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181B1 -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 수경성바인더 기반의 보드 제조방법, 이러한 보드를 제작하기위한 라인 및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 수경성바인더 기반의 보드 제조방법, 이러한 보드를 제작하기위한 라인 및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181B1
KR101124181B1 KR1020067003860A KR20067003860A KR101124181B1 KR 101124181 B1 KR101124181 B1 KR 101124181B1 KR 1020067003860 A KR1020067003860 A KR 1020067003860A KR 20067003860 A KR20067003860 A KR 20067003860A KR 101124181 B1 KR101124181 B1 KR 10112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delete delete
feathered
preform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993A (ko
Inventor
폴 자용
장-루이 로랑
프레데릭 페로네
로게 아레스
리오넬 즈벵당
엠마뉘엘 비알
르와 마르탕
Original Assignee
라파르쥐 쁠라뜨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3292089A external-priority patent/EP1510315A1/fr
Application filed by 라파르쥐 쁠라뜨르 filed Critical 라파르쥐 쁠라뜨르
Publication of KR2006005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43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of plas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6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profiling, e.g. mak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28B11/1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for extrusion or for materials supplied in lo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28B11/1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for extrusion or for materials supplied in long webs
    • B28B11/16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for extrusion or for materials supplied in long webs with 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rrect cutting moment, e.g. measuring roll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92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webs, sheets or the like, e.g. of paper, card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 Y10T156/1041Subsequent to l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488Differential nonuniformity at mar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heet Holder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플라스터보드(plasterboard)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플라스터보드는 일면에는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를 구비하고, 다른 면에는 제 1 에지와 수직하는 2개의 다른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를 구비하거나; 또는 일면에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를 포함하고, 동일 면 또는 다른 면에 제 1 에지에 수직한 2개의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면에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를 포함하고, 동일한 면 또는 다른 면에 제 1 에지에 수직한 2개의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를 포함하며,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는 상기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의 폭에 대한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의 폭의 비가 1.5~5가 되도록 된 폭을 갖는다.

Description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 제조방법, 이러한 보드를 제작하기 위한 라인 및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HYDRAULIC-BINDER-BASED, TAPERED-EDGE BOARDS,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LINE THEREFOR, AND LIGHT WORK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hydraulic-binder-based boards)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과 이 장치를 사용하여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특정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새로운 플라스터보드(plasterboard)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 4 781 558호는 리세스(recess)를 가진 플라스터보드(plasterboard)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기술한다. 상기 특허는 플라스터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절단할 프리폼(preform) 상에 돌기(boss)를 갖는 드럼(34)에 의해 리세스(recess)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특히, 이 특허의 도 1 참조). 상기 리 세스의 깊이는 상기 돌기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이들 리세스의 깊이 및/또는 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34)을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태의 보스를 가진 또 다른 드럼으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상기 특허는 특히 플라스터보드들의 특정 표면을 마무리기 위해 의도된 것이나, 플라스터보드의 축을 횡단하여 플라스터보드의 뒤에(즉, 이 경우엔 상면) 페더링(feathering) 형상으로 임프레션을 형성하는 특별한 응용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 2 991 824호에서는, 2개의 롤러(21)를 회전시키고 돌기(25)를 구비한 밴드(20)에 의해 플라스터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절단하려는 프리폼에 임프레션(51A, 51B)이 형성되어 있다(특히, 이 특허의 도 1 및 칼럼 3, 라인 29 내지 43 참조). 그리고, 이 프리폼은 페더링된 단부들 또는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를 제작하기 위해 임프레션의 중앙에서 절단된다.
미국 특허 제 2 246 987호에서는, 복수의 돌기(23, 38)를 갖는 밴드(20)에 의하여 플라스터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절단할 프리폼에 임프레션이 형성되어 있다(특히, 도 1 및 도 7 참조). 실시예에서는, 동시에 보드의 양면에 임프레션이 만들어 진다.
이 경우에도, 임프레션의 치수 및/또는 형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밴드(20)를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태의 돌기를 가진 또 다른 밴드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폼에 임프레션을 형성하는 문제를 해결하며, 동시에 이들 임프레션의 크기 및/또는 형태가 손쉽고 빠르게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미국 특허 제 2 991 824호에 기술된 형태의 공정을 사용하여 프리폼에 임프레션을 형성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페더링된 단부 또는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를 만족스런 방식으로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면의 각각에 외장(facing)을 구비하는 수경성 바인더로 제조되는 신규한 보드를 제공하며, 이 보드는, 일면에는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를 구비하고, 다른 면에는 제 1 에지와 수직하는 2개의 다른 평행한 횡으로 페더링된 단부 또는 에지(25a)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양면의 각각에 외장(facing)을 구비하는 수경성 바인더로 제조되는 보드를 제공하며, 이 보드는, 일면에는 2개의 평행한 제 1의 페더링된 에지(10)를 구비하고, 동일 면 또는 다른 면에는 제 1의 페더링된 에지와 수직하는 2개의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를 구비하며, 제 2의 페더링된 에지(25a)는 100~200mm의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양면의 각각에 외장(facing)을 구비하는 수경성 바인더로 제조되는 보드를 제공하며, 이 보드는, 일면에는 2개의 평행한 제 1의 페더링된 에지(10)를 구비하고, 동일 면 또는 다른 면에는 제 1의 페더링된 에지와 수직하는 2개의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를 구비하며, 제 2의 페더링된 에지(25a)는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에 대한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의 폭의 비가 1.5~5가 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보드를 사용하여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과, 이러한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동일한 면에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구비하는 수경성 바인더로 만들어진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프리폼에 임프레션 또는 포켓(pocket)을 형성하는 장치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장치는 적어도
- 하나의 프레임;
- 프레임의 제 1 단부에 지지된 2개의 제 1 도르래와, 프레임의 제 2 단부에 지지되고, 제 1 도르래와 평행한 평면에 있고, 제 1 도르래와 서로 대향하며 그와 동일한 2개의 제 2 도르래;
- 제 1 도르래와 제 2 도르래에 각각 감기는 2개의 전동벨트;
- 세로축이 도르래의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전동벨트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동벨트 사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 장치에 의하면, 제거가능한 수단을 분리하는 것과 프리폼에 형성된 임프레션의 크기 및/또는 형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이 제거가능한 수단을 상이한 크기 및/또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다른 수단으로 대체하는 것이 용이해 진다.
게다가, 이러한 장치의 사용으로 인해, 2개의 임프레션 사이에 간격이 허용되어, 보드의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절단하려고 하는 프리폼으로부터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프리폼에 임프레션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제조방법은 특히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갖는데, 상기 보드에서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는 종래의 페더링된 에지과 동일한 면 또는 반대 면에 존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에 의해 커버되고 컨베이어 벨트( 또는 성형벨트)에 의해 지지되는 외장 재료를 포함하는 프리폼으로부터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제조라인에 관한 것이다. 이 제조라인은 또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가 제작되게 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주어지는 이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도면의 Xbis, Xter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Xa 및 Xb를 의미한다. 도 6, 8, 10, 15.. 등 참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체인 링크 상의 와이어의 조립체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와이어 그리퍼 핀의 개략도.
도 4는 체인 링크 상에 설치된 지지편의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지지편의 개략적 정면도.
도 6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의 한 단계의 개략도.
도 7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의 또 다른 단계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는 보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는 또 다른 보드 도면.
도 10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의 임의의 중간 단계 도면.
도 11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의 일부의 개략 사시도.
도 12는 수경성 바인더를 이용한 프리폼 밑에 라스(lath)를 삽입하는 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장치의 개략 측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 측면도.
도 15는 수경성 바인더를 이용한 프리폼 밑에 라스를 삽입을 설명하는 도 12의 장치의 세부의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기 위한 라인의 일부의 개략도.
도 17은 2차 성형 장치의 개략도.
도 18은 2차 성형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성 바인더로 만들어진 보드의 개략도.
도 20은 표면들의 위치가 변환된 도 19에 도시된 보드의 개략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경성 바인더로 만들어진 보드의 개 략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의 페더링된 에지의 개략적 단면도.
도 23A 및 23B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드의 페더링된 에지의 "반전"의 도면.
도 24A, 24B 및 24C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가 어떻게 함께 고정되는 지를 도시한 도면.
도 25A, 25B 및 25C는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가 어떻게 함께 고정되는 지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H 형상의 프레임(101)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로 제안될 수 있다.
프레임(101)의 제 1 단부(104)에는 2개의 제 1 도르래(102 및 103)가 지지되어 있고, 제 2 단부(107)에는 2개의 제 2 도르래(105 및 106)가 지지 되어 있다.
제 1 도르래(102 및 103)는 제 1 평면상에 위치하고, 제 2 도르래(105 및 106)는 제 2 평면에 위치하는데, 제 1 평면은 제2 평면과 평행하다.
도르래(102 및 105)는 상호 대향 하도록 위치하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르래(103 및 106) 또한 상호 대향 하도록 위치하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도르래(102, 103, 105 및 106)는 스스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전동벨트(108)는 제 1 도르래(102, 103) 둘레에 감기고, 제 2 전동벨트(109)는 제 2 도르래(105, 106) 둘레에 감긴다.
전동벨트(108 및 109)는 동일하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11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와이어(111)는 제 1 및 제 2 전동벨트(108 및 109)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의 세로축은 도르래의 회전축과 평행하다.
따라서, 도르래 중 하나가, 예를 들어 도르래(102)가 회전하면, 도르래(102)는 전동벨트(108)를 구동시키고 전동벨트(108)는 도르래(103)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다른 도르래와 가늘고 긴 형상의 수단(elongated means)(110)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가늘고 긴 형상의 수단(110)은 한편으로는 벨트(108)를 구성하는 루프에 의하여 규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늘고 긴 형상의 수단(110)이 제 2 벨트(109)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벨트를 구성하는 루프에 의하여 규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대칭을 형성함에 따라 와이어(111)의 축이 타원 경로로 이동할 수 있어, 와이어(111)의 축이 도르래의 축과 항상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로 대향하도록 된 2개의 도르래가 하나 또는 동일 샤프트 상에 고정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도르래 중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수단은 이들 수단이 설치된 샤프트에 의하여 2개의 도르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111)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이나, 평행육면체, 각기둥, 보드 형 등 매우 다양한 형상을 채택할 수 있다.
와이어는 나사를 풀어서 벗겨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하여 전동벨트에 고정될 수 있고 가늘고 긴 형상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용이하게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와이어(111)들이 상기 전동벨트(108 및 109)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도 1 참조),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와이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르래는 사슬톱니바퀴(sprocket)이고 전동벨트 체인은 이러한 사슬톱니바퀴들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지지편(support piece, 113) 및 와이어 그리퍼 핀(wire gripper pin, 114)에 의하여 체인 링크 상에 수용되는 와이어(111)를 도시하고 있다.
체인 링크(112)에 있어서, 와이어 그리퍼 핀은 종래에 사용된 롤러 베어링 핀들 중 한 핀을 대체한다.
와이어 그리퍼 핀(114)은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 그리퍼 핀(114)은 순차적으로,
- 나삿니가 형성된 단부(115)와;
- 종래에 사용된 롤러 베어링 핀을 대체하기 위해 체인링크(112)의 롤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평탄부(116)와;
- 상기 원통 형상의 평탄부(116)보다 직경이 크고 지지편(113)(도 4 및 도 5 참조)의 홀(118)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평탄부(117)와;
- 헤드(119) 및;
- 헤드(119)로부터 원통 형상의 평탄부(116) 까지 연장되어 와이어(111)를 수용하라 수 있도록 기계가공된 중앙구멍(120)을 포함한다.
지지편(113)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지지편(113)은 와이어 그리퍼 핀(114)의 대응 평탄부(117)와 연동하는 홀(118)과 홀(118) 내로 오픈된 구멍(121)을 포함한다. 견고하게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홀(118) 내부에 존재하는 와이어(111)를 압착하도록 압력 나사(122)가 구멍(121) 내로 틀어 박힐 수 있게, 구멍(121)에는 나삿니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체인 링크(112)에 와이어(111)를 고정시켜, 도 2의 설정(set-up)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와이어 그리퍼 핀(114)의 평탄부(117)가 지지편(113) 내로 삽입되어야 하고, 링크(112)의 정상적인 롤러 베어링 핀이 제거되어야 하며, 와이어 그리퍼 핀(114)의 일부분(116)이 롤러의 축을 따라 삽입되어야 하고, 조립체가 와이어 그리퍼 핀(114)의 단부(115) 상에 너트(123)를 조임으로써 견고해져야 하며, 와이어(111)가 와이어 그리퍼 핀(114)의 중앙구멍(120)내로 삽입되어야 하고, 압력 나사(122)가 와이어(111)를 효과적으로 압착할 때까지 압력 나사 (122)를 중앙구멍(121) 내로 틀어 박히게 하여 압력 나사(122)가 이들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와이어 그리퍼 핀(114)의 헤드(119)가 체인의 내부, 즉, 다른 체인 쪽을 향한 쪽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 그리퍼 핀(114)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편(113)은 2개의 쌍(홀(118), 나삿니가 형성된 구멍(1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홀(118)의 축들 사이의 간격이 체인 링크(112)의 롤러의 축들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므로, 2개의 와이어(111)는 도 4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링크(112) 상에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한 링크들 상에 복수의 동일한 지지편(113)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와이어(111)들이 평행하게 정렬가능하게 되어 가늘고 긴 형상의 수단이 구성된다.
임프레션을 만들기 위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2 991 824호의 주제를 이루는 또 다른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공정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되어,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절단할 프리폼(preform)에 임프레션을 형성한다.
프리폼은 임프레션에서 절단되거나 또는 임프레션이 형성되었던 위치의 반대쪽 위치(즉, 상기 프리폼의 다른 쪽)에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플라스터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도 6 내지 도 10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1)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2)이 프리폼(5)을 얻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7)에 의하여 지지된 외장재료(1) 상에 부어지고, 프리폼(5)의 폭과 적어도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라스(lath)(6, 23)가 프리폼(5) 밑에 삽입되는 단계;
2)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2)은 설치를 위해 남겨지고, 라스(6, 23)는 제거되는 단계; 및
3) 프리폼(5)이 라스들(6, 23)에 의하여 생성된 페더링(feathering)(8)에서 절단되는 단계.
이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용이 이 공정에서 설명될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횡단 에지(transverse edges)"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는 제작 라인의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에지를 의미한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횡단 에지는 또한 "보드 단부(board ends)"로서 알려져 있다.
도 6은 외장재료(facing material)(1) 상에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2)을 쏟아 부음으로서 제조된 보드를 제작하기 위한 라인을 도시하는데, 이 보드는 일반적으 로 제 2 외장재료(3)로 커버된다. 성형판(4) 밑의 조립체의 통과로 인해 프리폼(5)이 제공된다.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은 석고 플라스터(gypsum plast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재료(1, 3)는 종이나 카드로 구성될 수 있거나, 유리 또는 외장재료(로서 사용되어져 왔던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폼(5)이 성형판(4) 하부 또는 제작 라인에 사용된 등가의 장치(예를 들어, 마스터 롤러로서 알려져 있는 성형 롤) 하부에서 나온 후, 라스(6)가 프리폼(5)과 컨베이어 벨트(7)의 시작 지점 사이에 삽입된다. 성형판(4)과 컨베이어 벨트(7)의 시작 지점 사이의 거리는 프리폼(5)이 충분히 경화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고 여전히 매우 유연할 정도의 거리이다. 라스(6)는 그 세로 축이 컨베이어 벨트(7)의 이동방향에 거의 수직하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그 후, 상기 라스(6)가 프리폼(5) 처럼 컨베이어 벨트(7)에 의하여 구동된다. 그 후에, 석고 플라스터 조성물(2)이 수압으로 세트되고 화살표 A로 표시된 프리폼(5)의 이동 동안 경화된다.
라스(6)는 프리폼(5)이 절단되기 전에 제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컨베이어 벨트(7)의 이동속도와 석고 플라스터 조성물(2)이 세트되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구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7) 상의 프리폼(5)에 의해 커버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일정시간 후, 프리폼(5)의 경도는, 라스(6) 가 프리폼(5)을 변형시키지 않고, 또한 라스(6)의 제거후 남겨진 공간이나 페더링(8)(도 7)을 채울 석고 플라스터 조성물(2)이 없이도 제거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라스(6)는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스(6)의 길이가 프리폼(5)의 폭을 초과하면, 라스(6)는 프리폼(5)으로 부터 돌출되고, 컨베이어 벨트(7)의 이동방향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되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 이동 방향은 도 6에서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다.
라스(6)는 또한, 일반적으로, 제작 라인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하지는 않으나, 갭(gap)이 있는 롤러들에 의하여 구동되는 수개의 벨트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2개의 연속한 롤러사이의 공간 내로 라스(6)를 낙하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라스(6)가 제거된 후, 프리폼(5)은 컨베이어 벨트(7)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되고 석고 플라스터 조성물(2)도 계속해서 경화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더링(8)이 나이프(9)가 작창된 롤러로 구성되는 절단 장치와 대략 수평이 되면, 절단 장치가 작동되어 프리폼(5)을 절단한다. 그 결과 얻어지는 것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드(9a)인데, 이 보드의 길이는 두 절단 동작 사이에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동된 거리, 즉,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연속적인 페더링(8) 사이에서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동된 거리에 의하여 규정된다. 따라서, 보드(9a)는 2개의 페더링된 횡단 에지(10)들을 갖는다.
절단 장치는 나이프(9)가 페더링(8)의 거의 중앙에서 프리폼(5)을 절단하도 록 세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페더링(8)의 크기는 라스(6)의 크기에 따른다. 라스는 일반적으로 0.5 ㎜와 4 ㎜ 사이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 ㎜와 4 ㎜ 사이의 두께의 평행육면체이다. 이 평행육면체의 폭은 일반적으로 5 ㎝와 20 ㎝ 사이이고 그 길이는 적어도 프리폼(5)의 폭과 거의 동일하나(존재할 수 있는 세로방향의 밴드(테이프)의 폭 만큼 감소될 가능성이 있음), 프리폼(5) 하부에서 제거를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그 보다 더 크다. 라스(6)는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프리폼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프리폼(5)의 폭 보다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라스(6)를 만드는 재료는, 이들 라스가 각각의 라스(6)의 상부에 놓여있는 프리폼(5)의 두께의 중량을 버틸 수 있다면 그리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라스는 내마모성 및 항구성을 가진 플라스틱, 목재, 금속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2개의 페더링된 세로 에지를 갖는 플라스터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을 보완하고 있다. 이 공지의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7)의 각각의 세로방향의 면을 따라,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일반적으로 테이프로서 알려져 있는 밴드의 배치를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 제482,810호에 기술되었다.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11)를 얻는 것을 가능케 하는데, 보드는 2개의 페더링된 횡단 에지(10)와는 별도로, 2개의 페더링된 세로 에지(25)들, 즉, 총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다.
만약 라스(6)가 삽입되는 빈도에 비해 절단 동작들의 빈도가 2배이면, 말할 필요도 없이 3개의 페더링된 에지(2개의 세로 에지 및 1개의 횡단 에지)를 갖는 보드가 제작된다.
제조된 플라스터보드들의 길이는 당연히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속도와 절단 동작들의 빈도에 따른다.
절단 동작들의 빈도는 일반적으로 라스가 삽입되는 빈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2개의 페더링된 횡단 에지를 갖는 보드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공정은 매우 유연한데, 이는 제조된 보드들의 길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라스가 삽입되는 빈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공정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공하기 위해 절단할 프리폼에 임프레션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0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라스(6)가 삽입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라스(6)가 삽입될 위치의 반대쪽의 프리폼(5)에 임프레션(12)이 형성되거나, 또는 라스(6)가 삽입될 위치의 프리폼(5)에 임프레션(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스(6)가 클 때 재료의 변위 때문에 프리폼(5)에 형성될 수도 있는 국부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에 대한 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종래의 스무더(smoother)(4a)(도 6에 도시됨)는 또한 라스(6)가 삽입되는 장소의 아래쪽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라스의 삽입에 관해서는 임프레션이 사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엔, 임프레션을 만드는 장치가 제조 라인에서만 단독으로 사용된다. 프리폼에 형성된 임프레션은, 수경성 바인더가 세트된 후, 종래의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형태 및 임프레션에 대응하는 오목부(depression)로 귀착된다. 임프레션(12 또는 12a)이 포함된 오목부인지의 여부에 따라, 이 오목부는 임프레션이 종래의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면에 대향하는 면에 위치되거나 또는 동일한 면에 위치된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오목부는 임프레션(12)이고, 종래의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면에 대향하는 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이점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2)로 커버되고 컨베이어 벨트(7)에 의하여 지지되는 외장재료(1)를 포함하는 프리폼(5)으로부터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에 가장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컨베이어 벨트들 사이의 거리가 프리폼(5)의 폭과 적어도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 벨트와 도르래는 프리폼의 각 세로 측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전동벨트들이 회전하면, 가늘고 긴 형상의 수단이 프리폼(5)에 임프레션을 형성하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또한 프리폼(5) 상부 또는 하부에 놓일 수 있는데, 상부에 놓이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가 임프레션(12)을 형성하고, 하부에 놓이는 경우에는 상기 장치가 임프레션(12a)을 형성한다.
실용적인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리폼(5) 상부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프리폼(5)의 상면에 임프레션(12)을 형성하고, 프리폼(5)의 하면에 임프레션(12a)을 각기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장치가 프리폼 상부에 위치되고 다른 장치가 상기 프리폼 하부에 위치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2개(또는 그 이상)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도 10 참조), 여기에서 프리폼(5)의 하면은 컨베이어 벨트(7)에 놓여져 있는 프리폼(5)의 면이다.
절단 장치는 임프레션(12)에서 프리폼을 절단하도록 세트될 수 있다.
임프레션(12a)이 프리폼의 하면에 형성된 상황이면, 절단 장치는 임프레션(12a)이 형성된 위치의 반대쪽의 프리폼을 절단하도록 세트될 수 있다.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은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를 제작하기 위한 라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라인에 대해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상기 라인에 사용되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작하는 라인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 다.
도 11에는, 라스(23)의 적층을 유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장방형인 면(21)과, 그 장방형 표면의 각 코너에서 수직으로 평행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로 대향하는 4개의 브래킷형 각편(bracket-shaped angular pieces)(22)으로 형성되는 라스 매거진(laths magazine)(20)이 도시되어 있다.
라스 매거진(20)의 크기는 상당히 많은 라스(23)를 수용할 정도의 크기이다(도 12 및 도 13 참조).
라스 매거진(20)의 수평면(21)은 레그(24)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 1 라스(23), 즉 적층된 라스의 가장 아래쪽의 라스에는, 적층된 라스로부터 제 1 라스(23)를 추출하기 위한 방식으로 방향이 정해진 2개의 램(ram)(26)이 평행하게 배열되는데, 이 램들을 눌러서 적층된 라스들로부터 제 1 라스(23)를 추출하고, 아래쪽으로 경사진 하향경사면(28)과 그 경사면 하부에 형성된 림(rim)(29)으로 구성된 경사면(27) 쪽으로 이 추출된 라스를 미끄러지게 하여, 추출된 라스를 보유하고, 나중에 이 라스를 가이드한다.
경사면(27)의 횡측면(30) 상에, 즉 컨베이어 벨트(7)의 반대쪽에, 램(31)이 경사면(27)의 세로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램(31)의 작동에 의해 라스 매거진(20)에서 방금 추출되었던 라스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진행된 라스는 경사면(27)의 세로 축과 평행하게 미끄러져 움직여 횡측면(30)의 반대쪽 횡측면 상에 제 1 경사면(27)의 연속인 제 2 경사면(32) 쪽으로 라스를 가이드한다. 제 2 경사면(32) 또한 그 하부에 림(34)이 장착된 경사면(33)으로 구성된 다. 제 2 경사면은 또한 램(31)의 반대쪽 단부에 정지부(35)를 포함하는데, 이 정지부는 일반적으로 공기 댐퍼로 구성되고 램(31)에 의하여 추진된 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림(34)은 개구부(36)들을 구비하며, 이들 개구부는 제 2 경사면(33) 상에 위치된 라스를 경사면(33)의 상부 쪽을 향해 진행시키는 방식으로 지향된 2개의 램(37)을 향하고 있다.
제 1 경사면(27)과 제 2 경사면(32)은 레그(38, 39)에 의하여 각각 지지된다.
도 14에 도시된 다른 형태에 따라, 라스의 표면과 상기 제 1 경사면(27) 사이에, 라스의 표면과 평행하게 평탄면(40)이 구비된다. 이 평탄면은 라스가 제 1 경사면(27)의 하향 경사면(28)을 따라 내려가기 전에 라스 매거진(20)으로부터 추출된 라스를 수평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도 15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경사면(32) 상에 위치된 라스가 프리폼(5) 보다 더 낮은 높이에 놓이도록 레그들(24, 35, 36)의 높이가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 제 2 경사면(32)의 림(34)의 세로축이 컨베이어 벨트의 세로축에 수직하며;
- 위치가 변경된 라스를 지지하는 수단들(32, 33, 34, 35)이 컨베이어 벨트(7)의 시작지점을 향하여 놓이고;
- 제 2 경사면(32)의 하향 경사면(33)이 컨베이어 벨트(7)에 인접해 있다.
제 2 경사면(32)의 길이는 적어도 라스(23)의 길이와 동일하다. 즉, 프리폼(5)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램(37)이 작동되면, 제 2 경사면(32) 상의 라스는 경사면(33)의 상부 쪽으로, 즉 컨베이어 벨트(7)와 프리폼(5) 쪽으로 밀려지고, 이들 컨베이어 벨트와 프리폼 사이에 라스가 밀어넣어져 이들과 함께 구동된다.
라스의 길이와 프리폼(5)의 폭 사이의 차이로 인해, 일단 석고 플라스터 조성물이 경화되면, 라스가 붙잡혀져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작 라인은 일반적으로 이 라인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수단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작동의 실행이 서로에게 적용되게 한다.
이들 전자 수단은, 램(27)들의 작동에 의하여 프리폼 하부에 라스가 삽입된 후, 램(31)이 작동되어 제 2 경사면(32) 상에 다른 라스를 삽입하고, 램(26)이 작동되어 제 1 경사면(27) 상에 또 다른 라스를 삽입하게 할 수 있다. 이 전자 수단은 이들 작동의 빈도를 변경시켜, 페더링된 에지를 갖게 제작된 플라스터보드들의 길이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작 라인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상기 제작 라인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1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05)에 의하여 지지되는 4개의 제 1 사슬톱니바퀴(201, 202, 203, 204)와, 이들에 감기는 링크(207)로 구성되는 체인(206)을 포함한다. 링크는 각각이 도 2와 관련하여 표시된 방식으로 2개의 와이어를 지지한다.
이 장치는 프리폼(5)의 이동방향과 정렬된 수직 평면에 관하여 대칭이다. 따라서, 링크(207)에 의하여 유지된 와이어는 제 2 체인까지 상기 프리폼(5)에 관하여 횡으로 연장된다. 제 2 체인은 체인(206)과 동일하며, 제 1 사슬톱니바퀴(201, 202, 203, 204)와 동일한 제 2 사슬톱니바퀴에 감긴다.
이 장치에는 벨트(211)에 의하여 사슬톱니바퀴(203)와 이에 대칭인 사슬톱니바퀴가 장착된 샤프트(210)를 회전시키는 전기 모터(209)가 장착된다. 이들 사슬톱니바퀴의 회전으로 인해 체인(206)이 화살표 D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프리폼(5)은, 제 1 외장재료(2)와 제 2 외장재료(3) 사이의 화살표 E로 표시된 방향으로 수경성 바인더 슬러리를 삽입하고 이 장치의 상부 성형판(214) 및 하부 성형판(215) 사이에 이 슬러리를 통과시킴으로써 획득된다.
사슬톱니바퀴(201, 202, 203, 204)와 이에 대칭하는 사슬톱니바퀴 사이의 거리는 프리폼(5)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하므로 이들 사슬톱니바퀴가 프리폼(5)과 접촉하지 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당한 높이로 고정되므로, 제작 라인이 작동하면 체인(206)의 운동으로 인해, 링크(207)에 연결된 와이어가 운동하고, 이들 와이어는 성형판, 즉, 상부 성형판(214) 및 하부 성형판(215) 사이를 통과하고, 상부 성형판(214)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부 성형판(214)과 제 2 외장재료 (3) 사이의 와이어에 의하여 점유되는 공간은 프리폼(5)의 두께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와이어가 성형판(214, 215) 사이를 통과할 때 프리폼(5)과 동일한 속도로 체인(206)이 이동되는 방식으로 모터의 동작이 조정됨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므로, 이들 와이어가 몇 센티미터에 걸쳐 프리폼(5)과 동반되고, 이들 와이어가 사슬톱니바퀴(204) 둘레를 회전하여 프리폼으로부터 분리되면, 프리폼(5)의 상부에 임프레션을 남긴다.
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체인(206)의 가동 속도와 두 임프레션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키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보드의 길이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프레임(205)은 도 16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성형판(214, 215)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성형판 또는 마스터 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라스가 제 1 성형 테이프의 앞에서는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나 제 1 및 제 2 형성 테이프 사이 (또는 제 2 및 제 3 성형 테이프 사이가 가능할 수도 있다)에서는 삽입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컨베이어 벨트(7)가 일반적으로 성형 테이프라 불리는 수개의 요소로 분할된다는 것이 이 실시예에서 상기될 것이다. 성형 테이프(1)는 정면에서 보이는 테이프이다. 종래의 컨베이어 벨트는 일반적으 로 2개 또는 3개 성형 테이프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4개 까지의 성형 테이프들을 포함한다. 이들 성형 테이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형성하도록 테이프를 포함한다.
수경성 바인더의 수화작용(hydration)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라스가 라인 상의 위치에 삽입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이하, 제 3 실시예의 설명 참조), 다른 요소들은 동일한 것(경우에 따라서는, 임프레션(12 또는 12a))이다. 다른 구성 요소들은 대응하여 시프트된다(예를 들어, 스무더(4a)는 제 2 성형 테이프를 구동시키는 제 1 롤러까지 또는 그 뒤에까지 시프트되며, 이 경우, 스무더(4a)는 컨베이어 벨트(7)의 주변 속도와 대략 동일한 주변 속도를 가진 롤러의 형태를 취한다). 이 지점에서 라스(6, 23)를 삽입함으로써, 제 2 성형 동작의 순간에 이상적인 프리폼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기화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17에 도시되었다. 도 17에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형성된 임프레션(12)은 상기 프리폼 하부에 위치된 장치(300)에 의하여 위쪽으로 눌려진다. 이 시스템은 사실상 미국 특허 제 2 991 824호의 주제를 이루는 시스템의 반대이다. 또한, 이 특허와 비교했을 때, 임프레션이 눌려지도록 작용하는 시스템은 성형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된다. 유익하게도, 본 발명의 장치는 테이 프들(1 및 2) 사이에 위치된다(그러나, 테이프들(2 및 3)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장치는 수경성 바인더의 수화작용이 시작되는 라인 상의 지점에 위치된다. 이 장치는 5% 내지 30% 수화작용에 대응하는 지점이나 또는 컨베이어 벨트(7)의 길이를 따라 40m~110m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약 70m/분의 속도를 가진 라인에 대해).
본 발명의 장치(300)는 참조부호 301 및 302가 각각 부여된 테이프(1, 2)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테이프는 롤러(303, 304)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이 장치(300)는 한편으로는 2차 성형 장치(300a)를 포함한다. 이 장치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상에 테이프(301, 302)의 선형 속도와 동일한 선형 속도로 회전하는 벨트(305)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기치 않은 외장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벨트(305)에는 하나 이상의 성형 라스(306)가 고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일 라스에 대해서만 참조하였으나, 예를 들어 원하는 보드 등 장치의 치수에 따라, 복수의 라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벨트는 롤러(307, 308) 상에 장착되는데, 이들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편평한 미끄럼판(309)이 프리폼과 벨트(305) 사이에 위치되어, 이들 프리폼과 벨트가 편평한 표면과 접촉하게 한다. 상기 부분이 대면하는 것이 "백킹 장치(backing devicde)"(300c)이다. 이 장치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상에, 테이프(301, 302)의 선형 속도와 동일한 선형 속도로 회전하는 벨트(310)를 포함하며, 이 벨트(310)는 롤러(311, 312) 상에 장착되는데, 롤러들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편평한 경사판이 미끄럼판(309)과 벨트 (305)의 배열과 유사한 배열로 프리폼과 벨트(310)사이에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작동시, 성형 라스(306)는 프리폼의 상부 임프레션(12)의 반대쪽에 도달한다. 작동이 행해져, 라스(306)가 2개의 미끄럼판(309, 313) 사이를 프리폼과 동시에 통과하면, 프리폼의 다른 쪽에 임프레션이 새겨진다. 따라서 얻어진 것은 횡단 페더링된 에지에 대응하는 리세스를 갖는 성형 테이프(302) 상(세로로 페더링된 에지와 동일한 쪽의 보드 상)에 도달한 프리폼이다.
이와 같이, 프리폼은 2개의 벨트(305, 310) 사이를 통과하며, 이들 벨트는 프리폼의 가동 속도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프리폼은 가동소자와 만 접촉하므로, 프리폼/벨트의 상대적인 운동은 제로(0)이다. 따라서, 마찰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장치의 (길이를 따르는) 치수는 일반적으로 2차 성형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수 미터 정도이다(통상 5~10m 에 걸쳐 접촉함).
"백킹 장치(backing device)"에 의하여 가해진 압력을 조정하는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조립체에 조정가능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램 또는 평형추(cournterweight)일 수 있다.
2차 성형 라스(306)가 실질적으로 임프레션(12)과 마주보도록 동기화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폼의 상부 위쪽에 배치되고 프리폼의 운동에 의해 회전되는 휠로 구성되는 절단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휠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고, 카운터가 결합되어 있으며, 카운터는 원하는 장치를 작동시킨다. 또한 프리폼의 표면에 마킹을 하고(예를 들면, 점), 이 마크를 검출하며, 필연적으로 장치를 작동시키는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마크의 검출에 의하여 작동된 이들 장치들 중에서, 임프레션(12 또는 12a)을 형성하거나, 라스(6, 23)를 삽입하거나, 라스(306)를 수반하는 벨트(305)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성형 단계 후에 프리폼을 절단하는 것들에 대해 언급될 수 있다.
도 18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도 17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지 않음). 이 실시예에서, 장치(300)는 또한 교정장치(calibrating device)(300c)를 포함한다. 벨트(305)가 롤러(308) 둘레에 감길 때 라스(306)가 철회되고, 프리폼이 교정장치(300c) 내로 인입된다. 교정장치는 프레임(도시되지 않음) 상에, 테이프(301 및 302)의 선형 속도와 동일한 선형 속도로 회전하는 벨트(314)를 포함하며, 벨트(314)는 롤러(315 및 316) 상에 설치되는데,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폼과 상기 벨트(314) 사이에는 예를 들어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편평한 미끄럼판(317)이 위치되며, 이 배열은 미끄럼판(309)과 벨트(305)의 배열과 유사하다.
제 2 실시예의 경우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스무더(smoother)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본 실시예는 도 17 또는 도 18의 장치가 반전되는 경우에 대응한다. 즉, 성형 라스(306)는 임프레션을 엠보싱하고 상기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와 동일한 쪽에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를 형성하기 위해 위치되는 것이 아니라 임프레션 및 상기 리 세스 형상을 강화시키기 위해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 수경성 바인더가 그의 수화작용을 시작하는 단계에서 성형 라스를 도포함으로써, 앞서와 같이, 상기 2차 성형 동작의 순간에 이상적인 프리폼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제 3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가 얻어지는데, 보드의 양쪽에 세로방향 및 횡방향의 에지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장점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
본 실시예들은 상술한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임프레션(12)이 임프레션(12a)으로 대체되는 경우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정반대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라스(306)의 길이는 프리폼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게다가, 본 발명에 사용된 라스, 특히 라스(306)는 평행육면체 단면일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밑변이 벨트(7)와 평행한 이등변 삼각형인 삼각형 모양의 단면일 수도 있다.
제 3 및 제 6 실시예를 수정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임프레션(12) 또는 임프레션(12a)은 프리폼 하부 또는 프리폼 상부의 장치에 의하여 눌려진다는 사실이 제 3 및 제 6 실시예들에 공통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3 및 제 6 실시예에서, 임프레션은 전체로서 눌려지며, 일단 임프레션이 눌려지면, 표면 종이(facing paper)가 거의 편평해 진다. 임프레션이 부분적으로만 눌려지게 작용하는 설비가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오목부가 보드의 각 면에 형성되는데, 한 쪽 오목부가 다른 쪽 오목부보다 두드러지게 된다. 예를 들어, 각 면의 오목부의 깊이의 비가 1과 10 사이, 바람직하게는 2와 5 사이가 되도록 장치(300)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5㎜의 두께를 가진 표준 BA13 보드에 대하여, 눌려진 면의 오목부의 깊이는 4㎜일 수 있는 반면에, 원래의 면의 오목부의 깊이는 1.5 ㎜일 수 있다.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된 보드
다른 특징에 따르는 본 발명의 주제는 2개의 페더링된 에지가 보드의 일면상에 있고, 다른 2개의 페더링된 에지가 보드의 다른 면에 존재하는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를 사용하여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보드는 제 1 실시예(임프레션(12)을 구비함),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고, 또한 수정된 제 3 및 제 6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드가 도 19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9에서 페더링은 보드의 각 면에 대향하여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에지 페더링은 크림 외장(cream facing)(10)을 갖는 면에 존재하는 반면에, 단부 페더링은 다른 쪽 면, 즉, "그레이(grey)" 면(25a))상에 존재한다. 페더링(25a)의 치수는 일반적으로 페더링(25)의 치수와 동일한 크기이다(이들 치수는 예를 들어, 제 4 실시예나 제 5 실시예의 경우에는 라스의 치수에 대응하거나 또는 제 1 실시예의 경우에는 와이어(111)를 포함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수단(110)의 치수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페더링(25a)은 0.5~4㎜, 바람직하게는 1.5~4㎜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 페더링의 폭은 2~15㎝, 바람직하게 는 5~10㎝일 수 있다. 세로방향의 페더링은 테이프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이 분야의 기술에서 표준 치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조(수직이거나, 경사지거나 또는 수평일 수 있는 파티션 또는 임시적인 천장)를 구성하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상기 단계들은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a) 본 발명에 따른 보드(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것)가 지지대 상에 놓여지고, 이 보드가 페더링된 에지를 따라 함께 돌출되는 단계;
b) 보드가 페더링된 에지를 따라 지지대에 고정되는 단계;
c) 보드가 적어도 하나의 접합 시멘트로 함께 접합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d) 접합부가 보충적인 마무리 플라스터로 마무리되는 단계.
단계 b) 동안, 작업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보드의 면에 존재하는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는, 보드의 상기 영역이 지지대 상에 고정될 때 나사, 못 등에 의하여 조여지는 효과 때문에 모습을 나타나게 된다. 이 작업을 마치면, 페더링된 에지는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또는 에지 페더링)과 동일한 보드의 면에 있는 페더링이 드러나게 된다. 따라서, 보드 사이의 각 접합부에서 페더링된 에지가 얻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25a)는, 즉 그레이 외장면(grey facing side)에 존재하는 것들은 크림 외장면 상의 특정 마킹에 의하여 식별된다. 이것은 사용자(파티션을 설치하는 석고 기술자)가 그레이 외장면에 페더링된 에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방식이다. 따라서, 보드를 수리할 때 사용자는 이 러한 페더링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접합부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페더링의 마킹은 반복된 패턴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마킹의 존재는 본 발명에 따르는 2개의 보드가 횡방향의 페더링을 따라 함께 돌출될 때 이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가 예를 들어 벽에 대해서 돌출될 때 그레이 외장면에 이 페더링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크림 외장면 상의 마킹이 설치작업이나 접합부가 처리되는 방식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마킹은 특히 도 20에서 도시된 페더링된 에지(25a)에 가까운 심볼(26a, 26b, 26c, 26d)에 의하여 식별된다. 이 마킹은 크림 외장면에 존재하고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 보드와 동일한 종류의 횡단 에지와 쌍을 이루는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를 식별한다.
게다가, 이 마킹은 횡방향의 페더링(25a)의 폭을 식별가능하게 하고, 특히 적당한 크기의 공구(tool) 또는 스패튤라(spatula)를 사용함으로써 접합부의 처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석고 기술자는 특히 마크가 있고 마크에 의해 가이드되는 최상부 코트(top coat)에 단순히 플라스터를 도포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마킹은 반복된 마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페더링된 에지(25a)에 의하여 형성된 골(valley)은 단계 b) 동안 반전에 의하여 획득되면, 이 반전 동작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개의 나사, 바람직하게는 5개의 나사를 사용할 수가 있으나, 6~10개가 바 람직하고, 7개의 나사로 반복된 마크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그러므로, 마크의 수는 사용되는 나사의 수에 대응될 것이다.
이러한 마킹을 갖는 보드는 외장 페이퍼(facing paper)가 플라스터를 수용하기 전에 프린트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다. 이것은 원래의 자리에 인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미 인쇄된 종이의 릴(reel)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제조라인은 적합한 프린팅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신규의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와 이러한 보드를 사용하여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보드들은 이들이 조립되는 동안 결점들을 갖지 않으며, 이들 보드들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종래의 보드들과 관련된다.
공지되어 있는 플라스터보드는 일반적으로 2개의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포함한다. 이 보드가 횡방향의 에지를 따라 함께 둘출되면, 접합부를 따라 추가적인 두께가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제 1 기술은 등가의 페더링이 생성되도록 약 2㎜의 레일을 오프셋으로 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필연적으로 불일치가 발생하기 때문에 곤란하다.
제안된 다른 기술은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구비하는 보드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문헌들이 이들의 제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들 보드는 공통으로 4개의 세로방향 및 횡방향의 페더링된 에지를 구비하므로, 접합 시멘트를 사용하는 접합부들이 4개의 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현 시점에서는, 모든 보드들은 치수 에서 대략 유사한 페더링된 에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페더링의 폭과 깊이는 4개의 에지와 대략 유사하다. 비록 4개의 페더링된 에지의 사용이 특정한 이점을 갖더라도 여전히 결점이 있다. 이는 페더링된 에지가 일반적으로는 40~80㎜, 전형적으로는 60㎜의 폭을 가지기 때문이며; 이들 값은 강제적인 표준 및 통용되는 관례에 부여된 값이다. 그러나, 테이프 접합 시멘트(일반적으로 사용되는)와 접합 시멘트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는 120㎜ 보다 큰 폭을 가지며, 이에 따라 시멘트를 횡방향의 접합부에 도포하는 중에 접합부의 교차점이 두껍게 되고, 결국 이미 고가의 비용 때문에 불리하게 된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 보드의 매력을 저하시킨다.
미국 특허 제 4 397 123호는 2개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를 기술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보드 단부들은 제거가능한 단부를 구비한다. 이 제거가능한 단부는 제거된 후, 노치(notch) 형태의 에지를 제공한다. 플러스터를 수용하기 위한 골을 형성하기 위해 노치가 제 위치에서 한번 반전된다. 이 해결책은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하며; 어떠한 산업 제조 공정도 기술하고 있지 않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드는 보드의 그레이면을 따라 페더링을 갖는데, 이 페더링의 폭은 12인치, 즉 30㎝ 이상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실시예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어떠한 공정의 설명도 없다.
도 19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드를 도시한다. 이 보드는 통상적으로 2개의 외장(facing) 사이에 석고 플라스터인 수경성 바인더를 포함한다. 외장 재료는 종이나 카드, 유리 또는 외장 재료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 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보드는 한 면에 2개의 평행한 제 1 페더링된 에지(10)와 다른 한 면에 제 1 에지와 수직인 2개의 평행한 제 2 페더링된 에지(25a)를 갖는다. 페더링들은 보드의 각 면에 대향하여 배열된다(에지 페더링은 크림 외장면(10)에 존재하는 반면 단부 페더링은 다른 면, 즉 그레이면(25a) 상에 존재함). 이 페더링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0.5~4㎜, 바람직하게는 0.5~3㎜, 보다 바람직하게는 0.6~2.5㎜이거나 또는 0.6~1.8㎜이고, 0.8~1.8㎜ 또는 0.5~1.5㎜인 것이 유리하다. 제 2 페더링(25a)의 폭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정하고 일반적으로 100~200㎜, 바람직하게는 120~180㎜ 또는 150~200㎜ 또는 100~150㎜이다. 제 1 세로방향의 페더링은 대략 동일한 크기의 깊이를 갖는데 반해, 이들의 폭은 예를 들어, 40~80㎜로 상당히 더 작다. 특히, 제 1 세로방향의 페더링에 대한 제 2 횡방향의 페더링의 폭의 비는 일반적으로 1.5~5, 바람직하게는 2~4이다.
한 실시예에서, 이 비는 반전될 수 있으며, 세로방향의 에지가 횡방향의 에지의 폭 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4개의 에지는 큰 폭을 갖는다.
도 2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드를 평면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 보드는 보드의 동일 면 상에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및 도 19와 관련한 다른 실시예들도 여기에 준용해서 적용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페더링된 특정 에지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페더링은 보드의 양면에 존재한다. 이 경우, 보드는 보드의 다른 면에 제 2 페더링된 에지(25a)와 평행한 2개의 제 3 페더링된 에지(25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보드의 두께 X는 통상적으로 6~25㎜; 페더링의 폭 Y는 100~200㎜, 바람직하게는 120~180㎜ 또는 150~200㎜; Z´(예를 들어 제 2 페더링(25a)의 깊이)와 Z˝(예를 들어, 제 3 페더링(25b)의 깊이)의 합인 Z´+ Z˝은 0.5~4㎜, 바람직하게는 0.5~3㎜, 보다 바람직하게는 0.6~2.5㎜ 또는 0.6~1.8㎜, 유익하게는 0.8~1.8㎜ 또는 0.5~1.5㎜이다. Z´와 Z˝ 또는 Z´/Z˝ 의 값들의 비는 예를 들어 1~10이고, 바람직하게는 2~5이다.
각 면에 따르는 이들 페더링의 존재는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이들 페더링된 에지(25a)가 페더링된 에지(10)의 반대 면을 따라 존재하면, 설치작업 중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에지가 반전된다. 그러므로, 비교적 큰 굴곡의 반경을 가진 굴곡부가 발생한다. 페더링된 에지(25b)의 존재는 페더링된 에지(25a)들의 반전에 의하여 형성된 최종 골의 보다 양호한 한계결정을 허용한다. 통상의 페더링들에 의하여 형성된 이들의 형태의 정확한 골(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를 가진)이 획득된다. 이는 시멘트의 과도한 소모 없이 완전한 편평도를 갖는 접합부의 최적 처리를 허용한다.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 보드는 다양한 공정들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동일한 면에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 보드의 경우의 공정들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2 991 824호, 미국 특허 제 2 246 987호, 동일 출원인의 이름으로 출원된 예를 들어 PCT/FR03/01373, PCT/FR03/02281, PCT/FR03/00118, PCT/FR03/12280 및 PCT/FR03/00606 에 기술된 공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세로방향)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반대쪽에 제 2(횡단)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의 경우에는 다음의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공정;
- 드럼의 축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립(rib) 또는 돌기를 가지도록 드럼이 수정된 미국 특허 제 4 781 558호에 따른 공정의 변형;
- 미국 특허 제 1 676 318호 또는 미국 특허 제 2 246 987호에 따른 세로방향의 페더링을 형성하는 상부 롤러와 결합된 미국 특허 제 2 991 824호에 따른 성형 테이프를 사용하는 공정;
- 적당한 몰드(mould)에, 예를 들어 젖은 상태로 보드가 눌려지는 공정; 및
- 두께를 깍아내고 재접합함으로써 횡방향의 페더링된 에지가 획득되는 공정.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구조(수직이거나, 경사지거나 또는 수평일 수 있는 파티션 또는 일시적인 천장)를 구성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본 발명에 따른 보드(예를 들어, 도 19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는 지지대 상에 놓여지고, 이 보드가 페더링된 에지를 따라 함께 돌출되는 단계;
b) 지지대 상의 보드가 페더링된 에지를 따라 고정되는 단계;
c) 보드가 적어도 하나의 접합 시멘트로 함께 접합되는 단계; 선택적으로,
d) 접합부가 보완용 마무리 플라스터로 마무리되는 단계.
예비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이 테이프 결합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는지 또는 사용할 수 없는지 지적되야 되며, 예를 들어 종이 테이프인 테이프나 또는 자체-점착성을 갖거나 갖지 않은 유리-섬유 조직으로 구성된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테이프 결합 시멘트는 사용시 접합 시멘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합 시멘트는, 이러한 보완용 마무리 플라스터가 사용된다면, 상기 보완용 마무리 플라스터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면의 반대 면상에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 보드의 경우에는, 단계 b) 동안, 작업자에게는 보이지 않는 보드의 한 쪽에 존재하는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가 나사, 못 등에 의하여 조여지는 효과 때문에 모습을 나타내는데, 이는 보드의 상기 영역이 지지대 상에 클램프되기 때문이다. 이 작업을 마친 후, 페더링된 에지는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또는 에지 페더링)와 동일한 보드의 면 상에 페더링을 드러낸다. 따라서, 보드의 각 접합부에서 페더링된 에지가 획득된다. 이것은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되는데, 이들 도면에서 지지대(430)는 나사, 못 등(이들은 도면에서 참조부호 431로 식별됨)에 의하여 조여지는 효과 때문에 모습을 나타내는 횡방향의 페더링된 에지(25a)를 수용한다.
세로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지는 면과 동일한 면 상에 횡으로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의 경우, 단계 b)는 적재 중의 통상적인 단계이다.
본 발명은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 종래 기술의 보드에 비해 하나의 특정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 이점은 이하의 도면들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24A, 도 24B 및 도 24C는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갖는 통상적인 보드가 어떻게 함께 조립되는 지를 보여주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4A는 함께 돌출되는 보드를 도시한다. 도 24B는 접합 시멘트의 층으로 처리되는(테이프가 양 접합부에 위치된 후) 하나의 접합부를 갖는 보드를 도시한다. 해칭 표시가 있는 영역은 이들 시멘트가 도포되어진 영역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페더링을 경계짓는 보드 상의) 도포 영역의 면들을 따라서는 두께가 두꺼워 진다. 도 24C는 제 2 보드가 접합 시멘트의 층으로 처리된 접합부를 갖는 보드들을 도시한다. 해칭 표시가 있는 영역은 시멘트가 도포된 영역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페더링을 경계짓는 보드 상의)도포 영역의 면들을 따라서는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과도한 두께는 또한 접합부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도면에서 참조부호 411로 표시하였다. 이와 같이 과도하게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은 도 24B에 도시된 단계들로 획득된 제 1 두께에 도 24C에 도시된 단계에서 획득된 두께가 더해지기 때문이다.
도 25A, 도 25B 및 도 25C는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페더링된 에지를 가진 보드가 함께 조립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25A는 모습을 나타낸 에지와 함께 돌출된 보드를 도시한다. 일단 본 발명에 따른 보드가 함께 조립되면, 이들 보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이는 면 상의 페더링을 나타낸다. 도 25B는 (테이프가 양 접합부에서 조립된 후) 접합 시멘트의 층으로 처리되는 하나의 접합부를 가진 보드를 도시한다. 해칭이 표시된 영역은 이들 시멘트가 도포되어진 영역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페더링을 경계짓는 보드들 상의) 도포 영역의 면들을 따라 과도한 두께가 존재한다.
도 25C는 제 2 보드가 접합 시멘트의 층으로 처리된 접합부를 갖는 보드들을 도시한다. 해칭이 표시된 영역은 시멘트가 도포된 영역을 나타낸다. 이때, 페더링된 에지의 크기에 비해 더 작은 치수를 갖는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큰 페더링된 에지에 의해 형성된 골 내로 시멘트가 국한된다. 따라서, 접합부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도 25B에 도시된 단계에서 획득된 제 1 과도한 두께에 부가되는 과도한 두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과도한 두께가 전혀 없는 접합 교차부가 획득되어 결과적으로 표면이 완전히 평평해진다.
그 폭이 상기 제 1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의 폭 보다 2배 이상이고 다른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의 폭의 2배 이하인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매달려 있는 금속 지지대에 보드를 조립하는 동안, 레일을 따라 2개의 보드가 접촉하는 일이 종종 존재한다. 레일이 오프셋되고 조립이 잘못되면, 이 오프셋이 통상적인 보드와 함께 보여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는 페더링이 비교적 큰 치수이기 때문에, 이 오프셋이 더 이상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이점을 제공한다. 만약 제 1, 제 2 또는 양쪽의 페더링된 에지가 더 큰 크기를 가지면, (더 큰 두께에 대해) 보다 많은 양의 플라스터, 특히 접합시멘트를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마찰 중에 (보플(fluff)의 존재나 또는 플라스터를 통과한 가시광선에 의해) 테이프가 보여지게 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킹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마킹은 페더링된 에지가 다른 페더링된 에지와 동일한 면상에 있는 보드의 경우, 특히, 그 깊이가 작고 페더링된 에지의 식별이 곤란할 때 삽입될 수 있다.
보드가 교차된 접합부와 조립되는지 정렬된 접합부와 조립되는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Claims (48)

  1. 양면의 각각에 외장(facing)을 구비하는 수경성 바인더로 제조되는 보드로서, 일면에는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를 구비하고, 다른 면에는 제 1 에지와 수직하는 2개의 다른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는 100~200㎜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는 횡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페더링된 에지(25a)에 평행하고, 상기 제 2의 페더링된 에지(25a)를 갖는 상기 보드의 다른 면에 2개의 제 3의 페더링된 에지(25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페더링된 에지의 깊이에 대한 상기 제 2의 페더링된 에지의 깊이의 비는 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다른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는 100~200㎜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의 폭은 120~18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와 상기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는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는, 상기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에 대한 상기 제 2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의 폭의 비가 1.5~5 가 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상기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를 갖는 면에 마킹(26a, 26b, 26c, 26d)을 구비하며, 이 마킹 중 어느 마킹은 상기 제 1의 페더링된 에지에 수직인 2개의 다른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의 존재를 식별하고, 상기 보드는 동일한 제 2 보드와 함께 사용되며, 제 1 보드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는 제 2 보드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25a)에 대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드들의 페더링된 에지(25a)는 상기 보드들의 상기 2개의 제 1의 평행한 페더링된 에지(10)를 갖는 면에 존재하는 마킹(26a, 26b, 26c, 26d)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3개 이상의 반복된 마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절단하고자 하는 프리폼(5)으로부터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1)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2)이, 세로방향의 테이프와 결합된 적어도 2개의 성형 테이프(301, 302)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7)에 의해 지지되는 외장재료(1) 상에 부어지고, 상기 프리폼(5)을 얻기 위해 상기 조성물이 제 2 외장재료로 커버되며, 제 1 성형 테이프 앞의 상기 프리폼에 임프레션(12, 12a)이 형성되는 단계와;
    2) 상기 수경성 바인더 조성물(2)이 적어도 하나의 성형 테이프에 부분적으로 세트되도록 남겨지는 단계; 및
    3) 상기 프리폼(5)이 라스(6, 23 또는 306)에 의해 형성된 페더링(8)에서 절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의 세팅은 5~30%의 수화작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7.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6, 23 또는 306)는 상기 제 1 성형 벨트(301)의 뒤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8. 삭제
  39.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6, 23)는 수경성 세팅이 완료된 후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0.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306)는 수경성 세팅이 완료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라스(306)는 0.5~5% 수화작용에 대응하는 기간 동안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2.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성 바인더는 석고 플라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KR1020067003860A 2003-08-25 2004-05-21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 수경성바인더 기반의 보드 제조방법, 이러한 보드를 제작하기위한 라인 및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 KR101124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292089A EP1510315A1 (fr) 2003-08-25 2003-08-25 Plaques à base de liant hydraul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ligne de production de telles plaques
EP03292089.4 2003-08-25
EP04290495.3 2004-02-24
EP04290493.8 2004-02-24
EP04290493 2004-02-24
EP04290495 2004-02-24
PCT/FR2004/001265 WO2005028171A2 (fr) 2003-08-25 2004-05-21 Plaques a base de liant hydraulique a bords amincis, procede de fabrication et ligne de production de telles pla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993A KR20060052993A (ko) 2006-05-19
KR101124181B1 true KR101124181B1 (ko) 2012-03-27

Family

ID=3265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860A KR101124181B1 (ko) 2003-08-25 2004-05-21 테이퍼진 에지를 갖는 수경성 바인더 기반의 보드, 수경성바인더 기반의 보드 제조방법, 이러한 보드를 제작하기위한 라인 및 내부 구조를 구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3) US20060198989A1 (ko)
EP (1) EP1660287A2 (ko)
JP (2) JP2007503334A (ko)
KR (1) KR101124181B1 (ko)
AR (1) AR049245A1 (ko)
AU (1) AU2004274198B2 (ko)
BE (1) BE1016021A3 (ko)
BR (1) BRPI0413388B1 (ko)
CA (1) CA2536971C (ko)
DE (1) DE202004008232U1 (ko)
EG (1) EG24290A (ko)
FR (3) FR2860017B1 (ko)
GB (1) GB2405416B (ko)
IL (1) IL173783A (ko)
IT (1) ITTO20040335A1 (ko)
MA (1) MA28001A1 (ko)
MX (1) MXPA06001939A (ko)
MY (1) MY137958A (ko)
NL (1) NL1026251C2 (ko)
NO (1) NO20061336L (ko)
NZ (1) NZ545333A (ko)
PL (1) PL209758B1 (ko)
RU (1) RU2354551C2 (ko)
WO (1) WO2005028171A2 (ko)
ZA (1) ZA2004103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1839C (zh) * 2002-02-26 2008-08-20 拉法热石膏制品公司 制造基于水凝粘合剂的板材的方法、用于生产该板材的生产线以及用于制造印痕的装置
FR2838370B1 (fr) * 2002-04-10 2004-05-28 Lafarge Plat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s de platre a quatre bords amincis
FR2900860B1 (fr) * 2006-05-10 2008-07-04 Lafarge Plat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s a base de liant hydraulique a quatre bords amincis, ligne de production de telles plaques
SI2707185T1 (sl) * 2011-05-13 2016-09-30 Knauf Gips Kg Obrat za proizvodnjo mavčnih plošč in metoda za proizvodnjo mavčnih plošč
WO2014090300A1 (de) 2012-12-12 2014-06-19 Knauf Gips Kg Getaktete regulierung der gipsbreimenge
RU2676795C1 (ru) * 2018-03-23 2019-01-11 Дмитрий Евгеньевич Кармалак Светодинамическое демонстр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12706332B (zh) * 2020-12-02 2023-05-12 晋城天成科创股份有限公司 一种橡胶轮胎制作毛边刮除机
CN114012884B (zh) * 2021-11-15 2022-08-30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预防石膏板棱边上翘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7123A (en) * 1981-01-29 1983-08-09 Parker Robert F Drywall board construction
US20010044016A1 (en) 2001-02-22 2001-11-22 Watras Edward W. Continuous method of making four-tapered edge gypsum board and the gypsum board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9289A (en) * 1922-12-19 Drying
US1676318A (en) * 1922-03-20 1928-07-10 United States Gypsum Co Apparatus for making lap-edged plaster sheathing board
US1754429A (en) * 1922-09-25 1930-04-15 United States Gypsum Co Plaster-wall-board construction
US1856936A (en) * 1928-08-11 1932-05-03 Nat Gypsum Co Plaster board apparatus
US1856932A (en) * 1929-10-01 1932-05-03 Nat Gypsum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laster board
US1871563A (en) * 1929-10-30 1932-08-16 United States Gypsum C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ile board
US2006528A (en) 1933-08-05 1935-07-02 Walper Curry Ora Manufacture of wall board
US2044234A (en) * 1933-12-01 1936-06-16 Gordon R Walper Method of manufacturing wallboard
GB429084A (en) * 1934-02-07 1935-05-23 Gypsum Lime And Alabastine C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llboard
GB429380A (en) 1934-02-07 1935-05-29 Gypsum Lime And Alabastine Ca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wallboard
GB451389A (en) 1935-10-07 1936-08-05 Georgia M Walper Wall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168803A (en) * 1937-10-23 1939-08-08 United States Gypsum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llboard
US2246987A (en) * 1937-10-23 1941-06-24 United States Gypsum Co Continuous molding apparatus
US2238017A (en) * 1937-10-23 1941-04-08 United States Gypsum Co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wallboard
US2537509A (en) * 1944-12-20 1951-01-09 United States Gypsum Co Process for making wallboard
DE872025C (de) 1950-12-05 1953-03-30 Christian Rieckhof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usnehmungen an Deckenhohlsteinen
US2712169A (en) * 1951-08-03 1955-07-05 George A Buttress Machine for severing a ribbon of plasterboard to form plasterboard panels and finishing the ends of the panels
US3050104A (en) * 1957-07-17 1962-08-21 Celotex Corp Manufacture of gypsum board
US2991824A (en) * 1957-08-29 1961-07-11 Celotex Corp Recessed end gypsum board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2991825A (en) * 1957-09-05 1961-07-11 Celotex Corp Gypsum wallboard and process of manufacture
US2991826A (en) * 1957-09-11 1961-07-11 Celotex Corp Gypsum wallboard
US3373065A (en) * 1964-04-29 1968-03-12 United States Gypsum Co Gypsum board-forming methods and machines
JPS4879225A (ko) * 1972-01-24 1973-10-24
DE2325158A1 (de) 1973-05-18 1974-12-05 Christian Schoch Horizontal-stanz-apparat
JPS5351227A (en) 1976-10-21 1978-05-10 Mitsubishi Chem Ind Production of foam plaster boad having patterns on surface
SU787173A1 (ru) 1979-01-31 1980-12-15 За витель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зки пластического бруса
FR2448422A1 (fr) 1979-02-07 1980-09-05 Applic Ceramiques Et Machine fileuse perfectionnee pour la fabrication de poutrelles precontraintes
GB2050917B (en) 1979-06-02 1983-03-09 Fontana L R Patterning pressed concrete blocks
JPS5665015U (ko) * 1979-10-24 1981-06-01
IL66104A0 (en) 1981-07-27 1982-09-30 Tesch G H Preparation of fiber reinforced flat bodies containing a hardenable binder
DE3316946C2 (de) * 1983-05-09 1986-07-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ünchen Ein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Werkstücken unter Verwendung exotherm erhärtender Bindemittel
FR2591469B1 (fr) * 1985-12-18 1990-05-11 Granier Daniel Tete de contre-angle endodontique inductrice de trois mouvements selectifs
JPS6317213U (ko) * 1986-07-21 1988-02-04
US4781558A (en) * 1986-09-26 1988-11-01 The Celotex Corporation Apparatus for making an embossed gypsum panel
DE3634533A1 (de) 1986-10-10 1988-04-21 Berlin Consul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aerkten gipsbauplatten
SU1476505A1 (ru) 1987-01-04 1989-04-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886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арт-стопной подачи лент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4871563A (en) * 1987-05-22 1989-10-03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ocess for control of food pathogens
DE3724769A1 (de) * 1987-07-25 1989-02-02 Hochtief Ag Hoch Tiefbauten Schalung fuer eine tunnelauskleidung mit ortbeton
GB8803383D0 (en) 1988-02-13 1988-03-16 Poly Machinery Ltd Bag manufacture
US4856932A (en) * 1988-05-04 1989-08-15 Simon Kraft Concrete finishing float having spirally slotted sleeve
US5198052A (en) * 1990-10-22 1993-03-30 Domtar, Inc. Method of reshaping a gypsum board core and products made by same
JP2619994B2 (ja) * 1991-06-07 1997-06-11 株式会社クボタ セメント板材の切断位置決め方法
DE4209594A1 (de) 1992-03-25 1993-09-30 Prinzing Georg Gmbh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tonteilen
WO1994027001A1 (en) 1992-05-08 1994-11-24 Hazard David F Adjoining surface device for working viscous materials
US5851634A (en) * 1992-08-11 1998-12-22 E. Khashoggi Industries Hinges for highly inorganically filled composite materials
US5300144A (en) 1992-11-02 1994-04-05 Martin Marietta Magnesia Specialties, Inc. Binder composition
US7208225B2 (en) * 1995-06-30 2007-04-24 Lafarge Platres Prefabricated plaster board
FR2736079B1 (fr) 1995-06-30 1997-08-14 Lafarge Platres Procede, ensemble et enduit complementaire de construction de second oeuvre
FR2736721B1 (fr) * 1995-07-12 1997-08-14 Oreal Procede pour tester une substance eventuellement active dans le domaine capillaire
US5673489A (en) * 1996-02-14 1997-10-07 Robell; Glenn Gridded measur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terials
US5975280A (en) * 1996-09-09 1999-11-0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Device for transporting flat products to further processing units or delivery stations
US6342284B1 (en) * 1997-08-21 2002-01-29 United States Gysum Company Gypsum-containing product having increased resistance to permanent deformation and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ducing it
JPH11181963A (ja) * 1997-12-18 1999-07-06 Kubota Corp 瓦及び瓦成型方法
JP3315935B2 (ja) * 1998-08-28 2002-08-19 吉野石膏株式会社 石膏ボード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0288979A (ja) 1999-04-05 2000-10-17 Yasuhiro Tsuchiya プラスターボード両面同時切り込み入れ器具
JP2001121530A (ja) * 1999-10-29 2001-05-08 Sekisui House Ltd 石膏ボードの切断装置
FR2812012B1 (fr) * 2000-07-18 2003-06-13 Lafarge Platres Plaque de platre a resistance au feu amelioree et sa reparation
FR2814459B1 (fr) * 2000-09-22 2002-12-06 Lafarge Platres Composition de tensioactifs pour plaques de platre
EP1205722A1 (fr) * 2000-11-08 2002-05-15 Lafarge Platres Procédé de séchage de plaques de plâtre,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EP1205289A1 (fr) * 2000-11-08 2002-05-15 Lafarge Platres Procédé d'hydratation de plaques de platre,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JP2002361620A (ja) * 2001-06-07 2002-12-18 Kubota Corp 屋根瓦の製造方法
JP2002361621A (ja) * 2001-06-07 2002-12-18 Kubota Corp 屋根瓦製造用パレット
CN100411839C (zh) * 2002-02-26 2008-08-20 拉法热石膏制品公司 制造基于水凝粘合剂的板材的方法、用于生产该板材的生产线以及用于制造印痕的装置
EP1338393A1 (fr) * 2002-02-26 2003-08-27 Lafarge Platres Appareil pour la réalisation d'une empreinte dans une preforme à base de liant hydraulique,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laques à base de liant hydraulique et ligne de production de telles plaques
FR2838370B1 (fr) 2002-04-10 2004-05-28 Lafarge Platres Procede de fabrication de plaques de platre a quatre bords amincis
TR200201177A2 (tr) 2002-04-30 2004-02-23 Dalsan Alçi Sanayi̇ Ve Ti̇caret A.Ş. Pahlı kesilmiş uçlara sahip hidrolik bağlama levhalarının üretimi için proses
FR2839275B1 (fr) * 2002-05-02 2004-06-04 Lafarge Platres Procede et dispositif pour fabriquer des plaques de platre presentant quatre bords amincis
ES2659388T3 (es) 2002-05-06 2018-03-15 Siniat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placas a base de aglomerante hidráulico y instalación de producción de tales placas
US6737156B2 (en) * 2002-05-08 2004-05-18 Gp Gypsum Corp. Interior wallboard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382424A1 (fr) 2002-07-19 2004-01-21 Lafarge Platres Procédé de fabrication de plaques à bords amincis, à base de liants hydrauliques, ligne et dispositif pour la production de telles plaques
US7223311B2 (en) 2002-10-02 2007-05-29 Conboy John S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gypsum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7123A (en) * 1981-01-29 1983-08-09 Parker Robert F Drywall board construction
US20010044016A1 (en) 2001-02-22 2001-11-22 Watras Edward W. Continuous method of making four-tapered edge gypsum board and the gypsum board made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05416B (en) 2007-12-05
IL173783A0 (en) 2006-07-05
ITTO20040335A1 (it) 2004-08-21
JP2010214959A (ja) 2010-09-30
ZA200410319B (en) 2005-11-30
FR2866369A1 (fr) 2005-08-19
PL378684A1 (pl) 2006-05-15
WO2005028171A2 (fr) 2005-03-31
RU2354551C2 (ru) 2009-05-10
DE202004008232U1 (de) 2004-10-21
MXPA06001939A (es) 2006-05-31
GB2405416A (en) 2005-03-02
FR2866369B1 (fr) 2006-05-26
RU2006109198A (ru) 2007-10-10
EG24290A (en) 2009-01-08
US20090294067A1 (en) 2009-12-03
BRPI0413388A (pt) 2007-12-04
BE1016021A3 (fr) 2006-01-10
IL173783A (en) 2011-06-30
AR049245A1 (es) 2006-07-12
US8257525B2 (en) 2012-09-04
WO2005028171A3 (fr) 2005-06-02
NL1026251C2 (nl) 2005-06-16
EP1660287A2 (fr) 2006-05-31
FR2860017B1 (fr) 2006-05-26
FR2866370B1 (fr) 2006-05-26
GB0411435D0 (en) 2004-06-23
BRPI0413388B1 (pt) 2016-10-25
FR2860017A1 (fr) 2005-03-25
AU2004274198A1 (en) 2005-03-31
AU2004274198B2 (en) 2009-10-29
FR2866370A1 (fr) 2005-08-19
US8372240B2 (en) 2013-02-12
MA28001A1 (fr) 2006-07-03
PL209758B1 (pl) 2011-10-31
KR20060052993A (ko) 2006-05-19
MY137958A (en) 2009-04-30
NL1026251A1 (nl) 2005-02-28
US20090301630A1 (en) 2009-12-10
CA2536971C (en) 2013-02-19
NO20061336L (no) 2006-05-15
JP2007503334A (ja) 2007-02-22
US20060198989A1 (en) 2006-09-07
CA2536971A1 (en) 2005-03-31
NZ545333A (en) 201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525B2 (en) Production method for hydraulic binder-based, tapered-edge boards
MXPA03008000A (es) Metodo continuo para elaborar un carton enyesado con cuatro bordes ahusado y carton enyesado elaborado con dicho metodo.
KR100960605B1 (ko) 수경성 결합제 기반의 시트의 제조방법, 상기 시트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라인 및 압흔 제조장치
US7431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plaster plates having 4 tapered edges
JP2007503334A5 (ko)
RU243225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ит с четырьмя скошенными кромками из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вяжущего, линия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указанных плит
GB2433750A (en) Line for producing hydraulic-binder-based boards from a preform
EP1898024A1 (en) Covering panel with bevelled edges having varying cross-se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A89756C2 (uk) Панелі на основі гідравлічної зв'язувальної речовини зі скошеними кромками,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панелей на основі гідравлічної зв'язувальної речовини зі скосами і лінія по виробництву таких панелей та спосіб створення внутрішньої структури
KR20090024818A (ko) 수경성 결합제 기반의 시트의 제조방법, 상기 시트를 생산하기 위한 생산라인 및 압흔 제조장치
AU2007214293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sheets made from binder, production line for said sheets and device for generation of an impression
DE69915889D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färbten betonstruktur in einer form sowie mit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betonstrukt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