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7113B1 - 피아노의 타현장치 - Google Patents

피아노의 타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7113B1
KR101137113B1 KR1020067001795A KR20067001795A KR101137113B1 KR 101137113 B1 KR101137113 B1 KR 101137113B1 KR 1020067001795 A KR1020067001795 A KR 1020067001795A KR 20067001795 A KR20067001795 A KR 20067001795A KR 101137113 B1 KR101137113 B1 KR 101137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ever
weight
keyboard
lever
pi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526A (ko
Inventor
무네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와이가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6005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7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7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의 조정범위를 더욱 넓힌 피아노의 타현장치를 제공한다. 건반(21)의 상부이며 액션부(25)의 옆에 해당하는 곳에 건반(21)의 움직임에 맞추어 회전하는 제 1 웨이트 레버(31)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제 1 웨이트 레버(31)의 움직임에 맞추어 회전하는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설치한다. 그 결과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액션부(25)에서 위치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제 2 웨이트 레버(41)의 형상자유도나 설치자유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건반(21)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의 조정범위도 넓어진다.
없음

Description

피아노의 타현장치{KEYSTROKE DEVICE OF PIANO}
본 발명은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는 피아노의 타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피아노의 타현장치에 관한 발명을 먼저 출원하였다(특허출원 제2002-330816호(이하, 선행출원이라 함)). 이 피아노의 타현장치는 피아노 건반의 연주측 반대편 상부에 건반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開放端)측이 자체 무게로 건반의 윗면에 접촉하여 건반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웨이트 레버가 모든 건반에 구비된 피아노의 타현장치이다.
이 피아노의 타현장치는, 웨이트 레버가 건반의 상부에서 건반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건반에 매설된 납을 교환하는 대신 웨이트 레버를 교환하거나 웨이트 레버에 달린 추를 교환하여 건반의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레버를 건반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면, 건반과의 접촉점 위치와, 회전축과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웨이트 레버를 교환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웨이트 레버는 건반의 연주측 반대편에 설치될 필요가 있는데, 이곳에는 액션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트 레버의 설치 공간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그래서 웨이트 레버의 설치위치, 웨이트 레버의 크기, 웨이트 레버의 이동가능범위에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 조정범위의 제한이 컸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반영하여,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의 조정범위를 더욱 넓힌 피아노의 타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행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피아노의 타현장치는 제 1 웨이트 레버와 제 2 웨이트 레버를 가진다. 제 1 웨이트 레버는 피아노 건반의 연주측 반대편 상부에 건반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일단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측이 자체 무게로 건반의 상면에 접촉하여 건반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웨이트 레버는,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측이 자체 무게로 제 1 웨이트 레버의 윗면에 접촉하여 제 1 웨이트 레버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 1 웨이트 레버의 요동운동에 연동하여 요동하는 긴 형태의 웨이트 레버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요동이란 고정된 곳을 축으로 하여 양 회전방향으로 부분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주자가 건반을 조작하면 건반의 연주측 반대편이 상승하면서, 먼저 제 1 웨이트 레버가 건반에서 힘을 받아 윗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나아가 제 2 웨이트 레버가 제 1 웨이트 레버로부터 힘을 받아 윗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웨이트 레버에 비해 제 2 웨이트 레버는, 건반(더욱 자세하게는 액션)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제 2 웨이트 레버의 형상자유도나 설치자유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제 1 웨이트 레버를 정하중 증가를 목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며, 제 1 웨이트 레버의 형상이나 설치위치에 대하여, 건반의 움직임을 높은 효율로 제 2 웨이트 레버에 전달시킬 목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아노의 타현장치는, 본원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선행출원에 기재된 피아노의 타현장치와 마찬가지로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 조정의 용이함을 유지하면서, 그 정하중 조정범위가 매우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현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주자가 건반을 강하게 눌렀을 경우 제 2 웨이트 레버가 크게 튀어올라 다시 제 1 웨이트 레버에 접촉하는 상태로 돌아올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연주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한 것과 같이, 제 2 웨이트 레버 상부에서 복수의 제 2 웨이트 레버를 걸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며, 제 2 웨이트 레버가 윗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긴 형태의 스톱퍼 레일를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웨이트 레버가 과도하게 튀어오르지 않도록 제 2 웨이트 레버의 회전량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2 웨이트 레버가 다시 제 1 웨이트 레버에 접촉하는 상태로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스톱퍼 레일의 설치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어, 연주자에게 양호한 터치감을 줄 수 있다.
한편,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하는 방법은 제 1 웨이트 레버나 제 2 웨이트 레버의 중량을 변경하여(예를 들면 추 부분을 교환하거나 웨이트 레버 자체를 교환하는 것)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웨이트 레버를 제거하거나 분해하는 등의 수고를 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한 것과 같이, 제 2 웨이트 레버를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피아노 본체에 고정하면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제 2 웨이트 레버를 가동레일에 고정하고, 그 가동레일을 통하여 피아노 본체에 고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2 웨이트 레버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 2 웨이트 레버의 회전축과, 제 1 웨이트 레버와 접촉하는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웨이트 레버나 제 2 웨이트 레버의 중량을 변경하여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조정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한 것과 같이 피아노 외부에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그 조작 레버는, 조작되면 그 동작이 이동수단에 전달되어 제 2 웨이트 레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되면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정하중의 조정이 가능하여 연주자가 연주중에도 정하중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도 1은 실시예인 그랜드 피아노의 타현장치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타현장치, 21...건반, 23...받침쇠, 25...액션부, 26...해머, 27...제1고정레일, 29...플랜지, 31...제 1 웨이트 레버, 31a...접속부, 32...펠트, 33...스크류, 35...스크류, 37...제2고정레일, 39...플랜지, 41...제 2 웨이트 레버, 41a...접속부, 42...펠트, 43...추, 45...스톱퍼 레일, 47...펠트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아래의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그랜드 피아노의 타현장치(1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타현장치(10)는 주로 건반(21), 액션부(25), 제 1 웨이트 레버(31), 제 2 웨이트 레버(41) 및 스톱퍼 레일(45)을 구비한다
이 중 건반(21)은 피아노 1대당 88개의 건반이 설치되어 있고, 받침쇠(23)를 지점으로 요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건반(21)을 누르면 건반(21)의 연주측 반대편(액션측)이 상승하여, 그 건반을 누르는 동작을 액션부(25)에 전달한다. 건반을 누르는 동작이 액션부(25)에 전달되면, 액션부(25)에 설치된 해머(26)가 현(도시하지 않음)을 타현하는 타현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웨이트 레버(31)는, 제1고정레일(27)(양단이 브래킷에 의해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건반(21)을 걸치도록 하여 액션부(25) 옆의 연주측에 설치된 레일)에 플랜지(29)를 통하여 요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웨이트 레버(31)는, 상기 제 1 웨이트 레버(31)의 요동측이 연주측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건반(21)에 넣은 스크류(33)에 의해 지탱되어 중력으로 인한 회전운동이 저지되고 있다. 또한 이 스크류(33)는, 건반(21)에 삽입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스크류(33)의 높이(즉 건반(21)으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웨이트 레버(31)의 상부에는 스크류(35)가 설치되어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크류(35) 또한, 제 1 웨이트 레버(31)에 삽입하는 정도를 조정하여, 스크류(35)의 높이(즉 제 1 웨이트 레버(31)으로부터의 돌출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 1웨이트 레버(31)의 아랫면에는 스크류(33)와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경감시키기 위한 펠트(32)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웨이트 레버(41)는, 제2고정레일(37)(양단이 브래킷에 의하여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건반(21)을 걸치도록 하여 제 1 웨이트 레버(31) 옆에 설치된 레일)에 플랜지(39)를 통하여, 상기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요동측이 액션측을 향하도록, 요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고정레일(37)을 지지하는 브래킷은 피아노 본체에 가동레일(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가동레일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이동수단에 해당한다. 이 가동레일의 끝에는, 피아노 건반 옆에 설치된 조작레버(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고, 이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제 2 웨이트 레버(41)는 건반(21)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화살표C참조). 이 조작레버는 사람이 조작가능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바퀴 모양도 가능하다.
또한 제 2 웨이트 레버(41)는, 제 1 웨이트 레버(31)에 삽입한 스크류(35)에 의해 지지되어 중력에 의한 회전운동이 저지되고 있다. 그리고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요동측 선단에는 철이나 납 등의 재질로 만든 추(4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추(43)는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중량(더욱 정확하게는 관성 모멘트)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아랫면에는 스크류(35)와 접촉했을 때에 발생하는 소리를 경감시키기 위한 펠트(42)가 부착되어 있다.
스톱퍼 레일(45)은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 2 웨이트 레버(41)를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브래킷에 의해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있다. 스톱퍼 레일(45)의 아랫면에는 제 2 웨이트 레버(41)와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경감시키기 위한 펠트(47)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장치(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연주자가 건반(21)을 누르면 건반(21)의 액션측이 상승하고, 그 움직임이 액션부(25)에 전달된다. 그리고 액션부(25)는 해머(26)가 타현하도록 동작시킨다.
또한 건반(21)의 액션측이 상승함으로써 스크류(33)도 상승하고, 그 상승에 따라 제 1 웨이트 레버(31)가 플랜지(29)와의 접속부(31a)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A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웨이트 레버(31)가 화살표A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크류(35)를 통해 제 2 웨이트 레버(41)를 밀어올리고, 제 2 웨이트 레버(41)는 플랜지(39)와의 접속부(41a)를 축으로 하여 화살표B가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먼저 건반(21)의 액션측이 하강을 시작해도 제 2 웨이트 레버(41)에 주어진 회전력이 충분하면, 건반(21)의 액션측의 하강에 연동 되지 않 고 독립하여 회전을 계속한다. 제 1 웨이트 레버(31)가 하강을 시작해도 동일하다. 그리고, 제 2 웨이트 레버(41)는 스톱퍼 레일(45)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을 계속하고, 스톱퍼 레일(45)에 접촉하면 회전을 멈춘다. 회전을 멈춘 후에는 제 2 웨이트 레버(41)는 중력에 끌려 화살표B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크류(35)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또한 피아노 건반 옆에 설치된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 제 2 웨이트 레버(41)가 건반(21)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제 2 웨이트 레버(41)와 스크류(35)와의 접촉위치를 변경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이동가능한 범위의 중앙위치에서 액션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웨이트 레버(41)의 회전축(접촉부41a)과, 스크류(35)와의 접촉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짧아져서, 건반(21)을 누르는 양에 대한 제 2 웨이트 레버(41)의 회전량은 커진다. 즉 건반(21)의 정하중이 증가한다. 반대로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이동가능한 범위의 중앙위치에서 연주측으로 이동시키면 제 2 웨이트 레버(41)의 회전축(접촉부41a)과, 스크류(35)와의 접촉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는 길어져, 건반(21)을 누르는 양에 대한 제 2 웨이트 레버(41)의 회전량은 줄어든다. 즉 건반(21)의 정하중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타현장치(10)에서는, 제 1 웨이트 레버(31)에 비해 제 2 웨이트 레버(41)를 건반(더욱 자세하게는 액션)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제 2 웨이트 레버의 형상자유도나 설치자유도가 높다. 따라서 타현장치(10)는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선행출원에 기재된 피아노의 타현장치와 같이 웨이트 레버를 1개만 사용하는 경우(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웨이트 레버만을 사용할 경우) 와 비교하면, 건반(21)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의 조정범위가 매우 넓다.
또한 피아노의 건반 옆에 설치된 조작레버를 조작하기만 하면, 제 2 웨이트 레버(41)가 이동하고, 건반(21)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후로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아노 건반 옆에 설치된 조작 레버를 조작했을 때 스톱퍼 레일(45)은 이동하지 않았으나, 스톱퍼 레일(45)도 제 2 웨이트 레버(41)나 제2고정레일(37)과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되면 스톱퍼 레일(45)과 제 2 웨이트 레버(41)가 접촉하는 위치가 고정화되기 때문에 스톱퍼 레일(45)을 소형화할 수 있다.
(2) 제 1 웨이트 레버(31) 및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설치방향(요동측 방향)은 설치공간만 허락된다면 어떤 방향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상기 실시예와 반대로 해도 된다. 즉 제 2 웨이트 레버(41)를 연주측에 배치하고 제2고정레일(37)을 액션측에 배치하여,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액션측이 요동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웨이트 레버(31)와 제 2 웨이트 레버(41)의 회전방향이 일치하게 되며, 제 1 웨이트 레버(31)와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접점(정확하게는 스크류(35)와 제 2 웨이트 레버(41)의 접점)이, 회전으로 인해 어긋나는 것을 줄여주기 때문에 연주자의 터치감도 향상된다.
(3) 상기 실시예는 타현장치(10)를 그랜드 피아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업라이트 피아노에 적용해도 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건반의 연주측 선단에 걸리는 정하중의 조정범위를 더욱 넓힌 피아노의 타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피아노 건반의 연주측 반대편 상부에 건반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開放端)측이 자체 무게로 건반의 윗면에 접촉하여 건반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된, 긴 형태의 제 1 웨이트 레버; 그리고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개방단측이 자체 무게로 상기 제 1 웨이트 레버의 윗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 1 웨이트 레버에 하중을 가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 1 웨이트 레버의 요동운동에 연동하여 요동하는 긴 형태의 제 2 웨이트 레버를
    건반마다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웨이트 레버가,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수단에 의하여 피아노 본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웨이트 레버의 상부에서 복수의 상기 제 2 웨이트 레버를 걸치도록 피아노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웨이트 레버의 윗방향으로의 요동을 규제하는, 긴 형태의 스톱퍼 레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 의 타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피아노 외부에 조작 레버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그 조작 레버가, 조작되면 그 동작이 상기 이동수단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웨이트 레버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노의 타현장치.
KR1020067001795A 2003-07-30 2004-07-16 피아노의 타현장치 KR101137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82938A JP4518760B2 (ja) 2003-07-30 2003-07-30 ピアノの打弦装置
JPJP-P-2003-00282938 2003-07-30
PCT/JP2004/010211 WO2005013258A1 (ja) 2003-07-30 2004-07-16 ピアノの打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526A KR20060055526A (ko) 2006-05-23
KR101137113B1 true KR101137113B1 (ko) 2012-04-19

Family

ID=3411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795A KR101137113B1 (ko) 2003-07-30 2004-07-16 피아노의 타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93147B2 (ko)
JP (1) JP4518760B2 (ko)
KR (1) KR101137113B1 (ko)
CN (1) CN100541606C (ko)
DE (1) DE112004001392T5 (ko)
WO (1) WO2005013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3061B2 (ja) * 2009-03-05 2014-02-19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CN103889964B (zh) * 2011-07-05 2016-03-02 南京圣和药业股份有限公司 肿瘤靶向药物Combretastatin A4衍生物
JP6024996B2 (ja) * 2014-03-20 2016-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737040B2 (ja) * 2015-07-23 2020-08-05 ヤマハ株式会社 サポートアセンブリ及び鍵盤装置
JP6822240B2 (ja) 2017-03-16 2021-01-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6857327B2 (ja) * 2017-03-17 2021-04-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装置および鍵盤楽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6875A (en) * 1992-03-10 1995-04-18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3216143A (ja) 2001-11-14 2003-07-3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打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2453A (en) * 1959-08-18 1963-06-04 Aluminum Co Of America Production of low-soda alumina
US3262754A (en) * 1964-12-07 1966-07-26 Aluminium Lab Ltd Method of making low soda alumina of small crystal size
JPH0326554Y2 (ko) * 1985-01-22 1991-06-07
JPH0440236Y2 (ko) * 1987-03-30 1992-09-21
JPH09190175A (ja) * 1996-01-09 1997-07-22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鍵盤装置およびタッチコントロール装置
JP3270693B2 (ja) * 1996-10-30 2002-04-02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鍵盤装置
JP3188197B2 (ja) * 1996-10-30 2001-07-16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629974B2 (ja) * 1998-09-25 2005-03-1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24786B2 (ja) 1999-09-24 2005-03-0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2002162970A (ja) 2000-11-28 2002-06-07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2002236482A (ja) * 2001-02-09 2002-08-2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鍵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6875A (en) * 1992-03-10 1995-04-18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Keyboard apparatus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3216143A (ja) 2001-11-14 2003-07-3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打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526A (ko) 2006-05-23
DE112004001392T5 (de) 2006-06-29
JP4518760B2 (ja) 2010-08-04
US20070012155A1 (en) 2007-01-18
CN1826630A (zh) 2006-08-30
US7193147B2 (en) 2007-03-20
WO2005013258A1 (ja) 2005-02-10
CN100541606C (zh) 2009-09-16
JP2005049697A (ja)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113B1 (ko) 피아노의 타현장치
US5936172A (en) Musical method for musical instruments such as pianos, and a pedal mechanism therefor
KR100545953B1 (ko) 자동 상부 보드 스페이서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3903780A (en) Keyboard for musical instruments with inertial effect of the keys
JP4006322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JP4029513B2 (ja) ペダル装置
ITMI991939A1 (it) Dispositivo a tastiera e strumenti musicali elettronici dotati di tale dispositivo a tastiera
US20060169123A1 (en) String-striking device for piano
KR970005213B1 (ko) 그랜드피아노의 뮤팅(muting)장치
JP3624786B2 (ja) 鍵盤装置
JP2005010418A (ja) 電子鍵盤楽器
US7057101B2 (en) Action
JP2904158B2 (ja) 鍵盤装置
JP4536386B2 (ja) 静荷重可変装置及び該静荷重可変装置を備える鍵盤楽器
JP3832131B2 (ja) 鍵盤楽器
JP2002182649A (ja) アクション機構および当該アクション機構を有する鍵盤楽器
JP4434822B2 (ja) ピアノの打弦装置
KR100871452B1 (ko) 피아노
JPH0675559A (ja) 鍵盤楽器
JP2567763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WO2020115854A1 (ja) 鍵盤楽器用のアクション機構
JP4083079B2 (ja) アクション
JP2567765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KR960008769Y1 (ko) 피아노와 올갠을 겸용사용케 한 전자악기의 건반작동장치
JPS5822233Y2 (ja) 鍵盤楽器のダンパ−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