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747B1 -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747B1
KR101131747B1 KR1020100022649A KR20100022649A KR101131747B1 KR 101131747 B1 KR101131747 B1 KR 101131747B1 KR 1020100022649 A KR1020100022649 A KR 1020100022649A KR 20100022649 A KR20100022649 A KR 20100022649A KR 101131747 B1 KR101131747 B1 KR 10113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able
cable
bead
bas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538A (ko
Inventor
류강식
주은희
황웬웨이
Original Assignee
일진오트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오트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오트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2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74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3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7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금형 장치는, 단부에 제1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케이블의 상기 제1 비드 외측에 제2 비드를 다이캐스팅하기 위한 금형 장치이다. 이 금형 장치는,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일단부가 놓이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연결되는 지지부(70)와, 상기 지지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케이블 배치부(15)와,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15)로부터 상기 지지부(70)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31a, 31b)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타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부(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에는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제1 비드(55)가 걸려 상기 지지부(70)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걸림부(9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4)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제1 비드(55)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 가능하다.

Description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Molding Device for Control Cable}
본 발명은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컨트롤 케이블의 단부에 다이캐스팅을 통해 비드를 형성할 때, 컨트롤 케이블을 손쉽고 정밀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 동력 장치에는, 동력 전달 등을 위해 컨트롤 케이블이 널리 사용된다. 컨트롤 케이블은 그 사용 목적상 단부에 비드를 형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비드는 통상 다이캐스팅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비드의 강성을 위해, 다이캐스팅에 앞서 케이블의 단부에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하여 내측 비드를 형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다이캐스팅을 위해서는 금형 장치에, 내측 비드가 형성된 컨트롤 케이블을 정렬해야 하는데, 이 정렬은 보통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자동화가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상당한 수준의 비율로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컨트롤 케이블의 단부에 비드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캐스팅 금형에 있어서, 컨트롤 케이블의 단부 정렬을 자동화하여, 불량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금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 장치는, 단부에 제1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케이블의 상기 제1 비드 외측에 제2 비드를 다이캐스팅하기 위한 금형 장치이다. 이 금형 장치는,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일단부가 놓이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연결되는 지지부(70)와, 상기 지지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케이블 배치부(15)와,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15)로부터 상기 지지부(70)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31a, 31b)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타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부(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에는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제1 비드(55)가 걸려 상기 지지부(70)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걸림부(9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4)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제1 비드(55)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 가능하다.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1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부(51)가 안착하는 제1 홈(155)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에,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부(51)가 안착하는 제2 홈(113)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홈(113)은 인접하는 제2 케이블 배치부(111)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케이블 배치부(111)는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11)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15) 부분에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부(51)가 안착하는 제3 홈(156)이 제1 홈(155)과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홈(155)이 형성된 구역과 제3 홈(156)이 형성된 구역 사이에는 오목부(15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비드(55)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상기 컨트롤 케이블을 상기 가동부(4)에 대해서 고정시키는 고정부(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5)는 가동부(4)에 대해서 컨트롤 케이블(50)의 와이어부(51)를 고정시킴으로써 가동부(4)의 이동에 따라서 컨트롤 케이블(5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와이어부(51)가 금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1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탈 방지 부재(19a, 19b)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 케이블 다이캐스팅 금형에서 다이캐스팅 작업을 통해 케이블 단부에 비드(bead)를 형성하기 전에, 컨트롤 케이블을 정밀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불량률이 획기적으로 저감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금형의 하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금형 하부 구조의 베이스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금형 하부 구조의 제1 케이블 배치부가 회전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가동부 작동에 의해 컨트롤 케이블이 정렬된 상태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장치(1)와 상부 장치(2)로 구성된다.
하부 장치(1)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연결되는 지지부(70)와, 지지부(7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케이블 배치부(15)와, 제1 케이블 배치부(15)로부터 지지부(70)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31a, 31b)과,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부(4)를 포함한다.
베이스(11)에는 양측에 한 쌍의 이탈 방지 부재(19a, 19b)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데, 이 이탈 방지 부재(19a, 19b)는 컨트롤 케이블(50)의 와이어부(51)가 후술하는 제1 홈 내지 제3 홈(155, 113, 156)에 안착되어 있을 때에 와이어부(51)가 금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탈 방지 부재(19a, 19b)가 최대로 베이스(11)측의 컨트롤 케이블(50)을 향해 회전하였을 때에, 와이어부(51)를 완전히 누르는 상태가 되면 안되며, 여전히 와이어부(51)의 이동을 보장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베이스(11)에는 제2 케이블 배치부(111)가 복수 개 제공되며, 인접하는 제2 케이블 배치부(111) 사이에는 컨트롤 케이블(50)의 와이어부(51)가 안착할 수 있는 제2 홈(113)이 제공된다. 또한, 베이스부(11)에는 도 3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 케이블(50)의 단부의 제1 비드(55; bead)가 수용되는 오목부(900)가 제공된다. 오목부(900)의 제2 케이블 배치부(111)쪽에는 걸림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 케이블(50)의 제1 비드(55)는 와이어부(51)와 단차가 지도록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을 통해 그러한 형상을 취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제1 비드(55)의 단차부가 걸림부(90)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표시의 명확화를 위해, 제1 비드(55)가 다소 우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컨트롤 케이블(50)이 다이캐스팅 가공을 위해 정렬되기 전 초기 상태에서는 제1 비드(55)의 단차부가 걸림부(90)에 걸리도록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7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ㄷ”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벽에는 한 쌍의 회전축(17a, 17b)이 제공된다. 제1 케이블 배치부(15)는 이 회전축(17a, 17b)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부(7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제1 케이블 배치부(15)가 지지부(70)에 대해서 회전축(17a, 17b)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케이블 배치부(15)에서 지지부(70)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31a, 31b)이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의 개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31a, 31b)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레일(31a, 31b)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동부(4)가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31a, 31b)은 가동부(4)를 관통하도록 제공되며, 가이드 레일(31a, 31b)의 단부에는 가이드 레일을 서로 연결하고, 가동부(4)의 최외측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는 스토퍼(310)가 제공된다. 가동부(4)는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31a, 31b)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가동부(4)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고, 컨트롤 케이블(50)의 와이어부(5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고정부(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동부(4)의 상측에 배치되는 와이어부(51)를 눌러서, 고정한다. 와이어부(51)는 가동부(4)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가동부(4)에 대해서 배향 내지 배치되면 무방하며, 반드시 고정부(5)의 작동에 의하여 가동부(4)에 대해서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와이어부(51)의 단부가 가동부(4)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도시되지 않음) 등에 수용되어, 가동부(4)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밀었을 때에 베이스(11) 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도, 가동부(4)가 컨트롤 케이블(50)의 타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기만 하면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비드가 가공되어야 하는 컨트롤 케이블(50)을 금형의 하부 구조(1)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배치부(15)가 회전축(17a, 17b)을 중심으로 지지부(70)에 대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 모터와 같은 동력원을 사용하여 제1 케이블 배치부(15)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또는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그와 같은 동력원 유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관계없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케이블 배치부(15)가 회전된 상태에서 컨트롤 케이블(50)을 제1 홈(155) 및 제3 홈(156)에 안착을 시켜 장착한다. 이 때에는 고정부(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컨트롤 케이블(50)을 장착한 상태에서 제1 케이블 배치부(15)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상태로 하면,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컨트롤 케이블(50)이 제2 홈(113)에도 안착되며, 나아가 제1 비드(55)가 베이스(11)의 오목부(900)에 수용된다. 오목부(900)에 수용되면 제1 비드(55)를 제1 케이블 배치부(15)측으로 밀어서 제1 비드(55)가 걸림부(90)에 걸리도록 정렬을 시킨다. 이와 같이 컨트롤 케이블(50)의 초기 정렬이 완료되면, 고정부(5)가 회전하여 가동부(4) 위에 놓여 있는 컨트롤 케이블(50)의 와이어부(51)의 단부측을 눌러서 고정한다.
다음으로, 가동부(4)는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베이스(11) 쪽을 향해, 가이드 레일(31a, 31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그에 따라서 컨트롤 케이블(50)도 함께 도 3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상부 장치(2)와의 협동에 의하여 다이캐스팅이 수행되기에 최적의 위치까지 컨트롤 케이블(50)의 제1 비드(55)가 이동하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거나, 또는 제1 비드(55)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감지에 의해서 가동부(4)의 작동이 중지되고, 이어서 상부 장치(2)가 하강하여 다이캐스팅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제2 비드가 형성된다.
다이캐스팅 작업이 완료되면 이탈 방지 부재(19a, 19b)를 회전시켜 해제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봐와 같이 제1 케이블 배치부(15)를 회전시킨 후 컨트롤 케이블(50)을 빼면 된다. 오목부(157)에 손을 넣어서 컨트롤 케이블(50)을 빼 낼 수도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다.
1: 하부 장치
2: 상부 장치
4: 가동부
5: 고정부
11: 베이스
15: 제1 케이블 배치부
31a, 31b: 가이드 레일
50: 컨트롤 케이블
70: 지지부
90: 걸림부
900: 오목부

Claims (6)

  1. 단부에 제1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케이블의 상기 제1 비드 외측에 제2 비드를 다이캐스팅하기 위한 금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일단부가 놓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케이블 배치부와,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반대측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타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제1 비드가 걸려 상기 지지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리는 걸림부가 제공되며,
    상기 가동부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제1 비드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 가능한,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부가 안착하는 제1 홈이 제공되는,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부가 안착하는 제2 홈이 제공되며,
    상기 제2 홈은 인접하는 제2 케이블 배치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2 케이블 배치부는 복수 개가 제공되는,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는 상기 제1 케이블 배치부 부분에 상기 컨트롤 케이블의 와이어부가 안착하는 제3 홈이 제1 홈과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홈이 형성된 구역과 제3 홈이 형성된 구역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드가 형성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상기 컨트롤 케이블을 상기 가동부에 대해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6. 청구항 1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가 금형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KR1020100022649A 2010-03-15 2010-03-15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KR10113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49A KR101131747B1 (ko) 2010-03-15 2010-03-15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649A KR101131747B1 (ko) 2010-03-15 2010-03-15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38A KR20110103538A (ko) 2011-09-21
KR101131747B1 true KR101131747B1 (ko) 2012-04-05

Family

ID=4495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649A KR101131747B1 (ko) 2010-03-15 2010-03-15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78B1 (ko) 2017-04-26 2018-05-18 박명주 와이어의 단부에 성형체를 형성시키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72B1 (ko) 2015-06-26 2016-11-14 (주) 미창케이블 자동차용 케이블의 커넥터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KR102436233B1 (ko) * 2022-03-08 2022-08-25 (주)명보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367A (en) 1979-11-01 1981-06-04 Nippon Cable Syst Inc Casting method of vibration transmission preventing weight of control cable
JPH042893A (ja) * 1990-04-19 1992-01-07 Tokyo Seiko Co Ltd 繊維複合材の端末定着方法及び端末定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367A (en) 1979-11-01 1981-06-04 Nippon Cable Syst Inc Casting method of vibration transmission preventing weight of control cable
JPH042893A (ja) * 1990-04-19 1992-01-07 Tokyo Seiko Co Ltd 繊維複合材の端末定着方法及び端末定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578B1 (ko) 2017-04-26 2018-05-18 박명주 와이어의 단부에 성형체를 형성시키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538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2893B2 (ja) 自動配線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131747B1 (ko)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EP1933428A2 (en) Terminal insertion apparatus
KR101882605B1 (ko) 판금 절곡기
CN106112481B (zh) 一种用于汽车座椅滑轨的装配机
KR20130129288A (ko) 림 조립체, 타이어 시험기 및 림 조립체 교환 방법
TWI654072B (zh) 3D printer fixture and 3D printer with the fixture
KR102172473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 장치에 전원 공급 케이블을 장착하기 위한 지그 조립체
JP6263582B1 (ja) 箱曲げ用パンチ金型
JP7103294B2 (ja) ハット形断面部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ITBO20150200A1 (it) Metodo e macchina per la foratura di pannelli di legno o simili
CN104332801B (zh) 插针机插针变距装置
EP3589460B1 (en) Gripping system
KR200475193Y1 (ko) 캐빈 슬라이드 지그장치
US20120117783A1 (en) Panel positioning apparatus and panel integration method
JP6174108B2 (ja) エレベータの三方枠の据付構造
CN211331893U (zh) 磁组件焊接设备的线圈送料工站
JP6779192B2 (ja) 楔式ロープ止め装置
JP2007287366A (ja) 三次元形状ワイヤハーネス製造方法
KR101465444B1 (ko) 산업용 ct의 인라인 로딩장치
KR101577707B1 (ko) 버링장치
JP2017052540A (ja) コンテナ
JP6292618B2 (ja) 電線配索装置及び電線配索方法
JP6874651B2 (ja) ライン同期締付装置
JP5725933B2 (ja) 配電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