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740B1 -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740B1
KR101476740B1 KR1020130024553A KR20130024553A KR101476740B1 KR 101476740 B1 KR101476740 B1 KR 101476740B1 KR 1020130024553 A KR1020130024553 A KR 1020130024553A KR 20130024553 A KR20130024553 A KR 20130024553A KR 101476740 B1 KR101476740 B1 KR 101476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quipment
identifier
ship
mapp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358A (ko
Inventor
김원식
박민식
김범준
심성보
Original Assignee
현대비에스앤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비에스앤씨 (주) filed Critical 현대비에스앤씨 (주)
Priority to KR102013002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7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LSP인터페이스부,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장비관리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변환부 및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내 이 기종의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선박의 상태 정보를 메시지로 압축하여 위성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전달하므로 위성통신데이터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데이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Remote Monitoring System of Ship Equipment}
본 발명은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해중인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장비를 육상 등의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관련 산업과 IT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선박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기 위한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는 레이더 시스템, 선박자동식별 시스템, 전자 해도 표시 시스템, 선박보안경보 시스템, 항해자료기록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은 항해정보 관리와 선내 각 설비의 감시 및 조작 기능을 통해 선내 노동의 경감, 선박의 안전성 향상, 운항의 경제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반면,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은 시스템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선원들과 선박 및 선박의 기자재를 보급하는 사업자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선원들은 기존의 선박 운항 및 선내 각 설비의 문제에 대한 해결능력은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으나 IT 기술과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문제의 해결 능력은 부족한 면이 있다. 그 결과, 단순한 조치로 해결 가능한 사소한 문제에 대해서도 해당 시스템의 A/S(After Service)를 요청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그러나, 선박은 운항 중에는 접근이 쉽지 않고 입출항 장소와 시간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에 어려움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 대기시간 및 방문횟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와 발생된 문제의 조치 지연에 따른 선주 및 선원의 불만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기능은 선내 자동화 시스템의 가용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므로 그 중요성이 계속 커지고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서비스 엔지니어의 이동 문제가 시간/비용적 측면에서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면서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IT 기술 적용시점이 상대적으로 늦었던 조선산업의 특성으로 인해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의 연구는 미흡하며, 연구된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 시스템도 장치에 의존적이어서 타 사의 장비에 대해서는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자사 장비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도 해상과 육상간의 위성통신으로 인하여 통신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상에서 원격지에서 운항중인 선박 내 모든 장치들을 통합 감시하고, 위성통신 데이터량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위성통신을 이용한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LSP인터페이스부;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장비관리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변환부; 및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요청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요청관리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요청관리부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상기 LSP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선내통합게이트웨이;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요청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요청관리부에서 추출된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상기 LSP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선내통합게이트웨이;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준구조는 IEC-61162-45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준구조는 IEC-61162-45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박 내 장치의 상태 정보를 위성 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전달하여 육상에서 원격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장비의 이상 상황을 사전에 감지하여 예방정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박의 안전운항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 내 이 기종의 장비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박의 상태 정보를 메시지로 압축하여 위성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전달하므로 위성통신 데이터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데이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매핑테이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테이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비매핑테이블에 대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테이블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성 통신을 이용하여 육상에서 원격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장비(110, 12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 클라이언트(300)로 구성된다.
선내장비(110, 120)는 레이더(RADAR, Radio detection and ranging), 전자해도시스템(ECDIS,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위성항법장치(GPS, Gloval Positioning System), DGPS(Differential GPS), 코닝 등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모든 장비를 포함한다.
선내장비(110, 120)는 해당 장비의 이벤트정보를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전달한다. 바람직하게는 선내장비는 해당 장비의 이벤트정보를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로 전달한다.
클라이언트(300)는 선박 내에 위치하여 선박 내 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요청하고 요청결과를 전달받아 전시한다.
또한, 클라이언트(300)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된 장비매핑테이블(225)과 동기화된 매핑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300)는 선박 내에 위치하여 선박 내 장비에 해당하는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전달받아 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은, LSP인터페이스(210), 장비관리부(220), 장비매핑테이블(225), 메시지변환부(230), 메시지테이블(235), 저장부(240), 데이터베이스(250), 요청관리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LSP인터페이스(210)는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준구조는 산업용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이더넷(Ethernet) 기반의 선내 통신 표준으로서, IEC 61162-450을 만족하는 LSP(Local Structed Packet, 이하 LS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자사 이외의 타 사의 이 기종 장비들이라도 IEC 61162-450 통신 표준을 준수하면 LSP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므로 선내의 모든 장비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장비관리부(220)는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225)을 관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장비매핑테이블(225)은 해당 장비명을 특정한 식별자로 관리한다.
장비관리부(220)는 LSP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고, 장비매핑테이블(225)에서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한다.
메시지변환부(230)는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235)을 관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테이블(235)은 이벤트에 대한 메시지를 관리한다.
메시지변환부(230)는 메시지테이블(235)에서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한다.
저장부(240)는 추출된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50)는 장비식별자 및 메시지 형태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저장부(240)는 이와 같이 장비이름 대신 간단한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므로 통신 데이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이벤트 자체 대신 압축된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하므로 통신 데이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요청관리부(270)는 클라이언트로(300)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LSP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요청받는다. 요청관리부(270)는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장비매핑테이블(225)에서 추출한다.
또한, 요청관리부(270)는 클라이언트(300)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의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LSP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요청받을 수 있다.
제어부(280)는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요청관리부(270)에서 추출한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클라이언트(300)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의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LSP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요청받아,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한다.
제어부(280)는 독출한 메시지를 클라이언트(300)에게 전달한다.
도 5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장비(110, 12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 클라이언트(400)로 구성된다.
클라이언트(400)는 육상에 위치하여 선박 내 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위성통신을 통하여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요청하고 요청결과를 전달받아 전시한다.
또한, 클라이언트(400)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포함된 장비매핑테이블(225)과 동기화된 매핑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400)는 육상에 위치하여 선박 내 장비에 해당하는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위성통신을 통하여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에 요청하고 그 결과를 전달받아 전시한다.
클라이언트(400)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과 위성통신 표준화 구조인 GSP(Global Structured Packet, 이하 GSP)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200)은, LSP인터페이스(210), 장비관리부(220), 장비매핑테이블(225), 메시지변환부(230), 메시지테이블(235), 저장부(240), 데이터베이스(250), 선내통합게이트웨이(260), 요청관리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선내통합게이트웨이(26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호출정보는 GSP 구조를 따른다.
또한, 선내통합게이트웨이(260)는 클라이언트(400)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의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호출정보는 GSP 구조를 따른다.
선내통합게이트웨이(260)는 GSP구조의 호출정보를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LSP인터페이스(210)로 전달한다.
이때 표준구조는 IEC-61162-45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SP인터페이스(210), 장비관리부(220), 장비매핑테이블(225), 메시지변환부(230), 메시지테이블(235), 저장부(240), 데이터베이스(250), 요청관리부(270) 및 제어부(28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10). 이때 표준구조는 IEC-61162-45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한다(S11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는다(S12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한다(S12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235)을 관리한다(S13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한다(S13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4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받는다(S145). 또한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식별자의 상태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한다(S15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한다(S155). 또한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1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한다(S21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는다(S22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한다(S22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한다(S23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한다(S23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4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한다(S245). 또한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식별자의 상태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전달한다(S250).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한다(S255).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한다(S260). 또한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은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120 : 선내장비 200 :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210 : LSP인터페이스 220 : 장비관리부
225 : 장비매핑테이블 230 : 메시지변환부
235 : 메시지테이블 240 : 저장부
250 : 데이터베이스 260 : 선내통합게이트웨이
270 : 요청관리부 280 : 제어부

Claims (10)

  1. 삭제
  2.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LSP인터페이스부;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장비관리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변환부;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요청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요청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요청관리부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3.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LSP인터페이스부;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장비관리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변환부;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상기 LSP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선내통합게이트웨이;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요청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요청관리부에서 추출된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4.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LSP인터페이스부;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LSP인터페이스로부터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장비관리부;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메시지변환부;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부;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상기 LSP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선내통합게이트웨이; 및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구조는 IEC-61162-450을 만족하는 것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6. 삭제
  7.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
  8.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선내장비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특정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
  9.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이,
    선내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구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선내장비별로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한 장비매핑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선내장비에 대한 이벤트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장비매핑테이블에서 상기 선내장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추출하는 단계;
    이벤트별 메시지를 할당한 메시지테이블을 관리하는 단계;
    메시지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정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상기 식별자 및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위성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식별자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호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출정보를 상기 표준구조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식별자에 대한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구조는 IEC-61162-450을 만족하는 것인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방법.

KR1020130024553A 2013-03-07 2013-03-07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KR101476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53A KR101476740B1 (ko) 2013-03-07 2013-03-07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553A KR101476740B1 (ko) 2013-03-07 2013-03-07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58A KR20140110358A (ko) 2014-09-17
KR101476740B1 true KR101476740B1 (ko) 2014-12-26

Family

ID=5175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553A KR101476740B1 (ko) 2013-03-07 2013-03-07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624B1 (ko) * 2019-01-02 2019-07-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인수상정 원격 통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298B1 (ko) * 2019-09-27 2021-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설비 모니터링 데이터의 적응형 전송 시스템 및 전송 방법과 그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EP3993345A1 (en) * 2020-10-28 2022-05-04 Furuno Hellas S.A.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433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10109275A (ko) * 2010-03-31 2011-10-06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1433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10109275A (ko) * 2010-03-31 2011-10-06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624B1 (ko) * 2019-01-02 2019-07-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인수상정 원격 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358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2174B2 (en) Smart harness
US20180308344A1 (en) Vehicle-to-infrastructure (v2i) accident management
WO2020082900A1 (zh) 订单服务安全性检测装置及方法
KR102154916B1 (ko) 선박 데이터 통합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ose et al. Intelligent vehicle monitoring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cloud computing
KR101934348B1 (ko) 차량 실시간 주행 데이터 처리 방법과 장치
KR20160112188A (ko) 선박별 항적 추출 및 전시 시스템
KR101476740B1 (ko) 선내장비 원격모니터링 시스템
JP2006163765A (ja) 船舶運航監視システム
EP4073468A1 (en) System for guiding vessel to port and method therefor
US115232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ehicle based internet of things
US104866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diagnostic tester coordination
CN111126835B (zh) 一种北斗卫星定位的公用汽车管理方法
KR20150053846A (ko) Gps 기반의 실시간 차량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461080B (zh) 双向adhoc网络无线电通信中的控制器
US11279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vehicle use
CN106325185A (zh) 一种运输车辆的监控管理系统
CN106528467B (zh) 用于控制器安全消息处理的构架和设备
CN107113574B (zh) 用于在车辆中操作经接收的车辆对x消息的方法
JP2024004312A (ja) 中継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車載システム
CN114244885A (zh) 船舶航行数据传输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150114588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실시간 버스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4884952A (zh) 车辆监测中的采集数据处理、车辆监测控制方法及装置
CN114817136A (zh) 一种sms文件管理和更新的方法和系统
CN106331627A (zh) 一种运输车辆的视频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