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274A - 선박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274A
KR20030012274A KR1020010046243A KR20010046243A KR20030012274A KR 20030012274 A KR20030012274 A KR 20030012274A KR 1020010046243 A KR1020010046243 A KR 1020010046243A KR 20010046243 A KR20010046243 A KR 20010046243A KR 20030012274 A KR20030012274 A KR 20030012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company
bidding
management
relat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성
Original Assignee
(주)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스코 filed Critical (주)토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274A/ko
Publication of KR2003001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27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사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선박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선박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사가 선박의 정보와 선박관리내용을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선사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선박관리업체측이 표준비용을 제시하게되는 비용제시단계와 상기 제시된 표준비용에따라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입찰을 요청하게 되는 입찰요청단계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표준비용에 대해 선사측에 제공가능한 서비스와 부품을 제시하여 응찰하게 되는 응찰단계와 상기 응찰단계에서 제시된 서비스와 부품에 따라 선사가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하게 되는 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표준비용에 따라 수리가 이루어지므로 예산을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제시한 조건을 파악하여 적절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선정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관리시스템{shi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선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내에 표준비용을 산정하여 저장하고, 선사측의 요청에 따라 표준비용을 제시하고 상기 표준비용에 따라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와 부품을 입력받게되며, 상기 서비스와 부품에 따라 선사측이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하게 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경우에 항해중 선박에 대한 서비스가 필요하므로 각 국가의 항구에서 서비스를 받게된다. 이때 서비스업체를 찾아서 견적을 요청하고 견적을 받은 후 업체를 선정하여 서비스를 받게 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선사측과 각 항구의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연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선사측과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을 연결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경우 단순히 연결만 해주거나 경매를 통해 견적이 결정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선사측은 소요될 경비를 사전에 결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순히 비용만으로 업체를 선정하게 되므로 서비스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표준비용이 산정되어 제시되므로 선사측이 선박관리를 하기전에 비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선사측이 선택을 하게 되므로 선사측이 적절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의 흐름도
도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3 : 선사측의 흐름도
도4 :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사측클라이언트 20 :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
30 : 선박관리서버 40 : 선박데이터베이스
50 : 서비스 및 부품데이터베이스 60 :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
70 : 표준비용산출모듈 80 : 응찰모듈
90 : 응찰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사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선박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선박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사가 선박의 정보와 선박관리내용을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선사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선박관리업체측이 표준비용을 제시하게되는 비용제시단계와 상기 제시된 표준비용에따라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입찰을 요청하게 되는 입찰요청단계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표준비용에 대해 선사측에 제공가능한 서비스와 부품을 제시하여 응찰하게 되는 응찰단계와 상기 응찰단계에서 제시된 서비스와 부품에 따라 선사가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하게 되는 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선사 또는 선박에 설치되어 선사의 입찰요청을 입력받아 전송하고,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의 응찰조건을 검색하게 되는 선사측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 설치되고, 선사의 입찰요청을 검색하고, 응찰조건을 입력받아 전송하게 되는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와; 선박관리업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사측클라이언트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을 처리하는 선박관리서버와; 상기 선박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설치되며 선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선박데이터베이스와; 선박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설치되며, 선박의 부품이 분류되어 저장되는 서비스 및 부품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선박관리서버에 연동되어 설치되어, 선박관리업체에서 산정하여 입력한 표준관리비용이 저장되는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선사의 요청에 따라 표준비용을 제시하게되는 표준비용산정모듈과; 상기 선사의 요청에 대해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응찰을 처리하게 되는 응찰모듈과; 상기 선사측의 수리요청정보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입력한 응찰정보가 저장되는 응찰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용데이터베이스는, 선박관리가 가능한 다수의 항구에 대해, 각 국가의 주요 항구별 표준 수리비용이 산정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은 입력단계와 비용제시단계와 입찰요청단계와 응찰단계와 선정단계를 따라 선박의 관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먼저 입력단계(S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선박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면 선사 또는 선박에서는 선박관리업체의 서버로 접속하여 로그인한후 해당 선박에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게된다. 선사 또는 선박에서 관리가 필요한 부분의 생산 업체와 모델 등을 입력하고 필요한 관리항목을 입력하게 된다. 또한 현재 선박의 위치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항구와 일자를 함께 입력하게 된다.
비용제시단계(S200)에서는 상기 입력단계(S100)에서 입력한 선사 또는 선박의 요청에 따라 선박관리업체는 이전에 산정되어 있는 각 국의 주요항구별 표준비용을 검색하여 상기 선사 또는 선박측에서 선박관리를 하고자하는 항구에서의 표준비용을 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선사 또는 선박측에서 요청한 항구외에 상기 항구의 인근의 항구들의 표준비용도 함께 제시하여 상기 선사 또는 선박측의 선택을 돕게된다.
입찰요청단계(S300)에서는 상기 선사 또는 선박측에서 상기 선박관리업체에서 제시한 표준비용을 확인하게된다. 상기 선사 또는 선박측은 현재 선박의 위치와 상기 표준비용에 따라 적절한 항구를 선택한 후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입찰을 요청하게 된다.
응찰단계(S400)에서는 상기 선사 또는 선박측의 입찰요청에 따라 해당 항구의 선박관련서비스업체들이 응찰을 하게 된다.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는 상기 선박관리업체에서 제시한 표준비용에 따라 선박의 관리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게되고 상기 표준비용으로 선박의 관리가 가능할 경우,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표준비용으로 상기 선박에 제공가능한 서비스와 부품을 입력하여 다른 선박관련서비스업체와 차별되는 응찰조건을 제시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선정단계(S500)는 상기 응찰단계(S400)에서 응찰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제시한 응찰조건을 비교하여 선사 또는 선박이 적절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택하게 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관리비용은 선박관리업체에서 제시한 표준비용이므로 선사 또는 선박업체에서는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제시한 서비스와 부품을 비교하여 적절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선박을 관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박관리시스템은 선사측클라이언트(10)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20)와 선박관리서버(30)와 선박데이터베이스(40)와 서비스 및 부품데이터베이스(50)와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60)와 표준비용산정모듈(70)과 응찰모듈(80)과 응찰데이터베이스(90)로 구성된다.
선사측클라이언트(10)는 선사 또는 선박에 설치되는 컴퓨터이다. 상기 선사측클라이언트(1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선사 또는 선박의 요청을 전송하게 되며, 상기 요청에 따른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의 응찰정보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20)는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 설치되는 컴퓨터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선사 또는 선박의 요청을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게 되며 상기 요청에 따라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입력한 응찰조건을 전송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선사측클라이언트(10)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20)에는 웹서핑이 가능한 브라우저를 설치하여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선박관리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게된다. 그러나 브라우저를 설치하고 서버에 접속하여 선박관리를 하는 대신 상기 선박관리에 필요한 전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필요시에만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입력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도 무방하다.
선박관리서버(30)는 선박관리업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사측클라이언트(10)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20)가 요청한 선박관리업무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선박관리서버(30)는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선사측인지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인지 파악하여 서로 다른 내용을 제시하게 된다.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선사측이라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응찰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정보를 모두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지만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일 경우에는 다른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응찰정보를 볼 수 없도록 제한하게된다.
선박데이터베이스(40)는 상기 선사별로 소유한 선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선박의 이름, 톤수, 제조사, 관리내역등이 저장되어 선박관리서버(30)의 요청에 따라 선사측에 제공된다. 상기 선사측은 상기 선박데이터베이스(40)를 검색하여 검사가 필요한 시기와 부품의 교체시기등을 파악하게 된다. 여기서 선박관리업체가 선사측대신 상기 선박데이터베이스(40)를 분석하여 선사측에 시기를 알려주는것도 무방하다.
서비스 및 부품데이터베이스(50)는 선박에 대한 주요 서비스 및 부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서비스 및 부품데이터베이스(50)는부품의 규격과 제조사 가격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선박에 대한 주요 관리항목을 분류하여 저장하게 된다.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60)는 상기 선박관리업체에서 각 국가의 주요 항구의 표준관리비용을 조사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상기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60)에는 선박에 대한 각 부분별 아이템별 관리항목별 비용을 산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서비스받을 부분을 기계부분, 전기전자부분 등으로 분류하고 그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분류하여 선박에 관련된 관리항목을 저장하게된다. 또한 상기 관리항목에 따라 요구되는 표준관리비용을 산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표준비용산정모듈(70)은 상기 선사측의 요청에 따라 선사측의 선박에 대한 관리비용을 산정하게 된다. 상기 표준비용산정모듈(70)은 상기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60)를 검색하여 상기 선사측이 요청한 항구에서의 관리비용을 산정하게된다. 산정된 표준비용은 선박관리서버(30)를 통해 상기 선사측클라이언트(10)로 전송되어 선사측에서 확인하게된다. 또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 응찰요청시 상기 표준비용이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20)로 전송된다.
응찰모듈(80)은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선박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선사측의 요청을 확인하고 선박관리업체에서 제시한 표준비용을 검토하여 입력한 응찰조건을 전송받아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내용을 선사측에 표시하게 된다.
응찰데이터베이스(90)에는 상기 선사측의 관리요청정보와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제시한 응찰조건들이 저장된다. 상기 선사측의 관리요청정보로는 인덱스번호와 선사명, 선박명, 관리가 가능한 항구, 관리시작일자, 관리항목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응찰조건은 상기 관리요청정보의 인덱스번호와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할 서비스와 부품을 저장하게 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의 흐름도이다.
선박의 관리가 필요한 선박에서 상기 선박관리업체의 선박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게 된다(S1). 상기 선박은 상기 선박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목록중 엔진을 선택하게 된다. 계속해서 엔진의 종류와 제조회사등을 입력하게 되며 점검할 내용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선박의 관리를 하고자하는 항구로 부산을 입력하게 된다(S2). 입력이 끝난후 상기 선박관리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선박에서 요청한 엔진의 점검에 소요되는 표준비용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부산의 표준비용과 함께 중국과 일본등의 항구에서의 표준비용도 함께 제공하게된다(S3). 상기 선박측이 표준비용을 확인한 후, 부산항을 선택하여 입찰을 하도록 요청하게된다(S4). 입찰요청이 끝난 선박측은 접속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선박이 다시 선박관리서버(30)에 접속하게 되면 선박관련서비스업체들이 제시한 응찰조건이 화면에 표시된다(S5). 상기 선박은 상기 제시된 응찰조건중 엔진의 점검과 함께 엔진의 소모품을 보충하겠다는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택하게 되며(S6), 상기 선택의 결과는 선박관련서비스업체로 통보되어 상기 선박과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계약을 체결하게 되며(S7), 상기 선박이 상기 항구에 도착하게 되면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선박의 엔진을 점검하고 소모품을 보충하게 된다(S8).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선박관리서버(3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S11) 상기 선박관리서버(30)는 상기 선박의 입찰요청이 있음을 화면에 표시된다(S12).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입찰요청의 상세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선박관리서버(30)는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 선박의 정보와 관리가 필요한 항목과 관리받고자 하는 일자와 표준비용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정보를 검토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는 상기 표준비용에 따라 상기 선박이 요청한 점검과 함께 선박엔진의 소모품의 무상보급을 제공하겠다는 내용을 상기 선박관리서버(30)에 입력하여 응찰하게 된다(S13).
상기 응찰후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는 접속을 종료한다.
선정이 되면(S14)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는 상기 선박측과 계약을 하게 되며(S15), 상기 선박이 항구에 입항하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S16).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관리시스템에 의하면 표준비용이 산정되어 제시되므로 선사측이 선박관리를 하기전에 비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제시한 조건에 따라 선사측이 선택을 하게 되므로 선사측이 적절한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선사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선박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선박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선사가 선박의 정보와 선박관리내용을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선사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선박관리업체측이 표준비용을 제시하게되는 비용제시단계와;
    상기 제시된 표준비용에따라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입찰을 요청하게 되는 입찰요청단계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상기 표준비용에 대해 선사측에 제공가능한 서비스와 부품을 제시하여 응찰하게 되는 응찰단계와;
    상기 응찰단계에서 제시된 서비스와 부품에 따라 선사가 선박관련서비스업체를 선정하게 되는 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관리시스템
  2.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선사 또는 선박에 설치되어 선사의 입찰요청을 입력받아 전송하고,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의 응찰조건을 검색하게 되는 선사측클라이언트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에 설치되고, 선사의 입찰요청을 검색하고, 응찰조건을 입력받아 전송하게 되는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와;
    선박관리업체에 설치되어 상기 선사측클라이언트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측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을 처리하는 선박관리서버와;
    선박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설치되며 선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선박데이터베이스와;
    선박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설치되며, 선박의 부품이 분류되어 저장되는 서비스 및 부품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선박관리서버에 연동되어 설치되어, 선박관리업체에서 산정하여 입력한 표준관리비용이 저장되는 표준비용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선사의 요청에 따라 표준비용을 제시하게되는 표준비용산정모듈과;
    상기 선사의 요청에 대해 상기 선박관련서비스업체의 응찰을 처리하게 되는 응찰모듈과;
    상기 선사측의 수리요청정보와 선박관련서비스업체가 입력한 응찰정보가 저장되는 응찰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데이터베이스는,
    선박관리가 가능한 다수의 항구에 대해, 각 국가의 주요 항구별 표준관리비용이 산정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관리시스템
KR1020010046243A 2001-07-31 2001-07-31 선박관리시스템 KR20030012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243A KR20030012274A (ko) 2001-07-31 2001-07-31 선박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243A KR20030012274A (ko) 2001-07-31 2001-07-31 선박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274A true KR20030012274A (ko) 2003-02-12

Family

ID=2771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243A KR20030012274A (ko) 2001-07-31 2001-07-31 선박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2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203826A (zh) * 2016-07-08 2016-12-07 上海互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海事服务b2b数据处理系统及方法
CN107000813A (zh) * 2015-11-10 2017-08-01 韩国海洋科学技术院 海洋设施预维护系统及使用该系统的海洋设施预维护方法
KR102478496B1 (ko) 2022-02-25 2022-12-19 (주)스카이오프쇼어 선박 운영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931B1 (ko) * 2009-09-11 2010-01-13 한장섭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1031008A2 (ko) * 2009-09-11 2011-03-17 Han Jang-Sop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1031008A3 (ko) * 2009-09-11 2011-05-19 Han Jang-Sop 선박 항로별 최적 선박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640174A (zh) * 2009-09-11 2012-08-15 韩章燮 船运航线中船舶维修维护最优化管理方法和系统
CN107000813A (zh) * 2015-11-10 2017-08-01 韩国海洋科学技术院 海洋设施预维护系统及使用该系统的海洋设施预维护方法
CN106203826A (zh) * 2016-07-08 2016-12-07 上海互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海事服务b2b数据处理系统及方法
CN106203826B (zh) * 2016-07-08 2021-05-28 上海互海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海事服务b2b数据处理系统及方法
KR102478496B1 (ko) 2022-02-25 2022-12-19 (주)스카이오프쇼어 선박 운영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137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viation parts, information and services
KR10038029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차량 정비 관리 서비스 방법
US20020091817A1 (en)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020194076A1 (en) Provision of electronic commerce services
CN114119146A (zh) 一种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8473470B1 (en) System for providing collaborative communications environment for manufacturers and potential customers
US20230093977A1 (en) Delivery vehicle selection based on location data and memory resource content
US200500658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excess inventory distribution
US20040210485A1 (en) Quoting strategy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20230101782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structions for data object preparation
JP3577299B2 (ja) サポート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0222482A (ja) 電子取引援助システムおよび電子取引援助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可読記録媒体
US114035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service providers in real time
KR20030012274A (ko) 선박관리시스템
KR101930394B1 (ko)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050114228A1 (en) Request for quotation electronic commerce shopping cart
JP2004240673A (ja) 修理見積もりシステムと修理見積もりプログラム
WO2001077936A2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end to end operation and management of industry supply chain
US200300789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ading authorized data
KR102300821B1 (ko) 3차원 모델링 이미지 기반의 기업 정보 제공 시스템
CN112491988B (zh) 基于共享设备的查找、管控方法
US20030120956A1 (en) Author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and retrieving data
KR20010090382A (ko) 인터넷을 통한 건설기술 컨설팅 제공방법
US202300939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autonomous delivery mechanisms and non-autonomous delivery mechanisms
KR20010073332A (ko) 전자 상거래 웹사이트 정보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