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529B1 -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529B1
KR101126529B1 KR1020100028920A KR20100028920A KR101126529B1 KR 101126529 B1 KR101126529 B1 KR 101126529B1 KR 1020100028920 A KR1020100028920 A KR 1020100028920A KR 20100028920 A KR20100028920 A KR 20100028920A KR 101126529 B1 KR101126529 B1 KR 101126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module
ship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9275A (ko
Inventor
이정우
구법모
정희섭
윤석준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52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시스템은, 사전에 각 장비에 대한 출력신호를 수집, 분석, 판단하여 고장 여부에 대한 신호정보와 처리매뉴얼을 운항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고장의 진단 및 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선박 운항을 제공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A Vessel Navigation System abnormal processing system and maintenanc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에 설치된 각각의 항해장비의 신호를 수집. 분석하고 항해장비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IEC61162(선박의 항해장비에 있어서 표준화된 신호규격체계)규격 및 기타 표준규격에 맞는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운항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운항관리자로 하여금 선박의 이상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즉각적인 수리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선박의 안전운항에 기여할 수 있는 선박용 유지보수 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운항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새로운 장비가 선박에 장착됨에 따라 운영해야 하는 장비의 수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비관리의 복잡성이 대두됨에 따라 운항관리자가 효과적으로 장비를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현재까지는 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대부분의 장비는 장비별로 이상신호가 출력될 경우에 장비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러한 이상발생에 대한 신호 기준이나 처리방법은 각 장비개발업체의 기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개별적인 진단 및 유지보수절차에 의하여 관리되었으며, 이는 운항관리자로 하여금 각각의 개별적인 장비에 대한 이상상태에 대한 내용을 인지하고 있어야만 대응할 수 있는 한계를 안고 있었다.
즉, 선교장치에 대한 것은 선장이하 관련자만이 숙지하게 되고, 기관실의 장비에 대한 것은 기관장 이하 관련자만이 숙지하게 되어, 선박의 이상이 발생 될 경우에는 알고 있는 관련자 이외에는 적합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없게 되며, 각 설치장비에 대한 보증기간이나 내구수명관리도 종합적인 관리가 관리되지 않는 등 사전적 관리가 미흡하였고 이로 인하여 운항 중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함으로서 선박 운항에 차질을 가져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주요 원인이 되어왔다.
장비의 고장발생시 운항관리자는 장비에 대한 운영 및 고장처리에 대한 매뉴얼을 확인하고 가능할 경우 선상에서 수리를 실시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A/S지점까지 선박을 이동시켜 수리를 하게 된다.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운항장비에 있어서 이상상태가 발생하기 전에 운항관리자에게 가동상태에 관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고장 시 사용하는 매뉴얼이 전자북의 형태로 지원됨으로써 장비상태 정보와 수리정보에 대한 취득의 용이성이 제고된다면, 선박에 대한 관리비용이 절약되고 고장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요구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선박장비에 있어서 고장 등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 이에 대한 처리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할 경우에 IEC61162와 같은 선박용 항해장비의 표준화된 신호에 의한 신호조건과 설치장비에 대한 보증(Warrant)시간을 설정하여 둠으로써 설치장비가 가동시에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신호와 상기 표준화된 신호와 상호 비교하여 설치장비의 이상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이상발생시 선박의 운항관리자에게 원격지의 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선박의 이상징후 및 발생사실을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즉각적인 대응 및 수리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설치장비에 대한 보증시간의 경과 여부도 알려 줌으로써 선박의 운항관리자가 편리하고 정확하게 선박의 이상상태에 대처하고, 효과적으로 선박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은, 선박의 선교시스템에 구비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박에 설치된 제반 장비의 기본 데이터가 입력 설정되고 각 장비에서 출력되는 신호데이터가 입력되는 장비입력인터페이스 모듈 ;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 정보에 의하여 선박의 장비에 대한 수리시기, 고장점검시기, A/S기간에 대한 시간적인 조건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모듈; 상기 산출모듈의 산출제어와 판단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모듈; 상기 산출모듈의 산출데이터에 대하여 표준화된 신호데이터를 기준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에 대하여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비하는 판단모듈;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 산출모듈, 판단모듈, 제어모듈의 데이터와 항해정보, 기관실정보, 화물정보매뉴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 위성통신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연결되어 항해장비상태, 기관실장비상태, 화물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과,
선박의 각 장비에서 출력된 신호데이터가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판단모듈에 구비되어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이 입력된 신호데이터를 그 특성에 따라 RS232,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IP프로토콜별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각 프로토콜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데이터가 장비별 표준신호와 비교 분석되어 이상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모듈에 저장되며 표시모듈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각 장비의 현재의 정상 및 이상상태에 대한 장비별 판단정보가 프린트되는 단계, 상기 선박장비에 대하여 비교, 분석 및 판단된 정보가 송수신모듈에서 위성통신을 통하여, 육상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으로 송신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선박용 유지보수방법의 선박장비의 출력신호 분석방법을 포함하는 선박용 유지보수관리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은 사전에 각 장비에 대한 출력신호를 수집, 분석, 판단하여 고장 여부에 대한 신호정보와 처리매뉴얼을 운항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을 통하여 고장의 진단 및 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선박 운항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진단장비에 대한 전시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비별 신호이상진단을 위한 (운영)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신호 전시(Display)에 관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해장비에 대한 진단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고장 진단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관실장비에 대한 고장 진단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상 진단을 하고자 하는 장비인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전자해도), RADAR, Speed Log, GPS, GYRO COMPASS(회전나침의) 중에서 RADAR에 대한 초기설정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에 대한 현재의 종합적인 상황을 보여주는 종합화면
도 8a, 8b는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블록도 및 선박내의 선교시스템 과 원격지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과 위성통신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용 장비에 대한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여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의 이상처리 및 유지보수방법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장비 이상진단 및 유지보수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100)은 선박내의 선교시스템(501)이 있는 곳에 구비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도8a에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10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항관리자가 해당 선박에 설치된 장비의 기본 데이터를 설정하고, 각 장비의 신호데이터가 입력되는 장비입력 인터페이스모듈(101);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 정보에 의하여 선박의 장비에 대한 수리시기, 고장점검시기, A/S기간에 대한 시간적인 조건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모듈(102); 상기 산출모듈(102)의 산출제어와 판단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모듈(106); 상기산출모듈(102)의 산출데이터에 대하여 표준화된 신호를 기준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에 대한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비하는 판단모듈(103);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 산출모듈(102), 판단모듈(103), 제어모듈(106)의 데이터와 항해정보, 기관실정보, 화물정보에 대한 각각의 매뉴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104); 육상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503) 또는 타 선박과 위성통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105);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04)에 연결되어 항해장비상태, 기관실장비상태, 화물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모듈(107)을 포함한다.
상기 장비입력 인터페이스 모듈(101)은, 항해장비에 대한 제품ID, 제품명, 모델번호, 제작업체명, A/S업체, 보증기간,설치지역,제작일,설치일,A/S일,알람주기,설치매뉴얼명,운영매뉴얼명,기술매뉴얼명 등의 장비에 대한 기본정보와 개별장비들의 신호데이터가 입력된다.
산출모듈(102)은, 상기 장비입력 인터페이스모듈(101)로 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시기, 고장점검시기, 기타 시간적인 조건을 산출하는 모듈로서 장비입력 인터페이스모듈(101)에서 설정한 보증기간, A/S기간에 대한 일자와 현재의 일자를 비교하여 보증기간 미경과시에는 1달 전부터, A/S기간의 경우에는 3일 전부터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킨다.
상기 판단모듈(103)은 산출모듈(102)의 산출데이터가 사전에 설정된 표준화된 신호범위 인지의 여부로 장비의 이상 유무에 대하여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모듈로서 이상감지시스템, 진단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고장진단엔진과, 의사결정시스템을 포함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비하고, 표준화된 신호(IEC61162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IEC61162와 같은 각 장비의 표준화된 신호에 대한 체크섬(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처음 신호문자부터 마지막 신호문자에 대한 각각 문자에 대해서 택한 값을 비교) 및 표준신호와 장비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비교하여 일정범위 (위도정보는 -90에서 +90사이 값)를 벗어나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04)은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 산출모듈(102), 판단모듈(103), 제어모듈(106)의 데이터 및 각 장비에 대한 전체매뉴얼과 장비구입시 제공하는 설치매뉴얼, 운영매뉴얼, 기술매뉴얼 중에 자주 발생하는 고장에 대한 해결방법을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송수신모듈(105)은 통신위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위성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모듈(106)은 상기 판단모듈(103)과 산출모듈(102)의 결과를 제어하고 이를 표시모듈(107)에 표기되도록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표시모듈(107)은 제어모듈(106)에 의하여 제어된 정보가 운항관리자의 열람이 용이하도록 전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설치된 모니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전시시스템(A)의 블록도이다.
상기 유지보수전시시스템(A)은 표시모듈(107)에 구비되며, 선박 내에서 감시하고자 하는 장비에 대한 정보를 한곳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전시하며, 각 장비에 대한 이상 진단 항목을 분류하여 운항관리자가 각 항목들의 이상 발생 시에 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유지보수전시시스템(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정보전시부(1)와, 화물상태정보전시부(2)와, 항해장비상태정부전시부(3)와, 기관실상태정보전시부(4)로 이루어지며, 선박에 대한 전시 및 이상상태에 대한 정보를 분류하고 감시한다.
상기 선박정보전시부(1)는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ization) Number, 선박명, 호출부호, 국적, 선사명, 항차번호가 표시되고, 선박정보부의 서브 정보부인 항로정보부(11)에는 항차번호, 출발지, 목적지, WP(Way Point, 변침점, 이하 'WP'라 칭함)갯수, WP배열정보가 표시되고, 항로정보의 서브블록인 WP배열정보(111)는 WP번호, WP위치, WP계획속도에 대한 정보가 필요에 따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물상태정보전시부(2)에는 담당자, 화물갯수, 개별화물 상태정보가 표시되고, 개별화물 상태정보(21)는 컨테이너ID, 컨테이너위치, 설정온도, POL(선적항:Port Of Loading), POD(목적항:Port Of Destination), 시간별 화물상태 정보가 표시되고, 시간별 화물상태 정보(211)는 컨테이너ID, 공급온도, 반환온도, 알람, 이벤트, 로그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구성되고, 설정온도보다 현재의 온도가 낮을 경우 컨테이너에 대한 알람을 운항관리자에게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항해장비상태정보전시부(3)는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전자해도시스템)상태, RADAR상태, GPS상태, SPEED LOG상태, GYRO COMPASS (이하에서는 'GYRO'라 함.)상태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시한다.
상기 항해장비상태정보전시부(3)는 항해장비의 이상 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으로서 전원인가상태와 시스템이상 및 장비이상 상태로 구분되며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 전원이상상태는 제어모듈(100)에 구비된 전원제어부(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원인가 상태를 진단하고, 시스템이상상태는 ICE61162신호에 대한 LAN상태와 장비의 온도, 습도에 대한 디지털 값으로 진단하며, 신호이상상태는 ICE61162에 대한 체크섬에 의하여 진단하는 것으로서, 출력되는 IEC61162신호에 오류신호가 포함되어 전송될 경우(예를들면, 체크섬에 대한 값이 10초간 계속적으로 입력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태별로 운항관리자에게 전시하도록 구성된다.
GYRO상태정보(31)는 온/오프상태, 시스템 이상 상태, 신호 이상 상태, 방위로 표시되고, GPS상태정보(32)는 온/오프상태, 시스템 이상 상태, 신호 이상 상태, 위치/시간이 표시되고, ECDIS상태정보(33)는 온/오프상태, 시스템 이상 상태, 신호 이상 상태로 표시되고, SPEED LOG상태정보(34)는 온/오프상태, 시스템 이상 상태, 신호 이상 상태, 속도가 표시되고, RADAR상태정보(35)는 온/오프상태, 시스템 이상 상태, 신호 이상 상태, 추적 물표정보로 표시되고, 추적 물표정보(351)는 타겟번호, 추적상태, 위치, 방위, 속도로 표시된다.
상기 기관실상태정보부(4)는 디젤기관에 대한 연소상태, 열교환기상태, 전동기상태, 펌프상태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 구성되고, 연소상태정보(41)에는 과급기 회전수, 과급기 배기가스 온도, 소기압력, 실린더평균 배기가스 온도, 소기온도가 표시되고, 열교환기 상태정보(42)는 냉각기 냉각유체 입출구 온도가 표시되고, 펌프상태정보(43)에는 입구압력, 출구압력이 표시되고, 전동기상태정보(44)는 전류에 대한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
도 2는 장비별 신호이상진단을 위한 운영 플로차트로서, 처음으로 운항관리자는 초기설정모드에서 장비입력 인터페이스모듈(101)을 통하여 선박에서 감시 및 진단하고자하는 장비에 대한 초기 항목에 대해서 입력하며, 초기설정이 완료되면 장비에 대한 순차적인 산출모듈(102)과 판단모듈(103)을 통한 점검모드로 진행하여 각 장비에 대한 점검이 실시된다.
상기 초기설정은 기준이 되는 각 파라미터의 값을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에 입력시키고 세팅스위치를 눌러 설정치의 설정을 종료하게 된다.
도 2의 플로차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장비별 신호이상진단은, 선박의 각 장비에서 출력된 신호데이터가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100)의 판단모듈(103)에 구비되어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에 입력되는 단계(S1); 상기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이 입력된 신호데이터를 그 특성에 따라 RS232,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IP프로토콜별로 구분하는 단계(S2); 상기 각 프로토콜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취득하는 단계(S2'); 상기 취득된 데이터가 장비별 표준신호와 비교 분석되어 이상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모듈(104)에 저장되며 표시모듈(107)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S3); 상기 분석된 각 장비의 현재의 정상 및 이상상태에 대한 장비별 판단정보가 프린트되는 단계(S4), 상기 선박장비에 대하여 비교, 분석 및 판단된 정보가 송수신모듈(105)에서 위성통신을 통하여(S5), 육상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503)으로 송신되는 단계(S6)로 진행되며,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503)에서는 상기 신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알람신호 발생, 수리업체의 수배 등 이상상태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100)에 있어서 입력신호 전시(Display)에 관한 흐름도로서, 유지보수관리시스템(100)이 온(ON)되는 단계(S10),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의 초기설정모드에서 초기설정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20), 초기설정이면 초기설정단계(S30)로 진행하여 선박정보입력 단계(S40), 선교장비입력 단계(S50), 화물정보입력 단계(S60)로 진행하고 초기설정단계가 아니면 각 항해통신장비에 대한 정보처리단계(S70)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초기설정모드 초기설정단계(S30)에서는 선박, 선교, 및 화물에 대한 각각의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선박정보입력 단계(S40)에서는 현재 선박의 제원에 대한 상황이 입력되고, 상기 선교장비입력 단계(S50)에서는 GYRO장비의 구성부품, GPS장비의 구성부품, ECDIS장비의 구성부품, Speed-Log 장비의 구성부품, RADAR장비 구성부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화물정보입력단계(S60)에서는 화물상태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에 대한 위치, 담당자, 설정온도, 기타 정보에 대한 내역이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초기설정모드 단계(S20)에서 초기설정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선박정보표시단계(S71)로 이동되어 S40단계에서 입력했던 선박의 제원정보가 표시되고, S50의 5가지 항해통신장비(GYRO, GPS, ECDIS, SPEED LOG, RADAR)에 대해 각 장비의 상태에 대한 신호(GYRO입력신호: 선수방위/ GPS입력신호: 일시, 위도, 경도/ ECDIS입력신호: 항로위도, 항로경도/ SPEED LOG입력신호: 속도 / RADAR입력신호: 타켓위도, 타켓경도)를 입력받아 판별한 후 정상적일 때에는 다음 단계인 시스템상태에 대한 정보를 판별한 후 시스템이 정상적일 때에는 모든 동작이 정상동작이 되는 것으로 표시모듈(107)에 표시되며, 각 단계별 이상이 발생시에는 다음 장비의 상태확인을 진행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서술하면,
상기 선박정보 표시단계(S71)에 이어서 판단모듈(103)에서 ECDIS WP(Way Point: 항로상의 위도, 경도) 정보입력신호가 정상범위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2)에서 정상범위(항로경도가 +180사이, 위도가 -90에서 +90사이의 정보가 입력)이면 표시모듈(107)의 항해장비상태정보(3)에 항로정보 및 WP정보표시(S73)로 이동되고, 이상상태 범위이면 화물상태 정보신호가 정상범위의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4)로 진행된다.
상기 화물상태 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4)에서 정상범위의 입력신호이면 시간별 화물상태정보가 표시되는 단계(S75)로 이동되고 정상범위가 아니면 ECDIS 상태정보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6)로 진행된다.
상기 시간별 화물상태정보 표시 단계(S75)로 이동되어 완료되면 ECDIS 상태정보 신호입력이 정상범위 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6)로 진행되고 정상범위이면 ECDIS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77)로 이동되고 정상범위가 아니면 GPS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8)로 이동된다.
여기서, ECDIS시스템 상태이상의 종류(유형)은, 첫째로 장비에서 IEC61162(표준)출력신호가 나오지 않을 때이고, 둘째로 장비에서 자체 알람신호가 발생할 때로 구분되며, 신호이상상태는 출력되는 IEC61162신호에 대한 오류신호가 포함되어서 전송될 경우(예를들면, 체크섬에 대한 값이 10초간 계속적으로 입력될 경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태별로 운용자에게 전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ECDIS시스템 상태정보 표시 단계(S77)로 이동되어 완료되면, GPS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78)로 이동되어 정상범위이면 GPS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79)로 이동되고 정상범위가 아니면 GYRO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0)로 이동된다.
GPS시스템 상태 이상종류는 위에 설명한 ECDIS시스템 상태 이상 종류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GPS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79)로 이동되어 완료되면 GYRO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0)로 이동되고 정상범위이면 GYRO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81)로 이동되고 정상범위가 아니면 SPEED LOG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의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2)로 이동된다.
상기 GYRO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81)로 이동되어 완료되면 SPEED LOG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2)로 이동되어 정상범위이면 SPEED LOG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83)로 이동되고 정상범위가 아니면 RADAR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4)로 이동된다.
상기 SPEED LOG 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83)로 이동되어 종료되면 RADAR 상태정보신호가 정상범위 입력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84)로 이동되고 정상범위이면 RADAR 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85)로 이동되고 RADAR시스템 상태정보 표시단계(S85)에서 종료되면 다시 선박정보표시 단계(S71)로 진행하여 상기의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도 4는 본 시스템의 판단모듈(103)에 구비된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항해장비에 대한 고장진단과정에 대한 설명도로서, 고장진단을 위하여 각 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산출모듈(102)에서 처리되어 판단모듈(103)로 전송되는 단계(S101), 상기 전송된 데이터가 산출모듈(102)의하여 신호계통, 온도계통으로 분류되는 단계(S102), 상기 분류된 데이터가 판단모듈(103)의 고장진단엔진에 의하여 신호계통이상과 온도계통이상을 감지하는 이상감지시스템을 거쳐 시간별/통계적 분석기반 이상감지시스템에서 다시 한번 해당장비에 대한 시간적/통계적데이터를 기초로 기존에 설정된 표준입력신호인 파라미터와 비교분석됨으로써 이상감지 여부를 진단하는 단계(S103), 이러한 고장진단엔진의 진단시스템을 거친 데이터가 각 장비에 대한 파라미터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판단모듈(103)의 신호계통 의사결정시스템과 온도계통의사결정시스템에 의하여 장비의 이상상태 여부의 판단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 단계(S104), 상기 의사결정시스템단계에서 의사결정의 결정변수인 신호 및 온도의 진단결과가 도출되어 표시모듈(107)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단계(S105)로 이루어지게 되며 표시된 고장진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인 판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관실장비에 대한 고장 진단방법은 각 장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연소, 열교환기, 전동기, 펌프계통에 대한 데이터로 분류되어 항해장비와 동일하게 통계적분석 및 의사결정을 통하여 운항관리자에게 고장 진단에 대한 사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시스템의 판단모듈(103)에 구비된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기관실장비의 고장진단에 대한 설명도로서, 고장진단을 위하여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에서 데이터베이스모듈(104)의 운전DB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누적데이터와 각 장비로부터 입력된 현재의 데이터가 수집되는 단계(S201), 산출모듈(102)에서 처리되어 판단모듈(103)로 전송되는 단계(S201), 상기 전송된 데이터가 산출모듈(102)에 의하여 연소 계통, 열교환기 계통, 전동기 및 펌프 계통으로 분류되는 데이터분류 단계(S202), 상기 분류된 데이터를 판단모듈(103)에서 고장진단엔진의 통계적분석기반이상감지시스템에 의하여 연소, 열교환기, 전동기 및 펌프의 각 계통에 대한 이상여부를 감지하고, 연소계통에 대하여는 추가적으로 통계적분석기반이상진단시스템과 전문가지식기반이상진단시스템에 의하여 진단하는 단계 (S203), 상기 고장진단엔진의 진단시스템을 거친 진단데이터가 상기 연소, 열교환기, 전동기 및 펌프계통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의 입력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여부의 판단을 지원하는 의사결정시스템 단계(S204), 상기 의사결정의 결과로써 진단결과를 도출하여 표시모듈(107)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205)로 이루어지게 되며, 표시된 고장진단의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최종적인 판단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점검하고자 하는 항해 장비를 입력 및 등록하는 초기설정화면의 일예로서 레이더장비에 대한 장비설정화면을 도시한 것이며, 레이더장비에 대한 ID, 명칭, 모델번호, 제조사, A/S회사, 보증기간, 설치장소, 담당자명, 제조일자, 설치일자, A/S일자, 알람설정, 알람시간, 설치매뉴얼, 운영매뉴얼, 기술매뉴얼을 설정 등록하는 매뉴(301)와, 장비보증기간, 제조일자, 설치일자, A/S일자와 같은 장비의 시간적인 데이터와 알람설정 입력하고 저장하는 매뉴(302)와, 다른 항해장비인 ECDIS, GPS, GYRO, Speed-Log, RADAR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입력 및 조회선택을 할 수 있는 매뉴(303)로 구성하여 각 장비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각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의 초기정보로 활용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종합적인 상황을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장비상태 정보의 경우 점검시기 및 점검방법에 관한 매뉴얼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므로써 안전한 운항을 지원하는 메뉴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선박정보(1)는 IMO Number, 호출부호, 선박명, 항로정보는 출발지, 도착지, 속도, 방위, 일반정보는 시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화물상태정보(2)는 화면상에 화물에 대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화면상태에 따라 백색은 화물이 없는 구역, 파랑색은 화물이 존재하며, 설정온도이하일때, 빨강색일때는 화물이 존재하며, 설정온도보다 높은상태, 회색은 화물이 없는 위치 표시된다.
항해장비상태정보(3)는 ECDIS, RADAR, GYRO, Speed-Log, GPS 에 대한 전원 On/Off 상태, 입력신호상태, 시스템이상상태, 시간별 장비에 대한 교체주기에 대한 바형태의 표시 및 리스트박스형태로 각 장비에 대한 점검시간, 오류발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리스트박스에 표시 및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장비에 대한 전자매뉴얼을 볼 수 있도록 버튼으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GPS 장비는 교체주기가 도래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적색으로 표기되고 다른 항해장비는 교체주기가 여유가 있음을 표시하고 있다.
기관실상태정보(4)는 연소상태정보, 열교환기상태정보, 펌프상태정보, 전동기상태정보에 대한 현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으며,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이 설정되는 선박의 선교시스템(501)과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503) 및 통신위성(502)간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선박정보전시부 11: 항로정보 111 : WP배열정보
2: 화물상태정보전시부 21: 개별화물상태정보
211: 시간별화물상태정보
3: 장비상태정보전시부 31: GYRO상태정보 32: GPS상태정보
33: ECDIS상태정보 34: SPEED LOG상태정보
35: RADAR 상태정보 351: 추적물표정보
4: 기관실 상태정보전시부 41: 연소상태정보
42: 열 교환기 상태정보 43: 펌프상태정보 44: 전동기상태정보
100: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
101 :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
102 : 산출모듈 103 : 판단모듈
104 : 데이터베이스모듈 105 : 송수신모듈 106 : 제어모듈
107 : 표시모듈
501 : 선교시스템 502 : 통신위성
503 :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

Claims (2)

  1. 선박의 선교시스템에 구비되는 선박의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박에 설치된 제반 장비의 기본 데이터가 입력 설정되고 각 장비에서 출력되는 신호데이터가 입력되는 장비입력인터페이스 모듈(101) ;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 정보에 의하여 선박의 장비에 대한 수리시기, 고장점검시기, A/S기간에 대한 시간적인 조건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한 산출모듈(102);
    상기 산출모듈(102)의 산출제어와 판단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모듈(106);
    상기 산출모듈(102)의 산출데이터에 대하여 표준화된 신호데이터를 기준으로 장비의 이상 유무에 대한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구비하는 판단모듈(103);
    상기 장비입력인터페이스모듈(101), 산출모듈(102), 판단모듈(103), 제어모듈(106)의 데이터와 항해정보, 기관실정보, 화물정보매뉴얼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104);
    위성통신에 의하여 원격지의 관제센터 및 타 선박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모듈(105);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04)에 연결되어 항해장비상태, 기관실장비상태, 화물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모듈(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
  2. 선박용 유지보수방법의 선박장비의 출력신호 분석방법은,
    선박의 각 장비에서 출력된 신호데이터가 선박용 유지보수관리시스템(100)의 판단모듈(103)에 구비되어 진단 및 판단을 지원하는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에 입력되는 단계(S1);
    상기 진단 및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이 입력된 신호데이터를 그 특성에 따라 RS232,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IP프로토콜별로 구분하는 단계(S2);
    상기 각 프로토콜별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취득하는 단계(S2');
    상기 취득된 데이터가 장비별 표준신호와 비교 분석되어 이상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모듈(104)에 저장되며 표시모듈(107)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S3);
    상기 분석된 각 장비의 현재의 정상 및 이상상태에 대한 장비별 판단정보가 프린트되는 단계(S4);
    상기 선박장비에 대하여 비교, 분석 및 판단된 정보가 송수신모듈(105)에서 위성통신을 통하여(S5);
    육상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503)으로 송신되는 단계(S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유지보수관리 방법.
KR1020100028920A 2010-03-31 2010-03-31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KR101126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20A KR101126529B1 (ko) 2010-03-31 2010-03-31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8920A KR101126529B1 (ko) 2010-03-31 2010-03-31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75A KR20110109275A (ko) 2011-10-06
KR101126529B1 true KR101126529B1 (ko) 2012-03-22

Family

ID=4502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920A KR101126529B1 (ko) 2010-03-31 2010-03-31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73A1 (ko) * 2015-11-10 2017-05-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플랜트 예지보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해양플랜트 예지보전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355B1 (ko) * 2011-11-03 2016-1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성능 감시가 가능한 선박
KR101476740B1 (ko) * 2013-03-07 2014-12-26 현대비에스앤씨 (주)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WO2014196315A1 (ja) * 2013-06-05 2014-12-11 古野電気株式会社 航法装置及び部品寿命通知方法
KR20150001862A (ko) * 2013-06-24 2015-0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엔진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48294A (ko) * 2015-06-16 2016-1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57752B1 (ko) * 2019-12-19 2022-10-24 사단법인 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 선박 기관실의 실시간 이상 감지 및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268733B1 (ko) * 2020-06-02 2021-06-2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기관의 고장검출 방법 및 시스템
CN112668159A (zh) * 2020-12-15 2021-04-16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改进fmea系统日志文件的故障排查方法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376A (ja) * 2005-09-12 2007-03-29 Universal Shipbuilding Corp 船体構造の保守管理システム及び保守管理プログラム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376A (ja) * 2005-09-12 2007-03-29 Universal Shipbuilding Corp 船体構造の保守管理システム及び保守管理プログラム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73A1 (ko) * 2015-11-10 2017-05-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플랜트 예지보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해양플랜트 예지보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275A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529B1 (ko)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CN109001649B (zh) 一种电源智能诊断系统及保护方法
US106574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diagnostics based on stored machine data and available machine telematic data
RU2608242C1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ев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диагностикой
US20150310723A1 (en) Trending machine health data using rfid transponders
KR20120119557A (ko)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CN112924205B (zh) 作业机械故障诊断方法、装置、作业机械和电子设备
US10963797B2 (en) System for analyzing machine data
CN108627794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智能化仪表检测方法
US11423494B2 (en) Plant assistance assessment system and plant assistance assessment method
US11935337B2 (en)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315259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관리시스템
CN113761234A (zh) 水电厂设备的巡检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3091316A (ja) 遠隔操作支援方法
KR101748282B1 (ko) 설비 진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설비 진단 방법
JP2001084035A (ja) 運転監視システム
KR20200034472A (ko) 선박의 원격 유지 보수 방법
JP2004352071A (ja) 航空機用エンジンの機上トラブル対処装置
US111089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s detection
KR20140057442A (ko) 선박의 가스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스 경보 감시 방법
KR20210071219A (ko)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RU25924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и (варианты)
KR20050092608A (ko) 비행체 탑재 장비 시험 운용 시스템
JP6247742B2 (ja) 管理装置
KR102520542B1 (ko) 선박의 사고대응을 위한 탱크정보 통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