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33B1 -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6233B1 KR102436233B1 KR1020220029114A KR20220029114A KR102436233B1 KR 102436233 B1 KR102436233 B1 KR 102436233B1 KR 1020220029114 A KR1020220029114 A KR 1020220029114A KR 20220029114 A KR20220029114 A KR 20220029114A KR 102436233 B1 KR102436233 B1 KR 102436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unit
- mother
- transfer
- cu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21C37/042—Manufacture of coated wire or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7/00—Jacketing or reinforcing articles with wi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 B22D31/002—Cleaning, working on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 폴딩 케이블에 사용된 와이어의 절단부터 모미를 성형한 후, 앤드까지 자동으로 설치하기 위한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출되는 와이어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동에 의해 와이어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와, 와이어 일측의 피복을 제거 후, 모미를 성형하는 모미성형부와, 상기 모미에 용융물을 공급하여 볼(BALL) 형상의 앤드를 형성하는 앤드공급부와, 형성된 앤드에 용융물을 공급하여 와이어에 고정시키는 앤드성형부와, 와이어에 고정된 앤드에 존재하는 버를 제거하여 케이블을 획득하는 버 제거부와, 획득된 케이블을 적재함에 이송시키는 파지부 및 상기 이송부, 상기 절단부, 상기 모미성형부, 상기 앤드공급부, 상기 앤드성형부, 상기 버 제거부,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모트 폴딩 케이블에 사용된 와이어의 절단부터 모미를 성형한 후, 앤드까지 자동으로 설치하기 위한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등받이)과 앉는 자리를 지지하는 쿠션부로 이루어지며, 쿠션부에 대하여 시트백이 접혀지는 폴딩 기능이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구현된다.
최근에는, SUV(sport utility vehicle) 또는 2도어, 3도어 차량의 경우 뒷좌석의 탑승자가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시트(예를 들어, 2열 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승차 공간을 확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시트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워크인 기능이라고 한다.
또한, 시트의 슬라이딩 기능과 함께 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켜 승차 공간 및 적재 공간의 확장을 확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트백을 전후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것을 폴딩 기능이라고 한다.
이러한 컨트롤 케이블은 그 내부에 금속재질을 갖는 가느다란 연선이 서로 꼬아져 피복에 의해 감싸지는 와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는 시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와이어는 일측이나 양측에 앤드가 구비되되 상기 앤드는 와이어의 연선을 꼬거나 가압하여 소정의 지름을 갖는 모미에 의해 결합하게 되며, 상기 앤드는 다이캐스팅 방식으로 와이어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러한 와이어에 앤드를 결합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다이캐스팅 금형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앤드의 금형이 이루어지도록 실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작업에 의존하는 방식은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못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고온의 용융물이 주변으로 튀는 현상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여, 근래에는 컨트롤 케이블을 자동화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설비시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 일단에 모미와 앤드를 장착하기 위한 실행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은 권출되는 와이어(W)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0)와, 이동에 의해 와이어(W)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00)와, 와이어(W) 일측의 피복을 제거 후, 모미(M)를 성형하는 모미성형부(300)와, 상기 모미(M)에 용융물을 공급하여 볼(BALL) 형상의 앤드(E)를 형성하는 앤드공급부(500)와, 형성된 앤드(E)에 용융물을 공급하여 와이어(W)에 고정시키는 앤드성형부(600)와, 와이어(W)에 고정된 앤드(E)에 존재하는 버(B)를 제거하여 컨트롤 케이블(C)을 획득하는 버 제거부(700)와, 획득된 케이블(C)을 적재함(840)에 이송시키는 파지부(800) 및 상기 이송부(100), 상기 절단부(200), 상기 모미성형부(300), 상기 앤드공급부(500), 상기 앤드성형부(600), 상기 버 제거부(700), 상기 파지부(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미성형부(300)와 상기 앤드공급부(500) 사이에는 모미검사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미검사부(400)는 성형된 모미(M)의 지름을 영상정보로 검측하여 모미(M)의 생성 여부를 검측하며, 검측정보를 상기 제어부(9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100)는 롤 형태로 구비된 다수의 와이어(W)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권출시키는 권출부재(110) 및 권출된 와이어(W)가 안착되되 상기 절단부(200), 상기 모미성형부(300), 상기 앤드공급부(500), 상기 앤드성형부(600), 상기 버 제거부(700) 순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권출부재(110)는 롤 형태로 와이어(W)가 감겨진 공급롤러(10)가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판(111)과,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권출되는 와이어(W)가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여 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조롤러체(112)와, 이송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이송부(100)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롤러체(112)를 통해 이송된 와이어(W)를 가압에 의해 이송시키는 이송체(120) 및 상기 이송체(120)에 의해 이송된 와이어(W)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이송부재(140)에 안착시키는 간격유지체(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재(140)는 상기 절단부(200)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가 안착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공(142)이 형성된 선반(141)과, 상기 선반(141) 하부에 다수가 간격을 갖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절단된 와이어(W)를 파지 및 해제함과 동시에 이송시키는 이송트레이(150) 및 상기 이송트레이(150)와 일체로 상기 선반(141) 하부에서 왕복 이동하되 이동시에 상기 이동공(142)을 관통하도록 세워지거나 상기 선반(141)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이송트레이(150)와 함께 와이어(W)를 이송시키는 이송바(1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와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몸체(210)와, 상기 절단몸체(210)를 왕복 이동시키는 절단실린더(220) 및 상기 절단몸체(210) 외면에 구비되되 와이어(W)를 절단시키는 블레이드(2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미성형부(300)는 와이어(W) 일측의 피복을 제거하여 다수가 서로 꼬여진 연선을 노출시키는 피복제거부재(310) 및 연선을 펀칭하여 소정의 지름을 갖는 모미(M)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모미성형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앤드공급부(500)는 모미(M)가 형성된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안착대(510) 및 상기 안착대(510)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되 이동에 의해 성형관(523)이 모미(M)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관(523)을 통해 용융물을 주입하여 앤드(E)를 형성하는 앤드형성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앤드성형부(600)는 앤드(E)가 구비된 와이어(W)가 안착하는 주입로(611)가 형성된 하부지그(610)와, 상기 하부지그(610)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용융물을 상기 주입로(611)에 주입하여 열에 의해 앤드(E)와 와이어(W)가 서로 고정 결합하여 케이블(C)을 획득하는 상부지그(620) 및 상기 상부지그(620)를 승강시키는 앤드성형실린더(6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 제거부(700)는 버(B)가 존재하는 케이블(C)이 삽입되는 제거홈(711)이 형성된 바텀지그(710)와, 상기 바텀지그(710)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거홈(711)과 대향되게 하방으로 제거핀(721)이 돌출 형성된 탑지그(720) 및 상기 탑지그(720)를 승강시키는 제거실린더(7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 제거부(700)는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측에는 버(B)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W)를 픽업하여 상기 바텀지그(710)에 안착시키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다관절 구조를 갖는 로봇암(7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텀지그(710) 상면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712)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제거핀(721)의 가압에 의해 앤드(E)에서 분리된 버(B)가 상기 경사면(71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800)는 파지실린더(810)와, 상기 이송부(100)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파지실린더(810)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제2파지체(830) 및 상기 제2파지체(830)와 회전가능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버(B)가 제거된 케이블(C)을 파지하여 적재함(840)에 수용시키는 파지바(8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권출된 와이어의 절단부터 시작하여 상기 와이어 일측에 앤드를 고정 결합하는 단계까지 자동화로 생산함에 따라 리모트 폴딩 케이블의 제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대량생상이 가능하여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이득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권출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이송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간격유지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이송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이송트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모미성형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와이어에 형성된 모미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모미검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앤드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대한 와이어에 구비된 앤드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앤드성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한 하부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에 대한 앤드에 형성된 버의 실물사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버 제거부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대한 바텀지그에 삽입되는 버가 형성된 앤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6에 대한 버 제거부의 작용관계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권출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이송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간격유지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이송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이송트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모미성형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와이어에 형성된 모미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모미검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앤드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대한 와이어에 구비된 앤드를 나타낸 실물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앤드성형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대한 하부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3에 대한 앤드에 형성된 버의 실물사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버 제거부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대한 바텀지그에 삽입되는 버가 형성된 앤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6에 대한 버 제거부의 작용관계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에 대한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기재된 앤드(E)의 형상으 전체적으로 볼(BALL)의 형상을 갖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변형도 가능하다.
나아가, 하기에 기재된 하우징(H)은 통상의 다수의 브라켓과 투명한 아크릴 판 등으로 챔버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인 시스템(1)에 대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구성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크게 이송부(100), 절단부(200), 모미성형부(300), 모미검사부(400), 앤드공급부(500), 앤드성형부(600), 버 제거부(700) 및 나열한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900)는 자동 또는 작업자에 의해 원격 등으로 조작이 가능하되 본 발명인 시스템(1)을 통하여 케이블(C)을 성형시에 발생하는 오류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통상의 제어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송부(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롤러(10)에서 개별 권출되는 와이어(W)가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열하여 제어부(900)를 제외한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다른 구성들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자 하는 구성으로 권출부재(110), 이송체(120), 간격유지체(130), 이송부재(140), 이송트레이(150) 및 이송바(160)를 포함한다.
예컨대 권출부재(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롤러(10)에서 권출되는 와이어(W)가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여 이송체(120)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거치판(111) 및 보조롤러체(112)를 포함한다.
거치판(111)은 전체적으로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부에는 공급롤러(10)가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편이 돌출 형성된다.
하여, 거치판(111)의 이동을 통해 하중을 갖는 공급롤러(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롤러(10) 외면에는 롤 형태로 와이어(W)가 감겨져 있으며, 이송체(120)의 회전 및 가압을 통해 해당 와이어(W)가 일 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는 동력을 제공받게 됨과 동시에 권출된 와이어(W)가 갖는 만곡의 형상이 장력 유지를 통해 직선을 이루도록 펼쳐지게 한다.
보조롤러체(112)는 권출되는 와이어(W)가 팽팽해지도록 장력을 유지하여 이송체(1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직보조롤러(113), 수평보조롤러(114) 및 안내홈(115)을 포함한다.
일 예로, 수직보조롤러(113)는 거치판(111)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 구비된 회전가능한 롤러의 외면에 와이어(W)가 지지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거치판(111)에 한 쌍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수직보조롤러(113)는 와이어(W)의 굵나 강도 등에 따라 거치판(111)에 다수의 유닛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유닛으로 상기 수직보조롤러(113)가 구비되는 경우, 와이어(W)의 장력을 더욱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송체(120) 방향 즉, 와이어(W)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폭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보조롤러(114)는 거치판(111) 또는 이송체(120)와 근접하게 와이어(W) 외면이 지지되도록 하우징(H)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에서 상기 수평보조롤러(114) 역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여 와이어(W)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그 대칭되는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상기 하우징(H)에 설치될 수 있다.
안내홈(115)은 상술한 수직보조롤러(113)와 수평보조롤러(114)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되 권출되는 와이어(W)가 이송시에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와이어(W)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송체(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출부재(110)를 통해 일 방향으로 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W)를 회전 및 가압에 의해 선반(141)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송모터(121), 상부가압롤러(122) 및 하부가압롤러(123)를 포함한다.
이송모터(121)는 인가된 전압에 의해 회전하되 그 회전력을 통해 상부가압롤러(122)가 회전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송모터(121)의 구동축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상부가압롤러(122)가 고정 결합된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다수의 상기 상부가압롤러(122) 전체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부가압롤러(122)는 회전축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웃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가압롤러(122)의 개수 및 이격 거리는 선반(141)에 공급하고자 하는 와이어(W)의 개수와 대응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송모터(121)의 회전속도는 와이어(W)의 강도나 굵기에 따라 제어부(0의 제어를 통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가압롤러(123)는 상부가압롤러(122) 하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H)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가압롤러(122)와 함께 권출되는 와이어(W) 외면을 가압하여 이송모터(121)가 회전시에 해당 와이어(W)가 이송될 수 있는 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술한 상부가압롤러(122) 또는 하부가압롤러(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탄성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상부가압롤러(122)가 하방으로 가압하여도 상기 상부가압롤러(122) 또는 하부가압롤러(123)의 외형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간격유지체(1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이송체(120)를 통해 다수의 와이어(W)가 선반(141)에 안착시, 각각의 와이어(W)가 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안착할 수 있게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실린더(131), 이동체(132) 및 간격유지관(133)을 포함한다.
제1실린더(131)는 하우징(H)에 고정 설치되며, 신장가능한 로드가 이동체(132)와 결합하여 상기 이동체(132)가 왕복으로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이동체(132)의 이동거리는 적어도 이송체(120)를 통해 와이어(W)가 이송되는 방향으로의 선반(141) 폭보다 더 길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유지관(133)은 스틸 또는 합성수지재를 재료로 하여 전체적으로 양측이 개구된 (PIPE)의 형상을 성형되되 이동체(132) 하면에 그 개구된 부분이 와이어(W) 끝단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상기 간격유지관(133) 내측으로 와이어(W)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이송체(120)를 통하여 다수의 와이어(W)가 선반(141) 방향으로 이송되면 간격유지체(130)는 상기 이송체(120)를 통해 배출되는 와이어(W)가 간격유지관(133)에 바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진 후, 상기 와이어(W)가 상기 간격유지관(133)에 삽입되면 이를 검측하여 상기 와이어(W)의 진행속도와 대응되게 후진하여 상기 와이어(W)가 안정적으로 상기 선반(141) 상면에 각각 간격이 유지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간격유지체(130)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와이어(W)는 이송체(120)의 가압에 의해 정지되어 간격유지관(133)에 삽입된 와이어(W)가 상기 간격유지관(133)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부재(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절단부(200)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진 다수의 와이어(W)가 안착 후, 다른 구성들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선반(141) 및 이동공(142)을 포함한다.
선반(14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와이어(W)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를 갖는 이동공(14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한편, 선반(141) 하부에는 이송트레이(150) 및 이송바(160)를 일체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이송수단은 링크, 모터, 벨트, 실린더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송트레이(1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141)과 함께 와이어(W) 일측이 안착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하되 해당 와이어(W)가 모미(M)나 앤드(E) 등을 형성시에 상기 와이어(W)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파지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파지플레이트(151), 승강실린더(154) 및 연장몸체(155)를 포함한다.
파지플레이트(15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되 그 상면에는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제1파지체(153)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제1파지체(153) 사이에는 와이어(W)가 삽입되기 위한 파지홈(152)이 형성된다.
파지홈(152)에 삽입된 와이어(W)는 파지플레이트(151)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제1파지체(15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W)가 파지 또는 해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피복 제거는 물론, 모미(M)의 성형 및 앤드(E)를 성형시에 상기 와이어(W)의 유동이 방지됨과 동시에 각 구성들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이송트레이(150)는 와이어(W)를 파지시에 상술한 간격유지체(130)에 의해 형성된 와이어(W)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파지 및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플레이트(151) 하면에는 승강실린더(154)의 신장에 의해 승강하여 상기 파지플레이트(151)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승강체(156)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승강체(156) 일단에는 연장몸체(155)가 이어지게 선반(141)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트레이(150) 전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바(160)는 상술한 이송트레이(150)와 함께 선반(141)에 안착한 와이어(W)를 함께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송바(160)는 선반(141) 하부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이동은 물론,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회전을 통해 이동공(142)을 관통하여 상기 선반(141) 상부로 수직되게 세워지거나 다시 상기 선반(141) 하부로 인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선반(141)에 안착한 와이어(W)가 이송트레이(150)를 통해 이송시, 상기 이송트레이(150)는 와이어(W)의 일측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파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기 와이어(W) 타측은 상기 선반(141)에 늘어지는 형태를 취하게 되어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송트레이(150)를 통하여 와이어(W) 일측은 파지하여 선반(141)을 따라 이송시키되 이 과정에서 이동공(142)을 통하여 이송바(160)가 세워져 이송되고자 하는 상기 와이어(W)의 타측(또는 와이어 길이의 중앙부)을 함께 밀어주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송트레이(150)를 통해 이송하는 와이어(W) 일측의 이동거리와 타측의 이동거리가 거의 유사 또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2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유지체(130)에 안내되어 선반(141)에 안착되게 이송체(120)를 통해 고정 상태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W)를 소정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절단몸체(210), 절단실린더(220) 및 블레이드(2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절단몸체(210)는 하우징(H)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절단실린더(220) 로드의 신장에 따라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는다.
절단몸체(210) 하면에는 와이어(W)를 절단하기 위한 블레이드(230)가 구비되며, 상기 절단몸체(210)는 와이어(W)의 이송방향과 직각을 유지도록 하우징(H)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수의 와이어(W)를 일시에 절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모미성형부(300)는 도 1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W)의 절단 이후에 후에 설명하는 앤드(E)를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모미(M)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으로 피복제거부재(310) 및 모미성형부재(320)를 포함한다.
예컨대 피복제거부재(310)는 와이어(W) 외면을 감싸는 피복을 열이나 칼날 등에 의해 제거하여다수가 서로 꼬아진 연선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받침대(311) 및 제2승강체(313)를 포함한다.
받침대(311)는 선반(141) 일측 단부와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하우징(H)에 설치되되 외면에는 와이어(W)가 삽입되거나 승강하는 발열핀(314)이 출입하기 위한 삽입공(312)이 형성된다.
삽입공(312)에 삽입되는 와이어(W)는 상술한 이송트레이(150)의 이동을 통해 제공받는다.
제2승강체(313)는 받침대(311)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외면에는 하방으로 길이를 갖는 가압플레이트(315)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315) 하단을 통해 상기 제2승강체(313)가 하강시, 와이어(W)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W) 외면을 가압한다.
제2승강체(313) 하면에는 하방으로 길이를 갖되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핀(314)이 구비되며, 상기 발열핀(314)은 상기 제2승강체(313)가 하강시에 삽입공(312) 내측으로 인입되어 피복을 열에 의해 제거한다.
이때, 피복제거부재(310)는 필요에 따라 피복을 제거시에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의 피복제거부재(310)는 발열에 의한 피복이 녹아 제거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필요에 따라 칼날 등과 같은 피복을 제거 후, 연선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모미성형부재(320)는 상술한 피복제거부재(310)를 통해 피복이 제거되어 연선이 노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소정의 지름(D)을 갖는 모미(M)를 성형하기 위한 구성으로 성형체(321), 성형핀(322) 및 성형실린더(324)를 포함한다.
성형체(321)는 받침대(311)에 가이드되되 성형실린더(324) 로드의 신장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311)와 서로 마주보는 외면에는 삽입공(312)에 출입하기 위한 기둥형상의 성형핀(322)이 돌출 형성된다.
즉, 와이어(W)의 피복이 제거된 이후에, 성형실린더(324)의 신장을 통해 성형체(321)가 이동하여 성형핀(322)이 삽입공(312)에 인입되면 상기 성형핀(322)의 가압을 통하여 노출된 연선이 볼의 형태로 모아진 모미(M)를 성형하게 된다(도 9 참조).
이를 위해, 성형핀(322)의 끝단에는 반구 형상의 홈부(323)가 형성되어 연선이 서로 모아져 모미(M)의 형성이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모미성형부(300)를 통해 와이어(W)에 모미(M)가 형성되면 이송트레이(150) 및 수직되게 세워진 이송바(160)의 이동으로 인하여 모미검사부(4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미검사부(400)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모미(M)의 영상정보를 통하여 설정값에 도달한 모미(M)의 형성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검사지지대(410) 및 카메라(4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모미검사부(400)는 이송트레이(150)와 이송바(160)를 통해 모미(M)가 형성된 와이어(W)가 다수 이송되어 검사지지대(410)에 안착되면 카메라(420)는 각각의 모미(M) 또는 상기 모미(M) 전체를 촬영하여 그 영상정보를 제어부(90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900)는 와이어(W)에 형성된 모미(M)의 지름 크기를 연산하여 그 측정된 크기값이 제어부(900)에 기 저장된 설정값과 대비하여 미만 또는 이상이면 오류신호를 발생시키고, 설정값에 도달되면 정상으로 인식하여 다른 공정인 앤드공급부(500)로 와이어(W)를 이송트레이(150)와 이송바(160)를 통해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앤드공급부(500)는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모미(M) 외면에 볼 형상의 앤드(E)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안착대(510) 및 앤드형성부재(5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안착대(5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안착홈(511)이 형성되어 모미(M)가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부에는 고정승강대(512)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그 하면이 상기 안착대(510) 상면과 면접하여 상기 안착홈(511) 내부가 소정의 체적을 갖도록 한다.
또한, 앤드형성부재(520)는 안착홈(511) 내부에 구비된 모미(M) 외면에 앤드(E)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성형이동체(521) 및 성형관(523)을 포함한다.
성형이동체(521)는 제2실린더(522)의 신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하우징(H)에 설치되되 상기 안착홈(511)과 서로 대향되는 외면에는 성형관(52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성형이동체(521)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성형관(523)이 상기 안착홈(511)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성형관(523)은 안착홈(511) 내부에 배치된 모미(M)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성형이동체(521)와 상호 관 연결되는 용융금속 제공부(미도시)를 통해 앤드(E)를 성형하기 위한 용융물을 제공받아 볼 형상의 앤드(E)가 상기 모미(M)를 감싸도록 성형시킨다(도 12 참조).
이때, 앤드공급부(500)는 필요에 따라 성형된 앤드(E)를 냉각할 수 있는 냉각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앤드(E)의 성형이 완료된 와이어(W)는 이송트레이(150)와 이송바(160)를 통해 앤드성형부(600)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앤드성형부(600)는 도 1,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융물을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식을 통하여 앤드(E)와 와이어(W) 즉, 연선 간의 고정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지그(610), 상부지그(620) 및 앤드성형실린더(630)를 포함한다.
예컨대 하부지그(6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H)에 고정 설치되되 그 상면에는 고온의 용융물이 이동하되 앤드(E)가 구비된 와이어(W)가 삽입되기 위한 주입로(6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주입로(611)는 다수의 와이어(W)에 각각 구비된 앤드(E) 전체가 주입로(611) 하나를 통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주입로(611)를 통하여 게이트와 런너를 포함하는 버(B)가 형성된 와이어(W)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상부지그(620)는 앤드성형실린더(630)에 의해 하부지그(610) 상부에서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지그(620) 외면에는 용융금속 제공부와 관 연결되는 공급라인(621)이 구비되어 다수의 앤드(E)를 다이캐스팅 하기 위한 용융물을 공급받아 주입로(611)에 제공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고온의 용융물을 통해 앤드(E)와 와이어(W)의 결합력 즉, 상기 앤드(E)와 모미(M) 간의 결합력이 극대화되게 된다(도 15 참조).
한편, 앤드성형부(600)를 통해 버(B)와 앤드(E)가 모두 형성된 와이어(W)는 이송트레이(150)와 이송바(160)가 아닌, 후에 설명하는 버 제거부(700)를 구성하는 로봇암(740)의 픽업을 통해 상기 버 제거부(700)로 이송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버 제거부(700)는 도 1 및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앤드성형부(600)에 의해 형성된 버(B)를 제거하여 본 발명에서 획득하고자 하는 리모트 폴딩 케이블(C)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바텀지그(710) 및 탑지그(720)를 포함한다.
예컨대 바텀지그(7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H)에 고정 설치되되 버(B)가 구비된 와이어(W)를 다관절 구조를 갖는 로봇암(740)의 픽업체(741)를 통해 파지 후, 상기 로봇암(740)의 회전을 통해 제거홈(711)에 상기 와이어(W)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거홈(711)은 앤드(E)를 포함하는 버(B)의 형상 즉, 주입로(61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어 앤드(E)가 상기 제거홈(711)에 형상 맞춤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바텀지그(710) 상면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712)을 형성하여 탑지그(720)의 하강을 통해 버(B)가 앤드(E)에서 분리될 수 있게 제거홈(711) 내측으로 하강하면 그 분리된 상기 버(B)는 바텀지그(710)의 경사면(712)을 따라 자중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또한, 탑지그(720)는 제거실린더(730)에 의해 바텀지그(710) 상부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면에는 제거핀(721)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거핀(721)은 제거홈(711)에 안착하는 앤드(E)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개수를 갖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탑지그(720)가 하강하면 제거핀(721)의 하면이 앤드(E) 외면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앤드(E)는 제거홈(711)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버(B)는 바텀지그(710) 상면에 지지된 채로 남게 되어 경사면(712)을 따라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여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획득하고자 하는 케이블(C)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800)는 도 1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버 제거부(700)를 통해 획득한 케이블(C)을 파지 후, 적재함(840)에 수용하여 다른 공정시스템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파지체(830) 및 파지바(8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파지체(830)는 하우징(H)을 따라 파지실린더(810)의 신장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일측에는 케이블(C)을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파지바(8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제2파지체(830)는 파지실린더(810) 이외에 또 다른 실린더(미도시)를 이용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승강을 통해 버 제거부(700)에서 다수의 케이블(C)을 파지 후, 상승동작하여 제거홈(711)에서 상기 케이블(C)의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지바(8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이 모터 등과 같은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바텀지그(710)의 제거홈(711)에 구비된 다수의 케이블(C)을 파지하여 파지실린더(810) 로드의 신장을 통해 적재함(840)까지 이동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권출된 와이어(W)의 절단부터 시작하여 상기 와이어(W) 일측에 앤드(E)를 고정 결합하는 단계까지 자동화로 생산함에 따라 리모트 폴딩 케이블(C)의 제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인건비에 대한 경제적인 이득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100: 이송부
110: 권출부재 111: 거치판
112: 보조롤러체 113: 수직보조롤러
114: 수평보조롤러 115: 안내홈
120: 이송체 121: 이송모터
122: 상부가압롤러 123: 하부가압롤러
130: 간격유지체 131: 제1실린더
132: 이동체 133: 간격유지관
140: 이송부재 141: 선반
142: 이동공 150: 이송트레이
151: 파지플레이트 152: 파지홈
153: 제1파지체 154: 승강실린더
155: 연장몸체 156: 제1승강체
160: 이송바
200: 절단부
210: 절단몸체 220: 절단실린더
230; 블레이드
300: 모미성형부
310: 피복제거부재 311: 받침대
312: 삽입공 313: 제2승강체
314: 발열핀 315: 가압플레이트
320: 모미성형부재 321: 성형체
322: 성형핀 323: 홈부
324: 성형실린더
400: 모미검사부
410: 검사지지대 420: 카메라
500: 앤드공급부
510: 안착대 511: 안착홈
512: 고정승강대 520: 앤드형성부재
521: 성형이동체 522: 제2실린더
523: 성형관
600: 앤드성형부
610: 하부지그 611: 주입로
620: 상부지그 621: 공급라인
630: 앤드성형실린더
700: 버 제거부
710: 바텀지그 711: 제거홈
712: 경사면 720: 탑지그
721: 제거핀 730: 제거실린더
740: 로봇암 741; 픽업체
800: 파지부
810: 파지실린더 820: 파지바
830: 제2파지체 840: 적재함
900: 제어부
B: 버
C: 케이블
H: 하우징
E: 앤드
M: 모미
W: 와이어
100: 이송부
110: 권출부재 111: 거치판
112: 보조롤러체 113: 수직보조롤러
114: 수평보조롤러 115: 안내홈
120: 이송체 121: 이송모터
122: 상부가압롤러 123: 하부가압롤러
130: 간격유지체 131: 제1실린더
132: 이동체 133: 간격유지관
140: 이송부재 141: 선반
142: 이동공 150: 이송트레이
151: 파지플레이트 152: 파지홈
153: 제1파지체 154: 승강실린더
155: 연장몸체 156: 제1승강체
160: 이송바
200: 절단부
210: 절단몸체 220: 절단실린더
230; 블레이드
300: 모미성형부
310: 피복제거부재 311: 받침대
312: 삽입공 313: 제2승강체
314: 발열핀 315: 가압플레이트
320: 모미성형부재 321: 성형체
322: 성형핀 323: 홈부
324: 성형실린더
400: 모미검사부
410: 검사지지대 420: 카메라
500: 앤드공급부
510: 안착대 511: 안착홈
512: 고정승강대 520: 앤드형성부재
521: 성형이동체 522: 제2실린더
523: 성형관
600: 앤드성형부
610: 하부지그 611: 주입로
620: 상부지그 621: 공급라인
630: 앤드성형실린더
700: 버 제거부
710: 바텀지그 711: 제거홈
712: 경사면 720: 탑지그
721: 제거핀 730: 제거실린더
740: 로봇암 741; 픽업체
800: 파지부
810: 파지실린더 820: 파지바
830: 제2파지체 840: 적재함
900: 제어부
B: 버
C: 케이블
H: 하우징
E: 앤드
M: 모미
W: 와이어
Claims (13)
- 권출되는 와이어(W)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0);
이동에 의해 와이어(W)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00);
와이어(W) 일측의 피복을 제거 후, 모미(M)를 성형하는 모미성형부(300);
상기 모미(M)에 용융물을 공급하여 볼(BALL) 형상의 앤드(E)를 형성하는 앤드공급부(500);
형성된 앤드(E)에 용융물을 공급하여 와이어(W)에 고정시키는 앤드성형부(600);
와이어(W)에 고정된 앤드(E)에 존재하는 버(B)를 제거하여 케이블(C)을 획득하는 버 제거부(700);
획득된 케이블(C)을 적재함(840)에 이송시키는 파지부(800); 및
상기 이송부(100), 상기 절단부(200), 상기 모미성형부(300), 상기 앤드공급부(500), 상기 앤드성형부(600), 상기 버 제거부(700), 상기 파지부(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100)는 롤 형태로 구비된 다수의 와이어(W)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권출시키는 권출부재(110) 및 권출된 와이어(W)가 안착되되 상기 절단부(200), 상기 모미성형부(300), 상기 앤드공급부(500), 상기 앤드성형부(600), 상기 버 제거부(700) 순으로 순차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권출부재(110)는 롤 형태로 와이어(W)가 감겨진 공급롤러(10)가 회전가능하게 거치되는 거치판(111)과, 상기 공급롤러(10)에서 권출되는 와이어(W)가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여 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보조롤러체(112)와, 이송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이송부(100)에 설치되되 상기 보조롤러체(112)를 통해 이송된 와이어(W)를 가압에 의해 이송시키는 이송체(120) 및 상기 이송체(120)에 의해 이송된 와이어(W)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이송부재(140)에 안착시키는 간격유지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미성형부(300)와 상기 앤드공급부(500) 사이에는 모미검사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모미검사부(400)는
성형된 모미(M)의 지름을 영상정보로 검측하여 모미(M)의 생성 여부를 검측하며, 검측정보를 상기 제어부(9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140)는
상기 절단부(200)에 의해 절단된 와이어(W)가 안착하되 길이방향으로 이동공(142)이 형성된 선반(141);
상기 선반(141) 하부에 다수가 간격을 갖도록 이송수단에 의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절단된 와이어(W)를 파지 및 해제함과 동시에 이송시키는 이송트레이(150); 및
상기 이송트레이(150)와 일체로 상기 선반(141) 하부에서 왕복 이동하되 이동시에 상기 이동공(142)을 관통하도록 세워지거나 상기 선반(141)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상기 이송트레이(150)와 함께 와이어(W)를 이송시키는 이송바(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00)는
상기 이송부(100)와 왕복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몸체(210);
상기 절단몸체(210)를 왕복 이동시키는 절단실린더(220); 및
상기 절단몸체(210) 외면에 구비되되 와이어(W)를 절단시키는 블레이드(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미성형부(300)는
와이어(W) 일측의 피복을 제거하여 다수가 서로 꼬여진 연선을 노출시키는 피복제거부재(310); 및
연선을 펀칭하여 소정의 지름을 갖는 모미(M)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모미성형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공급부(500)는
모미(M)가 형성된 와이어(W)가 안착되는 안착대(510); 및
상기 안착대(510)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되 이동에 의해 성형관(523)이 모미(M)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성형관(523)을 통해 용융물을 주입하여 앤드(E)를 형성하는 앤드형성부재(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앤드성형부(600)는
앤드(E)가 구비된 와이어(W)가 안착하는 주입로(611)가 형성된 하부지그(610);
상기 하부지그(610)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부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용융물을 상기 주입로(611)에 주입하여 열에 의해 앤드(E)와 와이어(W)가 서로 고정 결합하여 케이블(C)을 획득하는 상부지그(620); 및
상기 상부지그(620)를 승강시키는 앤드성형실린더(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 제거부(700)는
버(B)가 존재하는 케이블(C)이 삽입되는 제거홈(711)이 형성된 바텀지그(710);
상기 바텀지그(710)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거홈(711)과 대향되게 하방으로 제거핀(721)이 돌출 형성된 탑지그(720); 및
상기 탑지그(720)를 승강시키는 제거실린더(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 제거부(700)는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측에는 버(B)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W)를 픽업하여 상기 바텀지그(710)에 안착시키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다관절 구조를 갖는 로봇암(7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지그(710) 상면에는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712);이 더 형성되어 상기 제거핀(721)의 가압에 의해 앤드(E)에서 분리된 버(B)가 상기 경사면(71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800)는
파지실린더(810);
상기 이송부(100)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파지실린더(810)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제2파지체(830); 및
상기 제2파지체(830)와 회전가능하게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되 회전에 의해 버(B)가 제거된 케이블(C)을 파지하여 적재함(840)에 수용시키는 파지바(8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9114A KR102436233B1 (ko) | 2022-03-08 | 2022-03-08 |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9114A KR102436233B1 (ko) | 2022-03-08 | 2022-03-08 |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6233B1 true KR102436233B1 (ko) | 2022-08-25 |
Family
ID=8311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9114A KR102436233B1 (ko) | 2022-03-08 | 2022-03-08 |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6233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64653A (ja) * | 1996-08-23 | 1998-03-06 | Sumitomo Wiring Syst Ltd | 被覆電線のはんだ式連結装置 |
JP2000051982A (ja) * | 1998-08-12 | 2000-02-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線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装置 |
KR20110103538A (ko) * | 2010-03-15 | 2011-09-21 | 일진오트라주식회사 |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
KR101176094B1 (ko) * | 2012-03-16 | 2012-08-22 | 평화기공 주식회사 | 다이캐스팅 생산품의 버어 제거장치 |
KR101601509B1 (ko) | 2014-10-21 | 2016-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시트 폴딩 장치 |
KR101675772B1 (ko) * | 2015-06-26 | 2016-11-14 | (주) 미창케이블 | 자동차용 케이블의 커넥터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
KR101684123B1 (ko) | 2015-06-02 | 2016-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폴딩 시트 액츄에이터 |
KR20170064659A (ko) * | 2015-12-02 | 2017-06-12 | 김강식 | 와이어의 캐스팅 성형 걸림구 형성장치 |
KR20190063515A (ko) * | 2017-11-30 | 2019-06-10 | 주식회사 신한정밀 | 다이캐스팅 자동화 장치 |
KR20210093021A (ko) | 2020-01-17 | 2021-07-27 |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 자동차 시트의 리모트 폴딩용 구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리모트 폴딩 장치 |
-
2022
- 2022-03-08 KR KR1020220029114A patent/KR1024362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64653A (ja) * | 1996-08-23 | 1998-03-06 | Sumitomo Wiring Syst Ltd | 被覆電線のはんだ式連結装置 |
JP2000051982A (ja) * | 1998-08-12 | 2000-02-22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電線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装置 |
KR20110103538A (ko) * | 2010-03-15 | 2011-09-21 | 일진오트라주식회사 | 컨트롤 케이블용 금형 장치 |
KR101176094B1 (ko) * | 2012-03-16 | 2012-08-22 | 평화기공 주식회사 | 다이캐스팅 생산품의 버어 제거장치 |
KR101601509B1 (ko) | 2014-10-21 | 2016-03-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시트 폴딩 장치 |
KR101684123B1 (ko) | 2015-06-02 | 2016-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폴딩 시트 액츄에이터 |
KR101675772B1 (ko) * | 2015-06-26 | 2016-11-14 | (주) 미창케이블 | 자동차용 케이블의 커넥터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
KR20170064659A (ko) * | 2015-12-02 | 2017-06-12 | 김강식 | 와이어의 캐스팅 성형 걸림구 형성장치 |
KR20190063515A (ko) * | 2017-11-30 | 2019-06-10 | 주식회사 신한정밀 | 다이캐스팅 자동화 장치 |
KR20210093021A (ko) | 2020-01-17 | 2021-07-27 |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 자동차 시트의 리모트 폴딩용 구동 모터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리모트 폴딩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199815B (zh) | 用于定位线缆的末端的方法和装置 | |
CN110233043B (zh) | 拉剪储线机构以及全自动串联线圈绕线机 | |
JP6282929B2 (ja) | 電線撚り合わせ装置、ツイストケーブル製造装置、電線撚り合わせ方法、及びツイストケーブル製造方法 | |
CN109473850B (zh) | 一种绞线插针自动生产机 | |
CN111016050A (zh) | 电芯自动入料模注塑生产线 | |
US20180175576A1 (en) | Cable processing device | |
KR102436233B1 (ko) | 컨트롤 케이블 인서트 다이캐스팅 주조성형 시스템 | |
CN109015353A (zh) | 一种自动送料成型磨床的送料机构 | |
JP2016038938A (ja) | ツイストケーブル製造装置及びツイストケーブル製造方法 | |
CN109202427B (zh) | 一种手柄穿线设备 | |
KR20230153938A (ko) | 터미널 압착 어플리케이터 시스템 | |
FI89700C (fi) |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utdragande av en staong fraon knippe bestaoende av flera staenger | |
CN211469707U (zh) | 一种定位装置 | |
KR20190105299A (ko) | 무인운반차용 배터리 교체 장치 | |
CN112570478B (zh) | 一种同轴热电偶瞬态热流传感器的内拉式制作方法 | |
CN114785068A (zh) | 一种高速固晶机扁线定子线圈全自动卷绕成型机及其工艺 | |
CN113857453B (zh) | 升降器拉锁两端压铸流水线 | |
KR102609028B1 (ko) | 잉곳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4876745B2 (ja) | 鋳造方法および鋳造装置 | |
KR102041253B1 (ko) | 자동차용 쿠션프레임의 와이어 튜브 자동 삽입장치 및 그 삽입장치를 이용한 튜브 삽입방법 | |
KR101932647B1 (ko) | 전자기력을 이용한 알루미늄 주조용 철망필터 공급장치 | |
CN216548110U (zh) | 一种绕线、浸锡装置 | |
CN216608192U (zh) | 直棒物料加工系统 | |
CN217831796U (zh) | 拉索加工系统 | |
EP0916433B1 (en) | Low-pressure die-cas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