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450B1 -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 Google Patents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450B1
KR100780450B1 KR1020070079507A KR20070079507A KR100780450B1 KR 100780450 B1 KR100780450 B1 KR 100780450B1 KR 1020070079507 A KR1020070079507 A KR 1020070079507A KR 20070079507 A KR20070079507 A KR 20070079507A KR 100780450 B1 KR100780450 B1 KR 10078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ndis
branch
thermal imag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환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대광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대광전기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대광전기
Priority to KR102007007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8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involving the use of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설비의 열화(劣化)상태를 정확하게 관측하기 위하여 원격 열화 관측 장비를 배전설비에 근접시켜 열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배전설비 정기 진단 시 현장에서 진단 장비를 통해 관측된 정보를 무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현장의 작업결과를 다목적 활선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관제 체제를 구축하고, 회피가능한 잠재정전가능시간을 제거하여 영(零)시간 정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전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사/지점에서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와 RDBS(Database Session)에서 관리하는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관리 서버를 통해 다수의 감독자 단말기(PC)에 전달하여 도면추출, 열화상 진단 결과를 반영하도록 하고, 상기 도면추출, 열화상 진단 결과를 인터넷 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DB)가 연결된 중계서버, 도면서버, WEB 서버를 포함하는 중계센터에 전달하여 도면 저장관리, 지사/지점에서 열화상 진단 및 차량 간 자료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중계센터로부터 모바일을 통해 도면 저장관리, 지사/지점에서 열화상 진단 및 차량 간 자료중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열화상 진단 시행, 진단결과 관리 및 진단 자료를 자동 변환하도록 하는 다목적 활선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앤디아이에스(NDIS),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처방, 다목적 활선차

Description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Management System for Distribution System of Power degradation in connection with 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설비의 열화(劣化)상태를 정확하게 관측하기 위하여 원격 열화 관측 장비를 배전설비에 근접시켜 열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배전설비 정기 진단 시 현장에서 진단 장비를 통해 관측된 정보를 무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현장의 작업결과를 다목적 활선차량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관제 체제를 구축하고, 회피가능한 잠재정전가능시간을 제거하여 영(零)시간 정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한전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전력공사는 2005년 3월부터 전국의 모든 사업장에서 한전의 배전설비 운영계획, 시공설계, 공사관리, 설비운영 등의 종합적인 운영관리 데이터 베이스 구축시스템인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에 의해 업무 처리가 이루 어지도록 정착되어 서류의 간소화(paperless), 업무의 능률 향상을 가져왔으며 GIS에 의한 정보기반 구축으로 배전계획에서 설계, 시공, 준공 후 설비관리 등 모든 배전업무의 전체과정을 통합시스템으로 운영함으로써 배전업무가 정확, 신속, 간편하게 되었다.이에 따라 배전설비 유지보수에 투여되는 공간적, 시간적, 경제적 문제 해결방안으로 다기능 무 정전 보수차량 개발과 동시에 마스터 붐 부착 카메라로 근접 촬영하여 열화 진단 결과를 실시간(realtime)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진단결과가 한전 NDIS와 연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행 배전설비의 종합적인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할 필요성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 와서, 국내의 경우, 전력선 통신인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반을 구축하고, 주요 배전설비에 감시용 센서를 부착하여 배전설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체제는 PLC 기반구축, 센서 개발, 인프라 구축비용 등의 측면에서 볼 때 미래지향적인 연구로서, 근시일 내에 현장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아직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무선통신망 및 센서 기술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감시체계 연구가 학계를 중심으로 시작되고는 있으나, 통신 인프라 구축과 센서 개발 및 운용기술 개발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유지보수 차량은 부품 수입을 통한 조립생산 수준이거나 고가의 수입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도 유지보수 차량에 로봇 매니플레이터(manipulator)를 장착하여 활 선작업을 원격으로 시공하는 기술이 개발 중에 있다.
한편, 미국의 경우, 세계최초로 무정전 활선작업을 개발하였고, 활선작업에 필요한 절연공구, 절연장비, 보호구장비에 필수적인 절연 FRP와 절연 고무(Rubber) 등 절연 소재공학의 발전을 주도하며 활선공법의 선두주자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는 이동형 열화측정장비를 개발하여 예방업무를 기하고 있으며, 송전선로 활선 작업용 로봇을 개발하였다.
한편, 일본의 경우, 일본의 전력설비 운영은 동경전력, 구주전력, 서국전력 등 민간전력회사들의 전력기술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배전설비에서의 작업정전 감축을 위한 무정전 작업방법은 일본의 전력회사인 구주전력과 기술제휴를 시작으로 1990년 바이패스케이블(By-Pass Cable)공법을 도입하였고, 1994년도부터 기계화 작업이 널리 보급되면서 각종 무정전 공법 들이 국내에 도입되어 왔다.
특히 구주전력에서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조기도입과 배전설비 열화진단등 예방차원의 진단업무를 실시하여 1989년에 이미 작업 정전 제로(Zero)화를 달성하였고, 접촉식 누설전류 측정기 등 다양한 유지보수 관련 계측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다.
1980년초부터 활선작업용 로봇 개발을 시작으로 버켓 오퍼레이션(Bucket Operation)방식과 그라운드 오퍼레이션(Ground Operation)방식을 채택하여 PHASE Ⅲ 단계까지 개발되었으나, 다양한 작업환경 등으로 인해 작업자를 완전히 대체할 수준의 로봇 개발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배전설비의 열화상 진단 관리 및 분석에 관한 기술로서, 스몰월드(Smallworld)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추출하여 현장업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CAD 포맷인 DXF, ESRI사의 GIS 포맷인 SHP, 스몰월드 엑스트랙터(Extractor) 및 필드 메니저(Field Manager)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상기 DXF 및 SHP의 경우에는 그래픽 데이터에 국한되기 때문에 속성 관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고, 스몰월드엑스트랙터의 경우에는 데이터 모델의 일치 및 추출된 데이터 접근을 위한 라이센스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필드 메니저의 경우에는 데이터 모델에 상관없이 필요로 하는 속성만 추출이 가능 하고 이미 그 기술을 협력업체 준공 처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준공도면 작성 시스템(DMS)이란 호칭으로 현업에서 사용 중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NDIS 상에서 열화상 진단에 필요한 설비 정보만을 추출하여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현장과 지사/지점과의 신속한 정보 송수신을 통하여 배전설비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보수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전설비의 열화(劣化)상태를 정확하게 관측하기 위하여 원격 열화 관측 장비를 배전설비에 근접시켜 열화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배전설비 정기 진단 시 현장에서 진단 장비를 통해 관측된 정보를 무선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현장의 작업결과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한 전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와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통계 및 분석결과를 근간으로 배전설비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관리시스템은, 지사/지점에서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와 RDBS(Database Session)에서 관리하는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관리 서버를 통해 다수의 감독자 단말기(PC)에 전달하여 도면추출, 열화상 진단 결과를 반영하도록 하고, 상기 도면추출, 열화상 진단 결과를 인터넷 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DB)가 연결된 중계서버, 도면서버, WEB 서버를 포함하는 중계센터에 전달하여 도면 저장관리, 지사/지점에서 열화상 진단 및 차량 간 자료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중계센터로부터 모바일을 통해 도면 저장관리, 지사/지점에서 열화상 진단 및 차량 간 자료중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열화상 진단 시행, 진단결과 관리 및 진단 자료를 자동 변환하도록 하는 다목적 활선차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영(零)시간 정전품질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실시간 유지보수 관제체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배전설비 진단 및 유지보수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단일차량 복합기능 무정전 유지보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회피 가능한 잠재정전가능시간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체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공법은,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지사/지점의 GIS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로부터 도면을 추출하여 작업발주를 위한 도면/작업정보를 중계센터의 중계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도면/작업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PC)에 저장하고 전력사용량을 기초로 진단 우선순위를 결정한 후,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하고 진단 판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 결과보고서를 작성한 후 상기 중계서버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최종진단 결과에 반영하도록 해당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RDBS(Database Session)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단계 이후, 상기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긴급 보수건 발생 시 해당사항을 상기 감독자 단말기에 보고 하고,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부터의 보수지시에 따른 설비보수를 행 한 후 보수 결과를 상기 감독자 단말기에 보고하는 동시에 감독자 단말기에서는 보수결과에 따른 NDIS 도면 수정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GIS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은, 수행기업의 기대효과로서, GIS 기술을 근간으로 향후 발생할 현장업무 지원 시스템 개발 시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전력사업의 기대효과로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배전설비 정보를 제공하고, 진단결과를 보고받아 그 결과를 관리함으로써 업체 내방의 최소화에 따른 시간적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고, 기존 문서관리 방식에서 탈피하여 열화상 진단 결과를 시스템으로 관리함으로써 수작업 분석과 같은 비 효율적인 업무를 개선할 수 있으며, 현장 진단 후 즉각적인 위험설비 교체 및 데이터베이스(DB)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관리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전 사업본부/지사/지점에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를 관리하는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1),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관리하는 RDBS(Database Session)(2), 관리서 버(3), 다수의 감독자 단말기(4,.....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영(零)시간 정전품질 보장, 실시간 유지보수 관제체제, 배전설비 진단 및 유지보수, 단일차량 복합기능 무정전 유지보수, 회피 가능한 잠재정전가능시간 제거 및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체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화이어 월(5) 및 인터넷망(6)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3)와 연결되는 중계센터에는 데이터베이스(7)가 연결된 중계서버(8), 도면서버(9) 및 WEB 서버(10)가 구비되어 있다.
다목적 활선차(13)에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12) 및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1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지사/지점의 GIS(1)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로부터 도면을 추출(S1)하여 작업발주(S2)를 위한 도면/작업정보를 중계센터에 구비된 중계서버(8)에 전송하는 단계와.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8)로부터 전송되는 도면/작업정보를 GPS(12)를 통해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PC)(14)에 저장(S3)하고, 전력사용량을 기초로 진단 우선순위를 결정(S4)한 후,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S5)하고 진단 판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 결과보고서를 작성(S6)한 후 상기 중계서버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10A)를 통해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8)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10A)에 저장된 데이터 를 수신하여 최종진단 결과에 반영(S7)하도록 해당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RDBS(Database Session)(2)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S5)단계 이후, 상기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에서는 긴급 보수건 발생 시 해당사항을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 보고(S8) 하고, 상기 감독자 단말기(PC)로부터의 보수지시(S9)에 따른 설비보수(S10)를 행한 후 보수 결과를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 보고(S11)하는 동시에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보수결과에 따른 NDIS 도면 수정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GIS(1)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목적 활선차의 개략구조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와 같이 다목적 활선차(13)에 탑재된 마스터 붐(20)의 상단에 근거리 진단을 위한 근접 진단용 카메라(21)가 부착 설치되고, 다목적 활선차(13)의 운전석 상단에는 원거리 진단을 위한 원격 진단용 카메라(22)가 부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지사/지점의 GIS(1)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로부터 도면을 추출(S1)한 후, 작업발주(S2)를 위한 도면/작업정보를 중계센터에 구비된 중계서버(8)에 전송한다.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8)로부터 전송되는 도면/작업정보를 GPS(12)를 통해 수신하여 로컬디스크를 통해 해당 단말기(PC)(14)에 저 장(S3)한다.
상기와 같이 도면/작업정보를 해당 단말기(PC)(14)에 저장한 후, 전력사용량을 기초로 진단 우선순위를 결정(S4)한 후,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S5)하고 진단 판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 결과보고서를 작성한다(S6).
이어서, 최종 진단 결과보고서를 작성한 후 상기 중계서버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10A)를 통해 저장하고,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8)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10A)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최종진단 결과에 반영(S7)하도록 해당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RDBS(Database Session)(2)에 전송한다.
상기한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零)시간 정전품질 보장, 실시간 유지보수 관제체제, 배전설비 진단 및 유지보수, 단일차량 복합기능 무정전 유지보수, 회피 가능한 잠재정전가능시간 제거 및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체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S5)단계 이후, 상기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에서는 긴급 보수건 발생 시 해당사항을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 보고한다(S8).
긴급 보수건 접수(S9)를 받은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의 해당 단말기(14)에 보수지시(S9)에 따른 설비보수(S10)를 행하도록 한다.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의 해당 단말기(14)는 상기 감독자 단말기(PC)로 부터의 보수지시(S9)에 따른 설비보수(S10)를 행한 후 보수 결과를 상기 감독자 단말(PC)에 보고(S11)하는 동시에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보수결과에 따른 NDIS 도면 수정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GIS(1)에 전송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진단 시는 다목적 활선차(13)에 탑재된 마스터 붐(20)의 상단에 부착 설치된 근접 진단용 카메라(21)가 작동하게 되고, 원거리 진단 시는 다목적 활선차(13)의 운전석 상단에 부착 설치된 원격 진단용 카메라(22)가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만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공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열화상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목적 활선차의 개략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GIS 2 : RDBS
3 : 지사/지점 관리서버 4: 감독자 단말기(PC)
5: 화이어 월(Fire Wall) 6: 인터넷망
7: 데이터베이스(DB) 8: 중계 서버
9: 도면 서버 10: 웹 서버
10A: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11: 모바일
12: GPS 13: 다목적 활선차
14: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 20: 마스트 붐
21: 근접 진단용 카메라 22: 원격 진단용 카메라

Claims (9)

  1. 지사/지점에서는 GIS(1)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와 RDBS(2)에서 관리하는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관리 서버(3)를 통해 다수의 감독자 단말기(4,....4)에 전달하여 도면추출, 열화상 진단 결과를 반영하도록 하고,
    상기 도면추출, 열화상 진단 결과를 인터넷 망(6)을 통해 데이터베이스(7)가 연결된 중계서버(8), 도면서버(9), WEB 서버(10)를 포함하는 중계센터에 전달하여 도면 저장관리, 지사/지점에서 열화상 진단 및 차량 간 자료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중계센터로부터 모바일(11)을 통해 도면 저장관리, 지사/지점에서 열화상 진단 및 차량 간 자료중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열화상 진단 시행, 진단결과 관리 및 진단 자료를 자동 변환하도록 하는 다목적 활선차(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영(零)시간 정전품질을 보장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실시간 유지보수 관제체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배전설비 진단 및 유지보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단일차량 복합기능 무정전 유지보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회피 가능한 잠재정전가능시간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데이터는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체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시스템.
  8.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지사/지점의 GIS에서 관리하는 속성 및 도면 데이터로부터 도면을 추출하여 작업발주를 위한 도면/작업정보를 중계센터의 중계서버(8)에 전송하는 단계와;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8)로부터 전송되는 도면/작업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PC)에 저장하고 전력사용량을 기초로 진단 우선순위를 결정한 후,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하고 진단 판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 결과보고서를 작성한 후 상기 중계서버(8)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10A)를 통해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감독자 단말기(PC)에서는 상기 중계서버(8)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10A)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최종진단 결과에 반영하도록 해당 열화상 진단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RDBS(2)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 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진단 및 진단내역을 자동입력단계 이후, 상기 진단업체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긴급 보수건 발생 시 해당사항을 상기 감독자 단말기에 보고하고, 상기 감독자 단말기로부터의 보수지시에 따른 설비보수를 행한 후 보수 결과를 상기 감독자 단말기에 보고하는 동시에 감독자 단말기에서는 보수결과에 따른 NDIS 도면 수정 데이터를 지사/지점의 GIS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앤디아이에스(NDIS)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 종합 관리공법.
KR1020070079507A 2007-08-08 2007-08-08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KR10078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507A KR100780450B1 (ko) 2007-08-08 2007-08-08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507A KR100780450B1 (ko) 2007-08-08 2007-08-08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450B1 true KR100780450B1 (ko) 2007-11-28

Family

ID=3908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507A KR100780450B1 (ko) 2007-08-08 2007-08-08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45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3780A (zh) * 2012-06-13 2012-10-10 栾城县供电局 电力系统配网能量管理系统
CN102931725A (zh) * 2012-10-19 2013-02-13 广东电网公司电力科学研究院 电力调度主站式综合智能防误系统自动拓扑着色方法
CN104167818A (zh) * 2014-08-20 2014-11-26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与gis变电站综合自动化系统联动的远程智能巡检系统及方法
CN104269922A (zh) * 2014-08-26 2015-01-07 辽宁工业大学 一种基于gprs/gis的分布式电源参数监测方法与系统
CN105978158A (zh) * 2016-06-28 2016-09-28 无锡易胜捷科技有限公司 一种变电站智能视频监控系统
CN106204786A (zh) * 2016-07-15 2016-12-07 山东智洋电气股份有限公司 变电站设备运行状态一键巡视方法
KR101780393B1 (ko) * 2016-10-07 2017-09-20 (주)오로라 디자인랩 융합형 장비 관리 정보 제공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523A (ko) * 1999-12-30 2001-08-21 이종훈 배전계통 관리시스템
KR20050033101A (ko) * 2003-10-04 2005-04-12 한국 전기안전공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전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8523A (ko) * 1999-12-30 2001-08-21 이종훈 배전계통 관리시스템
KR20050033101A (ko) * 2003-10-04 2005-04-12 한국 전기안전공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전설비의 원격 감시 및 제어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3780A (zh) * 2012-06-13 2012-10-10 栾城县供电局 电力系统配网能量管理系统
CN102723780B (zh) * 2012-06-13 2014-11-12 国家电网公司 电力系统配网能量管理系统
CN102931725A (zh) * 2012-10-19 2013-02-13 广东电网公司电力科学研究院 电力调度主站式综合智能防误系统自动拓扑着色方法
CN104167818A (zh) * 2014-08-20 2014-11-26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与gis变电站综合自动化系统联动的远程智能巡检系统及方法
CN104167818B (zh) * 2014-08-20 2017-01-25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与gis变电站综合自动化系统联动的远程智能巡检系统及方法
CN104269922A (zh) * 2014-08-26 2015-01-07 辽宁工业大学 一种基于gprs/gis的分布式电源参数监测方法与系统
CN105978158A (zh) * 2016-06-28 2016-09-28 无锡易胜捷科技有限公司 一种变电站智能视频监控系统
CN106204786A (zh) * 2016-07-15 2016-12-07 山东智洋电气股份有限公司 变电站设备运行状态一键巡视方法
KR101780393B1 (ko) * 2016-10-07 2017-09-20 (주)오로라 디자인랩 융합형 장비 관리 정보 제공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450B1 (ko) 앤디아이에스와 연계된 배전설비 원격, 근접 진단 및 처방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공법
CN106990328B (zh) 配网抢修异常数据分析、故障定位系统及方法
CN106872856B (zh) 基于多元故障采集的配电网故障主动抢修系统、方法
CN108267670B (zh) 一种配网故障研判预警系统及其实现方法
CN101267359A (zh) 光缆监控装置
CN103580285A (zh) 一种变电站巡检系统
CN105564465A (zh) 一种铁路电务信号设备维护作业卡控系统和方法
CN111062504A (zh) 一种基于ar技术的智能配电站运维系统及方法
CN108322475A (zh) 一种基于mr直播的设备远程协作维修方法及系统
CN102332690B (zh) 电网安全运行临时接地线跟踪监控系统
CN105809575A (zh) 一种水电生产管理移动作业系统和方法
CN110020967A (zh) 一种电网调度端变电站智能告警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21114856A1 (zh) 一种基于多源数据的保供电系统
CN109698555A (zh) 一种无人值守变电站一键远方巡视系统及巡视方法
CN110909104A (zh) 一种基于bim与gis的综合管廊运营管理监控平台交互系统
CN104966140B (zh) 电网协同作业的移动工程师站
CN206584222U (zh) 一种区域电厂集中监控系统
CN112100225B (zh) 基于大数据的配网线路全景可视化数据监控与分析系统
CN102385367A (zh) 启闭机远程智能监测及反馈系统和方法
CN114202079A (zh) 一种配电网故障抢修调度系统
CN212659122U (zh) 一种基于三维可视化技术的智慧水务事件调度管理系统
CN111668935B (zh) 一种基于eim的变电站作业准备管理方法及系统
CN110866061A (zh) 一种基于gis的信息可视化系统
CN110942163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检修方法和系统
CN113110243B (zh) 一种施工作业现场安全智能化管控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