300㎛), 2배(600㎛), 3배(900㎛), 5배(1500㎛), 10배(3000㎛)로 변화시킨 체(1)를 각각 준비했다. 또한, 이들 체(1)로 선별하는 땜납 볼(2)로서는, 직경 300㎛ 및 질량 200그램의 것을 200만개 준비하고 체(1)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을 10그램/㎠로 했다.
또한, 각각의 체(1)의 개구율은 40%로 통일되어 있으며, 또한 길이(L)를 1배로 했을 때의 체(1)는 제3 비교예의 구성과 동일시할 수 있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한 각 체(1) 위에 땜납 볼(2)을 탑재하여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체(1)의 표면 상에서 땜납 볼(2)을 요동시켰다. 그리고, 모든 땜납 볼(2)이 체(1)의 긴 구멍(3)을 통과할 때까지의 체의 작업 시간을 측정하여 선별 속도를 산출했다.
도 8은 길이 방향(장변)의 길이(L)와 선별 속도의 관계를 평가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8에서의 선별 속도는 긴 구멍(3)의 장변의 길이(L) 및 긴 구멍(3)의 폭(W)이 300㎛인 체(1)의 선별 속도를 기준(100%)으로 한 값이다 [편의상, 체(1)의 구멍을 긴 구멍(3)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나, 이 경우 정사각형이 된다].
도 8에 도시된 평가 결과로부터 긴 구멍(3)의 장변이 길수록 선별 속도는 상승되는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장변의 길이(L)를 폭(W)의 3배로 함으로써, 장변의 길이(L)가 1, 2배일 경우에 비해, 선별 속도가 비약적으로 상승되고 3배를 초과하면 선별 속도의 상승률이 저하되는 것을 알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체(1)의 강도와의 균형을 생각하여 장변의 길이(L)가 2배보다 위이고, 5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배 부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땜납 볼(2)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다음에, 체(1)의 구멍의 배치나 구멍 형상이 선별 작업 후의 땜납 볼(2)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했다.
이 평가에서는, 제2 실시예의 체(1)와, 도 9에 도시된 제4 비교예의 체(1)를 사용하여 비교를 행했다. 또한, 이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로서는, 직경 300㎛ 및 질량 200그램의 것을 200만개 준비하고 체(1)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을 10그램/㎠로 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체(1)는 전체 크기를 직경 50㎜의 원반 형상으로 하고 긴 구멍(3)의 길이(L)를 땜납 볼(2)의 직경의 3배인 900㎛로 하고 폭(W)을 땜납 볼(2)의 직경과 동일한 300㎛로 했다. 한편, 제4 비교예의 체(1)는, 제3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구멍의 형상이 긴 구멍(3)이 아니라, 땜납 볼(2)의 직경과 동일 사이즈의 원 형상으로 했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한 각 체(1) 위에 땜납 볼(2)을 탑재하고,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체(1)의 표면 상에서 땜납 볼(2)을 요동시켰다. 그리고, 모든 땜납 볼(2)이 체(1)의 긴 구멍(3)을 통과한 후, 선별된 땜납 볼(2) 전체 중에서 흠집을 갖는 땜납 볼(2)의 존재 확률을 확인했다. 또한, 선별된 땜납 볼(2) 전체 중에서 표면 변색을 갖는 땜납 볼(2)의 존재 확률을 확인했다.
이들 존재 확률은, 전자 현미경(메이커: 주식회사 탑콘, 모델 넘버:ABT-60)을 사용하여, 땜납 볼(2)의 표면 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평가했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땜납 볼(2)의 표면 상태를 나타낸 전자 현미경 사진을 게재하고 있다. 도 10의 (A)는 체(1)에 의해 선별되기 전의 땜납 볼(2)의 전자현미경 사진(배율:250배)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땜납 볼(2)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500배)이다. 도 11의 (A)는 제2 실시예의 체(1)에 의해 선별된 땜납 볼(2)의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250배)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땜납 볼(2)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500배)이다. 도 12의 (A)는 제4 비교예의 체(1)에 의해 선별된 땜납 볼(2)의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250배)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땜납 볼(2)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500배)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체(1)로 선별된 각 땜납 볼(2)의 표면은, 도 10에 도시된 선별 전의 땜납 볼(2)의 표면과 손색이 없어, 흠집이나 변색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것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흠집 또는 변색을 갖는 땜납 볼(2)의 존재 확률은 0%로 되었다. 또한, 이 평가에 있어서 「흠집」이란, 배율을 500배로 한 전자 현미경 사진 속에서 시인 가능한 흠집으로 하고 그 중에서 시인 불가능한 경미한 흠집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변색」이란, 배율을 500배로 한 전자 현미경 사진 속에서 인간의 눈으로 판별 가능한 변색으로 하고 그 중에서 판별 불가능한 경미한 변색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비교예의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 중에는 표면에 흠집을 갖고 있는 땜납 볼(2)이 점재하고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흠집을 갖고 있는 땜납 볼(2)의 개수를 세어 그 존재 확률을 조사한 결과, 7%로 되었다. 또한, 제4 비교예의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 중에는 표면에 변색을 갖고 있는 땜납 볼(2)이 점재하고 있는 것이 명확해졌다. 따라서, 변색을 갖고 있는 땜납 볼(2)의 개수를 세어 그 존재 확률을 조사한 결과, 3%로 되었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정리한 것을, 표 2에 나타낸다.
표면 흠집 표면 변색
제2 실시예 0% 0%
제4 비교예 7% 3%
<표면 분석에 대해>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체(1) 및 제4 비교예의 체(1)에 의해 선별된 각 땜납 볼(2)에 대하여, 표면 분석(EDS 분석)을 행했다. 이 분석에서는, 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 장치(메이커: 일본 필립스 주식회사, 모델 넘버:EDAX DX-4)를 이용했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체(1)에 의해 선별된 땜납 볼(2)에 대하여, EDS 분석을 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비교예의 체(1)에 의해 선별된 변색을 갖는 땜납 볼(2)에 대하여 EDS 분석을 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의 표면과 비교하여 제4 비교예의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에서는 에너지가 약한 경원소측에 탄소나 산소의 피크가 보였다. 이것으로부터, 제4 비교예의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은 산화에 의해 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몇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서술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할 일이 없으면,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긴 구멍의 형상은, 체가 진동을 수반하면서 작업하게 되므로, 선별 작업 중에 입자에 흠집을 내는 일이 없도록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너부가 둥근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긴 구멍의 단변을 전체적으로 둥글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체가 상하의 기계적 진동에 노출되어 결국에는 기계적 피로에 의해 균열 등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긴 구멍에 라운딩이 실시됨으로써 코너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변에 대해서도 직선적일 필요는 없고, 오히려 라운딩을 띤 형상(낫 형상)이면 경우에 따라서는 면적의 사정상 양호한 경우가 있다.
또한, 긴 구멍의 폭에 대해서는 분급하는 입자의 직경 이상으로 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형상은, 도 15의 (c)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십자형 형상[도 15의 (c)], 평행 사변형 형상[도 15의 (d)], 부메랑형 형상[도 15의 (e)], 사다리꼴 형상[도 15의 (f)]이어도 상기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여 체 효율을 향상시켜 선별 작업의 생산성을 대폭 개선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로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면적의 사정상 선별 작업이 효율이 높아지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2 실시예에서는, 체(1)의 긴 구멍(3)의 길이(L)가 분급하는 입자의 직경의 3배일 경우를 설명했으나, 2배, 4배, 5배, 6배 등 땜납 볼(2)의 직경보다도 크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체(1)에 있어서의 복수의 긴 구멍(3)은,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이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이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체(1)의 진동 수단으로서는, 체(1)를 상하 방향, 좌우 방향 외에, 래디얼 방향 등으로 진동시켜도 좋지만, 적어도 평면 2축 방향으로 진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면, 예를 들어 수동에 의한 진동도 포함시켜 어떤 수단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체(1)로 선별된 땜납 볼(2) 중 표면에 흠집 또는 변색을 갖는 땜납 볼의 존재 확률은 0%일 경우를 설명했으나, 각 존재 확률이 적어도 0.1% 미만의 존재 확률이 되도록 본 발명을 적용하여 분급된 땜납 볼(2)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체(1)에 있어서의 복수의 긴 구멍(3) 모두가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 서로 교차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체(1)에 복수의 블록(영역)을 형성하여 각 블록 내에 서로 평행한 긴 구멍(3)을 복수 배치하고, 어느 한쪽의 블록 내의 긴 구멍(3)과 다른 쪽의 블록 내의 긴 구멍(3)이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6 및 도 17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의 (A)는 블록 내에 형성되는 긴 구멍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블록 내에 형성되는 긴 구멍의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C)는 블록 내에 형성되는 긴 구멍의 배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 내지 (C)는 블록 끼리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1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BL) 내에는 서로 평행한 긴 구멍(3)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이 블록(BL) 내의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길이(L)는 서로 달라도 되며, 또한 긴 구멍(3)의 길이 방향의 길이(L)와 긴 구멍(3)의 폭(W)의 비율도 임의로 해도 된다. 또한 긴 구멍(3)의 배치도 도 16의 (A) 및 (C)와 같이 규칙적인 것과, 도 16의 (B)와 같이 랜덤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BL)을 체(1)에 복수 형성하고, 예를 들어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블록(BL) 내의 긴 구멍(3)과 다른 쪽의 블록(BL) 내의 긴 구멍(3)이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각 블록(BL)을 배치한다. 또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의 블록(BL) 내의 긴 구멍(3)과 다른 쪽의 블록(BL) 내의 긴 구멍(3)이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각 블록(BL)을 배치해도 되고, 그 교차 각도도 임의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1)에 있어서 각 블록(BL)을 방사상으로 배치해도 되고, 이 방사상의 중심에도 블록(BL)을 배치해도 된다. 또한, 블록(BL) 자체의 크기 및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땜납 볼의 분급에 한정하는 일 없이 베어링 볼, 더미 볼 및 스페이서용 볼, 글라스 비드, 액정용 스페이서 입자 등의 각종 입자, 물체를 분급하기 위한 체에 응용할 수 있고, 그 분급 속도를 높임으로써 작업 능률이 업된다. 이로 인해, 분급되는 입자, 혹은 물체의 비용 절감에 기여 가능하게 되어, 그 효과는 매우 커진다. 특히, 그 효과는 땜납 볼을 비롯하여 구형 입자를 분급하는 용도에 있어서 최대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제1 비교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제2 비교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종래의 체의 구멍을 정사각형 또한 사각 형상으로 배치한 체 메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의 긴 구멍을 깊이 방향으로 단면으로 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체와 긴 구멍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길이 방향(장변)의 길이(L)와 선별 속도의 관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4 비교예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의 (A)는 체에 의해 선별하기 전의 땜납 볼의 전자 현미경 사진(배 율:250배)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땜납 볼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500배).
도 11의 (A)는 제2 실시예의 체에 의해 선별된 땜납 볼의 전자 현미경 사진( 배율:250배)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땜납 볼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500배).
도 12의 (A)는 제4 비교예의 체에 의해 선별된 땜납 볼의 전자 현미경 사진( 배율:250배)이며, (B)는 (A)에 나타내는 땜납 볼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전자 현미경 사진(배율:500배).
도 13은 제2 실시예의 체에 의해 선별된 땜납 볼에 대하여, EDS 분석을 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4 비교예의 체에 의해 선별된 변색을 갖는 땜납 볼에 대하여 EDS 분석을 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선별 장치에 있어서의 체의 긴 구멍의 형상의 베리에이션을 예시하는 설명도이며, (a)는 코너부가 둥근 긴 구멍 형상, (b)는 낫 형상, (c)는 십자형 형상, (d)는 평행 사변형 형상, (e)는 부메랑형 형상, (f)는 사다리꼴 형상의 긴 구멍의 설명도.
도 16의 (A)는 블록 내에 형성되는 긴 구멍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블록 내에 형성되는 긴 구멍의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C)는 블록 내에 형성되는 긴 구멍의 배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의 (A) 내지 (C)는 블록 끼리의 배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 체
2 : 땜납 볼(입자)
3 : 긴 구멍
5 : 추가 전착
31 : 구멍 벽
a : 중점
b : 간격
L :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길이
W : 긴 구멍의 폭
x : 땜납 볼의 직경(입자의 직경)
t : 추가 전착의 두께
T1 : 체의 두께
T2 : 추가 전착한 체의 두께
Dφ : 긴 구멍의 직경
BL : 블록

Claims (13)

  1. 긴 구멍을 갖는 금속판의 체이며,
    상기 긴 구멍이 복수 형성되고, 1개의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과, 당해 긴 구멍의 상하 좌우에 인접하는 각각의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을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이 서로 직교하도록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의 폭을 분급하는 구형의 입자의 직경과 동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의 표면측의 긴 구멍의 폭이, 상기 체의 이면측의 긴 구멍의 폭보다 넓어지도록 긴 구멍의 단면이 유발 형상으로 되고, 상기 체의 이면측의 긴 구멍의 폭이 상기 입자의 직경과 동등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은 길이 방향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다른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중점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의 코너부를 둥근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에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0.1㎛ 내지 2㎛의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의 양 구멍 벽에 1㎛ 내지 30㎛의 두께가 될 때까지 플루오로카본 입자를 니켈 도금으로 복합 전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
  10. 적어도 평면 2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수단에 의해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체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장치.
  11. 제10항에 기재된 선별 장치로 분급된 복수의 땜납 볼이며,
    상기 복수의 땜납 볼 중 표면에 흠집을 갖는 땜납 볼의 존재 확률이 0.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땜납 볼 중 표면에 변색을 갖는 땜납 볼의 존재 확률이 0.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땜납 볼.
  13. 제10항에 기재된 선별 장치를 사용하여 구 형상의 구형 입자를 선별 공정과, 상기 선별 공정에 의해 상기 긴 구멍을 통과한 상기 구형 입자를 얻는 공정을 갖는,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
KR1020090094061A 2008-10-09 2009-10-01 체, 선별 장치, 땜납 볼 및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 KR101137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2556 2008-10-09
JP2008262556 2008-10-09
JP2009206057 2009-09-07
JPJP-P-2009-206057 2009-09-07
JPJP-P-2009-217027 2009-09-18
JP2009217027A JP5414438B2 (ja) 2008-10-09 2009-09-18 篩、篩装置、ハンダボール及び球形粒子の篩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253A KR20100040253A (ko) 2010-04-19
KR101137684B1 true KR101137684B1 (ko) 2012-04-20

Family

ID=4221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061A KR101137684B1 (ko) 2008-10-09 2009-10-01 체, 선별 장치, 땜납 볼 및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7684B1 (ko)
CN (1) CN101716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5214A (zh) * 2010-06-09 2010-12-08 李斌 一种高频振动筛筛体
US9409209B2 (en) 2012-05-25 2016-08-09 Derrick Corporation Injection molded screen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10576502B2 (en) 2012-05-25 2020-03-03 Derrick Corporation Injection molded screen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11161150B2 (en) 2012-05-25 2021-11-02 Derrick Corporation Injection molded screening apparatuses and methods
KR20140057104A (ko) * 2012-11-02 2014-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필터
WO2018201043A2 (en) 2017-04-28 2018-11-01 Derrick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apparatus, and uses
US11505638B2 (en) 2017-04-28 2022-11-22 Derrick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apparatus, and uses
EP4163020A1 (en) 2017-06-06 2023-04-12 Derri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creening
US11213857B2 (en) 2017-06-06 2022-01-04 Derric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491A (ja) * 1998-06-05 1999-1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分級用フィルター
JP2001011431A (ja) * 1999-06-25 2001-01-16 Toshiba Tungaloy Co Ltd 摩擦材料部材
JP2006122826A (ja) * 2004-10-29 2006-05-18 Hitachi Metals Ltd 微小球選別用ふるいおよびそれを用いた微小球の選別方法
WO2008141373A1 (en) * 2007-05-23 2008-11-27 Ludowici Australia Pty Ltd Vibrating screen pan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696A (en) * 1970-03-23 1972-08-01 Bird Machine Co Screening
CN1051583C (zh) * 1992-05-28 2000-04-19 冶金工业部长沙矿治研究院 一种制作筛网用的奥氏体不锈钢
DE4324662A1 (de) * 1993-07-22 1995-01-26 Voith Gmbh J M Sieb
JPH09206684A (ja) * 1996-01-31 1997-08-12 Tokai Rika Co Ltd 絡み分離装置
JPH1133488A (ja) * 1997-07-23 1999-02-09 Kowa Kogyosho:Kk 振動篩装置
CN201005015Y (zh) * 2007-02-12 2008-01-16 山东中烟工业公司滕州卷烟厂 烟梗筛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491A (ja) * 1998-06-05 1999-12-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分級用フィルター
JP2001011431A (ja) * 1999-06-25 2001-01-16 Toshiba Tungaloy Co Ltd 摩擦材料部材
JP2006122826A (ja) * 2004-10-29 2006-05-18 Hitachi Metals Ltd 微小球選別用ふるいおよびそれを用いた微小球の選別方法
WO2008141373A1 (en) * 2007-05-23 2008-11-27 Ludowici Australia Pty Ltd Vibrating screen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6573B (zh) 2014-05-07
CN101716573A (zh) 2010-06-02
KR20100040253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684B1 (ko) 체, 선별 장치, 땜납 볼 및 구형 입자의 선별 방법
JP5875736B2 (ja) 篩分け装置、及び篩分け方法
JP5414438B2 (ja) 篩、篩装置、ハンダボール及び球形粒子の篩い方法
JP5453317B2 (ja) 粒子の分類方法及び装置
CA2382677C (en) A screen, a screen arrangement and a screen vibratory system
US8267255B2 (en) Sieve, sifting device, solder balls, and method of sifting spherical particles
EP2589441B1 (en) Inertial filter and particle classification apparatus
WO2008141373A1 (en) Vibrating screen panel
JP6405577B2 (ja) 金網用の平線および金網
JP4725769B2 (ja) 微小球の選別方法
KR102216533B1 (ko)
JP2012196617A (ja)
JP2012076082A (ja) 選別プレート
JP2011067762A (ja) 篩用マスク
JP3814718B2 (ja) 微小球体の選別装置
JP4261402B2 (ja) 篩分けによる粒状体選別装置
JPH05253546A (ja) ふるい治具
JP3686980B2 (ja) 粒体選別装置
WO2022065307A1 (ja) フィルタおよびこの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H11226505A (ja) 篩 網
US11534799B2 (en) Screening media
JP6076009B2 (ja) 粒子間粒度変動の減少した研磨材及びその製法
TW2004084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fine balls and method for producing cylindrical sieve
JP6541609B2 (ja) ふるい部材
KR20240080025A (ko) 역부착 방식의 cmp 패드 컨디셔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cmp 패드 컨디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