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557A -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557A
KR20120119557A KR1020110037562A KR20110037562A KR20120119557A KR 20120119557 A KR20120119557 A KR 20120119557A KR 1020110037562 A KR1020110037562 A KR 1020110037562A KR 20110037562 A KR20110037562 A KR 20110037562A KR 20120119557 A KR20120119557 A KR 20120119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rgo
equipment
ship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Original Assignee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557A/ko
Publication of KR2012011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선박의 대형화로 인한 다양한 전자장비의 증가로 많은 정보들을 감시하고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선박의 기본적인 항해정보와 선박의 안전과 감시를 위한 영상정보와 선박 기관에 대한 상태 정보, 선박에 적재된 화물의 상태정보를 종합적으로 감시하고 운영자가 시각적인 감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프로그램이다.
다양한 장비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기존선박의 자체상태를 종합 감시하는 시스템은 있지만 화물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운영은 많지 않으며 시각적 유저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Ship Condition Monitoring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박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알기 위한 기본적인 항해정보, 영상장비의 원격조정기능, 기관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 화물의 적재위치, 화물 보관장치의 동작상태 및 온도를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항해 운항정보를 표시하여 선박의 종합적인 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점점 대형화가 되어 가는 추세이므로 이에 따라 부수적으로 증가하는 각종 제어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다양하게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날이 그 시스템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박의 대형화에 비례하여 복잡화되는 선박의 주요 설비들에 대한 정보의 호환성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선박에 탑재된 운항장비, 영상장비, 기관 관련장비, 화물장비는 각기 독립된 상태로 작동되며, 더욱이 선박건조 이후에 설치된 장비들은 독립된 상태로 작동되므로 이러한 설비들의 독립작동에 대한 유지보수 인력이 증가하게 되어 기대와는 다르게 오히려 선박의 유지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기 다른 제어시스템용으로 구입된 영상장비는 독립된 기능을 하므로 영상장비가 추가로 구입되더라도 이러한 영상장비의 추가되는 갯수에 따라 구성을 확장할 수도 없어 영상장비의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고 종합적인 영상의 제공이 어렵게 되어 단편적인 영상만을 참조하므로 영상정보의 종합적인 습득에 저해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영상장비는 일반적인 CCTV, IP Camera, Web Camera의 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할 수 있었으며, 영상장비의 제어를 위한 수평이동(PAN)상태 수신 및 제어, 수직이동(TILT)상태 수신 및 제어, 줌인 줌아웃(Zoom-In Zoom-Out) 기능의 상태를 표시하고 카메라(Camera)의 영상을 모니터에 출력하는 기기로서 각각의 제어시스템에 부속되어 운영되고는 있었으나, 위에 지적한데로 종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서 하루하루 새로운 장비가 선박에 장착되고, 운영해야하는 장비의 수가 증가함으로 운항자로 하여금 이러한 장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비가 필요하나 이러한 요구에 적합한 장비가 미비 된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운항자의 운항 스트레스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고 각 장비에 대한 상태를 원활하게 확인하고 이상상태 발생시에 이에 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기술적 지원 시스템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관상태 감시시스템은 기관의 주요성능의 이상상태를 실시간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선박의 운항경비의 절감에 중요한 요소인 연료유 장비(FUEL. OIL SYSTEM) 경보(Alarm)상태, 윤활유 장비(LUB. OIL SYSTEM) Alarm 상태, 고온온수 장비(HIGH TEMPERATURE WATER SYSTEM) Alarm 상태, 저온 냉각수 장비(LOW TEMPERATURE WATER SYSTEM) Alarm 상태, 베어링 장비(BEARING SYSTEM) Alarm 상태, 과급기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장비(AIR & TURBO CHARGER SYSTEM) Alarm 상태, 배기가스 장비(EXHAUST GAS SYSTEM) Alarm 상태, 엔진 및 과급기 출력(ENGINE & TURBO CHARGER OUTPUT STATUS) Alarm 상태 등을 감시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들 각 구성들은 개별적으로 관리될 뿐 이들이 종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물상태 감시시스템은 냉동컨테이너의 실제정보를 감시하고 화물의 이상 유무, 설정온도 표시, 공급온도 감시, 반환온도 감시, 냉동컨테이너의 콤프레서(Compressor), 디프로스터(Defroster)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 역시도 다른 정보들과 함께 종합적이 관리가 연계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박정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리얼통신 (Serial Communication)과 네트웍 통신(Ethernet Communication) 방식으로 한정되어 다양한 선박장비들의 신호를 수집, 처리,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박에 탑재된 운항장비, 영상장비, 기관관련 장비, 화물정보를 포함하여 적절한 통신신호 처리로 편리하게 인터페이스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고 선박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의 선박정보시스템은 영상장비의 개수에 따라 구성을 확장하고 화물의 변동에 따른 구성도 용이하게 변경하여 구현하는 데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화되고 다양화되어 가는 선박의 종류와 장비에 대한 관리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데이터의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화되는 선박 장비의 데이터 수신 및 처리기능의 강화를 위한 기본적인 시리얼통신(Serial Communication)과 이더넷 통신(Ethernet Communication)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의 안전과 운영자로 하여금 각 시스템에 대한 감시업무가 용이할 수 있도록 선박 내의 안전 및 감시 데이터를 단일의 통합시스템에서 관리운영하는 것이 가능한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은, 선박의 운항정보 처리모듈을 통하여 선박기본정보 데이터를 구현하는 운항정보 처리부와, 영상정보 처리모듈을 통해서 영상장치 제어모듈을 구현하는 영상정보 처리부와, 기관정보 처리모듈을 통하여 기관상태 정보데이터를 구현하는 기관정보 처리부와, 화물정보처리모듈을 통하여 화물장치상태 데이터를 구현하는 화물정보처리부와, 상기 각 처리부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DB)서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되어 종합적인 상황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선박의 운항에 있어서 영상장치를 통한 안전상태를 감시 및 점검하고, 기관의 운영에 있어 주요부에 대한 감시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떤 기능 이상 발생시에 즉시 인지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강화하였으며, 선박에 적재되어 운반되는 화물에 대한 상태를 감시 및 관리함으로써 운항에 따른 운송손실을 줄이기 위한 화물 저장장치의 동작을 감시하고, 선박의 감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자료를 저장하고 운영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운영을 효율성을 있게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통합적으로 선박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시 및 관리함으로써 안전하고 경제적인 선박 운항을 위한 지원을 하므로 사전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운항중인 선박 및 장비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신하므로, 선박에 대한 현재의 상황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게 되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항이 가능하게 되고 고장과 같은 이상상태 정보에 대한 신속한 대응책을 강구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운영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에 대한 간략하게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비이스의 정의를 도시한 정의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데이터비이스의 관계들을 도시한 관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을 구설하고 있는 프로그램상에서 각각의 단위프로그램(클래스)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관계도.
도 5B는 각 클래스별 상세설계 내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지원 종합 정보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지원 영상 정보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지원 기관 정보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지원 화물 정보 화면.
선박에서 IEC61162-1, IEC61162-1 규약에 따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비, GYRO COMPASS 장비, SPEED LOG 장비 등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시리얼 통신(RS-232C, RS-422, RS-485) 또는 Tcp/Ip 통신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디코드(Decode)하여 감시 장비(컴퓨터)에서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에 항해 정보를 표시한다.
시리얼 통신의 속도은 기본적으로 9600bps 속도로 구성되고 연동장비에 따라 4800bps에서 115200bps까지 구성이 가능하다.
영상정보의 경우는 선박에서 여러 곳에서 설치되어 있는 영상장비에서 출력되는 신호인 콤포넌트(Component) 신호(MII와 베타캡(Betacam) VTR의 아날로그 콤포넌트, CCIR 601의 디지털 콤포넌트 Y,Cr,Cb, RGB), Composite 신호(PAL, NTSC, SECAM), Serial Digital Interface(SDI) 등의 다양한 신호를 직접 또는 컨버터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감시장비(컴퓨터)에서 입력 정보를 저장하고 화면에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기관정보의 신호는 선박 기관의 주요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각 종 센서들의 수치나 접점을 입력받아 엔진의 상태를 분석하고 성능을 예측하고 최적의 효율을 위한 제어를 동작을 수행한다.
선박기관의 신호에는 연료유 계통, 윤활유 계통, 축 계통, 과급기 계통 등의 상태를 엔진의 각 부분에 설치된 센서들과 연결된 복수의 신호 입력부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임시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기관 감시장치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전자처리유닛, 전자처리유닛의 제어신호에 의해 엔진 각부의 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엔진의 상태값들을 출력하는 표시장치 등 여러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출력하는 신호을 감시 장비(컴퓨터)에서 입력정보를 저장하고 화면에 항해정보를 표시한다.
화물정보의 경우는 선박에 적재된 화물보관 장치의 하나인 냉통컨테이너와 콘트롤유닛(Control Unit) 간의 통신방법은 Data를 ISO-10368 프로토콜(Protocol)로 계산(Capsulation)하고 RS-232로 계산하여 모뎀으로 전달하여 신호를 수신한다.
모뎀에서 수신된 신호를 감시장비(컴퓨터)에서 입력정보를 저장하고 화면에 항해 정보를 표시한다.
전반적으로 선박 장비에서 출력되는 Serial 통신과 Tcp/Ip 통신 이외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술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신호를 변환하고 취합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감시데이터를 감시장비(컴퓨터)로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선박의 운항기본정보, 영상장비정보, 기관상태 정보, 화물상태 정보를 주기적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감시장비의 종합적인 자료를 주 모니터(600)에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전체운영을 위한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운항정보처리모듈(110)을 통하여 선박기본정보데이터(120)를 구현하는 운항정보처리부(100)와, 영상정보처리모듈(210)을 통해서 영상장치제어모듈(220)을 구현하는 영상정보처리부(200)와, 기관정보 처리모듈(310)을 통하여 기관상태정보데이터를 구현하는 기관정보 처리부(300)와, 화물정보처리모듈(410)을 통하여 화물장치상태 데이터를 구현하는 화물정보처리부(400)와, 상기 각 처리부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DB)서버(50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되어 종합적인 상황이 표시되는 모니터(600)를 포함한다.
상기 운항정보처리부(100)는 운항정보 처리모듈(110)에 의하여 선박기본정보데이터(120)를 구현하며, 상기 운항정보 처리부(100)는 IMO번호, CALL SIGN, 국적, 선박명을 포함하는 선박정보(C110)와, 출발지, 목적지, 속도, COMPASS를 포함하는 운항정보(C120)와, 시간과 위치를 포함하는 일반정보(C130)로는 시간과 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정보처리부(200)는 전달된 영상정보들을 영상정보처리모듈(210)에 의하여 기본적인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영상장치 제어모듈(220)을 통하여, 선박의 각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각 영상장비인 CCTV, IP Camera, Web Camera와 같은 영상장비들을 통하여 영상장치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영상 장치의 수평이동(PAN)과 수직이동(TILT)을 제어하며 영상장치의 영상을 확대(ZOOM OUT) 및 축소(ZOOM IN)하는 처리를 포함한다.
기관정보처리부(300)는 기관정보처리모듈(310)에 의하여 기관상태정보데이터(320)를 구현하며, 선박기관의 각 센서를 통해서 입력되는 상태신호를 수집하고, 기관에 관련된 주변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러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서버(50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기관정보처리부(300)는 선박의 운항경비 절감에 중요한 요소인 연료유 장비(FUEL OIL SYSTEM) 경보(Alarm) 상태, 윤활유 장비(LUB. OIL SYSTEM) Alarm 상태, 고온온수 장비(HIGH TEMPERATURE. WATER SYSTEM) Alarm 상태, 저온 냉각수 장비(LOW TEMPERATURE WATER SYSTEM) Alarm 상태, 베어링 장비(BEARING SYSTEM) Alarm 상태, 과급기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장비(AIR & TURBO CHARGER SYSTEM) Alarm 상태, 배기가스 장비(EXHAUST GAS SYSTEM) Alarm 상태, 엔진 및 과급기 출력(ENGINE & TURBO CHARGER OUTPUT STATUS) Alarm 상태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하여 알람 상태의 발생시에 즉시 데이터베이스서버(500)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화물정보처리부(400)는 화물정보처리모듈(410)에 의하여 화물장치정보데이타(420)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실제 정보를 감시하고 화물의 이상 유무, 설정온도표시, 공급온도 감시, 반환온도 감시, 냉동컨테이너의 콤프레서(Compressor), 디프로스터(Defroster)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흐름도(B)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식은 Serial통신(RS-232C, RS-422, RS-485)과 TCP/IP 방식을 사용하며, 다양한 방식의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장비에 대해서 물리적인 각 장비에 맞게 설치되며 설치된 장비의 통신속도 및 통신방법(RS232, NETWORK,기타통신)에 대하여 장비추가시 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대응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장비에 대하여 소프트웨어(5B-⑪)적으로 통신속도 및 통신방법을 화면상에서 추가하여 처리하므로 장비추가시마다 소프트웨어를 수정할 필요가 없는 자동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였다.
이러한 통신시스템은 운항중인 선박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장비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신하므로 선박의 현재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어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항이 가능하게 되고, 고장과 같은 이상상태 정보에 대하여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분의 감시 및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된 운항기본정보데이터(S1), 영상정보데이터(T1), 기관정보데이터(U1), 화물정보데이터(V1)는 각각의 오류검증(Checksum) 단계(S2, T2, U2, V2)를 거쳐 Display 데이터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블럭도(C)이다.
데이타베이스 블럭도(C)에서는 선박정보(C110)와 운항정보(C120) 및 기타 일반정보(C130)로 구성되는 운항기본정보(C100)와, 카메라기능정보(C210)와, 카메라 제어정보(C220)를 포함하는 영상정보(C200)와, 엔진의 연료장비, 윤활유장비, 상태고온온수장비, 저온 냉각수장비, 베어링시스템, 과급기를 포함하는 압축공기장비,배기가스장비,엔진 및 과급기 출력장비를 포함하는 기관정보(C300)와, 담당자,화물개수,개별화물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카고(Cargo)정보(410) 및 컨테이너아이디,컨테이너위치,설정온도,선적항,목적항, 시간별 화물상태정보를 포함하는 개별화물상태정보(420) 및 컨테이너아이디,공급온도,반환속도,알람,로그를 포함하는 시간별 화물상태정보(430)를 포함하는 화물정보(C400)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구성항목별로 블럭화 되고 기능을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관계도이다. 데이터베이스 관계도는 데이터베이스 정의서에서 정의된 운항기본정보(D110)와 영상정보(D120)와 기관정보(D130)와 화물정보(D140)의 각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항목을 나열하고 각 항목의 그룹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관계를 표시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선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작성된 클래스 관계도(E)이다. 클래스 관계도(E)는 선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개발프로그램에 포함된 각 감시 및 관리 부분의 변수 및 구성 함수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로그램 개발단위(CLASS)간의 상호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개발프로그램의 각 클래스의 상세설계 구성도(F)로서, 상태변환 변수를 저장하며 화물 정보 저장 변수 구조체를 정의하는 클래스(1), 냉동 컨테이너의 정보를 저장하고 화물 정보 초기 설정 변수 구조체를 정의하는 클래스(2), 운항정보를 저장하고 항해정보 저장변수 구조체를 정의하는 클래스(3), 경보발생 정보와 온도, 압력, 등 수치정보를 저장하고 기관정보 저장변수 구조체를 정의하는 클래스(4), 영상장치의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정보 저장변수 구조체를 정의하는 클래스(5),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 프로그램의 전체를 관리하는 클래스와 프로그램의 버전 등의 정보를 보여주는 대화상자 클래스, 데이터의 보관 및 관리를 담당하는 클래스(6), 여러 화면의 전환을 담당하는 탭 클래스와 비트맵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클래스(7), 비트맵 출력에 대한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확장클래스(8), 기본적인 제품 표시줄, 메뉴, 툴바, 상태바, 창의 경계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메인클래스(9), 화면에 데이터의 출력을 담당하는 클래스(10), 외부 장비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Serial Communication 기능을 수행하는 클래스와 TCP/IP 통신을 담당하는 Socket 클래스(11), 전체 선박상태 모니터링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Sub화면 클래스(12), 선박의 영상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영상장치를 제어하는 Sub화면 클래스(13), 선박의 기관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Sub화면 클래스(14), 선박의 화물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Sub화면 클래스(15), 화면에 표시되고 제어를 하기 위한 버튼의 확장클래스(16). 선박의 화물정보를 표시할 때 냉동컨테이너의 형태를 그리기 위한 클래스(17), 기본장치 이외의 장치와 연동하기 위해 제작된 Sub화면 클래스(18), 항해 에 대한 기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대화상자 구성을 하는 클래스(19)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종합정보 화면을 구성하는 모니터(600)이다.
종합정보 화면인 모니터(600)의 화면 좌측에는 선박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알기 위한 영상장비의 원격조정 기능이 보여지며, 화면의 중앙에는 기관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으로서 연료유 장비, 고온온수 장비, 베어링 장비,배기가스 장비,윤활유 장비, 저온냉각수 장비, 과급기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장비, 엔진및 과급기출력장비의 상태를 보여주며, 화면 우측에는 컨테이너의ID, 적재위치, 화물보관 장치의 동작상태 및 온도를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화물정보를 보여주며 여기서 회색심볼은 일반화물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고 흰색 심볼은 흰색은 냉동화물이 적재될수 있는 공간을 표시하며 흰색심볼중 녹색심볼은 냉동화물이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영상장비의 추가시 추가된 화면에 대해서 사용자가 화면을 다이얼로그창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되는 영상장비에 따라 추가로 다이얼로그창이 추가되도록 확장성을 확보하는 소프트웨어(5B-⑧)를 개발하였으며 추가된 화면이 메인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박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시스템의 영상정보 화면이다. 팬(PAN), 틸트(TILT), 줌(ZOOM)기능의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으로 팬(PAN), 틸트(TILT)의 조정과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조정, 오토스캔(Auto Scan), 오토포커스(Auto Focus)기능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기관정보 화면이다.
실제 디젤기관의 현상을 구현하였으며, 기관의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를 표시한다. 크게는 연료유 장비, 윤활유 장비, 고온온수장비, 저온냉각수장비, 베어링장비,축계, 배기가스장비, 엔진 및 과급기출력장비 계통으로 나뉘어 세부정보를 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의 화물정보 화면이다.
냉동컨테이너의 실제정보를 감시하고 화물의 이상 유무, 설정온도표시 ,공급온도 감시, 반환온도 감시, 냉동컨테이너의 콤프레서(Compressor), 디프로스터 (Defroster)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9에서 각 BAY의 회색표시 심볼은 일반화물 적재공간을 표시하고 흰색심볼 부분은 냉동화물화물이 적재될수 있는 공간을 표시하며 냉동화물의 경우 적정온도 유지상태는 녹색표시 심볼(BAY 18,BAY22)로 표시되고 적정온도로 유지되고 있지 않은 냉동화물은 적색(도시되지 않음)심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하며, 우측화면 표시는 BAY:02에 적재되어 있는 화물에 대한 상세한 조회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회색심볼과 흰색심볼을 사용자가 모니터상에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의 변동에 따르는 구성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선박의 장비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파악된 상태에 따라 상태를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해당 부분에 대한 매뉴얼을 제공하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해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은 일반적인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와 같은 산업분야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00. 운항정보처리부 110. 운항정보처리모듈
200. 영상정보처리부 210. 영상정보처리모듈
300. 기관정보처리부 310. 기관정보처리모듈
400. 화물정보처리부 410. 화물정보처리모듈
500. 데이터베이스 서버 600. 모니터

Claims (3)

  1.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A)은, 선박의 운항정보처리모듈(110)을 통하여 선박기본정보데이터를 구현하는 운항정보처리부(100)와,
    영상정보처리모듈(210)을 통해서 영상장치제어모듈을 구현하는 영상정보처리부(200)와,
    기관정보 처리모듈(310)을 통하여 기관상태정보데이터를 구현하는 기관정보 처리부(300)와,
    화물정보처리모듈(410)을 통하여 화물장치상태 데이터를 구현하는 화물정보처리부(400)와,
    상기 각 처리부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DB)서버(50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되어 종합적인 상황이 표시되는 모니터(600)를 포함하여,
    선박상태에 대한 종합정보를 수집 및 전시하며, 각 장치별 자료 수집 및 전시에 대한 전반적인 선박의 안전유지와 상태감시 및 관리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선박정보(C110)와 운항정보(C120) 및 기타 일반정보(C130)로 구성되는 운항기본정보(C100)와,
    카메라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정보(C200)와,
    엔진의 연료장비,윤활유장비, 상태고온온수장비, 저온 냉각수장비, 베어링시스템, 과급기를 포함하는 압축공기장비,배기가스장비,엔진 및 과급기 출력장비를 포함하는 기관정보(C300)와,
    담당자,화물개수 및 컨테이너아이디,컨테이너위치,설정온도,선적항,목적항을 포함하는 개별화물상태정보 및 컨테이너아이디,공급온도,반환속도,알람,로그를 포함하는 시간별 화물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화물정보(C400)를 포함하고,
    선박의 영상처리 및 화물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600)상에는 선박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알기 위한 영상장비의 원격조정기능, 기관의 상태 및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 화물의 적재위치, 화물 보관장치의 동작상태 및 온도를 파악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항해 운항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영상정보에 대한 화면은, (팬)PAN, 틸트(TILT), 줌(ZOOM) 기능의 상태를 표시하고 원격으로 팬(PAN), 틸트(TILT)의 조정과 (줌인/아웃)Zoom In/Out 조정, 오토스캔(Auto Scan), 오토포커스(Auto Focus)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관 정보에 대한 화면은, 연료유 장비, 윤활유 장비, 상태고온 온수장비, 저온냉각수장비, 베어링장비,축계, 배기가스장비, 엔진 및 과급기출력장비 계통으로 나뉘어 세부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화물 정보에 대한 화면은, 냉동컨테이너의 실제정보를 감시하고 화물의 이상 유무, 설정온도표시 , 공급온도 감시, 반환온도 감시, 냉동컨테이너의 콤프레서(Compressor), 디프로스터(Defroster)의 동작 상태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KR1020110037562A 2011-04-22 2011-04-22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KR20120119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62A KR20120119557A (ko) 2011-04-22 2011-04-22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62A KR20120119557A (ko) 2011-04-22 2011-04-22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557A true KR20120119557A (ko) 2012-10-31

Family

ID=4728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562A KR20120119557A (ko) 2011-04-22 2011-04-22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557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0249A2 (en) * 2012-12-20 2014-06-26 Purfres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perishable goods
KR20140116252A (ko) 2013-03-20 2014-10-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상태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KR101503463B1 (ko) * 2013-09-25 2015-03-1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가중치평균을 이용한 선박 내부 모니터링 방법
KR20150133377A (ko) * 2014-05-19 2015-11-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영중 원격 설정 기능을 갖는 냉동컨테이너 모니터링 서버 및 방법
CN105718832A (zh) * 2014-12-03 2016-06-29 昆山研达电脑科技有限公司 病人身份及药品核对装置及方法
CN105718748A (zh) * 2016-01-28 2016-06-29 许继集团有限公司 一种在线监测数据处理方法
KR20160115063A (ko) 2015-03-25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고장 진단 장치
WO2019093416A1 (ja) * 2017-11-08 2019-05-16 Mol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の航行支援システム
KR20190002745U (ko) 2018-04-25 2019-11-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노킹 판별 장치
KR102083167B1 (ko) * 2019-10-18 2020-03-02 비엔시스 주식회사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CN111059967A (zh) * 2019-12-27 2020-04-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大连舰艇学院 一种编队舰空导弹舰艇编成方法
KR102122715B1 (ko) * 2019-12-02 2020-06-15 김용호 단일 pcb 기반의 통합 릴레이형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CN112347182A (zh) * 2020-10-26 2021-02-0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态势感知系统
CN113738566A (zh) * 2021-09-14 2021-12-03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抽水蓄能电站的过速保护与流量控制方法
KR20220048621A (ko) 2020-10-13 2022-04-20 진테크이엔지(주) Crnn 알고리즘을 적용한 발전플랜트 및 선박의 고장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4707A (ko) 2021-04-20 2022-10-27 진테크이엔지(주) 고도화된 crnn 알고리즘을 적용한 고장 예측 및 사전정비 시스템
CN116187651A (zh) * 2022-12-14 2023-05-30 深圳技术大学 一种到港船舶上货物状态的监装报告生成方法及装置
CN116563803A (zh) * 2023-07-10 2023-08-08 深圳市汉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觉的船运水泥装卸货监控方法及系统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0249A2 (en) * 2012-12-20 2014-06-26 Purfres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perishable goods
WO2014100249A3 (en) * 2012-12-20 2014-11-13 Purfresh,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ed distribution of perishable goods
KR20140116252A (ko) 2013-03-20 2014-10-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상태 감시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
KR101503463B1 (ko) * 2013-09-25 2015-03-19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가중치평균을 이용한 선박 내부 모니터링 방법
KR20150133377A (ko) * 2014-05-19 2015-11-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영중 원격 설정 기능을 갖는 냉동컨테이너 모니터링 서버 및 방법
CN105718832A (zh) * 2014-12-03 2016-06-29 昆山研达电脑科技有限公司 病人身份及药品核对装置及方法
KR20160115063A (ko) 2015-03-25 2016-10-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고장 진단 장치
CN105718748A (zh) * 2016-01-28 2016-06-29 许继集团有限公司 一种在线监测数据处理方法
WO2019093416A1 (ja) * 2017-11-08 2019-05-16 Mol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船舶の航行支援システム
KR20190002745U (ko) 2018-04-25 2019-11-04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엔진 노킹 판별 장치
KR102083167B1 (ko) * 2019-10-18 2020-03-02 비엔시스 주식회사 단일 pcb 기반의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KR102122715B1 (ko) * 2019-12-02 2020-06-15 김용호 단일 pcb 기반의 통합 릴레이형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CN111059967A (zh) * 2019-12-27 2020-04-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大连舰艇学院 一种编队舰空导弹舰艇编成方法
CN111059967B (zh) * 2019-12-27 2022-07-19 中国人民解放军海军大连舰艇学院 一种编队舰空导弹舰艇编成方法
KR20220048621A (ko) 2020-10-13 2022-04-20 진테크이엔지(주) Crnn 알고리즘을 적용한 발전플랜트 및 선박의 고장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N112347182A (zh) * 2020-10-26 2021-02-0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态势感知系统
CN112347182B (zh) * 2020-10-26 2023-08-2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态势感知系统
KR20220144707A (ko) 2021-04-20 2022-10-27 진테크이엔지(주) 고도화된 crnn 알고리즘을 적용한 고장 예측 및 사전정비 시스템
CN113738566A (zh) * 2021-09-14 2021-12-03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抽水蓄能电站的过速保护与流量控制方法
CN113738566B (zh) * 2021-09-14 2023-09-19 国网新源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抽水蓄能电站的过速保护与流量控制方法
CN116187651A (zh) * 2022-12-14 2023-05-30 深圳技术大学 一种到港船舶上货物状态的监装报告生成方法及装置
CN116563803A (zh) * 2023-07-10 2023-08-08 深圳市汉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觉的船运水泥装卸货监控方法及系统
CN116563803B (zh) * 2023-07-10 2023-09-15 深圳市汉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视觉的船运水泥装卸货监控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9557A (ko) 선박상태 모니터링 서비스시스템
KR101126529B1 (ko) 선박용 유지보수방법 및 유지보수관리시스템
JP4885759B2 (ja)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CN103731643A (zh) 一种视频监控网络质量巡检方法及系统
US11432126B2 (en) Marine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
US111325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bandwidth reduction and communication of visual events
CN108593302A (zh) 一种低速柴油机故障诊断系统
US20220327869A1 (en) Filter element analysis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08053783A (zh) 一种显示装置的智能显示状态检测系统及方法
KR102407514B1 (ko) 원격제어반과 cctv카메라를 이용한 통신 및 제어 이중화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KR101310071B1 (ko) 멀티미디어 기반의 선박 사고이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7293096A (zh) 框架车gps加载发动机状态远程监控报警系统
CN216357105U (zh) 一种飞机腹舱智能监控系统
US111089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as detection
KR20200000759A (ko) 항만 영상 관제 방법 및 시스템
CN111613002B (zh) 一种实现远程运维的船用火灾报警系统及其应用
CN212724267U (zh) 一种实现远程运维的船用火灾报警系统
CN115134578A (zh) 一种具有ar技术的超融合管理平台
Picus et al. Novel Smart Sensor Technology Platform for Border Crossing Surveillance within FOLDOUT
KR101870900B1 (ko) 다목적 감시 이원화 시스템의 통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WO2001056294A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KR101143947B1 (ko) 브이에스에이티를 이용한 선박장비의 원격지원서비스시스템
JP3120290U (ja) 境界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監視卓
Бігун et 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ship monitoring systems and ways to their improving
KR101106555B1 (ko) 주둔지 과학화 경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