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394B1 -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394B1
KR101930394B1 KR1020170098874A KR20170098874A KR101930394B1 KR 101930394 B1 KR101930394 B1 KR 101930394B1 KR 1020170098874 A KR1020170098874 A KR 1020170098874A KR 20170098874 A KR20170098874 A KR 20170098874A KR 101930394 B1 KR101930394 B1 KR 10193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o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constructor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완
Original Assignee
이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완 filed Critical 이정완
Priority to KR1020170098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시공자단말로부터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이름 및 수량 및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제공받는 단계; (b)상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하고, 검색 된 공시단가와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서 내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금액에 대한 평가정보를 시공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상기 평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시공자에 의해 작성된 견적서를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d)관리자단말에 의해 상기 견적서가 검토 완료 될 경우, 상기 견적서를 소비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정보는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금액에 대한 각 항목과 연관되어 제공되며, 상기 공시단가와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금액과의 차이 값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METHOD OF PROVIDING TRANSPARENT QUOTATION SERVICE BY COMPARING QUOTATION OF BUILDER WITH PUBLISHED UNIT PRICE}
본 발명은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견적을 공시단가와 비교하여 합리적인 금액의 인테리어 시공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양한 건축, 시공 분야에 있어서, 시공자(또는 시공업체)는 자체적인 단가표와 자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견적서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같은 시공을 하더라도 시공자에 따라 다른 견적이 제공 되어 소비자 입장에서는 정보의 정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시공 견적 비용의 차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시공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가 다수 존재하지만 이러한 플랫폼 역시 공시되어 있거나 명확한 기준을 가진 견적 제시가 아닌 제휴 되어 있는 혹은 거래하고 있는 시공자나 시공업체에서 제공한 견적서를 소비자가 직접 또는 플랫폼에서 비교하여 최저가의 견적을 제공한 시공자 또는 시공업체를 찾아 연결해주는 기능을 할 뿐이다.
소비자가 온라인 플랫폼 또는 직접 방문을 통해 최저가의 견적을 제공한 시공자와 계약을 하고 시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견적 금액보다 높은 금액이 추가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하였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는 견적보다 높은 금액이 발생한 항목에 대해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하는데, 공시단가를 안내하지 않고 견적 금액에 대한 기준도 신뢰도가 낮아 소비자에게 큰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공에 있어서,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소비자가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공자의 견적과 공시단가의 차이 값과 차이 값에 대한 평가를 확인 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차이 값이 큰 경우는 소명자료나 견적서의 수정을 통해 소비자가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소비자가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서버와 통신하여 견적서의 각 항목에 대한 내용을 제공 또는 수신하기 위한 시공자단말,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내역을 확인하기 위한 관리자단말, 관리자단말로부터 확인 된 최종 견적서를 제공받는 소비자단말로 구성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시공자단말로부터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이름 및 수량 및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하고, 검색 된 공시단가와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서 내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금액에 대한 평가정보를 시공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평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시공자에 의해 작성된 견적서를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d) 관리자단말에 의해 상기 견적서가 검토 완료 될 경우, 상기 견적서를 소비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시공자와 소비자 간의 계약을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시공자단말로부터 견적서 및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한 소명자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견적서 내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각 항목의 공시단가를 검색하는 공시단가 검색부; 상기 견적서 내 금액과 상기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평가정보 기준에 따라 반드시 하나의 식별정보를 결정 및 관리자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소명자료 제출 또는 수정 요청을 시공자단말로 전달하는 평가정보 결정부; 및 상기 견적서 및 상기 소명자료를 소비자단말로 제공하는 견적서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테리어 시공자의 견적서 내의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받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공자가 입력한 견적서에 대응 하는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시공자의 금액과 공시단가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를 수치화하여 표현하고 이를 자체 식별정보를 통해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각 항목에 표현함으로써, 소비자가 견적서 내역 확인을 보다 직관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테리어 시공자의 견적서 내의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금액의 차이 값이 큰 경우 이에 대한 소명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차이 값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자가 견적서를 작성한 견적서의 예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공시단가를 반영한 금액과 시공자가 작성한 금액과 공시단가의 차이 값 및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견적서의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스템(100)은 서버(110) 및 시공자단말(120) 및 관리자단말(130) 및 소비자단말(140)을 포함 할 수 있다. 각 '단말'들과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서버(110)는 시공자단말(120)로부터 가(假) 견적서를 제공 받아 소비자단말(140)로 전달하고 시공자단말(120)과 소비자단말(140)로 계약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후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실제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응하는 견적서를 제공 받아 각 항목에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하여 비교하고 평가정보를 포함한 견적서와 견적서 내 불량 식별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한 소명자료 제출 또는 수정요청을 시공자단말(120)로 제공한다.
서버(110)는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서와 불량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소명자료를 관리자단말(130)로 전달하고 관리자단말(130)로부터 추가 소명자료 요청 또는 수정 또는 소비자단말(140)로 전달 요청을 제공 받는다.
서버(110)가 관리자단말(130)으로부터 소비자단말(140)로 전달 요청을 수신하면 소비자단말(140)로 최종 견적서를 제공한다.
시공자단말(120)은 시공자가 소유한 디바이스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 된 컴퓨팅장치로서,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거나 모바일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시공자단말(120)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가 견적서 또는 견적서 또는 소명자료를 서버(110)로 제공 할 수 있고, 서버(110)로부터 계약 인터페이스 또는 소명자료 요청 또는 수정요청 또는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제공받은 견적서의 각 항목에 대응하는 공시단가 및 평가정보를 제공 받아 시공자에게 제공 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130)은 관리자가 소유한 디바이스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 된 컴퓨팅장치로서,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거나 모바일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관리자단말(130)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110)로부터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및 소명자료를 제공 받아 관리자에게 제공 할 수 있으며, 소명자료 요청 또는 견적서 수정 요청을 서버(110)로 제공 할 수 있다.
소비자단말(140)은 소비자가 소유한 디바이스 또는 특정장소에 설치 된 컴퓨팅장치로서,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거나 모바일용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소비자단말(140)은 서버(110)로부터 웹 브라우저를 통해 계약 인터페이스 또는 소명자료 또는 최종 견적서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11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버(110)는 소비자에게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각 기능에 따라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세부 모듈들을 시공자단말(120)과 소비자단말(140)로 계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11), 견적서 및 불량 식별 정보 항목에 대한 소명자료를 수신하는 수신부(112), 견적서 내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각 항목의 공시단가를 검색하는 공시단가 검색부(113),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적합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 중 상기 평가정보 기준에 따라 반드시 하나의 식별정보를 결정 및 관리자단말(130)을 통해 제공받은 소명자료 제출 또는 수정 요청을 시공자단말(120)로 전달하는 평가정보 결정부(114), 견적서 및 소명자료를 소비자단말(140)로 제공하는 견적서 제공부 (115)로 나타낼 수 있다.
최초에 시공자와 소비자 간의 계약 시, 인터페이스 제공부(111)는 소비자단말(140)의 견적요청정보를 시공자단말(120)로 전달하고, 이후 시공자단말(120)로부터 가 견적서를 수신하고 소비자단말(140)로 제공한다. 가 견적서는 평당 단가를 기준으로 종래 기술에서처럼 제공 된다. 소비자가 해당 가 견적서에 대해 수긍한 경우 해당 시공자와 계약을 체결하고, 이후 시공자는 시공업무를 진행 할 수 있다. 이때, 계약은 인터페이스 제공부(111)를 통해 계약 인터페이스를 시공자단말(120)과 소비자단말(140)로 제공 될 수 있다.
이후, 시공이 완료된 후 시공자는 최종 견적서를 작성하여 소비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제공부(111)는 시공자단말(120)로 견적서 작성 인터페이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수신부(112)는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를 수신한다. 견적서는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이름, 수량, 금액을 포함한다. 이때, 항목은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항목은 가설공사가 되고 이에 대한 하위 항목은 자재운반, 폐기물반출, 현장 정리정돈 등의 상위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공시단가 검색부(113)는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항목이름과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한다. 공시단가는 KPI(한국물가정보)에서 제공하는 노무비를 기준으로 하며, 자체 DB 검색 또는 외부 DB 검색을 통해 진행 될 수 있다. 즉, 공시단가 검색부(113)는 KPI 서버에 쿼리를 전송하여 공시단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검색 할 수도 있고, KPI 서버에 저장된 노무비 정보를 미리 수집 및 저장하여 서버 내에서 자체 검색 할 수도 있다.
평가정보 결정부(114)는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하나의 식별정보를 결정한다.
평가정보는 적정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각 식별 정보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된다.
적정 식별정보는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KPI(한국물가정보)에서 제공하는 노무비)의 금액 차이 값이 0%이상 20%이하이거나 공시단가보다 견적 금액이 작은 범위를 포함하여 적정 식별정보는 초록색으로 표현 될 수 있으며, 보통 식별정보는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의 금액 차이 값이 20%초과 50% 이하인 범위를 포함하며, 보통 식별정보는 노란색으로 표현 될 수 있고, 불량 식별정보는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의 금액 차이 값이 50%초과인 범위를 포함하며, 불량 식별정보는 빨간색으로 표현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위에서 설정된 비율(%)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비율로 확장되거나 변경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공자가 키친 설치 시공을 진행하고 아일랜드 보조 테이블 시공에 대한 금액을 2,400,000원, 메인 환기 후드 시공에 대한 금액을 120,000원으로 작성한 경우, 공시단가 검색부(113)를 통해 검색 된 아일랜드 보조 테이블 시공에 대한 공시단가가 2,500,000원이면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의 금액 차이 값이 -4%이므로 평가정보 결정부(114)는 적정 식별정보로 결정하고 초록색으로 표현하고 공시단가 검색부(113)를 통해 검색 된 환기 후드에 대한 공시단가가 115,000원이면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의 금액 차이 값이 4%이므로 평가정보 결정부(114)는 적정 식별정보로 결정하고 초록색으로 표현한다.
또한, 시공자가 키친 설치 시공을 진행하고 계수대 시공에 대한 금액을 156,000원, 수전 시공에 대한 금액을 103,000원으로 작성한 경우, 공시단가 검색부(113)를 통해 검색 된 계수대 시공에 대한 공시단가가 120,000원이면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의 금액 차이 값이 30%이므로 평가정보 결정부(114)는 보통 식별정보로 결정하고 노란색으로 표현하고, 공시단가 검색부(113)를 통해 검색 된 수전 시공에 대한 공시단가가 68,000원이면 시공자의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의 금액 차이 값이 51%이므로 평가정보 결정부(114)는 불량 식별정보로 결정하고 빨간색으로 표현한다.
불량 식별정보로 표기된 항목이 있음이 인지되었을 경우, 별도의 첨부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첨부영역이 생성될 수 있다. 이 첨부영역은 공시단가보다 견적 금액이 크게 상회하게 된 이유를 소명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할 수 있는 영역이다. 즉, 실제 시공을 진행하다 보면 경우에 따라 비용이 예상치 보다 상회하게 되는 항목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소명의 기회를 시공자에게 부여해주고, 소비자에게는 투명한 견적임을 인지시킬 수 있다.
평가정보 결정부(114)는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반드시 하나의 식별정보를 결정한 후 견적서 내 불량 식별정보로 분류 된 항목에 대해 시공자단말(120)로 소명자료 제출 및 견적서 수정요청을 전달한다.
견적서 제공부 (115)는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소명자료와 최종 견적서를 소비자단말(140)로 제공한다. 소비자단말(140)로 제공되는 최종 견적서는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소명자료와 최종 견적서를 관리자단말(130)을 통해 관리자가 확인 한 후 관리자단말(130)로부터 소비자단말(140)로 전달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공된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공자는 시공자단말(120)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견적서를 입력하여 전달 할 수 있다. 견적서는 적어도 상위 항목(F1) 및 항목이름(F2) 및 수량(F3) 및 금액(F4)을 포함하며, 견적서의 전체 구성은 TAG, 위치, 구분, 시공자/제작사, 세부사항, 수량, 단위, 단가, 금액을 포함한다.
도 3은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를 작성한 예시도이며, 해당 견적서를 통해 서버(110)로부터 공시단가 검색 및 평가정보에 대한 결정이 진행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서버(110)로부터 평가정보가 결정 된 견적서의 예시도 이며,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에 결과라벨(F5), 공시단가 계산금액(F6)을 포함한 견적서의 예시도 이다.
결과라벨(F5)은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반드시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금액과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차이 값에 대해 '~%'로 입력 한다.
공시단가 계산금액(F6)은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항목이름과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하여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수량에 맞게 계산 하여 공시단가 계산금액을 입력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방법은 상술한 서버(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의 서버(110)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적인 특징들을 모두 포함한다.
시공자단말(120)로부터 시공에 대한 가 견적서를 획득하게 된다.(S510) 가 견적서는 평당단가를 고려하여 대략적인 금액으로 작성된 견적서를 의미한다.
서버(110)로부터 계약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아(S530) 시공자와 소비자의 계약이 진행되고 시공자는 해당 계약(S520)에 대한 시공을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를 시공자단말(120)을 통해 제공 받고(S540) 제공 받은 견적서의 각 항목이름에 대응 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한다. 이때, 견적서는 상위 항목(F1) 및 항목이름(F2) 및 수량(F3) 및 금액(F4)을 포함하며, 견적서의 전체 구성은 TAG, 위치, 구분, 시공자/제작사, 세부사항, 수량, 단위, 단가, 금액을 포함한다.
서버(110)는 검색한 공시단가 금액을 시공자가 시공한 항목에 대한 견적서 내 수량에 맞게 계산하고 공시단가 계산금액(F6) 항목에 입력 하고, 견적서 내 금액과 비교하여 평가정보를 결정 한다.(S550)
이때, 평가 정보는 적정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 중 반드시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견적서 내 결과라벨(F5) 항목에 차이 값과 식별정보를 입력한다.
이어서, 서버(110)는 공시단가 계산금액(F6)과 결과라벨(F5)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시공자단말(120)로 제공한다.
이때, 서버(110)는 시공자단말(120)로 전달하는 견적서 내 평가정보 중 불량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한 소명자료 요청 또는 해당 항목에 대한 수정요청을 포함하여 시공자단말(120)로 제공한다.(S560)
시공자단말(120)로부터 불량 식별정보에 대한 소명자료 또는 수정된 견적서를 제공 받게 되면(S570) 서버(110)는 최종 견적서를 소비자단말(140)로 전달하기 전 관리자단말(130)로 견적서 및 소명자료가 포함된 경우 소명자료를 포함하여 제공한다.(S580)
이때, 관리자는 관리자단말(130)을 통해 견적서 및 소명자료가 포함 된 경우 소명자료를 확인하고 불량 식별정보 항목이 존재하지 않거나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한 소명자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단말(130)을 통해 서버(110)로 최종 견적서를 소비자단말(140)로 전달 요청 하며, 불량 식별정보 항목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소명자료가 없는 경우 관리자단말(130)을 통해 서버(110)로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한 수정 또는 소명자료요청을 시공자단말(120)로 전달 요청한다.(S590)
마지막으로 서버(110)는 관리자단말(130)로부터 최종 견적서를 소비자단말(140)로 전달 요청을 수신하고 최종 견적서와 소명자료가 있는 경우 소명자료를 포함하여 소비자단말(140)로 제공한다.(S600)
한편, 추가 실시예로서, 서버(110)는 모든 시공자단말에서 입력된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공시단가만으로 기준을 정하는 것에 대한 미비점을 보완할 수도 있다. 공시단가는 국가에서 규정한 표준일 뿐, 실제 현장에서 발생되는 추가 비용이나 물가 상승 정도 등이 실시간으로 고려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모든 시공자단말이 입력한 항목이름, 견적단가, 소명자료 등을 수집한다. 그리고, 동일한 항목이름에 대해서 여러 시공자단말이 입력한 견적단가들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한다. 해당 평균값에 대하여 별도로 적정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추후 다른 시공자단말이 견적단가를 입력할 시, 평균값에 기반한 별도의 식별정보를 제공해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시단가와의 비교에 의해 불량 식별정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값에 비하면 보통 식별정보인 것으로 나타난 경우, 소비자가 해당 항목에 대한 견적단가 적절성을 고려할 때 함께 참고할 수 있다.
또는, 위의 평균값에 따라서, 적정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를 산정하기 위한 비율을 서버가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 20%이하, 20-50%, 50%초과의 범위로 적정, 보통, 불량 식별정보의 비율을 정하였으나, 평균값이 지속적으로 공시단가보다 30-40% 많게 산출되는 경우, 적정 식별정보의 비율을 35% 범위로 상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비율 조정은 각 항목 별로 다르게 수행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항목마다 식별정보를 산출하는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 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1] 100: 시스템
110: 서버 111: 인터페이스 제공부
112: 견적서 수신부 113: 공시단가 검색부
114: 평가정보 결정부 115: 견적서 제공부
120: 시공자단말 130: 관리자단말
140: 소비자단말

Claims (13)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시공자단말로부터 시공자가 시공한 공사 및 자재에 관한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이름 및 수량 및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검색하고, 검색 된 공시단가와 상기 제공받은 견적서 내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금액에 대한 평가정보를 시공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평가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상기 견적서에 대한 소명자료를 제공받는 단계;
    (d) 관리자단말에 의해 상기 견적서가 검토 완료 될 경우, 상기 견적서를 소비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정보는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금액에 대한 각 항목과 연관되어 제공되며, 상기 공시단가와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금액과의 차이 값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공되되, 적합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각 식별 정보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는 것이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견적서 내 금액과 상기 견적서 내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의 금액을 비교하여 차이 값이 결정되고, 상기 차이 값이 적합 식별정보 범위 이내 이면 초록색, 보통 식별정보 범위 이내 이면 노란색, 불량 식별정보 범위 이내 이면 빨간색으로 입력되는 것이며,
    상기 적합 식별정보, 상기 보통 식별정보 및 상기 불량 식별정보를 산정하기 위한 비율은 조정 가능한 것이며,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각 항목에 따라 상이하게 산출 비율이 조정되되,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복수의 시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항목이름, 금액, 소명자료를 수집하여 동일한 항목이름에 대해 상기 복수의 시공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금액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평균값을 기초로 산출 비율이 조정되는 것이고,
    상기 공시단가는 한국물가정보 또는 대한건설협회에서 제공하는 거래가격이며,
    상기 소명자료는 상기 공시단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제 현장에서 발생되는 추가비용이나 물가상승을 포함하는 비용에 관한 자료인 것이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 후 상기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해 상기 소명자료를 제공받지 못한 경우 관리자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소명자료 제출 요청을 시공자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서버가 시공자와 소비자 간의 계약을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계약 완료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시공자단말로부터 시공한 항목에 대응하는 상위 항목과 상기 상위 항목을 구성하는 세부 항목을 규정하는 항목이름, 수량,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는,
    상기 적합 식별정보는 0%이상 20%이하 범위 또는 0%이하 범위, 상기 보통 식별정보는 20%초과 50%이하 범위, 상기 불량 식별정보는 50%초과 범위 인 것인,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공 받은 항목이름, 수량,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 내 금액과 상기 제공 받은 항목이름, 수량,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 내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공받은 항목이름, 수량,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 내 금액과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의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평가정보를 상기 시공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b) 단계 후 시공자단말로부터 상기 평가정보를 고려하여 견적서의 수정 및 확인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해 제공받은 소명자료를 포함하는 상기 제공받은 항목이름, 수량, 금액을 포함하는 견적서를 소비자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평가 정보를 결정 함에 있어서, 동일한 항목이름에 대해서 여러 시공자단말이 입력한 견적단가들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별도의 식별정보 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평균 값에 기반한 별도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시공자와 소비자 간의 계약을 진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견적서 내 상기 시공자가 시공한 공사 및 자재에 관한 항목에 해당하는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각 항목의 공시단가를 검색하는 공시단가 검색부;
    상기 견적서 내 금액과 상기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적합 식별정보, 보통 식별정보, 불량 식별정보 중 평가정보 기준에 따라 반드시 하나의 식별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공시단가와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금액과의 차이 값 범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공하되,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적합 식별정보, 상기 보통 식별정보, 상기 불량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각 식별 정보는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하고, 관리자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소명자료 제출 요청을 시공자단말로 전달하는 평가정보 결정부;
    시공자단말로부터 견적서 및 상기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한 상기 소명자료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견적서 및 상기 소명자료를 소비자단말로 제공하는 견적서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견적서 내 금액과 상기 견적서 내 각 항목이름에 대응하는 공시단가의 금액을 비교하여 차이 값이 결정되고, 상기 차이 값이 적합 식별정보 범위 이내 이면 초록색, 보통 식별정보 범위 이내 이면 노란색, 불량 식별정보 범위 이내 이면 빨간색으로 입력되는 것이며,
    상기 적합 식별정보, 상기 보통 식별정보 및 상기 불량 식별정보를 산정하기 위한 비율은 조정 가능한 것이며, 상기 시공자단말로부터 제공 받은 견적서 내 각 항목에 따라 상이하게 산출 비율이 조정되되,
    상기 서버에 기 등록된 복수의 시공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항목이름, 금액, 소명자료를 수집하여 동일한 항목이름에 대해 상기 복수의 시공자 단말로부터 수집된 금액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평균값을 기초로 산출 비율이 조정되는 것이고,
    상기 공시단가는 한국물가정보 또는 대한건설협회에서 제공하는 거래가격이며,
    상기 소명자료는 상기 공시단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제 현장에서 발생되는 추가비용이나 물가상승을 포함하는 비용에 관한 자료인 것이며,
    상기 불량 식별정보 항목에 대해 상기 소명자료를 제공받지 못한 경우 관리자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소명자료 제출 요청을 시공자단말로 전달하는 것인,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13. 제 1 항에 따르는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098874A 2017-08-04 2017-08-04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3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74A KR101930394B1 (ko) 2017-08-04 2017-08-04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874A KR101930394B1 (ko) 2017-08-04 2017-08-04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394B1 true KR101930394B1 (ko) 2019-03-11

Family

ID=6575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874A KR101930394B1 (ko) 2017-08-04 2017-08-04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3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9505A (zh) * 2020-02-17 2021-08-17 喜达志拥株式会社 室内装修平台提供方法及执行该方法的服务器
KR20220066616A (ko) * 2020-11-16 2022-05-24 네이버 주식회사 견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17495516A (zh) * 2024-01-02 2024-02-02 优材优建(青岛)供应链科技有限公司 异常报价监控方法、系统、计算机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091A (ko) * 2003-11-18 2005-05-24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이미지와 고객의 기계약 분석을 이용한 보험컨설팅 시스템
JP2008146115A (ja) * 2006-12-06 2008-06-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見積価格判定システム
JP2008181265A (ja) * 2007-01-24 2008-08-07 Livenet Corp 見積内容点検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091A (ko) * 2003-11-18 2005-05-24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이미지와 고객의 기계약 분석을 이용한 보험컨설팅 시스템
JP2008146115A (ja) * 2006-12-06 2008-06-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見積価格判定システム
JP2008181265A (ja) * 2007-01-24 2008-08-07 Livenet Corp 見積内容点検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69505A (zh) * 2020-02-17 2021-08-17 喜达志拥株式会社 室内装修平台提供方法及执行该方法的服务器
KR20210104472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스타키움 주변 시공사례와 공간별 공사 견적제공이 가능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
KR102452799B1 (ko) * 2020-02-17 2022-10-13 주식회사 스타키움 주변 시공사례와 공간별 공사 견적제공이 가능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
KR20220066616A (ko) * 2020-11-16 2022-05-24 네이버 주식회사 견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558244B1 (ko) * 2020-11-16 2023-07-21 네이버 주식회사 견적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17495516A (zh) * 2024-01-02 2024-02-02 优材优建(青岛)供应链科技有限公司 异常报价监控方法、系统、计算机及存储介质
CN117495516B (zh) * 2024-01-02 2024-04-05 优材优建(青岛)供应链科技有限公司 异常报价监控方法、系统、计算机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273B1 (ko) 상품의 해외 판매를 위한 추천 상품 선정 및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N106375358B (zh) 服务需求分配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300666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n insurance premium based on initial consumer information
KR101935177B1 (ko) 중장비 거래 장치 및 방법
KR101930394B1 (ko) 시공자의 견적서와 공시단가를 비교하여 투명한 견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20220414769A1 (en) Capturable code for automatically formatting and addressing a text message to apply for an offer
US10963888B2 (en) Payment complaint method, device, serv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182919A (zh) 一种智慧人居信息化服务平台
KR20220133824A (ko) 판매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몰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93660A1 (en) System for automated description and categorization
CN103942616A (zh) 基于移动互联网的车险测算报价服务系统
KR102505215B1 (ko) 영상 통화 중 시설물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5300398A (zh) 获取地点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766418A (zh) 一种用于实现售后服务现场销单的真实性的方法及系统
CN109087129B (zh) 用户评价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50278745A1 (en) System for Analyzing Contracts and Supplier's Performance
KR102517877B1 (ko) 소비자와 부품 공급업체, 및 부품 장착업체에 통합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41233A (ko) 주류 유통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103860A (ko) 해외 역직구 이커머스 구현을 위한 자동화 플랫폼 시스템
GB2521345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quote
CN113190562A (zh) 一种报表生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051477A (zh) 内容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220006330A (ko) 온라인으로 구매와 판매를 동시에 수행하는 휴대폰 배송 시스템
KR20130129877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2799B1 (ko) 주변 시공사례와 공간별 공사 견적제공이 가능한 인테리어 플랫폼 제공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