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931B1 -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931B1
KR100936931B1 KR1020090085835A KR20090085835A KR100936931B1 KR 100936931 B1 KR100936931 B1 KR 100936931B1 KR 1020090085835 A KR1020090085835 A KR 1020090085835A KR 20090085835 A KR20090085835 A KR 20090085835A KR 100936931 B1 KR100936931 B1 KR 10093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ship
information
parts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장섭
Original Assignee
한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장섭 filed Critical 한장섭
Priority to KR102009008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931B1/ko
Priority to CN2010800481478A priority patent/CN102640174A/zh
Priority to PCT/KR2010/005155 priority patent/WO2011031008A2/ko
Priority to JP2012528735A priority patent/JP2013504802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선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수리요청에 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가: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101); 사용자로부터의 선박 수리요청에 대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최적조건 산출모듈(110); 선박에 대한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부품정보, 수리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정보 데이터베이스(DB)(120); 및 선박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에 대해 각 부품의 고유번호, 2D 또는 3D 도면, 크기, 규격, 수명,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정보 데이터베이스(DB); 선박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가능 부품,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 데이터베이스(DB)(130);를 포함하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를 개시한다.
선급, 선사, 선박 유지보수, 수리, 선박수리업체, 기자재업체,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Description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SHIPS ON ROUTE IN AN OPTIMIZED WAY}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선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항로에 기초하여 최적의 선박 유지보수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물선, 컨테이너선, 여객선 등의 모든 선박은 선급(船級) 제도에 의해 의무적으로 선박검사를 받고 있다. 선급제도란 선박이 정상적인 항해를 할 수 있는 안전한 상태인지 감항성(堪航性)을 판단하는 것으로, 감항성이 없는 선박은 항해를 할 수 없다. 그런데 선박은 국가마다 상이한 법규에 의하여 구조와 건조기술 및 재료 등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준에 의하여 감항성이 판단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모든 선박은 IMO(국제해사기구) 등에서 정한 규정에 따라 선급단체에 의해 예컨대 매년 일반검사(survey)를 받고 특정 기간(예컨대 4년)마다 정밀검사(special survey)를 받음으로써 해당 선박은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보장받고 해당 선급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오프라인으로 선박 검사 및 이에 따른 선박수리를 진행하는 종래의 절 차를 도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현재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선급, 선사, 선박수리업 및 기자재업체의 관계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선박을 수리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선사(20)는 다수의 선박수리업체(수리 조선소)(30)에게 의뢰를 하고,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의 각각은 각자 다수의 기자재업체(40)로부터 해당 부품을 납품받아 선박을 수리하는 관계에 있다. 도면에서는 선박수리업체(30)와 기자재업체(40)를 각 3개씩 도시하였지만, 이는 도면을 간단히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수의 선박수리업체(30)와 기자재업체(40)가 존재한다.
이러한 도1의 관계에서, 특정 선박에 대해 선급(10)은 소정 기간마다 검사를 수행하여 선박의 고장유무를 판단한다. 해당 선박에 고장이 발견되어 수리가 필요한 경우, 선급(10)은 선사(20)에게 이를 통지하고, 선사(20)는 통지받은 고장 내역을 검토하여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A-30C) 중 한 개 또는 수개 업체에게 수리를 의뢰한다. 수리를 의뢰받은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A-30C)는 각자 기자재업체(40a-40c)와 전화, 팩스, 이메일 등으로 연락하여 수리해야 할 기자재, 부품의 유무 및 가격 등을 알아내어 견적서를 작성하고 이를 선사(20)에게 통지한다. 선사(20)는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로부터 받은 견적서 등을 참고하여 각 선박수리업체(30)와 수리방식, 가격 등에 대해 협상한 뒤 최종적으로 하나의 선박수리업체(30)를 선정하여 수리를 지시하고, 해당 선박수리업체(30)가 수리를 완성함으로써 기존의 선박검사에서부터 선박 수리에 이르기까지의 절차가 완료된다.
한편 선박수리업체(30A-30C)에 수리를 의뢰하는 주체가 선사(2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선박 관리를 대행하는 관리회사(도시 생략)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관리회사가 선급(10)이나 선사(20)로부터 수리의뢰를 받아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A-30C)에 수리를 요청하고, 수리 요청에서부터 수리 완료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절차 또는 일부 절차를 대행하기도 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관리회사는 선박 수리뿐만 아니라, 선박의 선용품(선박에서 사용하는 식료, 연료, 소모품 등의 물품)의 재고 유무도 관리하는 등 선박에 관한 종합 관리 및 유지보수를 대행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오프라인을 통한 선박수리 절차에서는, 선사(20)와 선 박수리업체(30)의 관계에서, 선사(20)가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에 일일이 연락하여 수리를 의뢰하고 견적을 요청하게 되고, 또한 선박수리업체(30)와 기자재업체(40)의 관계를 보면, 각 선박수리업체(30)마다 복수의 기자재업체(40)에 전화, 팩스, 이메일 등으로 연락하여 부품의 유무 및 가격을 문의하여 견적을 내기 때문에, 이러한 전통적인 오프라인 거래방식은 많은 시간과 간접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선박 유지보수 및 수리를 위한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선박 수리에 관한 절차를 전자거래로 전환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시간, 비용 절감 및 다양한 협업 정보 공유를 통해 선박 수리업무처리의 효율을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항로에 기초하여 최적의 선박 유지보수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의 수리요청에 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로서,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101); 사용자로부터의 선박 수리요청에 대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최적조건 산출모듈(110); 선박에 대한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부품정보, 수리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정보 데이터베이스(DB)(120); 및 선박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에 대해 각 부품의 고유번호, 2D 또는 3D 도면, 크기, 규격, 수명,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정보 데이터베이스(DB)(140); 선박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가능 부품,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 데이터베이스(DB)(130);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 입력된 데이터, 상기 선박정보 DB의 정보중 적어도 하나, 상기 부품정보 DB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수리업체정보 DB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를 최적조건으로서 인터페이스 모듈(101)로 출력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이 상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를 산출할 때, 수리해야 할 부품의 개별가격, 다른 부품과 함께 수리할 때의 조합된 가격, 부품별 중요도, 및 부품의 정품 또는 재생품 여부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의 산출에 반영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를 추가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이 상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를 산출할 때, 선박 등급, 선박수리업체의 위치와 규모, 수리부품의 재고 유무, 수리부품의 조달 기간, 수리대기시간에 대해 각각 추가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추가의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의 산출에 반영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를 추가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에 의해 선박 수리업무를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거래 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선사는 선박의 유지보수 및 수리에 대한 최적의 조건을 제공받아 해당 선박의 수리를 효율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공급사슬에 참여하고 있는 수리업체, 선사 등은 기자재업체 정보 및 거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선사는 다수의 선박수리업체와 개별적으로 접촉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을 통해 선박수리에 관한 업무를 원스톱 처리함으로써 통신비용 및 리드타임을 절감하고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더욱이 국내의 선박수리업체 및 기자재업체의 정보를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 내 DB에 탑재함으로써 외국선사에 국내 수리업체와 기자재업체를 홍보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의 항로에 기초하여 최적의 선박 유지보수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적화된 선박 수리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에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급(10)은 선박을 검사하여 고장여부를 발견하면, 선사(20)에게 이를 통지하고 선사(2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에 접속할 수도 있고 선급(10)이 자체적으로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한편 선사(20)에게 별도로 고장여부를 통지할 수도 있다. 또한, 선급(10)이나 선사(20)가 도1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관리회사에게 수리의뢰를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관리회사가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은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A- 30C)및 다수의 기자재업체(40a-40c)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은 선박수리업체(30)로부터 세계 각국의 각각의 선박수리업체(수리조선소)의 정보(예컨대 업체명, 위치, 규모 등)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하고, 또한 기자재업체(40)로부터는 각종 선박 부품에 대한 상세정보(예컨대 각 부품에 대한 2D 또는 3D 도면, 사양, 가격 등)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도2의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급/선사(50)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01), 선급/선사(50)로부터의 수리요청에 대하여 최적의 조건을 산출하여 제공하는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을 포함한다. 또한 모든 선박의 상세 정보를 저장한 선박정보 DB(120) 및 선박수리업체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 수리업체정보 DB(130), 및 선박의 각종 부품에 관한 부품정보를 저장한 부품정보 DB(140)를 포함하며, 선박정보 DB(120)는 해당 선박의 선급 또는 선사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업데이트 되고, 부품정보 DB(140)는 다수의 기자재업체의 서버(45)와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받아 업데이트되고, 수리업체정보 DB(130)는 다수의 수리업체의 서버(35)와 연결되어 정보를 제공받고 업데이트된다.
도3에서의 '선급/선사'는 선급이나 선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고, 도면부호 50으로 표기하여, 선급(10) 및 선사(20)를 개별 지칭하는 것과 구별되도록 하였다. 또한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은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도 다른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선박정보 DB(1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4에 나타낸 것처럼, 선사정보, 선급정보, 부품정보, 수리내역정보 등을 포함하고, 그 외에도 선박의 설계도 등 다른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
선사정보와 선급정보는 각각 선사(20) 및 선급(10)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업데이트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선급(10)이나 선사(20) 중 어느 한군데로부터 선사정보와 선급정보를 모두 제공받을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제3의 기관이나 업체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부품정보 DB(140)에 저장된 부품정보는 각 선박에 대해 해당 선박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품정보는 각 부품의 고유번호, 2D 또는 3D 도면, 크기, 규격, 수명, 가격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품정보 DB(140)는 선박정보 DB(12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품정보는 해당 선박의 설계도와 함께 해당 선박을 건조한 조선소에서 제공받고 업데이트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자재업체(40)로부터 부품정보가 제공되고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제3의 기관이나 업체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수리내역 정보는 해당 선박의 수리내역에 관한 것으로, 수리된 부품에 대한 정보(예컨대 부품의 제조연월일, 제조사, 가격 등을 포함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음), 수리 연월일, 수리장소, 수리비용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수리내역 정보는 해당 수리를 행했던 선박수리업체(40)로부터 제공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3의 업체나 기관에서 이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수리업체정보 DB(1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4에 나타낸 것처럼, 전세계 각국의 수리조선소에 대하여 각 수리 조선소의 명칭, 장소, 수리가능 부품(조선소 규모),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수리대기 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 수리 조선소는 전세계 각지의 수리조선소를 모두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본 발명이 사용되는 범위가 특정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해운사 소유의 선박에만 적용된다면, 그 해운사 선박들이 지나는 항로상의 항구 및 그 인근 항구의 수리조선소만 포함시킬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리가능 부품에 관한 정보는 해당 수리 조선소의 규모와 관련있는 것으로, 예컨대 어느 수리조선소 또는 그 수리조선소가 위치해 있는 항구가 특정 선급 이상의 선박은 수용하지 못할 경우 그 선박의 부품에 대해서는 수리가능 부품 항목에서 제외될 수 있다.
부품재고 여부는, 어떤 수리조선소 이든지 모든 종류의 선박의 모든 종류의 부품을 비치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수리조선소가 어떤 부품을 비치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정보이다. 또한 이 부품재고 관련 정보는, 만일 해당 수리조선소가 특정 부품을 재고로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언제까지 해당 부품을 조달받을 수 있는지의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수리가능시기에 관한 정보는, 특정 수리조선소가 현재 수리해야 할 선박들이 많을 경우, 해당 선박은 언제 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수리업체정보 DB(130)는 이상과 같은 각 수리조선소의 각종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수리조선소로부터 또는 제3의 기관이나 업체로부터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따라서 도3에서 기자재업체 서버(45)가 선박정보 DB(120)에 정보를 제공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또한 선박수리업체 서버(35)가 수리업체정보 DB(130)에 정보를 제공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선박정보 DB(120) 및 수리업체정보 DB(130)는 다수의 선급(10), 다수의 선사(20), 다수의 선박수리업체(30), 다수의 기자재업체(40), 다수의 선박 건조 조선소, 다수의 국가기관, 및 기타 선박제조 및 수리관련 업체, 해운관련 업체 등 여러 기관과 업체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축적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이 선박 수리를 요청받아 최적 조건을 산출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도2의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이 선급 또는 선사의 수리요청에 의해 최적조건을 산출하고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우선 단계(410)로 나타낸 것처럼 선급(10) 또는 선사(20)가 선박의 고장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01)에 접속하여 수리를 요청한다. 수리요청은 선급(10)이 선박에 대한 정기 검사에서 고장을 발견하여 선급(10)이 행할 수도 있고 선박에 갑작스런 고장이 발생하여 선 사(20)에서 수리요청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쪽에서 수리요청을 하든 수리요청을 위해 수리해야 할 부품(수리 부품), 수리해야 할 시기(수리 시기), 및 수리할 위치(수리 장소)를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통해 입력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수리 부품의 입력은, 부품정보 DB(140)를 검색하여 수리해야 할 하나 이상의 부품을 특정할 수 있고, 수리 시기 및 수리 장소는, 예컨대 입력하는 선급(10) 또는 선사(20)에서 시기와 장소를 개별적으로 직접 특정할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 모듈(101)에 해당 선박의 항로를 입력하면 시기에 따른 항구가 자동적으로 보여지도록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구성할 수도 있다.
선급 또는 선사로부터 수리 부품, 수리 시기, 및 수리 장소를 입력받은 인터페이스 모듈(101)은 이 입력정보를 최적조건 산출모듈(110)로 전송하고,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상기 입력정보 및 관리시스템(100) 내의 선박정보 DB(120), 수리업체정보 DB(130), 및 부품정보 DB(140)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리 대상인 선박에 대한 최적조건을 계산한다(단계 430).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430)는 우선 수리 부품에 대한 최적 조건을 산출한다. 부품의 최적 조건은 예컨대 다수개의 부품을 교체해야 할 경우 부품 하나씩의 가격의 합보다 다수개의 부품을 교체할 경우 할인이 적용될 경우 이를 고려할 수 있는데, 부품의 조합에 대한 할인가격은 예컨대 각 수리업체에서 미리 제시하여 수리업체정보 DB(130)에 저장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또는 부품정보 DB(140)에서 어느 특정 부품에 관한 항목에 다른 특정 부품과 함께 수리 또는 교체하면 할인된다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 부품마다 수리의 순서에 가중치를 두고 이를 부품에 대한 최적 조건 산정에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선박의 엔진 등 항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부품에 대해서는 최우선으로 수리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부품에 비해 더 높은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고, 이러한 부품별 가중치가 부품정보DB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부품별 가중치를 적용하는 간단한 예를 들면, 가중치가 높은 중요 부품(제1부품) 및 낮은 부품(제2부품)을 수리해야 하고, 이 때 동일 항구에 A와 B의 두 선박수리업체가 있는데 A업체는 제1 부품만 수리할 수 있고 B는 제2부품만 수리할 수 있는 경우,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다면) 본 발명의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A 수리업체를 선급 또는 선사에게 우선적으로 제시하고, 그 후 B수리업체로 이동하는 루트를 최적 결과로서 제시할 것이다.
또한 부품의 가중치는 위의 예에서 처럼 선박의 항해에 영향을 얼마나 끼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기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품이 정품인지 재생품인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예컨대 선박의 수명이 3년만 남았다고 가정하면(선박의 수명은 선박정보DB(120)에 저장되어 매년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굳이 가격이 비싸고 (예컨대 30년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정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재생품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의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정품 및 재생품의 가중치를 반영할 때 선박의 수명 및 정품과 재생품 각각의 가격을 변수로 고려하여 가장 최적의 부품을 선급이나 선사에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모듈(110)의 설계자가 목적에 맞게 수리해야할 부품과 관련하여 부품의 개별가격 대 조합가격, 부품별 가중치 등 여러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최적화 계산에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리 시기에 대한 최적조건의 산출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수리를 원하는 소정 요청일 전후로 특정 기간을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선급 또는 선사에서 어느 특정 날짜에 특정 항구에서 수리받기를 요청한 경우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그 특정 날짜 전후로 예컨대 2일씩 총 5일 기간동안 해당 항구 및 그 인근항구에 위치한 수리업체를 검색할 수 있고, 다수의 수리업체가 이용가능할 경우 요청 날짜에 가까운 날짜 순으로 배열하여 산출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수리 시기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부품의 중요도, 가격 및 수리업체의 위치 등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를 수리 시기의 검색에 반영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수리업체의 위치를 반영하는 경우, 선급 또는 산사가 요청한 해당 항구에 위치한 A업체는 2일을 기다려야 수리가 가능하고 그 인근 항구에 위치한 B업체는 즉시 수리가 가능하다면,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인근 항구에 위치한 B업체를 보다 최적의 결과로서 선급이나 선사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수리 시기의 검색에 부품의 중요도와 수리업체의 위치를 둘 다 반영하는 경우, 예를 들어 중요도 높은 수리 부품에 대해 선급 또는 선사가 요청한 해당 항구에 위치한 A업체는 하루를 기다려야 하고 인근 항구의 B업체는 즉시 수리가능할 경우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인근 항구의 B업체를 우선적으로 제시할 수 있고, 이 예에서 다른 조건은 동일하고 중요도가 낮은 부품을 수리해야 한다면, 하루를 더 기다리더라도 해당 항구에 위치한 A업체를 우선적으로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시간 지연, 부품의 중요도, 및 수리업체의 위치의 각각은 미리 그 가중치가 정해져서 저장되어 있으므로,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하루 지연에 따른 가중치 점수, 부품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 점수, 및 수리업체 위치에 따른 가중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최적결과 계산에 반영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가중치에 대한 정보는 일 실시예에서 선박정보 DB(120), 수리업체정보 DB(130), 및 부품정보 DB(140)에 저장될 수도 있고, 가중치만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가 별도로 관리시스템(100)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예컨대 룩업테이블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고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모듈(110)의 설계자가 목적에 맞게 수리 시기와 관련하여 부품 중요도, 부품 가격, 업체 위치 등 여러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최적화 계산에 반영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상기 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으로, 수리 장소에 대한 최적조건의 산출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로에 기초하여 요청 항구 및 그 소정 범위내의 인근 항구의 선박수리업체를 검색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선급 또는 선사에서 어느 특정 항구에서 수리받기를 요청한 경우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그 특정 항구 및 그 항구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 에 위치하는 수리업체를 검색하는데, 이때 상기 소정 거리는 선급 또는 선사에서 요청을 입력할 때 지정될 수도 있고 관리시스템(100) 자체적으로 기본값으로 설정된 거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수리 장소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각 수리업체의 수리능력, 수리부품의 재고여부, 재고가 없을 때 부품조달 시간, 수리대기시간 등에 가중치가 부여되어 이를 검색에 반영할 수 있다. 각 수리업체의 수리능력은, 예컨대 선박 등급에 따라 해당 수리업체가 특정 등급 이상의 선박은 수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크기 이상의 선박은 항구에 입항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선박의 등급(크기), 항구의 규모 및 해당 선박수리업체의 규모를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리부품의 재고여부를 반영하는 것은, 예컨대 수리를 위해 교체해야할 부품의 재고가 해당 수리업체에 없고 이를 조달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소정 기간 내에 불가능한 경우 이를 검색에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현재는 부품 재고가 없으나 부품 소정 기간내에 부품조달이 가능한 경우라면 조달가능한 기간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조달 또는 이미 다른 선박들이 수리를 하고 있는 등의 사유로 인해 당해 선박을 요청일에 수리할 수 없는 경우 이를 검색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모듈(110)의 설계자에 목적에 맞게 수리 장소와 관련하여 선박 등급, 항구 및 선박수리업체의 규모, 부품 재고 유무, 부품 조달 기간 등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최적화 계산에 반영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상기 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최적조건 산출 단계(430)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의 설명에서는 부품, 시기, 장소에 대한 최적조건 산출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각 변수가 다른 변수로부터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관련을 맺고 있으므로, 당업자는 실제 최적화 계산을 행할 때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이 위의 설명 순서대로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동시에 조건이 산출됨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선급 또는 선사가 입력한 수리부품 항목으로부터 제1의 최적화된 부품 검색결과가 도출될 수 있고, 이 부품 검색결과 및 입력된 항로로부터 제 1의 최적화된 시기 검색결과가 도출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부품 검색결과 및 입력된 항로 또는 특정 항구로부터 제1의 최적화된 장소 검색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그 후 제1의 최적화된 부품 검색결과 및 제1의 최적화된 장소 검색결과로부터 제2의 최적화된 시기가 도출되거나, 또는 제1의 최적화된 부품 및 제1의 최적화된 시기로부터 제2의 최적화된 장소가 도출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단계적 최적화를 소정횟수 반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소정 수의 최적조건 검색결과가 나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적 산출방식은 부품, 시기, 및 장소에 대한 변수를 이용하여 최적조건을 산출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당업자는 다른 방식이나 접근법을 사용하여 선급이나 선사에게 최적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4를 참조하여, 마지막으로 단계(450)에서, 최적조건 산출모듈(110)은 산출단계(430)에서 나온 결과를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통해 선급 또는 선사에게 제공한다. 이 때 최적조건의 제공은 단 하나의 결과만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결 과 중 가장 최적 조건을 갖는 순서대로 상위 소정 개수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최적조건마다 예컨대 수리업체명, 장소(국가, 항구), 수리 시기, 수리 부품의 상세(부품 가격, 제조사, 제조연월일, 정품 여부), 총 수리비용 등을 포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통해 결과를 제공받은 선급 또는 선사는 이 결과에 따라 오프라인을 통해 결과 목록에 오른 선박수리업체(30)에 연락하여 수리를 의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인터페이스 모듈(101) 상에서 최적조건을 제공받은 즉시 네트워크상으로 하나 이상의 수리업체에 수리요청을 의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박수리에 관한 업무를 인터넷상에서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하기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1은 현재의 오프라인 상에서의 선급, 선사, 선박수리업 및 기자재업체의 관계를 간략히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최적화된 선박 수리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간략히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도2의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4는 도2의 본 발명의 선박 유지보수 관리시스템이 선급 또는 선사의 수리요청에 의해 최적조건을 산출하고 제공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블록도.

Claims (9)

  1. 선박의 수리요청에 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는:
    사용자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
    사용자로부터의 선박 수리요청에 대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최적조건 산출모듈;
    선박에 대한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수리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정보 데이터베이스(DB);
    선박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해 각 부품의 고유번호, 2D 또는 3D 도면, 크기, 규격, 수명,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정보 데이터베이스(DB); 및
    선박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가능 부품,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조건 산출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 입력된 데이터, 상기 선박정보 DB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상기 부품정보 DB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수리업체정보 DB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하고, 이 결과값을 인터페이스 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최적조건 산출모듈이 상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할 때, 수리해야 할 부품의 개별가격, 다른 부품과 함께 수리할 때의 조합된 가격, 부품별 중요도, 및 부품의 정품 또는 재생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조건 산출모듈이 상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할 때,
    선박 등급, 선박수리업체의 위치와 규모, 수리부품의 재고 유무, 수리부품의 조달 기간, 및 수리대기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추가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추가의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 산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장치.
  4. 선박의 수리요청에 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선박 유지보수 관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선박에 대한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수리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선박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해 각 부품의 고유번호, 2D 또는 3D 도면, 크기, 규격, 수명,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선박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가능 부품,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수리해야 할 부품의 개별가격, 다른 부품과 함께 수리할 때의 조합된 가격, 부품별 중요도, 및 부품의 정품 또는 재생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의 산출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선박 등급, 선박수리업체의 위치와 규모, 수리부품의 재고 유무, 수리부품의 조달 기간, 수리대기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추가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의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 산출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방법.
  7. 선박의 수리요청에 대한 최적조건을 산출하기 위한 선박 유지보수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선박에 대한 설계도, 선사정보, 선급정보, 수리내역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선박에 사용되는 모든 부품에 대해 각 부품의 고유번호, 2D 또는 3D 도면, 크기, 규격, 수명, 가격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품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 및
    선박수리업체의 명칭, 장소, 수리가능 부품, 부품재고 여부, 수리가능시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업체정보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을 산출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할 때,
    수리해야 할 부품의 개별가격, 다른 부품과 함께 수리할 때의 조합된 가격, 부품별 중요도, 및 부품의 정품 또는 재생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의 산출에 반영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산출하는 단계를 실행할 때,
    선박 등급, 선박수리업체의 위치와 규모, 수리부품의 재고 유무, 수리부품의 조달 기간, 수리대기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추가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의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중치를 수리부품, 수리시기, 및 수리장소에 관한 결과값의 산출에 반영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유지보수 관리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매체.
KR1020090085835A 2009-09-11 2009-09-11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3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35A KR100936931B1 (ko) 2009-09-11 2009-09-11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2010800481478A CN102640174A (zh) 2009-09-11 2010-08-05 船运航线中船舶维修维护最优化管理方法和系统
PCT/KR2010/005155 WO2011031008A2 (ko) 2009-09-11 2010-08-05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2528735A JP2013504802A (ja) 2009-09-11 2010-08-05 船舶航路別の最適な船舶メンテナンス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35A KR100936931B1 (ko) 2009-09-11 2009-09-11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931B1 true KR100936931B1 (ko) 2010-01-13

Family

ID=4180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35A KR100936931B1 (ko) 2009-09-11 2009-09-11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504802A (ko)
KR (1) KR100936931B1 (ko)
CN (1) CN102640174A (ko)
WO (1) WO2011031008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29B1 (ko) * 2010-03-31 2012-03-22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KR101518837B1 (ko) * 2013-11-29 2015-05-12 주식회사 큐타 네트워크 상의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615945B1 (ko) * 2015-05-26 2016-04-28 사단법인 한국선급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WO2017082473A1 (ko) * 2015-11-10 2017-05-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플랜트 예지보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해양플랜트 예지보전방법
KR102478496B1 (ko) 2022-02-25 2022-12-19 (주)스카이오프쇼어 선박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532691B1 (ko) * 2022-10-25 2023-05-16 (주)마린소프트 항로기반 지능형 선박 기자재 구매조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0222B2 (ja) * 2012-01-13 2015-06-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検査支援装置及び検査支援システム
US11887407B2 (en) * 2012-09-24 2024-01-30 General Electric Company Equipment repair control system
CN103854085A (zh) * 2012-11-29 2014-06-11 瀚科科技(大连)有限公司 具有报警功能的船舶维修管理系统
CN103854516B (zh) * 2012-11-29 2016-06-08 大连君方科技有限公司 船舶航次计划管理系统
EP3006323B1 (en) * 2013-06-05 2018-05-09 Furuno Electric Co., Ltd. Navigation device and component service life notification method
JP6129218B2 (ja) * 2015-01-05 2017-05-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予備品管理システム、船舶の予備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47742B2 (ja) * 2015-03-25 2017-12-13 日本郵船株式会社 管理装置
CN105787698A (zh) * 2016-02-01 2016-07-20 成都市泰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成品车辆拆卸配件借用管理系统及方法
CN105825279A (zh) * 2016-05-27 2016-08-03 太原科技大学 一种基于预测的多部件系统成组维修决策方法和装置
CN116976865B (zh) * 2023-09-22 2023-12-19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大数据分析的船舶维修器件调配管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09A (ko) * 2000-12-23 2002-07-02 모연우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2274A (ko) * 2001-07-31 2003-02-12 (주)토스코 선박관리시스템
JP2003196411A (ja) 2001-12-28 2003-07-11 Teijin Seiki Co Ltd 航空機装備品補修関連サービス事業システム
KR100856876B1 (ko) 2006-09-07 2008-09-05 남경수 온라인을 통한 설비 보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0523B1 (en) * 2000-06-12 2008-09-30 Tariq Khalidi Automated competitive bidding system and process
JP2002234483A (ja) * 2001-02-06 2002-08-2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空気輸送設備を有する船舶の保守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09A (ko) * 2000-12-23 2002-07-02 모연우 인터넷을 이용한 차량 정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12274A (ko) * 2001-07-31 2003-02-12 (주)토스코 선박관리시스템
JP2003196411A (ja) 2001-12-28 2003-07-11 Teijin Seiki Co Ltd 航空機装備品補修関連サービス事業システム
KR100856876B1 (ko) 2006-09-07 2008-09-05 남경수 온라인을 통한 설비 보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529B1 (ko) * 2010-03-31 2012-03-22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KR101518837B1 (ko) * 2013-11-29 2015-05-12 주식회사 큐타 네트워크 상의 장비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615945B1 (ko) * 2015-05-26 2016-04-28 사단법인 한국선급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WO2017082473A1 (ko) * 2015-11-10 2017-05-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플랜트 예지보전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해양플랜트 예지보전방법
KR102478496B1 (ko) 2022-02-25 2022-12-19 (주)스카이오프쇼어 선박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532691B1 (ko) * 2022-10-25 2023-05-16 (주)마린소프트 항로기반 지능형 선박 기자재 구매조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0174A (zh) 2012-08-15
WO2011031008A2 (ko) 2011-03-17
JP2013504802A (ja) 2013-02-07
WO2011031008A3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31B1 (ko)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sarommatis et al. Zero-defect manufacturing the approach for higher manufacturing sustainability in the era of industry 4.0: a position paper
CN105493083B (zh) 用于预评估车辆诊断和维修成本估计的系统和方法
Lam Designing a sustainable maritime supply chain: A hybrid QFD–ANP approach
Chiarini Lean organization: from the tools of the Toyota Production System to lean office
Ambe et al. Framework for choosing supply chain strategies
Seo et al. The ship management firm selection: the case of South Korea
Okongwu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ptimising the order fulfilment process
Vinodh et al. Lean concept selection using modified fuzzy TOPSIS: A case study
Dalei et al. Operational efficiency assessment of oil refineri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Tobit model: evidence from India
Tomino et al. An effective integration of manufacturing and marketing system for long production cycle: a case study of Toyota Motor Company
US20230186364A1 (en) Item dimensions outlier detection sytems and methods
Kannika et al.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container seaports through sustainability: A case study of Thailand
TWI413939B (zh) 於供應鏈中修復規劃的電腦實行系統與方法及具有在供應鏈中用於修復規劃之軟體的非暫態電腦可讀媒體
Krikke et al. E-business and circular supply chains: increased business opportunities by IT-based customer oriented return-flow management
Wong Supply Chain Management for Superyacht Construction in Taiwan
Sunil et al. Identification of the barriers of Reverse Supply Chain
Fiksdahl et al. Business models in the maritime industry-A study of how Norwegian maritime actors apply and innovate their business models
Bremmer Update and Upgrade the current quality assurance in the global supply chain of a heavy truck manufacturing company: managing product quality in the North Bound Flow (NBF) at Scania Production Zwolle
Harlan et al. Analysis the Causes of Delays in Receiving Goods Services Using the Failure Modes and Effect Analysis Method (Case Study of PT Schneider Electric Manufacturing Batam)
Shi et al. Application of Markov Decision Processes (MDPs) in Petroleum Industry
TW202414206A (zh) 整合裝置及整合程式
JP2005263367A (ja) 取引先候補の選別方法およびその選別装置
Walden et al. Reverse Logistics
Rick et al. Analysis of First-Time Completion in the Field Service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