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611B1 -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611B1
KR101134611B1 KR1020090053516A KR20090053516A KR101134611B1 KR 101134611 B1 KR101134611 B1 KR 101134611B1 KR 1020090053516 A KR1020090053516 A KR 1020090053516A KR 20090053516 A KR20090053516 A KR 20090053516A KR 101134611 B1 KR101134611 B1 KR 10113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pinned
main body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5066A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욱 filed Critical 강태욱
Priority to KR102009005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61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8Ca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피고정체에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제2 피고정체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고리모양의 스냅링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있어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회전축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피고정체의 결합공에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2 피고정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하는 압입기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안착부 상부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상기 스냅링을 조립체결시키는 스냅링조립기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상기 스냅링을 공급하는 스냅링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Automatic device for assembling snap-ring}
본 발명은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2 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하고, 상기 제2 고정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냅링을 자동으로 결합시키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피고정체에 외주면에 홈부가 형성된 제2 피고정체를 압입체결하고,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C형 또는 E형 등의 멈춤링(일명 스냅링, 이하 스냅링이라함)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제2 피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한 후 수작업으로 스냅링을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체결시킨다.
예컨대, 자동차용 부품 중의 하나인 볼조인트를 자동차 바퀴에 결합되는 암에 결합시키고, 볼조인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냅링을 체결하는데, 수작업으로 상기 스냅링을 벌려서 상기 볼조인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체결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힘을 요하는 공정으로 작업이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2 피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하고, 제2 피고정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냅링을 자동으로 결합하도록 한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2 피고정체에 결합되는 스냅링을 자동으로 공급하도록 한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는,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피고정체에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제2 피고정체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고리모양의 스냅링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있어서,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에 회전축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피고정체의 결합공에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2 피고정체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하는 압입기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안착부 상부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상기 스냅링을 조립체결시키는 스냅링조립기 와,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상기 스냅링을 공급하는 스냅링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입기는, 상기 제2 피고정체이 상기 결합공에 압입되도록, 상기 제1 피고정체의 결합공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냅링조립기는, 내부에 상기 제2 피고정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링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스냅링의 중공부가 걸려 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원뿔대 형상인 스냅링거치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스냅링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스냅링을 밀어서 상기 스냅링을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냅링공급부는, 상기 스냅링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밑판과, 상기 밑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냅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스냅링을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밑판에 인접한 상기 스냅링을 상기 스냅링조립기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스냅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진퇴가능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진퇴시키는 제3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기는 제4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는, 제1 피고정체의 결합공에 제2 피고정체를 자동으로 압입체결시키고, 상기 제2 피고정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스냅링을 자동으로 결합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제1 피고정체에 제2 피고정체가 압입체결되는 도중에, 상기 스냅링은 스냅링공급부에 의해 스냅링조립장치에 미리 공급되므로, 제2 피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하는 공정과 스냅링을 제2 피고정체에 결합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작업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피고정체에 외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홈부가 형성된 제2 피고정체를 압입체결하고,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스냅링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는, 자동차 바퀴에 연결되는 암(제1 피고정체)과, 상기 암에 결합되는 볼조인트(제2 피고정체)와, 상기 볼조인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부에 C형 또는 E형 등의 멈춤링(일명 스냅링, 이하 스냅링이라함)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공정에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2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좌측면도이며, 도4 및 도5는 도2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는, 원형의 결합공(11)이 형성된 제1 피고정체(10)에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홈부(21)가 형성된 제2 피고정체(20)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피고정체(20)의 홈부(21)에 고리모양의 스냅링(30)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있어서,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에 회전축(41)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과, 상기 받침판(10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결합공(11)에 상기 제2 피고정체(2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2 피고정체가 안착되는 안착부(60)와, 상기 본체(4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20)를 제1 피고정체(10)에 압입체결하는 압입기(70)와, 상기 본체(4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4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안착부(60) 상부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20)의 홈부(21)에 상기 스냅링(30)을 조립시키는 스냅링조립기(80)와, 상기 받침판(100)에 결합되며, 상기 스냅링조립기(80)에 상기 스냅링(30)을 공급하는 스냅링공급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본체(40)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51)과, 상기 지지봉(51)을 밀거나 당기는 제4 실린더(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실린더(52)가 상기 지지봉(51)을 당기면 상기 본체(40)는 90도 회전되고, 제4 실린더(52)에 의해 지지봉(51)이 밀면 상기 본체(40)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안착부(60)에는 먼저 제2 피고정체(20)의 하단부가 안착되고,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결합공(11)에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끼워져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고정체(10)는 다수의 아암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압입체결되는 결합공(11)이 형성된 아암 이외의 아암의 안착을 위해 상기 안착부(60)에 인접하여 보조안착부(61)가 상기 받침판(100)에 구비된다. 상기 보조안착부(61)의 하측에는 제2 피고정체(20)가 제1 피고정체(10)에 압입될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실린더(62)가 결합된다.
상기 압입기(70)는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결합공(11)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피고정체(20)를 상기 결합공(11)에 압입시키는 제1 가압부(71)와 상기 제1 가압부(7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7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가압부(71)의 내부는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수용되는 제1 공간부(7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런더(72)에 의해 제1 가압부(71)가 하강이동시 제1 가압부(71)의 하단부 가장자리는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결합공(11)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71)의 상측에는 제1 가압부(71)가 제1 피고정체(10)의 가장자리를 가압할 때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기(110)가 결합된다. 상기 압력측정기(110)에 의해 측정된 압력은 데이터화하여 제1 피고정체(10)와 제2 피고정체(20)가 압입된 상태의 제품의 사후관리에 활용된다.
상기 스냅링조립기(80)는 스냅링거치부(81)와, 제2 가압부(82)와, 제2 실린더(83)를 포함한다.
상기 스냅링거치부(81)는 후술할 스냅링공급부(90)에 의해 공급된 스냅링(30)이 거치되는 부재로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냅링(30)의 중공부(31)가 걸려서 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중/하단부는 상기 스냅링(3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냅링거치부(81)의 내부는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수용되는 제2 공간부(84)가 형성되고, 스냅링거치부(81)의 상부에는 후술할 스냅링공급부(90)에 의해 공급된 스냅링(30)을 스냅링공급부(90)의 안착홈(93a)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스냅링벌림돌기(89)가 결합된다. 상기 스냅링벌림돌기(89)는 스냅링(30)의 개구부(32)가 접근해 오는 쪽을 향하여 일단이 뽀족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가압부(82)는 상기 제1 가압부(71)와 마찬가지로 제2 실린더(8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스냅링거치부(81)가 수용되는 수용부(85)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압부(82)의 하단부에 상기 스냅링거치부(81)가 결합된다. 상기 제2 가압부(82)의 외주면에는 상하길이방향으로 절개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안내공(87)이 형성되고, 상기 스냅링거치부(81)의 상단부가 상기 제2 가압부(82)에 결합지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바(88)가 상기 안내공(87)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2 실린더(83)에 의해 상기 제2 가압부(82)가 하강시 상기 스냅링거치 부(8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이동되면서, 상기 스냅링거치부(81)에 거치된 스냅링(30)을 밀어서 상기 제2 피고정체(20)의 홈부(21)에 삽입체결시킨다.
상기 스냅링공급부(90)는 밑판(91)과, 지지바(92)와, 이송판(93)과, 제3 실린더(94)를 포함한다.
상기 밑판(91)으로부터 상기 스냅링(30)이 적층되며, 이때 상기 스냅링(30)은 상기 밑판(91)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92)에 끼워져 상기 스냅링조립기(80)에 공급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밑판(91)에는 상기 적층된 스냅링(30)이 그 자중에 의해 하나씩 빠져나와 이송판(93)에 안착된다.
상기 이송판(93)은 상기 스냅링(30)을 하나씩 상기 스냅링조립기(80)에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밑판(91)을 빠져나온 스냅링(30)이 안착되는 안착홈(93a)이 형성되고, 제3 실린더(94)에 의해 상기 스냅링조립기(80)의 스냅링거치부(81)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스냅링(30)의 개구부가 위치하는 안착홈(93a)의 하부에는 마그네트(95)가 삽입된다.
이하, 상기 구성에 의한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안착부(60)에 제2 피고정체(20)의 하단부를 안착시키고,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결합공(11)에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타단은 상기 보조안착부(61)에 거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압입기(70)의 제1 가압부(71)가 제1 실런더(72)에 의해 하강하 면서, 상기 제1 피고정체(10) 결합공(11)의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제2 피고정체(20)를 상기 제1 피고정체(10)에 압입체결시킨다.
이때, 스냅링공급부(90)는 상기 스냅링조립기(80)에 스냅링(30)을 공급하여 후속하는 스냅링(30) 결합 공정을 위해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91) 상측에 적층된 스냅링(30)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밑판(91) 하측에 배치된 이송판(93)의 안착홈(93a)에 스냅링(30)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3 실린더(94)가 이송판(93)을 스냅링거치부(81) 측으로 가압하면, 스냅링(30)이 안착된 이송판(93)이 스냅링거치부(81)의 상단부로 이동한다. 스냅링거치부(81)의 상단부에는 스냅링벌림돌기(89)가 형성되므로, 스냅링(30)이 이송판(93)에 의해 스냅링거치부(81) 측으로 이동시 스냅링(30)의 개구부(32)가 스냅링벌림돌기(89)의 단부에 끼워지면서 벌어져 스냅링벌림돌기(89)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이송판(93)에 마련된 마그네트(95)는 스냅링벌림돌기(89)에 스냅링(30)의 개구부(32)가 끼워질 때 제3 실린더(94)의 압력에 의해 스냅링(30)이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이송판(93)이 스냅링거치부(8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퇴하면, 상기 안착홈(93a)에 안착된 스냅링(30)은 상기 스냅링거치부(81)의 원뿔형상 부분에 걸리고, 이송판(93)은 스냅링(30)이 제거된 상태로 후퇴한다.
이어서,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제1 피고정체(10)에 압입체결된 후, 상기 제4 실린더(52)가 본체(40)에 연결된 지지바(92)를 당겨서 본체(40)가 90도 회전되 고, 상기 스냅링조립기(80)가 안착부(60) 상부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안착부(60) 상부로 이동된 스냅링조립기(80)에 의해 스냅링(30)이 제2 피고정체(20)의 홈부(21)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도8a 내지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83)에 의해 상기 스냅링조립기(80)의 제2 가압부(82)와 스냅링거치부(81)가 일정구간에서 함께 하강한다. 스냅링거치부(81)의 하단부가 상기 제1 피고정체(10)의 외주면에 먼저 닿게되고, 이때 스냅링거치부(81)의 제2 공간부(84)에 상기 제2 피고정체(20)가 수용된다.
이어서, 상기 제2 가압부(82)가 제2 실린더(83)에 의해 계속 하강되고, 제2 가압부(82) 내부의 스프링(86)은 압축되고 스냅링거치부(81)의 안내바(88)는 제2 가압부(82)의 안내공(87)을 따라 이동된다. 즉, 스냅링거치부(81)는 제2 피고정체(20)에 닿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가압부(82)가 하강하게 된다. 그 후, 제2 가압부(82)가 더 하강하면서 스냅링거치부(81)에 거치된 스냅링(30)을 밀어내어 상기 제2 피고정체(20)의 홈부(21)에 스냅링(30)을 체결시킨다.
이어서, 제2 가압부(82)가 안착부(60)로부터 후퇴하고 일정구간 상승하며, 스냅링거치부(81)는 그 상단부에 마련된 안내바(88)가 제2 가압부(82)의 안내공(87)에 걸려 제2 가압부(82)와 함께 상승하여 안착부(60)로부터 후퇴하고, 본체(40)에 연결된 지지바(92)를 제4 실린더(52)가 밀어서 본체(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2 피고정체(20)를 제1 피고정체(10)에 압입체결하 고, 제2 피고정체(20)의 외주면 홈부(21)에 스냅링(30)을 결합시키는 공정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공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는, 제2 피고정체(20)와 제1 피고정체(10)를 압입체결하는 공정과, 제2 피고정체(20)의 외주면 홈부(21)에 스냅링(30)을 결합시키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고, 상기 압입체결 공정 중에 제2 피고정체(20)에 결합될 스냅링(30)이 스냅링공급부(90)에 의해 스냅링조립기(80)로 자동공급되어 대기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작업의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9 및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있어서, 스냅링벌림돌기의 형상이 스냅링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경된 일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냅링벌림돌기(89)는 스냅링(30)의 개구부(32)의 간격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의해 조립되는 부품의 분리사시도,
도2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의 정면도,
도3는 도2의 좌측면도,
도4 및 도5는 도2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
도6은 도5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
도7은 스냅링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a 내지 도8c는 스냅링조립기에 의해 스냅링이 조립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9 및 도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의 요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피고정체 20... 제2 피고정체
30... 스냅링 40... 본체
52... 제4 실린더 60... 안착부
70... 압입기 71... 제1 가압부
80... 스냅링조립기 82... 제2 가압부
90... 스냅링공급부 93... 이송판

Claims (5)

  1. 원형의 결합공이 형성된 제1 피고정체에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제2 피고정체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고리모양의 스냅링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에 있어서,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회전축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피고정체의 결합공에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2 피고정체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를 제1 피고정체에 압입체결하는 압입기;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안착부 상부에 위치하며,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에 상기 스냅링을 조립체결시키는 스냅링조립기; 및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며,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상기 스냅링을 공급하는 스냅링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기는,
    상기 제2 피고정체이 상기 결합공에 압입되도록, 상기 제1 피고정체의 결합공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1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조립기는,
    내부에 상기 제2 피고정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냅링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스냅링의 중공부가 걸려 거치되도록 상단부가 상방향으로 원뿔대 형상인 스냅링거치부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스냅링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스냅링을 밀어서 상기 스냅링을 상기 제2 피고정체의 홈부 측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공급부는,
    상기 스냅링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밑판과,
    상기 밑판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냅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스냅링을 지지하는 지지바와,
    상기 밑판에 인접한 상기 스냅링을 상기 스냅링조립기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스냅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진퇴가능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상기 스냅링조립기에 진퇴시키는 제3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을 밀거나 당기는 제4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KR1020090053516A 2009-06-16 2009-06-16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KR101134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16A KR101134611B1 (ko) 2009-06-16 2009-06-16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516A KR101134611B1 (ko) 2009-06-16 2009-06-16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066A KR20100135066A (ko) 2010-12-24
KR101134611B1 true KR101134611B1 (ko) 2012-04-09

Family

ID=4350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516A KR101134611B1 (ko) 2009-06-16 2009-06-16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657A (zh) * 2017-11-29 2018-09-25 湖南吉盛国际动力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卡环压装机构
CN109014853A (zh) * 2018-09-06 2018-12-18 芜湖全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刹车卡钳矩形圈安装方法
KR102407097B1 (ko) * 2022-04-06 2022-06-10 삼부산업(주) 스냅 끼임 방지 호퍼를 갖는 스냅단추 조립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279B1 (ko) * 2014-07-22 2014-11-24 배용규 이링 체결기와 체결시스템 및 체결방법
KR101658443B1 (ko) * 2015-09-30 2016-09-23 이의환 차량용 스마트키 버튼 압입기
CN107914137A (zh) * 2018-01-03 2018-04-17 福州迈可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螺套及卡环自动安装设备
CN110052813A (zh) * 2019-05-26 2019-07-26 昆山冉洲自动化科技有限公司 散热器卡扣自动压入机构
KR102273929B1 (ko) * 2019-07-31 2021-07-06 주식회사 지엘에스 멀티 체결이 가능한 클램프 조립 자동화 장치
KR102305585B1 (ko) 2020-01-30 2021-09-24 김창남 스냅링 결합 장치
CN115106744B (zh) * 2022-07-29 2023-11-03 浙江峻和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橡胶水管生产用自动化卡箍套装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706A (en) 1983-07-28 1985-08-06 Aladdin Engineering Retaining ring assembly machine
JPH06171563A (ja) * 1992-12-04 1994-06-21 Asahi Tec Corp 軸受組立装置
KR20040013238A (ko) * 2002-08-05 2004-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피스톤 스냅링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706A (en) 1983-07-28 1985-08-06 Aladdin Engineering Retaining ring assembly machine
JPH06171563A (ja) * 1992-12-04 1994-06-21 Asahi Tec Corp 軸受組立装置
KR20040013238A (ko) * 2002-08-05 2004-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피스톤 스냅링 조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8657A (zh) * 2017-11-29 2018-09-25 湖南吉盛国际动力传动系统有限公司 一种卡环压装机构
CN109014853A (zh) * 2018-09-06 2018-12-18 芜湖全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刹车卡钳矩形圈安装方法
KR102407097B1 (ko) * 2022-04-06 2022-06-10 삼부산업(주) 스냅 끼임 방지 호퍼를 갖는 스냅단추 조립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066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11B1 (ko)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JP4268952B2 (ja) パイプ材にナットを固着するプレス装置
US8047043B2 (en) Punch die and punch machine using the same
US3030700A (en) Retaining ring setting tool
US86461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retainer and cotter
US8069698B2 (en) Trim and pierce press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103213094A (zh) 皮碗快速压装装置
JP2010115766A (ja) 孔の打抜き装置及び打抜き方法
CN107612244B (zh) 一种单边式磁瓦夹与磁瓦的装配方法
CN109623322B (zh) 一种压铆模具及压铆设备
CN105033639A (zh) 汽车门把手扭簧销子专用工装
KR20050031518A (ko) 밸브바디의 실 조립장치 및 방법
CN204835177U (zh) 便捷成型式换向器弯钩装置
CN204858239U (zh) 下弯钩成型式换向器弯钩机构
CN209970529U (zh) 用于工件的中心定位装置
CN211759632U (zh) 一种轮毂单元磁性圈装配工装
CN210498207U (zh) 一种灯体结构无铆柱铆接装置
CN108687484B (zh) 弹簧销法兰焊接定位夹具
KR200436694Y1 (ko) 스웨징장치
KR100731499B1 (ko) 인풋샤프트의 오링 조립장치 및 방법
US6766677B1 (en) Die curl assembly
TWI322724B (en) Mold and machine tool using the same
CN219543851U (zh) 整体式轮廓定位式注塑模具内螺母装载夹具
CN220278785U (zh) 一种卡帽自动组装机的帽子上料组装机构
CN220259283U (zh) 一种钢管冲孔用防变形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