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945B1 -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945B1
KR101615945B1 KR1020150073018A KR20150073018A KR101615945B1 KR 101615945 B1 KR101615945 B1 KR 101615945B1 KR 1020150073018 A KR1020150073018 A KR 1020150073018A KR 20150073018 A KR20150073018 A KR 20150073018A KR 101615945 B1 KR101615945 B1 KR 10161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intenance
hull
ship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렬
길우성
박진영
박개명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선급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to KR1020150073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선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선박의 고장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들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인 단말기(210)(220 : 221, 222, 223)(230 : 231, 232, 233)와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20)와, 3D 선체 모델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적합한 가시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와, 유지/보수 메뉴얼, 3D 가시화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유지보수나 고장 시 정보를 취합하는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와, 상기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로부터 제공되는 선박 모델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와, 상기 선박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정보, 관리자들의 특정 선체 관리구역 정보, 선체구역별 3D 가시화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 메뉴얼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주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관리자 정보에 대하여는 선체구역별로 이중화 및 상호 체크가 가능하도록 관리자들의 등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 및 상기 통신부(110), 인터페이스(120),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의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00), 상기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상기 기기 중 관리자 모니터에 상기 이벤트 발생이 표시되는 단계(S210); 상기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를 판단하여(S220),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고장이라면,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상기 고장에 대한 담당자정보, 고장처리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상기 관리자들의 직급별로 선택적으로 취합하는 단계(S230)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고장을 처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40)와, 상기 관리자들의 단말기로부터 고장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25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고장처리 메뉴얼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60) 및 상기 제어부(170)는 고장처리가 완료되면(S270), 상기 고장처리가 완료되었다면 해당 관리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고장 처리 완료를 전송하는 단계(S280); 및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유지보수주기라면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상기 유지보수에 대한 유지보수 담당자정보, 유지보수처리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관리자의 직급별로 선택적으로 취합하는 단계(S290)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기로 취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기 관리자들의 단말기로부터 유지보수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31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유지보수처리 메뉴얼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처리가 완료되면(S330), 해당 담당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유지보수 처리 완료를 전송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관리자 정보에 대하여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급, 중급 및 하급관리자로 구분된 경우 상기 상급 관리자의 단말기로는 고장상황이나 유지보수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중급 및 하급 관리자의 단말기로는 고장선체 부분을 포함하는 고장상황, 유지/보수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 또는 유지보수선체 부분을 포함하는 유지보수상황, 유지/보수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3D model-basedhull using smart management server of 3D model-based hull}
본 발명은 선체(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관련 산업과 IT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선박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항하기 위한 선박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요 선박 자동화 시스템으로는 레이더 시스템, 선박자동식별 시스템, 전자 해도 표시 시스템, 선박보안경보 시스템, 항해자료기록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은 항해정보 관리와 선내 각 설비의 감시 및 조작 기능을 통해 선내 노동의 경감, 선박의 안전성 향상, 운항의 경제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반면, 선박 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은 시스템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선원들과 선박 및 선박의 기자재를 보급하는 사업자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선박은 운항 중에는 접근이 쉽지 않고 입출항 장소와 시간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에 어려움이 존재하며, 이로 인한 서비스 엔지니어의 방문 대기시간 및 방문횟수의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와 발생된 문제의 조치 지연에 따른 선주 및 선원의 불만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육상에서 선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원격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원격 선박 유지보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와 같은 선행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 10-2010-0100104호(2010년09월15일 공개)된 원격 유지보수 관리 장치 및 방법이 있다. 해당 특허는 선박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선박 및 선박기자재의 상태를 점검하여 원격에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선박기자재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일반적인 생애주기(Life Cycle)와 비교하고, 추론을 통하여 선박기자재의 생애주기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해당 특허는 단순한 원격 유지보수 기술 중 하나로 숙련된 사용자가 아니면 해당 원격 기술을 원활히 다루기 어렵고, 유지보수에 필요한 부분이 단순 데이터에 그쳐 그에 대한 대응방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 및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서버(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조선소 PC(10)는 선박(선체)정보(도면, 3D 모델, 성능해석자료, 도장, 두께, 용접상태, 재활용 등)를 제공한다.
해운사 PC(20)는 선박(선체)의 운항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선급 PC(30)는 선박(선체)의 검사 품질 및 안전 확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자재 업체(PC)(40)는 선박(선체)의 기자재 센부 정보를 제공한다.
정부/IACS(PC)(50)는 선박의 검사/인증 정보를 제공한다.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서버(60)는 통신부(61), 데이터베이스(62), 인터페이스(63) 및 제어부(64)로 구성되어, 유지/보수 이력정보, 잔여수명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62)는 기자재 정보 DB, 도면/메뉴얼 정보 DB, 자재구매 정보 DB, 잔여수명 정보 DB, 검사인증정보 DB, 유지/보수이력정보 DB 및 3D 선체 모델 정보 DB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생애주기 관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생애주기 관리 개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계, 건조, 운항 및 유지보수 그리고 재활용 및 사후처리로 나눌 수 있다.
조선소에서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영업, 설계 및 건조,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하여 관리하고, 각종 도면이나 제품 개발 정보를 협력회사, 기자재업체 등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의 개념을 확장하여, 선박 및 해양플랜트가 인도된 후의 운영 및 폐선단계까지 고려한 새로운 개념의 선박해양 생애주기 관리 개념의 도입 및 시스템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경우 조선소의 생산 단계에서의 설계 및 건조 비용보다 인도 이후 해운사의 운영단계에서 필요한 비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실제 최근 많이 건조되고 있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의 경우 운용/유지보수 및 검사 비용이 전체 비용의 90%라고 하고 있으므로, 설계 및 건조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운영단계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을 높이고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 등 운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 시스템은 조선소의 생산(설계 및 건조)단계에서 생성된 운용에 필요한 정보(도면, 3D 모델, 성능해석 자료, 도장, 두께, 용접상태, 재활용 등)를 포함하고 있는 ‘3D 형상의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운영단계의 정보(운항, 유지보수, 검사, 수리, 손상, 재활용 등)를 활용하여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한 생애주기 관리 시스템으로 인도단계 시스템, 탑재용 운영시스템 및 육상용 정보시스템으로 나뉘어져 있다.
인도단계 시스템은 조선소의 기간시스템(Legacy System)으로부터 설계 및 건조과정의 흐름 속에서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탑재용 운영시스템은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 탑재되어 운영 시의 정보(운항, 유지보수, 검사, 수리, 손상 등)를 획득하고, 이 정보를 활용하여 운영을 지원하는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을 포함한다.
육상용 정보시스템은 조선소, 해운사 및 선급 등에서 수십~수천 척의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을 포함한 대용량 선박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선박해양 데이터 통합 플랫폼’ 기반의 정보시스템이다.
한편 조선소, 해운사 및 선급 등의 기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모듈과, 선육간 데이터 통신 모듈육상용 정보시스템과 탑재용 운영시스템과의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선육간 데이터 통신 모듈 및 선박 및 해양 플랜트의 제품구조 정보와 3D 형상 정보를 중심으로 운용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제반 정보(규칙, 설계/건조, 기자재, 검사, 기록관리, 운항, 정비, 일반)를 통합한 선박해양 통합정보 모델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은 서로 연관이 있는 여러 조직 간의 원활한 정보 공유 및 유기적 협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노트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가벼우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시스템으로 구현하고,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권한 부여 및 보안 관리를 통하여 정보 유출 방지 기능 구현이 필요하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획 코드가 매칭되면 모델의 구획과 CHS코드와의 매칭을 수행한다(S100).
그 다음 구획별 검사일정을 수립한다(S110).
이어서 캘린더 GUI를 활용하여 구획 별 검사 일정 수립한다(S120).
그러면 검사 내역 및 상세 현황보기가 수행된다(S130).
이어 3D뷰 화면에서는 일정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S140).
그 다음 검사자, 작성일 등을 등록한다(S150).
이어 대상 구획을 선택한다(S160).
그리고 상세 검사 결과를 입력한다(S170).
이어서 설계 두께를 확인하고(S180), 선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손상정보를 가시화하고 관련 미디어 첨부된다(S190).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에 관한 것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은 없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0762호(2014년04월24일 등록) - 조선 해양 구조물의 측정 및 정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5097(2010년04월20일 등록) - 온도차에 기인한 갑판의 면외변형 판단방법 3.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5223호(2012년07월31일 공개) -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25803호(2014년03월05일 공개) -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동적 위치 유지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선체 관리 방법은,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선박의 고장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들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인 단말기(210)(220 : 221, 222, 223)(230 : 231, 232, 233)와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20)와, 3D 선체 모델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적합한 가시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와, 유지/보수 메뉴얼, 3D 가시화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유지보수나 고장 시 정보를 취합하는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와, 상기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로부터 제공되는 선박 모델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와, 상기 선박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정보, 관리자들의 특정 선체 관리구역 정보, 선체구역별 3D 가시화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 메뉴얼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주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관리자 정보에 대하여는 선체구역별로 이중화 및 상호 체크가 가능하도록 관리자들의 등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 및 상기 통신부(110), 인터페이스(120),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의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00), 상기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상기 기기 중 관리자 모니터에 상기 이벤트 발생이 표시되는 단계(S210); 상기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를 판단하여(S220),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고장이라면,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상기 고장에 대한 담당자정보, 고장처리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상기 관리자들의 직급별로 선택적으로 취합하는 단계(S230)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고장을 처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40)와, 상기 관리자들의 단말기로부터 고장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25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고장처리 메뉴얼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60) 및 상기 제어부(170)는 고장처리가 완료되면(S270), 상기 고장처리가 완료되었다면 해당 관리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고장 처리 완료를 전송하는 단계(S280); 및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유지보수주기라면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상기 유지보수에 대한 유지보수 담당자정보, 유지보수처리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관리자의 직급별로 선택적으로 취합하는 단계(S290)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기로 취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기 관리자들의 단말기로부터 유지보수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31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유지보수처리 메뉴얼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처리가 완료되면(S330), 해당 담당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유지보수 처리 완료를 전송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관리자 정보에 대하여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급, 중급 및 하급관리자로 구분된 경우 상기 상급 관리자의 단말기로는 고장상황이나 유지보수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중급 및 하급 관리자의 단말기로는 고장선체 부분을 포함하는 고장상황, 유지/보수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 또는 유지보수선체 부분을 포함하는 유지보수상황, 유지/보수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가용 가능 시간의 증가, 운항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사 기술 등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 및 시스템을 스마트기기를 통해 구현을 할 수 있다.
둘째, 3D에 의한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스마트 기기를 통해 유지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경우 초보자라 하여도 유지보수가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국제 표준의 지원 및 운영 단계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새로운 표준 제안을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생애주기 관리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시스템에 따른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운영단계 생애주기 관리 기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는 2014년01월22일 10-2014-0007964호로 특허출원되고, 2014년04월07일 10-1384863호로 등록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개량발명으로, 3차원 모델 기반의 선체 관리시 현장에서 실제로 발생하는 고장이나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관리자나 현장 담당자의 스마트 기기로 고장수리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선체부분에 대한 3차원 가시화 정보와 고장 및 유지보수 메뉴얼을 필요에 따라 제공하고, 고장이나 유지보수 처리에 대한 관리를 이중화함으로써 빠른 고장처리나 안정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110), 인터페이스(120),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 및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통신부(1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선박의 고장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들의 단말기(210)(220 : 221, 222, 223)(230 : 231, 232, 233) 등과 통신한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이다
인터페이스(120)는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100)의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기기(모니터, 프린터, 마우스, 키보드)와 연결된다.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는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의 3D 선체 모델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적합한 가시화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데이터는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선체구역별 3D 가시화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시화 변환부는 관리자의 일반 모니터 환경과 스마트 기기의 해상도 차이에 기인할 수 있는데, 일반 모니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인 스마트 기기에 적합한 3D 데이터 크기로 변환한다면 데이터 저장이나 송수신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유지보수나 고장 시 정보를 취합하는데 그러한 정보로는 유지/보수 메뉴얼, 3D 가시화 정보가 있으며, 이는 관리자 등급별로 달라 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경험이 많거나 직급이 높은 상급 관리자와, 경험이 상급 관리자에 비해 적거나 직급이 낮은 하급 관리자 및 상급 관리자와 하급 관리자 사이의 중급 관리자 각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정보를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직접 적인 현장 실무는 하급 관리자나 중급 관리자가 주로 처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상급자 단말기보다 중급이나 하급자 단말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를 보내고, 상급 관리자에게는 유지보수, 고장 발생 등의 상황만 보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기자재 정보 DB, 도면/메뉴얼 정보 DB, 자재구매 정보 DB, 잔여수명 정보 DB, 검사인증정보 DB, 유지/보수이력정보 DB 및 3D 선체 모델 정보 DB 등으로 구성된다.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는 관리자들의 정보(스마트 기기 정보, 이름), 관리자들의 특정 선체 관리구역 정보, 선체구역별 3D 가시화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 메뉴얼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주기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관리자들의 정보는 선체구역별로 이중화하고, 관리자들의 등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선체의 고장,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인터페이스(120),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방법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하면(S200),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관리자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표시한다(S210).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를 판단한다(S220).
발생한 이벤트가 고장이라면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고장담당자정보/고장처리 메뉴얼/3D 가시화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합한다(S230).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직급별로 취합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70)는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고장을 처리하는 담당자들의 스마트기기로 취합정보를 전송한다(S240). 이때 상급관리자 단말기로는 고장상황을 전송하고, 중급 및 하급 관리자에게는 고장상황(고장선체 부분 등), 유지/보수 메뉴얼, 3D 가시화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어 만약 고장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250), 제어부(170)는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고장처리 메뉴얼을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S260).
한편 제어부(170)는 고장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S270), 고장처리가 완료되었다면 해당 담당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고장 처리 완료를 전송한다(S280).
그리고 판단결과(S220), 발생한 이벤트가 유지보수라면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유지보수담당자정보/유지보수처리 메뉴얼/3D 가시화 정보를 선택적으로 취합한다(S290). 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자의 직급별로 취합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170)는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담당자들의 스마트기기로 취합정보를 전송한다(S300). 이때 상급관리자 단말기로는 유지보수상황을 전송하고, 중급 및 하급 관리자에게는 유지보수상황(유지보수선체 부분 등), 유지/보수 메뉴얼, 3D 가시화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어 만약 유지보수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310), 제어부(170)는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유지보수처리 메뉴얼을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한다(S320).
한편 제어부(170)는 유지보수처리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S330), 유지보수처리가 완료되었다면 해당 담당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유지보수 처리 완료를 전송한다(S340).
물론 고장처리와 유지보수 처리의 담당자가 겹칠 수도 있다. 한편 고장처리와 유지보수의 차이점은 고장의 경우 즉시성이 요구되고, 유지보수는 설정된 기한내에 처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3차원 선박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
110 : 통신부 120 : 인터페이스
130 :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 140 :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
150 :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
160 :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170 : 제어부
210, 220, 23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2)

  1.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선박의 고장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자들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인 단말기(210)(220 : 221, 222, 223)(230 : 231, 232, 233)와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20)와, 3D 선체 모델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적합한 가시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와, 유지/보수 메뉴얼, 3D 가시화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유지보수나 고장 시 정보를 취합하는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와, 상기 조선소 PC(10), 해운사 PC(20), 선급 PC(30), 기자재 업체(PC)(40), 정부/IACS(PC)(50)로부터 제공되는 선박 모델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와, 상기 선박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정보, 관리자들의 특정 선체 관리구역 정보, 선체구역별 3D 가시화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 메뉴얼 정보, 선체구역별 유지/보수주기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관리자 정보에 대하여는 선체구역별로 이중화 및 상호 체크가 가능하도록 관리자들의 등급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는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 및 상기 통신부(110), 인터페이스(120), 3D 데이터 가시화 변환부(130),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 선박 모델 기본 정보 데이터베이스(150),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의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200), 상기 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상기 기기 중 관리자 모니터에 상기 이벤트 발생이 표시되는 단계(S210);
    상기 제어부(170)는 발생된 이벤트를 판단하여(S220),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고장이라면,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상기 고장에 대한 담당자정보, 고장처리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상기 관리자들의 직급별로 선택적으로 취합하는 단계(S230)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고장을 처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40)와, 상기 관리자들의 단말기로부터 고장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25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고장처리 메뉴얼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60) 및 상기 제어부(170)는 고장처리가 완료되면(S270), 상기 고장처리가 완료되었다면 해당 관리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고장 처리 완료를 전송하는 단계(S280); 및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유지보수주기라면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는 상기 유지보수에 대한 유지보수 담당자정보, 유지보수처리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관리자의 직급별로 선택적으로 취합하는 단계(S290)와,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 정보 취합부(140)에서 취합된 정보를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유지보수를 처리하는 관리자들의 단말기로 취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00)와, 상기 상기 관리자들의 단말기로부터 유지보수 처리를 위한 메뉴얼 요청이 있다면(S31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60)의 유지보수처리 메뉴얼을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320) 및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유지보수처리가 완료되면(S330), 해당 담당자의 관리자 그룹의 전체 단말기로 유지보수 처리 완료를 전송하는 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관리자 정보에 대하여 상기 선박 모델 스마트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급, 중급 및 하급관리자로 구분된 경우 상기 상급 관리자의 단말기로는 고장상황이나 유지보수상황을 전송하고, 상기 중급 및 하급 관리자의 단말기로는 고장선체 부분을 포함하는 고장상황, 유지/보수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 또는 유지보수선체 부분을 포함하는 유지보수상황, 유지/보수 메뉴얼 및 3D 가시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2. 삭제
KR1020150073018A 2015-05-26 2015-05-26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KR10161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18A KR101615945B1 (ko) 2015-05-26 2015-05-26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18A KR101615945B1 (ko) 2015-05-26 2015-05-26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945B1 true KR101615945B1 (ko) 2016-04-28

Family

ID=5591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018A KR101615945B1 (ko) 2015-05-26 2015-05-26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6073A (zh) * 2021-04-27 2021-08-13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实时故障报警系统及方法
KR102310843B1 (ko) * 2020-11-26 2021-10-12 (주)포미트 선박 운영 기술정보의 사용자 환경 기반의 시각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82A (ko) * 2002-11-28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용자 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4288B1 (ko) * 2007-03-29 2008-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3d 모델 및 자산관리 시스템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55097B1 (ko) 2008-01-16 2010-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온도차에 기인한 갑판의 면외변형 판단방법
KR20120085223A (ko) 2012-06-15 2012-07-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20140025803A (ko)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동적 위치 유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84863B1 (ko) * 2014-01-22 2014-04-14 사단법인 한국선급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390762B1 (ko) 2012-10-19 2014-04-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 해양 구조물의 측정 및 정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882A (ko) * 2002-11-28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용자 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74288B1 (ko) * 2007-03-29 2008-1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3d 모델 및 자산관리 시스템
KR100955097B1 (ko) 2008-01-16 2010-04-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온도차에 기인한 갑판의 면외변형 판단방법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085223A (ko) 2012-06-15 2012-07-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KR20140025803A (ko) 2012-08-22 2014-03-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동적 위치 유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90762B1 (ko) 2012-10-19 2014-04-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조선 해양 구조물의 측정 및 정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84863B1 (ko) * 2014-01-22 2014-04-14 사단법인 한국선급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843B1 (ko) * 2020-11-26 2021-10-12 (주)포미트 선박 운영 기술정보의 사용자 환경 기반의 시각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13256073A (zh) * 2021-04-27 2021-08-13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实时故障报警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720B1 (ko) 해양자원 생산장비의 예지보전을 위한 고장유형관리 장치 및 방법
JP4885759B2 (ja)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701278B1 (ko) 선박/해양플랜트의 원격 검사 및 유지보수 시스템
KR101210918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EP2378468A1 (en) Platform for aircraft maintenance services and asset management
US20140330604A1 (en) Operato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Nascimento et al. An integrated inspection system for belt conveyor rollers
KR101315259B1 (ko) 선박의 원격 유지보수 관리시스템
KR101615945B1 (ko) 3차원 모델 기반 선체의 스마트 관리 서버를 이용한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CN102262402B (zh) 用于提供工业工厂信息的方法和设备
CN103971294A (zh) 一种基于输变电设备状态评估信息展现系统
KR100780450B1 (ko)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KR102146365B1 (ko) 선내와 육상에서 선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KR20120085223A (ko) 부유식 구조물의 자동화된 유지보수관리 시스템
Ebrahimi Effect analysis of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d Safety (RAMS) Parameters in design and operation of Dynamic Positioning (DP) systems in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KR102558165B1 (ko) 안벽 호선 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 스케줄 최적화 시스템
CN107251087A (zh) 数据处理系统及使用数据处理系统的方法
Khalid et al. Cost‐benefit assessment framework for robotics‐driven inspection of floating offshore wind farms
Ando Smart ship application platform project (ssap project)
KR20140070819A (ko) 모니터링 시스템 기반의 조선소 작업장 선체블록 배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84863B1 (ko) 3차원 모델 기반 선체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1915033A (zh) 一种船舶检修监控系统及方法
Scherer et al. The evolution of machinery control systems support at the naval ship systems engineering station
Ando Activities of smart ship application platform 2 project (SSAP2)
KR20150019832A (ko) 선박검사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