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294A -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294A
KR20160148294A KR1020150085107A KR20150085107A KR20160148294A KR 20160148294 A KR20160148294 A KR 20160148294A KR 1020150085107 A KR1020150085107 A KR 1020150085107A KR 20150085107 A KR20150085107 A KR 20150085107A KR 20160148294 A KR20160148294 A KR 20160148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tate
ship
unit
diagnos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정영수
이병열
황민순
강윤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294A/ko
Publication of KR2016014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에 설치된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엔진 모니터링부;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상기 선박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박의 외부로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An engine monitoring system and a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광물이나 원유, LNG, 컨테이너 등과 같이 다양한 화물을 싣고 해양을 운항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하는 운송 수단이다. 선박은 일반적으로 프로펠러의 회전을 이용하여 추력을 얻게 되는데, 프로펠러의 회전 시 프로펠러 날개에 의하여 해수가 뒤로 움직이는 힘이 발생하고, 이에 의한 반작용으로 선박이 전진하게 된다.
선박은 프로펠러의 회전을 구현하기 위한 추진용 엔진 또는 선박 내에서 사용할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용 엔진 등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은 선박의 내측 후미에 마련되며, 엔진은 다양한 종류의 연료를 소모함으로써 엔진축을 회전시킨다.
이때 엔진축은 프로펠러축과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발전기와 연결되어, 엔진축의 회전 시 프로펠러축이 회전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선박이 전진하거나 발전기를 구동시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즉 선박에는 추진용, 발전용 등과 같이 그 목적에 맞도록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엔진이 탑재될 수 있으며, 프로펠러축을 엔진축에 연결해 추진할 경우 대형엔진을 추진용 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발전기로 생산된 전기를 이용해 프로펠러축을 회전해 추진할 경우 중형엔진을 추진용 엔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선박에 탑재되는 엔진은 선박이 해양을 운항할 경우 선박과 함께 해양에 위치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엔진은 항해 기간 동안 엔진 제조업체 또는 엔진 점검업체 등과 같은 육상의 업체로부터 원격지에 놓여있게 된다.
선박에는 승선원이 탑승하고 있어 선박 내 엔진은 승선원에 의해서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승선원은 엔진 제조업체 등과 달리 엔진의 전문가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의 엔진은, 원격지에서 승선원에 의해서만 유지 및 보수됨에 따라 문제 발생 시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심할 경우 엔진이 정지되어 선박이 항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인 해상에 놓여있는 엔진에 대해, 엔진 제조업체 등 엔진의 전문가가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는 승선원이 엔진 제조업체에서 제공한 매뉴얼을 이용하거나 승선원과 엔진 제조업체 등의 일반적인 연락을 통해 해결할 뿐이어서 엔진의 비상 상황에 대한 대처가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모니터링 시 엔진의 상태에 대한 정적인 데이터와 동적인 데이터를 모두 활용하여 육상 등에서 엔진의 진단을 수행하고 엔진이 마련된 선박 등으로 진단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엔진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모니터링 시 승선원에 대한 체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지속적인 체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를 육상에 알려 문제 발생 시 미연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현재 상태에 따라 진단 정보를 도출해내되, 진단 정보에 매칭되는 엔진의 다른 상태를 추출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진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된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엔진 모니터링부;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상기 선박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박의 외부로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상기 엔진의 전문가가 접근 가능한 서버에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의 상태는, 상기 엔진의 부하, RPM, 온도,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대응 지침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대응 지침을 상기 진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선박의 승선원이 접근 가능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에 의한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상기 송신부에 의한 상기 엔진의 상태 전달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승선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선박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 모니터링부는, 상기 진단부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에 설치된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상기 선박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박의 외부로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상기 상기 엔진의 상태 전달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승선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엔진이 설치된 선박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육상 등에서 엔진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되,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함께 고려하여 엔진의 진단을 구현해 통신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엔진 모니터링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은, 승선원이 지속적으로 엔진의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독려하며, 엔진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승선원에게 제공하여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엔진의 다른 상태를 함께 제공해 엔진의 문제가 빠르게 해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1)은, 엔진 모니터링부(12), 진단부(21), 단말기(13), 알림부(15), 저장부(14, 22)를 포함한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선박(10)에 설치된 엔진(11)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선박(10)은 운항 중에 육상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는데, 이는 엔진(11)의 전문가가 상주하는 엔진(11) 제조사로부터 원격지에 해당한다. 따라서 선박(10)은 엔진(11)의 전문가로부터 직접적인 지원을 받을 수는 없다.
그런데 선박(10)의 엔진(11)은 비교적 대형이고 구성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엔진(11) 전문가는 선박(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엔진(11)의 유지보수는 선박(10)에 탑승한 승선원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승선원은 엔진(11)의 전문가 대비 엔진(11)의 유지보수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1)의 상태를 엔진(11) 전문가가 직접 확인하고, 엔진(11)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승선원이 엔진(11)을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은 엔진(11)의 상태를 엔진(11) 전문가에게 전달하기 위해 엔진(11)의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엔진(11) 전문가의 위치를 기준으로 선박(10)은 원격지인 해상에 위치하는바, 엔진(11) 전문가는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위성 등을 통하여 엔진(11)의 상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위성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선박(10) 내 엔진(11)을 감시하기 위해 선박(10)에 설치될 수 있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엔진(11)의 상태를 감시하면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함께 동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엔진(11)의 정적 데이터라 함은 특정한 시각에 놓여있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엔진(11)의 동적 데이터라 함은 일정한 시간 동안 변화하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엔진(11)의 동적 데이터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변화 추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1)의 동적 데이터는,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에 대한 적분값이 되며, 엔진(11)의 정적 데이터는, 엔진(11)의 동적 데이터에 대한 미분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 및 엔진(11)의 동적 데이터는, 엔진(11)의 다양한 상태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일례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는, 엔진(11)의 부하, RPM, 온도, 압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의 예시 외에도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든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11)의 동적 데이터 역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엔진(11)의 상태를 나타내며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모든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엔진(11)의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센서는 엔진(11)에 직접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센서는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의 종류나 설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엔진(11)의 부하, RPM 등을 측정하기 위해 엔진(11)의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엔진(11)의 부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센서로 측정이 가능하다면 엔진(11)의 부하 역시 엔진 모니터링부(12)에 포함되는 센서에 의해 감시될 수 있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박(10)의 외부(20)에 위치하는 엔진(11) 전문가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 동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위성 등을 이용하여 엔진(11)의 데이터를 엔진(11) 전문가로 전달하여 줄 수 있다.
다만 위성을 이용하여 엔진(11)의 정적 데이터, 동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통신 비용의 증대를 일으키므로, 엔진(11)의 유지보수 비용을 과다하게 확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11) 전문가가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해 엔진(11)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되, 특정 조건에서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11) 전문가에 의한 유지보수를 구현하면서도 통신 비용의 절감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진단부(21)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진단부(21)는 선박(10)에 설치될 수 있지만, 엔진(11) 전문가가 위치한 외부(20)(육상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진단부(21)는 엔진 모니터링부(12)와 위성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진단부(21)는,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진단부(21)가 외부(20)에 마련될 경우 선박(10)에 마련된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진단부(21)와 무선 통신하여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진단부(21)는,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하고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정적 데이터와 정적 기준범위의 비교 및 동적 데이터와 동적 기준범위의 비교는, 진단부(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단부(21)가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각각 정적 기준범위와 동적 기준범위에 대비한다면,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수집하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진단부(21)에 제공하여야 하므로, 통신 비용의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 모니터링부(12)가 자체적으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각각의 기준범위와 대비하도록 하며, 기준범위의 이탈이 확인되었을 때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진단부(21)로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통신 데이터 사용량을 절감해 통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진단부(21)는, 엔진(11)의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하고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해 상기와 같은 상태가 확인됨에 따라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전달받을 경우,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한다는 것은, 엔진(11)의 현재 부하 또는 현재 온도 등이 기준 부하 또는 기준 온도 등을 이탈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정적 기준범위는 일정한 범위이거나, 또는 일정한 값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이탈한다는 것은, 엔진(11)의 부하 변동 또는 온도 변화가 위험한 수준으로 급변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소지가 있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동적 기준범위는 정적 기준범위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범위 또는 일정한 값일 수 있다.
진단부(21)는,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동시에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정적 데이터의 정적 기준범위 이탈 및 동적 데이터의 동적 기준범위 이탈이 동시에 감지될 때,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진단부(21)에 제공할 수 있고, 진단부(21)는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진단부(21)가 제공하는 진단 정보는, 현재 엔진(11)의 상태(정적 데이터) 또는 엔진(11)의 상태 변화(동적 데이터)에 따라 승선원 등이 조치해야 하는 행동 또는 승선원이 주의깊게 확인해야 하는 사항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진단 정보는, 진단부(21)로부터 후술할 단말기(13)로 전달될 수 있고, 단말기(13)는 승선원이 접근 가능한 컴퓨터, 휴대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진단 정보는 외부(20)의 저장부(14, 22)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진단부(21)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에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저장부(14, 22)로부터 검색한 뒤 이를 단말기(13)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진단부(21)가 진단 정보를 선박(10)으로 전달할 경우, 진단부(21)는 외부(20)에 마련되고 선박(10)은 외부(20)와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할 것이므로, 진단 정보 역시 위성을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이 경우 위성에 의한 정보 전달 시 통신 비용이 발생하는바, 통신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진단 정보의 전달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단부(21)가 진단 정보를 모두 선박(10)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식별 코드만을 선박(10)의 단말기(13)로 전달할 수 있으며, 단말기(13)는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선박(10) 내에 마련된 저장부(14, 22)로부터 식별 코드에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추출하여 승선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위성을 통해 전달되는 것은 식별 코드만이므로, 통신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단말기(13)는, 승선원이 접근 가능한 컴퓨터 등일 수 있으며, 승선원이 항시 휴대하는 휴대폰 등일 수 있다. 단말기(13)는 진단부(21)로부터 진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때 진단 정보는 엔진(11)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모든 정보이거나, 또는 식별 코드일 수 있다.
단말기(13)는 위성으로 진단부(21)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선박(10) 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위성으로 진단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3)는 선박(10) 내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선박(10) 내에 마련될 수 있는 저장부(14, 22)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1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단부(21)에 의해 진단 정보를 직접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는 진단부(21)로부터 식별 코드를 전달받고, 선박(10) 내 네트워크를 통해 식별 코드를 저장부(14, 22)에 전송하여 저장부(14, 22)로부터 식별 코드에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알림부(15)는,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를 승선원에게 알림한다. 알림부(15)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으며,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 등을 이용하여 승선원에게 알림할 수 있다.
알림부(15)는 단말기(13)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단말기(13)가 휴대폰일 경우 알림부(15)는 단말기(13)에 내장되는 기기 또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따라서 진단 정보가 제공되면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가 알림부(15)에 의해 알려지며(단말기(13)의 진동 또는 소음 등), 승선원은 단말기(13)를 이용하여 진단 정보를 확인하여 엔진(11)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저장부(14, 22)는, 엔진(11)의 진단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엔진(11)의 진단 정보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대응 지침일 수 있고, 진단부(21)는 대응 지침을 진단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14, 22)는 외부(20)에 마련되거나, 및/또는 선박(10)에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4, 22)가 외부(20)에 마련될 경우 저장부(14, 22)와 진단부(21)는 외부(20)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저장부(14, 22)가 선박(10)에 마련될 경우 저장부(14, 22)와 진단부(21)는 위성을 통해 연결되고, 저장부(14, 22)와 단말기(13)는 선박(10)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4, 22)가 외부(20)에 마련될 경우,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진단부(21)로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가 전달되었을 때, 진단부(21)는 저장부(14, 22)에 접속하여 정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진단 정보는 진단부(21)에 의하여 위성을 통해 선박(10)의 단말기(13)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위성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 그리고 진단 정보가 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성을 통한 정보의 전달은 최소화하는 것이 비용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저장부(14, 22)는 선박(1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저장부(14, 22)가 선박(10)에 마련될 경우,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진단부(21)로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가 전달될 때, 진단부(21)는 식별 코드를 선박(1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선박(10)의 단말기(13) 등은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선박(10)의 저장부(14, 22)에 접속하여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추출하여 승선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위성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 그리고 식별 코드가 된다. 따라서 앞서 저장부(14, 22)가 외부(20)에 마련되는 것 대비, 통신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
다만 저장부(14, 22)가 선박(10)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저장부(14, 22)가 엔진(11) 제조사와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20)에 마련되는 경우 대비, 데이터의 양이나 신뢰성 등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10)에 저장부(14, 22)가 마련될 경우, 저장부(14, 22)는 주기적으로 외부(20)(외부(20)의 저장부(14, 22) 등)에 연결되어 업데이트(동기화)될 수 있으며, 통신 비용 절감을 위하여 저장부(14, 22)의 업데이트 시기가 최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박(10)에 설치된 엔진(11)을 엔진 모니터링부(12)로 감시하되,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 모두 기준범위를 벗어난 것이 감지될 때, 진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면서, 진단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이루어지는 위성 통신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가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는, 엔진(11)에 실제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일 수 있고, 또는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10)에 설치된 엔진(1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110),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하고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엔진(11)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단계 S110에서는, 엔진(11)의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수집한다. 엔진(11)의 정적 데이터는 일정 시각에서 감지되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한 데이터이고, 엔진(11)의 동적 데이터는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는 엔진(11)의 상태 변화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앞서 설명한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하여 감시 및 수집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하고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엔진(11)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정적 데이터가 정적 기준범위를 이탈한 것과 동적 데이터가 동적 기준범위를 이탈한 것은,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고, 또는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전달받는 진단부(21)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진단 정보의 제공은,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가 모두 기준범위를 동시에 이탈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단부(21)가 진단 정보를 위성으로 선박(10)에 전달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통신 비용의 절감을 위해, 진단 정보의 제공은 진단부(21)가 식별 코드를 위성으로 선박(10)에 전달하였을 때 선박(10)의 네트워크에 의해 식별 코드와 매칭되는 진단 정보가 추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1)은, 엔진 모니터링부(12), 진단부(21), 단말기(13), 알림부(15), 저장부(14, 22), 송신부(16), 서버(23)를 포함한다.
엔진 모니터링부(12), 진단부(21), 알림부(15), 저장부(14, 22)는,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와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선박(10)에 설치된 엔진(11)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정적 데이터와 동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엔진(11)의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엔진 모니터링부(12)가 수집하는 엔진(11)의 상태는, 정적 데이터 및 동적 데이터 등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엔진(11)의 상태와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다.
진단부(21)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진단부(21)는 육상 등의 외부(2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엔진(11)의 상태를 전달받고, 이에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선박(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단 정보의 제공 방식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단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진단 정보의 직접적인 전달 또는 식별 코드의 전달 등에 의해 진단 정보가 선박(10)의 승선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말기(13)는, 선박(10)에 설치되는 컴퓨터, 승선원이 휴대하는 휴대폰 등일 수 있으며,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선박(10)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진단 정보가 진단부(21)에 의해 선박(10)(선박(10)의 단말기(13) 등)으로 제공되면, 승선원은 이를 확인하여 엔진(11)을 체크해야 할 수 있다.
그런데 승선원이 단말기(13)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진단 정보가 단말기(13)로 제공되더라도 승선원이 이를 확인하지 못함에 따라 진단 정보에 의한 엔진(11)의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진단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는, 엔진(11)의 상태가 점검이 필요하거나 문제 해결 조치가 필요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진단 정보가 승선원에게 제공되었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단 정보가 제공되었을 때 승선원이 이를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13)가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받을 수 있다. 확인 신호라 함은 승선원이 입력하는 일정한 키값 등일 수 있다.
단말기(13)가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이는 진단 정보에 의하여 엔진(11)의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며, 엔진(11)의 정지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기(13)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지할 경우, 외부(20)로 알림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외부(20)로의 알림은, 현재 엔진(11)의 상태가 외부(20)(외부(20)의 진단부(21) 등)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송신부(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알림부(15)는, 진단부(21)에 의한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를 승선원에게 알림한다.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림부(15)는 단말기(13)와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소음, 진동, 또는 조명 등을 이용해 알림을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알림부(15)는, 송신부(16)에 의한 엔진(11)의 상태 전달 여부, 즉 승선원이 확인 신호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도, 소음 등을 이용하여 알림을 구현함으로써 승선원이 진단 정보를 빨리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승선원은 단말기(13)와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알림부(15)는 이를 대비하여 단말기(13)와 일체형이 아닌 별도로 마련되어 승선원에게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 알림부(15)가 단말기(13)와 일체형으로만 마련된다면 단말기(13)에 확인 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 이를 단말기(13)로 알리게 될 뿐이어서 승선원은 여전히 상황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송신부(16)는, 단말기(13)가 확인 신호를 전달받지 못한 경우, 엔진(11)의 상태를 외부(20)로 전달한다. 송신부(16)는 진단부(21)와 연결되어 확인 신호의 입력이 없을 때, 즉 승선원이 진단 정보를 확인하지 않거나 못할 때, 위성 등을 통해 진단부(21)로 엔진(11)의 상태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송신부(16)는 진단부(21)로 알림만을 전달할 수도 있다. 즉 확인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는 사실만이 송신부(16)로부터 진단부(21)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송신부(16)를 통해 엔진(11)의 상태를 함께 진단부(21)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엔진(11)의 상태가 엔진 모니터링부(12)가 아닌 송신부(16)에 의해 전달되는 것 자체가 알림을 구현할 수 있고, 진단부(21)가 엔진(11)의 상태를 체크하여 위급한 상황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송신부(16)는, 엔진(11)의 상태를 외부(20)의 진단부(21)에 전달할 수 있고, 또는 외부(20)의 서버(23)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23)는 진단부(21)와 외부(20)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구성이며, 진단부(21)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서버(23)는, 선박(10)의 외부(20)에 설치되며 엔진(11)의 전문가가 접근 가능한 구성이다. 서버(23)는 엔진(11)의 상태를 송신부(16)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으며, 엔진(11)의 전문가는 이를 직접 확인함으로써 승선원이 진단 정보를 제공받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일례로 승선원의 확인 신호가 없고 엔진(11)의 전문가가 송신부(16) 및 서버(23)를 통해 엔진(11)의 상태를 감시할 때, 심각한 상황으로 치달을 경우 엔진(11)의 전문가는 직접 선박(10)에 다른 방법을 이용해 통신함으로써 주의를 줄 수 있다.
엔진(11)의 상태가 송신부(16)에 의해 진단부(21) 및/또는 서버(23)로 전달되는 것은, 엔진(11)의 상태 전달에 의해 통신 비용의 증대를 불러 일으킬 수 있으나, 이는 승선원의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절감될 수 있는 것이고, 확인 신호가 없을 때에는 통신 비용의 절감보다는 엔진(11)의 보호가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진단 정보가 승선원에게 제공되되, 승선원이 이를 임계시간 동안 확인하지 않는 경우, 엔진(11)의 상태가 엔진(11)의 전문가로 전달되어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처할 수 있는바, 엔진(11)의 안정적인 보호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10)에 설치된 엔진(1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10),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선박(10)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20),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선박(10)의 외부(20)로 엔진(11)의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S230),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엔진(11)의 상태 전달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을 이용하여 승선원에게 알림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진단 정보의 제공은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해 수집된 엔진(11)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진단부(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식별 코드에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4, 22)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선박(10)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다. 확인 신호는 승선원이 단말기(13)에 일정한 키값을 입력함으로써 수신될 수 있다.
승선원이 확인 신호를 입력하는 것은, 승선원이 진단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대처할 것 또는 대처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엔진(11)은 안정적으로 유지보수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는,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선박(10)의 외부(20)로 엔진(11)의 상태를 전달한다. 단계 S220과 달리 승선원이 부재중이어서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엔진(11)이 적절하게 유지보수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승선원이 아닌 엔진(11)의 전문가가 직접 엔진(11)의 유지보수를 구현할 수 있도록, 엔진(11)의 상태가 외부(20)의 서버(23)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엔진(11)의 상태 전달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을 이용하여 승선원에게 알림한다. 진단 정보가 제공되었다는 것은 엔진(11)의 상태가 점검을 필요로 하는 상태일 수 있으므로, 승선원은 진단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진단 정보가 선박(10)으로 전달되었다는 사실에 대해 승선원에게 1차로 알려줄 수 있다.
그런데 승선원이 진단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있다면, 엔진(11)의 상태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11)의 전문가가 위치한 외부(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엔진(11)의 상태가 외부(20)로 전달되었다는 사실에 대해 승선원에게 2차로 알려줄 수 있다.
이때 1차 알림은 승선원이 휴대하거나 용이하게 접근 가능한 단말기(13)에 내장된 알림부(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2차 알림은 승선원이 단말기(13)와 떨어져서 위치할 수 있는 공간에 설치된 알림부(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1차 알림과 2차 알림은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되는 알림부(15)에 의해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1)은, 엔진 모니터링부(12), 진단부(21), 단말기(13), 알림부(15), 저장부(14, 22)를 포함한다.
엔진 모니터링부(12)를 포함하는 각 구성들은,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 각 구성들에 대해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엔진 모니터링부(12)는, 선박(10)에 마련되며 선박(10) 엔진(11)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엔진(11)의 상태는 정적 데이터 및/또는 동적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로 감시될 수 있다.
엔진 모니터링부(12)에 의해 수집되는 엔진(11)의 상태에 따라, 진단부(21)로부터 진단 정보가 승선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엔진(11)의 상태에 따라 비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단부(21)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엔진 모니터링부(12)가 모니터링하는 엔진(11)의 상태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일 수 있는데, 진단부(21)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가 승선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단부(21)는,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엔진(11)의 다른 상태를 승선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해 특정한 진단 정보가 도출될 수 있는데, 진단 정보에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와 같은 엔진(11)의 제1 상태가 매칭될 수 있지만, 엔진(11)의 현재 상태와 다른 엔진(11)의 제2 상태가 매칭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엔진(11)의 상태에는 하나의 진단 정보가 매칭될 수 있지만, 하나의 진단 정보에는 복수 개의 엔진(11)의 상태가 매칭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승선원은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제공받고 엔진(11)을 유지보수할 수 있는데, 이때 엔진(11)의 유지보수를 진행하였음에도 엔진(11)의 상태가 동일한 진단 정보를 발생시키는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즉 엔진(11)의 현재 상태가 제1 상태일 때 진단 정보가 승선원에게 제공되어 승선원은 진단 정보를 기반으로 엔진(11)을 점검하였는데, 엔진(11)의 현재 상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하였으나 제2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는 제1 상태에도 대응됨에 따라, 동일한 진단 정보가 승선원에게 재차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승선원은 엔진(11)의 유지보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단부(21)가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의 제공을 구현하면서도,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엔진(11)의 다른 상태, 즉 엔진(11)의 현재 상태와 상이한 엔진(11)의 상태를 진단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승선원이 효과적으로 엔진(11)의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4, 22)는, 진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 22)는 외부(20)에 마련될 수 있고, 및/또는 선박(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4, 22)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매칭되는 진단 정보를 추출해낼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 22)는,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엔진(11)의 상태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한 진단 정보에 엔진(11)의 제1 상태와 제2 상태가 매칭될 수 있으므로, 저장부(14, 22)에는 진단 정보와 엔진(11)의 제1, 2 상태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저장부(14, 22)는, 엔진(11)의 상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단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진단 정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11)의 상태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진단부(21)는 엔진 모니터링부(12)로부터 전달받은 엔진(11)의 현재 상태가 제1 상태일 때, 저장부(14, 22)를 통해 엔진(11)의 제1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진단 정보에 어떠한 엔진(11)의 상태가 매칭되는지를 확인한 뒤, 해당 진단 정보에 매칭되며 엔진(11)의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진단부(21)는 진단 정보와 함께 엔진(11)의 제2 상태를 승선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승선원이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대응지침인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엔진(11)(제1 상태에 놓여있는 엔진(11))의 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엔진(11)의 점검 시 동일한 진단 정보가 다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엔진(11)의 상태가 제2 상태가 되지 않게) 이중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진단 정보에 매칭되되 엔진(11)의 현재 상태와 상이한 엔진(11)의 상태가 함께 승선원에게 제공되도록 하여, 진단 정보에 의한 점검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진단 정보의 재전송이 방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통신 비용의 절감 및 엔진(11)의 안정적인 구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모니터링 방법은, 선박(10)에 설치된 엔진(1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엔진(11)의 상태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S310),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20),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11)의 상태 중 엔진(11)의 현재 상태와 상이한 엔진(11)의 상태를 제공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단계 S310에서는,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엔진(11)의 상태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엔진(11)의 제1 상태에는 특정한 진단 정보가 매칭될 수 있는 동시에, 특정한 진단 정보에는 엔진(11)의 제1 상태와 함께 엔진(11)의 제2 상태가 매칭될 수 있는바, 저장부(14, 22)는 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해둘 수 있다.
단계 S320에서는, 엔진(11)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진단 정보의 제공은 우선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가 추출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330에서는,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엔진(11)의 상태 중 엔진(11)의 현재 상태와 상이한 엔진(11)의 상태를 제공한다. 단계 S320에서는 엔진(11)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동일한 진단 정보를 발생시키는 엔진(11)의 다른 상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단계 S330에서는 진단 정보에 매칭되는 엔진(11)의 다른 상태를 진단 정보와 함께 승선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330은, 단계 S320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승선원은 엔진(11)의 현재 상태(제1 상태)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와 함께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엔진(11)의 다른 상태(제2 상태)를 수신함으로써, 엔진(11)을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10: 선박
11: 엔진 12: 엔진 모니터링부
13: 단말기 14: 저장부
15: 알림부 16: 송신부
20: 외부 21: 진단부
22: 저장부 23: 서버

Claims (10)

  1. 선박에 설치된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엔진 모니터링부;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상기 선박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박의 외부로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선박의 외부에서 상기 엔진의 전문가가 접근 가능한 서버에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태는,
    상기 엔진의 부하, RPM, 온도,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대응 지침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대응 지침을 상기 진단 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선박의 승선원이 접근 가능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에 의한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상기 송신부에 의한 상기 엔진의 상태 전달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승선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선박의 외부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 모니터링부는, 상기 진단부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9. 선박에 설치된 엔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상태에 대한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에 대해 상기 선박의 승선원으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이후 임계시간 동안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선박의 외부로 상기 엔진의 상태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정보의 제공 여부 또는 상기 상기 엔진의 상태 전달 여부를 소음, 진동, 또는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승선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모니터링 방법.

KR1020150085107A 2015-06-16 2015-06-16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8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107A KR20160148294A (ko) 2015-06-16 2015-06-16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107A KR20160148294A (ko) 2015-06-16 2015-06-16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294A true KR20160148294A (ko) 2016-12-26

Family

ID=5773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107A KR20160148294A (ko) 2015-06-16 2015-06-16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396B1 (ko) * 2021-11-18 2022-02-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주기변동 랜덤신호의 정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275A (ko) * 2010-03-31 2011-10-06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KR20140085686A (ko) * 2012-12-27 2014-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275A (ko) * 2010-03-31 2011-10-06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KR20140085686A (ko) * 2012-12-27 2014-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진단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396B1 (ko) * 2021-11-18 2022-02-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평균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주기변동 랜덤신호의 정렬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연기관의 이상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meister et al. Autonomous unmanned merchant vessel and its contribution towards the e-Navigation implementation: The MUNIN perspective
CA2369768C (en) Machine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8594882B2 (en) Damage detection system
WO2006070700A1 (ja) マリンホースの管理システム
CN112399948B (zh) 航海船舶安全系统
KR20170080556A (ko)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8294A (ko)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310316B1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탱크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모니터링 방법
KR100322665B1 (ko) 선박용 종합 항법 장치
KR20160148292A (ko)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8298A (ko)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3688168A (zh) 船舶用压缩机的保养管理系统
KR20150022069A (ko) 선박에 구비된 통합정보 관리 시스템
JP3475062B2 (ja) 小型船舶の監視方法
WO1989005460A1 (en) Buoy and watercraft drift warning system
US20210371063A1 (en) System for a marine vessel
KR20220132914A (ko) 카메라 영상을 활용한 선박 유지관리 시스템
KR20220132915A (ko) 수리 매뉴얼 제공을 통한 선박 유지관리 시스템
JP3696326B2 (ja) ディーゼル機関支援装置
KR20110138055A (ko) 선박의 추진제어 및 상태감시 장비의 백업 장치
US6658332B2 (en) Anti-terrorism shipping control
KR20170103328A (ko) 선박의 사고 발생 여부 판단 장치 및 방법
JP6039177B2 (ja) 舶用機関の支援システム
CN107226179B (zh) 船舶用电子设备、航海信息记录装置、数据发送方法
KR102608440B1 (ko) 대기모드를 갖는 스마트센서, 이를 이용한 선박의 진동소음 측정장치와 측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