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54B1 -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 Google Patents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54B1
KR101122654B1 KR1020057006164A KR20057006164A KR101122654B1 KR 101122654 B1 KR101122654 B1 KR 101122654B1 KR 1020057006164 A KR1020057006164 A KR 1020057006164A KR 20057006164 A KR20057006164 A KR 20057006164A KR 101122654 B1 KR101122654 B1 KR 10112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ing panel
base portion
seal
shoulder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002A (ko
Inventor
마크 더필드
뤽-미셀 리블레이르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212521A external-priority patent/FR2845749B1/fr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50055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06B3/025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consisting of multiple glaz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7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 hollow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축(X)을 포함하는 본체(10) 및 베이스(20)로 이루어진 밀봉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는 2개의 맞은편 측벽(23, 24)에 의해 연결된 제 1 단부(21)및 제 2 맞은편 단부(22); 및 상술한 단부(21) 중 하나의 단부에서 각각의 측벽 중 하나의 측벽 상에 배치된 2개의 숄더(shoulder)(40, 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밀봉부는 단일 연성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숄더(40, 41), 즉 축 X에 수직이고 하나의 측부에서 다른 측부까지의 숄더(40, 41)의 맞은편 단부(22)에 인접한 상술한 베이스의 너비는, 숄더(40, 41), 즉 하나의 측부에서 다른 측부까지의 숄더(40, 41)를 포함하는 단부(21)에 인접한 베이스의 너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SEAL, GLAZING PANEL AND REFRIGERATED CABINET COMPRISING THE GLAZING PANEL}
본 발명은 특히 단열 글레이징 패널에 장착될 수 있는 밀봉부(seal)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밀봉부는 냉장 캐비닛에 사용하도록 의도된 단열 글레이징 패널에 특히 적합하지만, 이러한 밀봉부의 사용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하우징(housing)을 갖는 임의의 글레이징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냉장 캐비닛은, 예를 들어 냉장 디스플레이 케이스 또는 상자(chest)로서, 이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은 유리 전면부를 구성하며, 이때 상기 유리 전면부의 뒤에는 소비될 제품이 진열된다. 소비자가 볼 수 있어야 하는 이들 제품 또는 식품은 썩기 쉬워서 적합한 온도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반면, 임의의 박테리아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이들 냉장 캐비닛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은 종종 단부끼리 연결되고, 글레이징 패널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측벽에 부착된다. 그러나, 제품을 배치하거나 꺼내기 위해 또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세척하기 위해 인접한 글레이징 패널 또는 측벽과 충돌할 위험 없이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열리고 닫히기에 충분한 공간이 2개의 글레이징 패널 사이 및/또는 글레이징 패널과 측벽 사이에 제공되어야 한다. 물론,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냉장 내부와 외부 사이에 열적 단열부를 확보하고, 열적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들 내부에 배치된 제품의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임의의 박테리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공간에 밀봉부를 제공하는 것이 탁월하다.
이어, 글레이징 패널의 주변에 고정된 밀봉부에 의해 밀봉이 달성되면, 각각의 밀봉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닫힌 위치에 있거나, 측벽에 대향하는 경우에 인접한 글레이징 패널의 립을 덮는 밀봉 립을 갖는다. 밀봉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종종 열리고 닫힘에 따라 응력(stress)하에 규칙적으로 배열되고, 이들을 글레이징 패널에 적절히 고정시킴으로써 이들이 이들 마찰력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하는 반면, 여전히 이들을 교환할 목적으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출원 제 5 622 414 호에는 이러한 유형의 냉장 캐비닛을 위한 밀봉부가 개시되어 있다.
냉장 캐비닛의 전면부는 하나 이상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단열 글레이징 패널은 일반적으로 곡면이고, 글레이징 패널의 내부 및 외부 사이에 수증기, 물 및/또는 다른 액체에 대해 밀봉하도록 설계된 밀봉 수단과 함께 공기 또는 기체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스페이서에 의해 이격되어 고정된 2개 이상의 창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문헌에서, 이중 글레이징 패널의 측면 부품 상에 사용된 스페이서 는 글레이징 패널의 외부에 개방된 중공 강성 스트립으로 이루어지고, 기체 또는 공기 층을 향하는 저부(bottom), 창유리의 내면을 향하는 측벽 및 저부의 맞은편 측부 상의 개구(opening)를 가지며, 이는 창유리의 에지에서 스트립의 내부 동공에 접속하게 한다. 개구를 향하는 측벽의 자유 단부는 압착부(constriction)와 같은 좁아진 부분의 형태로 종결된다.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밀봉 수단은 스페이서의 측벽과 창유리의 내면 사이의 배치된 부틸 밀봉부와 같은 수증기에 대해 불투과성인 제 1 차단부, 스페이서의 좁아진 부분과 창유리의 내면 사이에 배치된 물 및/또는 폴리설파이드와 같은 다른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제 2 차단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글레이징 패널과 연관된 밀봉부는 스페이서의 본체에서 제공된 동공에 삽입되어 고정된 제 1 부분, 및 스트립의 동공의 외부 상에 배치되고 인접한 단열 글레이징 패널용 밀봉부와 연동하기 위해 글레이징 패널을 단열시킴으로써 돌출된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압출(extrusion)에 의해 수득된 상기 특허문헌의 밀봉부는 스템(stem), 상기 스템을 확장시킨 평면 부품, 상기 스템과 상기 평면 부품 사이에 배치된 중심립(central rib), 및 상기 스템으로부터 상기 중심립을 비스듬하게 향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한다. 스템 및 중심립은, 이들이 특히 제한부(restriction)에서 스페이서(spacer)의 동공으로 삽입됨을 확실케 하고, 밀봉부가 정확하게 배치됨을 확실케 하기 위해 약 75 내지 80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를 갖는 강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플랜지 및 평면 부품은, 스템이 특히 제한부에서 동공으로 강제적으로 삽입됨을 확실케 하고, 인접한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밀봉부의 평면 부품과 연동하도록 의도된 평면 부품에 적합한 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약 65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연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밀봉부는 완전히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제공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이는, 이 같은 밀봉부가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스페이서와 필수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페이서는 특정한 형태를 가져서 이들 단열 글레이징 패널을 위한 특별한 스페이서가 제조되어야 하고, 그 결과 부가적인 제조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심립이 스페이서의 개구를 정확하게 밀봉하지 못하는 경우, 스페이서의 동공에서 박테리아가 오염되고 증식할 가능한 위험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것들은 음식물을 판매하도록 의도된 냉장 캐비닛에서 사용된 이러한 유형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에 있어서는 상상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밀봉부는 2개 이상의 별개의 플라스틱, 즉 하나는 강성 다른 것은 연성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 밀봉부가 단일 물질로부터 수득될 수 있는 경우보다 더욱 복잡한 제조 수단을 초래하고, 따라서 가능한 한 낮은 제조 비용을 달성하는데 기여하지 못한다.
최종적으로, 특히 폴리설파이드로 제조된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밀봉 수단은 글레이징 패널의 에지를 따라 볼 수 있어, 소비자가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깨끗하지 않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매력이 없는 외관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부, 특히 종래 기술분야의 단점을 갖지 않는 냉장 캐비닛에서 특히 단열 글레이징 패널과 연결되도록 의도된 밀봉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단부 및 맞은편 제 2 단부를 갖는 베이스부, 2개의 단부를 연결하는 2개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 및 2개의 측벽 각각의 측부 상에 및 상기 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 위치한 숄더를 포함하는 횡축(X)의 본체를 포함하는 밀봉부는, 단일 연성 물질로 제조되고, X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상기 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 인접한 하나의 측벽에서 다른 측벽까지의 베이스부의 너비는 맞은편 단부에 인접한 하나의 측벽에서 다른 측벽까지의 베이스부의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성 물질"이란 용어는, 특히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부의 너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동으로 압착될 수 있어서, 물질이 압착되지 않는 경우에 베이스부보다 좁은 단면의 공간으로 밀봉부를 삽입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연성 물질은 40 내지 6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이러한 물질은 실리콘, 부틸, EPDM, 하이팔론(Hypalon), 천연 고무, 네오프렌(Neoprene), 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우레탄, SBR 또는 바이톤(Viton) 유형의 플라스틱이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X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단부와, 상기 측벽과, 상기 단부에 평행하고 상기 숄더에서 측벽의 상기 단부를 연결하는 제한선(finite line)(L)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상기 베이스부의 실제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이며, 이때 상기 단면의 큰 베이스의 너비 부분은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단부와 합쳐지고, 상기 단면의 작은 베이스의 너비 부분은 선(L)과 합쳐진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이다.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숄더에서의 측벽의 단부는 밀봉부의 내부를 향해 오목부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2개의 측벽은 상기 숄더를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단부를 향해 배치된 상호 평행한 측부 돌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라, 베이스부는 속이 꽉 차있다. 변형예로서, 베이스부는 내부 동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따라, 밀봉부는 상기 숄더와 동일한 측부 상에 놓여 있는 베이스부의 단부로부터 확장되는 밀봉 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립은 속이 꽉 차있을 수 있고, 장원형(oblong), 대략적으로 평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거나, 상기 립은 관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숄더는 이들의 자유 단부에서 측벽의 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부분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밀봉부는 이를 압착함으로써 밀봉부의 베이스부를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을 갖는 글레이징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의 본체는 적어도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이의 단부가 하우징의 너비보다 실질적으로 큰 너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글레이징 패널은, 예를 들어 냉동 캐비닛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단열 글레이징이다. 상기 단열 글레이징 패널은 기체 또는 공기 층에 의해 이격된 2개 이상의 창유리; 상기 창유리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그루브(groove)를 떠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창유리의 상기 에지로부터 후퇴하도록 배치며, 이때 상기 하우징의 저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하나의 면을 구성하는 스페이서; 상기 그루브에서 하우징되고, 압착에 의해 여기에 고정되는 밀봉부의 베이스부; 및 상기 창유리의 상기 에지에 대향하여 인접하는 숄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레이징 패널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은 그루브의 저부, 및 가능하게는 창유리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상기 그루브의 측벽의 하나의 부분은 덮으며, 상기 밀봉부의 베이스부의 본체는 밀봉 수단과 마찰적으로 연동한다.
상기 글레이징 패널은 편평할 수 있거나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의 나머지 부분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밀봉부가 장착된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밀봉부가 장착된 2개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을 결합시키는 냉장 캐비닛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른 본 발명의 밀봉부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밀봉부의 개개의 실시태양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밀봉부를 결합시키는 2개의 인접한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부분 단면도.
도 1에서, 본 발명의 밀봉부(1)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 캐비닛(M)에 결합되도록 의도된 단열 글레이징 패널(5)과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인접한 2개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5) 사이의 밀봉은 2개의 개별적인 단열 글레이징 패널과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밀봉부(1)에 의해 달성되고, 또한 단열 글레이징 패널(5) 각각과 상기 캐비닛의 각각의 측벽(5a 및 5b) 사이의 밀봉은 본 발명의 밀봉부(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의 단면에서 부분적으로 도시된 단열 글레이징 패널은 공기 또는 기체 층(52)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창유리(50 및 51), 2개의 창유리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스페이서 또는 스페이서 프레임(53), 및 외부로부터 창유리의 내부를 밀봉하는 밀봉 수단(54)을 포함한다.
도 3에는 밀봉부(1)가 베이스부(20)를 갖는 축(X)의 횡방향 본체(10), 2개의 숄더(40 및 41), 및 선택적으로는 밀봉부의 적용에 따른 밀봉 립(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체(10)는 압출에 의해 수득되고, 단일 연성 물질,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4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실리콘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자는 이후에 플라스틱의 특성에 대해 다시 언급할 것이다.
본체의 베이스부(20)는 단열 글레이징 패널(도 1)에서 하우징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형태 및 치수는 접착 결합 수단과 같은 부가적인 고정 수단을 이용할 필요성이 없고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스페이서와 연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밀봉부를 하우징에 적절히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베이스부(20)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부 내에 박테리아 오염의 임의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고형(도 3 내지 도 8)이다. 그러나, 재료를 절약하고, 이로 인해 제조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및/또는 특히 밀봉부의 자유 단부 중 하나 이상이 돌출 요소와 연동해야 하는 경우에 밀봉부의 도표에 따라, 일단 상기 밀봉부가 상기 글레이징 패널에 삽입되도록 상기 밀봉부에 목적하는 치수가 제공되면, 하우징의 돌출 요소와 상보적인 형태의 돌출 요소와 연동하거나 밀봉부의 양 단부에서 플러깅(plugging)될 수 있는 한정된 형태의 내부 동공(20a)이 구비된 베이스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9).
상기 베이스부는 제 1 단부(21) 및 맞은편 제 2 단부(22); 상기 2개의 단부를 함께 조립하고, 밀봉부가 단열 글레이징 패널에 장착되는 경우에 밀봉부가 안정함을 확실케 하기 위해 동일한 길이 또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2개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23, 24); 및 측벽의 하나의 측부 상에, 및 상기 단부(22)에 연결된 상기 측벽의 단부(23a, 24a)에 위치한 2개의 숄더(40, 41)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 X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단부(22)에 인접한 베이스부의 너비는 맞은편 단부(21)에 인접한 베이스부의 너비보다 크다.
특히, X 축에 수직인 단면으로 주어지고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단부(22), 측벽(23, 24), 및 상기 단부(21, 22)와 평행하고 상기 측벽의 단부(23a, 24a)를 결합시키는 제한선(L)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베이스부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도 4 내지 도 9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의 단면 내에 있으며, 이때 상기 단면의 큰 베이스의 너비 부분은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제 2 단부(22)와 합쳐지고, 상기 단면의 작은 베이스의 너비 부분은 선(L)과 합쳐진다.
밀봉부의 밀봉 립(30)은 상기 밀봉부가 서로에 대해 인접한 2개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 사이 및/또는 단열 글레이징 패널과 측벽 사이를 밀봉해야 하는 경우에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밀봉 립은, 상기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단순하거나 상보적인 밀봉이 인접한 요소에 대한 마찰 없이 제공되어야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밀봉 립이 없는 밀봉부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라, X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베이스부(20)의 실재 단면은 대략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도 3, 도 4, 도 8 및 도 9)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의 단부(22)는 사다리꼴의 큰 베이스를 구성하는 반면, 선(L)은 작은 베이스를 구성하고, 상기 단부(22)는 베이스부가 삽입되도록 설계된 하우징의 너비보다 넓다.
제 2 실시태양에 따라, 베이스부의 실제 단면은 상기 숄더(도 5)에서 측벽의 단부(23a, 24a)까지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며, 서로 마주하는 단부(21 및 22)는 측벽(23, 24)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이다. 단부(21 및 22)의 너비는 치수에 있어서 하우징의 너비와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이보다 크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단부(23a, 24a)는 밀봉부의 내부를 향하는 오목부에서 종결되어, 하우징에서 압착되도록 의도된 베이스부 물질은 이들 오목부 내에 분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숄더(40, 41)는 어떠한 변형도 겪지 않을 것이다.
제 3 실시태양에 따라, X 축에 대해 수직인 단면에서 베이스부의 실재 단면은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도 6 및 도 7)이며, 서로 마주하는 단부(21, 22)는 측벽(23, 24)에 대해 대략적으로 수직이다. 단부(21 및 22)의 너비는 베이스부가 삽입되도록 의도된 하우징의 너비와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베이스부는 측벽(23, 24)을 따라 배열된 측면 돌출부(25)를 가지며, 상호 평행한 이들 돌출부는 전나무의 모양으로 단부(21) 및 숄더(40, 41)를 향해 기울어져 있다. 돌출부(25)는 숄더(40, 41)의 맞은편 측부 상의 베이스부의 단부(22)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개별적인 2개의 벽(23 및 24) 상의 2개의 돌출부(25)의 단부를 분리시키는 거리는 하우징의 너비보다 크다.
상기 립(30)에 관하여, 이는 속이 꽉차 있고, 편평하며, 장원형형태(도 4, 도 5 및 도 6)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립은 베이스부의 단부(21)의 중앙에서 시작한다.
변형예로서, 상기 립은 관형(도 7)일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장원형 형태를 갖거나, 다른 원형 형태를 갖는다. 상기 립은 2개의 별개의 점에서 베이스부의 단부(21)와의 일체형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립의 단면은 가능한 한 연성이도록 설계된다.
현재, 본 발명의 밀봉부를 단열 글레이징 패널에 장착하는 것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2개의 단열 글레이징 패널(5)은 인접한다.
단열 글레이징 패널의 스페이서(53)는 금속 또는 복합체 스트립으로부터 일반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또는 복합체 스트립은 중공이고, 분자체(53a) 또는 건조제로 충전되고, 특히 글레이징 패널의 제조 도중에 공기 층에 트래핑된 물 분자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차가운 대기에서 글레이징 패널의 사용 도중에 응축하기 경향이 있어 연무(fogging)를 초래할 수 있다.
스페이스(53)는 글레이징 패널의 주변 둘레에 배치되고, 밀봉부의 베이스부가 삽입되도록 의도된 하우징을 구성하는 그루브를 형성하기 위해 창유리의 에지(55, 56)에 대해 후퇴한다. 스페이서는 공기 층을 향하는 내면(57), 그루브(60)의 저부를 형성하는 맞은편 외면(58), 및 창유리의 내면(50a, 50b)에 각각 대항하여 배치된 서로 마주하는 측면(59a, 59b)을 갖는다.
스페이서는, 예를 들어 부틸과 같은 고정 물질(54a)을 통해 측면(59a, 59b)을 창유리의 면(50a, 50b)에 접착 결합시킴으로써 창유리에 고정된다. 또한, 부틸 물질(54a)은 수증기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54)의 일부를 구성한다.
곡면 글레이징 패널의 경우에, 변형예로서 건조제가 주입된 복합체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욱 편리하다. 이는, 이 같은 스페이서가 매우 연성이고, 결과적으로 곡면 창유리 상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특징을 갖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같은 스페이서는 트렘코(Tremco) 및 트루실(Truseal)에 의해 "스위글 스트립(Swiggle Strip)"의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다. 이는 스페이서 또는 수증기 차단벽으로 작용하는 금속 코어가 결합된 분자체를 포함하는 예비-압출된 부틸계 스트립의 형태이다. 부틸은 접착 결합의 기능 및 창유리의 면(50a 및 50b)에 대한 수증기 불투과성 기능을 제공한다.
스페이서의 다른 예는 에지테크(Edgetech)에 의해 판매되는 "수퍼 스페이서(Super Spacer)"이다. 현재, 이는 건조제가 주입된 연성 실리콘 포말이다. 스페이서의 외면(58)은 금속화 필름에 의해 불투과성으로 되고, 이어 창유리의 면(50a 및 50b)에의 접착 결합 및 밀봉은 스페이서에 결합된 아크릴산 접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수증기 불투과성을 제공하는 부틸(54a) 또는 접착제 이외에, 밀봉 수단(54)은 물 및 다른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을 제공하는 물질(54b)을 포함한다. 상기 물질(54b)은 적어도 스페이서의 외면(58)에 대해, 및 선택적으로는 창유리의 내면(50a 및 50b)에 대해 그루브(60)에서 도포된다.
이러한 물질(54b)은, 예를 들어 폴리설파이드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임의의 공지된 물질이다.
밀봉부(1)는 글레이징 패널에 장착되어, 베이스부(20)는 그루브에서 하우징 된다. 베이스부(20)의 본체는 그루브의 저부에서 수용되도록 의도된 이의 단부(22)와 동일한 측부 상에서 상기 그루브의 너비보다 실질적으로 큰 너비를 갖는다. 베이스부의 제 1 및 제 2 실시태양에 따라, 이는 정확히 베이스부의 실재 단면이 놓이는 사다리꼴의 큰 베이스에 상응하는 단부(22)의 너비이다. 베이스부의 제 3 실시태양에 따라, 이는 정확히 2개의 측벽(23, 24) 상에 각각 배치된 2개의 돌출부(25)의 단부를 분리시키는 거리에 상응하는 너비이다. 따라서, 베이스부의 삽입 도중에 상기 베이스부를 압착할 때 얻어진 변형은 숄더(40, 41) 및 밀봉 립(30)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의 하우징, 즉 그루브에 비해 베이스부의 이러한 보다 큰 너비는, 베이스부가 압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베이스부의 물질의 함량 때문에 사실이다. 베이스부를 압착함으로써 이를 삽입하면, 일단 베이스부가 적절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에 스프링 효과를 초래하며, 상기 스프링 효과는 다른 밀봉부에 대한 마찰과 같은 후속적인 응력(stressing)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위치에서 밀봉부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밀봉부와 글레이징 패널의 내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며, 상기 다른 밀봉부는 상기 그루브의 외부를 향해 베이스부를 당기는 경향을 가질 것이다.
다소 평탄한 창유리의 내면(50a, 50b)은 선택적으로 밀봉부의 물질에 대한 마찰에 대한 내성을 추가로 증가시켜, 압착 스프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밀봉제(54b)로 덮여질 수 있다.
일단 베이스부가 적당한 위치에 있으면, 숄더(40, 41)는, 베이스부(20)가 삽입되는 글레이징 패널의 그루브를 완전히 덮어서, 그루브를 완벽하게 밀봉하고, 그루브에서의 임의의 박테리아 오염 및 증식을 방지하기 위해 글레이징 패널의 에지(55 및 56)에 대해 인접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숄더(40, 41)는 밀봉 수단(54)이 보이지 않도록 창유리의 에지를 충 분히 덮어서, 밀봉부가 장착된 글레이징 패널의 측부에 깨끗한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밀봉부가 비교적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곡면 글레이징 패널 상에 사용되는 경우, 숄더에는 변형 응력이 가해지며, 이때 하나의 숄더는 신장되는 반면, 다른 숄더는 압착된다. 이들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숄더의 자유 단부(40a, 41a)의 두께는 유리하게는 숄더가 베이스부의 단부(21)에서 시작되는 부분(40b, 41b)에 비해 감소된다(도 3).
밀봉 립(30)에 관하여, 이는 측벽(5a 또는 5b)에 대해 도포하거나(도 2), 다른 밀봉 립(30)과 연동하기 위해 창유리의 에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립 중 하나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립을 덮고 있다.
밀봉부의 본체(10)의 모든 요소는 밀봉부가 글레이징 패널에 장착되고, 이어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반복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는 경우에 응력을 받기 때문에, 본체를 형성하는 단일 물질이 적절하게 선택된다.
실제로, 이러한 물질은 그루브에서 베이스부의 스프링 효과를 생성하고 후속적으로 응력을 가하는 도중에 밀봉부를 적절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충분히 압착 가능해야 한다. 밀봉부는, 특히 이것이 굽어 있는 경우에 글레이징 패널의 곡률점에서 글레이징 패널의 윤곽선(contour)을 따르기 위해 숄더 및 밀봉 립에 적합한 연성을 가져야 하며, 상기 숄더 및 밀봉 립은 글레이징 패널의 외부에 있는 요소이고, 밀봉부가 없으면 이것이 너무 연성인 경우에 비틀리거나, 너무 강성인 경우에는 분쇄된다. 또한, 연성은 밀봉 립이 중복부(overlap)를 제공하기 위해 다른 인접한 립과 용이하게 연동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의 에이징(aging)되지 않아서, 밀봉 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력을 수회 받는 것을 견딜 수 있다.
이들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부틸, EPDM, 하이팔론, 천연 고무, 네오프렌, 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우레탄, 실리콘, SBR 및 바이톤이다.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는 필수적인 압착성 및 연성 기준(criteria)을 충족시키는 5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실리콘이 선택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음식물의 접촉에 관한 국제 표준을 충족시키고, 또한 -10 내지 70℃ 사이의 내장 캐비닛의 작동 온도에서 이의 모든 특성을 유지하는 50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실리콘이 선택되며, 상기 실리콘은 -70 내지 300℃에서 불활성인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글레이징 패널의 그루브로부터 밀봉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밀봉부를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 언제든지 가능하다. 요구되는 것은 밀봉 립 상에서 강하게 당기는 것이며, 이를 완전히 당기는데 필요한 힘은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개방할 때 밀봉부가 응력을 받는 경우에 가해지는 것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는 글레이징 패널의 측부에 깨끗한 외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냉장 내부와 외부 사이에 열적 단열부를 확보하고, 면적 손실을 감소시키며, 식료품과 같은 임의의 제품이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외부로부터의 박테리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특히 탁월하다.

Claims (19)

  1. 하우징(housing)(60)과 밀봉부(1)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패널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 패널은 단열성이며, 기체 또는 공기 층(52)에 의해 이격된 2개 이상의 창유리(50, 51), 상기 창유리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창유리의 에지(55, 56)로부터 후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60)을 형성하는 그루브(groove)를 남기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의 저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하나의 면(58)을 구성하고,
    상기 밀봉부(1)는 종축(X)의 본체(10)를 포함하고, 제 1 단부(21) 및 맞은편 제 2 단부(22)를 갖는 베이스부(base-piece)(20), 상기 제 1 단부(21) 및 제 2 단부 (22)를 연결시키는 2개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23, 24), 및 각각의 2개의 측벽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단부(21)에 배치된 2개의 숄더(shoulder)(40, 41)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는 단일 플렉시블 물질로부터 제조되고, X 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숄더(40, 41)의 맞은편 상의 상기 제 2 단부(22)에 인접한 하나의 측벽에서 다른 측벽까지의 베이스부의 너비는 상기 숄더(40, 41)에 인접한 상기 제 1 단부(21) 주변에서 하나의 측벽에서 다른 측벽까지의 베이스부의 너비보다 더 크고,
    상기 밀봉부(1)의 상기 베이스부(20)는 상기 그루브에서 하우징되고, 압착에 의해 여기에 고정되며, 상기 숄더(40, 41)는 상기 창유리의 상기 에지(55, 56)에 대향하여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X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상기 제 2 단부(22)와, 상기 측벽(23, 24)과, 상기 제 1 단부(21) 및 상기 제 2 단부(22)에 평행하고 상기 숄더(40, 41)에서 상기 측벽의 단부(23a, 24a)를 연결하는 제한선(finite line)(L)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상기 베이스부의 실제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이며, 이때 상기 베이스부의 큰 너비 부분은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상기 제 2 단부(22)와 합쳐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작은 너비 부분은 제한선(L)과 합쳐지고,
    상기 베이스부의 큰 너비 부분은 상기 베이스부의 작은 너비 부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단면은 사다리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단면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기 숄더에서 상기 측벽의 상기 단부(23a, 24a)는 상기 밀봉부의 내부를 향하는 오목부(reces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벽(23, 24)은 상기 숄더(40, 41)를 향해 기울어져 있고 상기 숄더의 맞은편 측부 상의 상기 제 2 단부(22)를 향해 배치된 상호 평행한 측면 돌출부(projection)(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는 속이 꽉 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20)는 내부 공동(internal cavity)(20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숄더(40, 41)와 동일한 측부 상에 놓인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 1 단부(21)로부터 확장되는 밀봉 립(sealing lip)(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30)은 속이 꽉 차있고, 장원형(oblong) 및 평면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립(30)은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40, 41)는 이들의 자유 단부(40a, 41a)에서 상기 측벽의 단부(23a, 24a)에서 시작하는 부분(40b, 41b)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물질은 40 내지 60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실리콘, 부틸, EPDM, 하이팔론(Hypalon), 천연 고무, 네오프렌(Neoprene), 니트릴,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우레탄, SBR 또는 바이톤(Viton) 유형의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4. 삭제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본체(10)는 상기 숄더(40, 41)의 맞은편 측부 상의 상기 제 2 단부(22)에서 상기 하우징의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6. 삭제
  1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 패널의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54)은 상기 그루브의 상기 저부(58), 및 상기 창유리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 상기 그루브의 측벽(50a, 50b)의 하나의 부분을 덮으며, 상기 밀봉부의 상기 베이스부(20)의 상기 본체는 밀봉 수단(54)과 마찰 가능하게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 패널은 평면이거나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패널.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refrigerated cabinet).
KR1020057006164A 2002-10-09 2003-10-01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KR101122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2521A FR2845749B1 (fr) 2002-10-09 2002-10-09 Joint d'etancheite et vitrage isolant incorporant ce joint d'etancheite
FR0212521 2002-10-09
FR0303684 2003-03-26
FR0303684A FR2845750B1 (fr) 2002-10-09 2003-03-26 Joint d'etancheite et vitrage isolant incorporant ce joint d'etanche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002A KR20050055002A (ko) 2005-06-10
KR101122654B1 true KR101122654B1 (ko) 2012-03-09

Family

ID=3204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164A KR101122654B1 (ko) 2002-10-09 2003-10-01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011137B2 (ko)
EP (1) EP1552193B1 (ko)
KR (1) KR101122654B1 (ko)
AT (1) ATE338234T1 (ko)
AU (1) AU2003285391A1 (ko)
CA (1) CA2501679C (ko)
DE (1) DE60308048T2 (ko)
ES (1) ES2271667T3 (ko)
FR (1) FR2845750B1 (ko)
MX (1) MXPA05002556A (ko)
PL (1) PL205657B1 (ko)
WO (1) WO200403394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284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KR102158283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단열커버
KR102158285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KR102158282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14281U1 (de) 2006-09-13 2008-02-07 Mann + Hummel Gmbh Dichtungssystem zwischen zwei Bauteilen
KR100853038B1 (ko) * 2007-02-15 2008-08-19 임태형 글라스 월 가스켓
US20100117309A1 (en) * 2008-11-13 2010-05-13 Applied Materials, Inc. Sealing apparatus for a process chamber
KR20100084924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T512134B1 (de) * 2011-11-07 2013-08-15 Bernecker & Rainer Ind Elektronik Gmbh Hygienegerechtes anzeige- und bediengerät
JP5759635B2 (ja) * 2012-12-03 2015-08-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のドア装置及び鉄道車両
US9970202B2 (en) * 2015-01-26 2018-05-15 Klaus Kimel Molding structure
BR112018011467B1 (pt) 2015-12-21 2022-10-11 Saint-Gobain Glass France Elemento de vidro isolante para um gabinete de refrigeração
US11846788B2 (en) 2019-02-01 2023-12-19 Racing Optics, Inc. Thermoform windshield stack with integrated formable mold
JP2022518602A (ja) 2019-02-01 2022-03-15 レーシング オプ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化成形可能な成形物を備えた熱成形フロントガラス積層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414A (en) 1993-06-07 1997-04-22 Ardco, Inc. Refrigerator display cabinet with thermally insulated pivotable all glass front window pane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4710A (en) * 1918-09-05 1925-02-03 Packard Motor Car Co Motor vehicle
US1444885A (en) * 1921-03-26 1923-02-13 Ainsworth Mfg Company Windshield
US2172091A (en) * 1938-04-07 1939-09-05 Gen Motors Corp Weather strip
US2782887A (en) * 1952-02-09 1957-02-26 Zimmermann Friedrich Window construction
US2676055A (en) * 1952-03-31 1954-04-20 Motor Products Corp Window assembly and weather strip therefor
US2718677A (en) * 1954-02-23 1955-09-27 Elder Cornell Jr W Threshold and door sealing construction
US2872713A (en) * 1956-07-19 1959-02-10 Window Products Inc Insulated metal-framed window sash
NL288139A (ko) * 1962-01-26 1900-01-01
US3289352A (en) * 1964-01-15 1966-12-06 Glenco Refrigeration Corp Gasket construction
BE754621A (fr) * 1969-08-16 1971-01-18 Suedwestfalen Ag Stahlwerke Encadrement de porte metallique
US3732646A (en) * 1971-12-23 1973-05-15 Gen Electric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JPS5134544A (ko) * 1974-07-19 1976-03-24 Daburyu Buraun Jeemuzu
US4205104A (en) * 1974-12-11 1980-05-27 Saint Gobain Industries Multiple pane window having a thick seal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applying the seal
FR2294314A1 (fr) * 1974-12-11 1976-07-09 Saint Gobain Intercalaire pour vitrages multiples
GB1554941A (en) * 1976-04-09 1979-10-31 Schlegel Uk Ltd Extruded sealing strip
US4233780A (en) * 1979-02-09 1980-11-18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Door seal
GB2092652B (en) * 1981-02-10 1985-02-06 Dixon International Ltd Draught excluder weather seal and/or smike seal
EP0069021B1 (fr) * 1981-06-29 1985-05-29 Saint Gobain Vitrage International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itrage isolant avec protection des arêtes sur le pourtout, dispositif destiné à la mise en oeuvre du procédé, et vitrage fabriqué selon le procédé
EP0236211B1 (fr) * 1986-02-20 1991-12-27 Saint-Gobain Vitrage International Vitrage multiple, procédé d'obtention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FR2594479B1 (fr) * 1986-02-20 1991-05-31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multiple, procede d'obtention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4950715A (en) * 1987-02-20 1990-08-21 Teroson Gmbh Sealants and adhesives and the use thereof
US4807419A (en) * 1987-03-25 1989-02-28 Ppg Industries, Inc. Multiple pane unit having a flexible spacing and sealing assembly
US4994309A (en) * 1987-12-14 1991-02-19 Lauren Manufacturing Company Insulating multiple layer sealed units and insulating
US4828274A (en) * 1987-12-14 1989-05-09 U.S. Foundry & Manufacturing Corp. Sealing assembly for manhole covers and adjustment rings therefor
US5113628A (en) * 1990-09-20 1992-05-19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Railless refrigerator display door
US5097642A (en) * 1990-09-20 1992-03-24 Anthony's Manufacturing Company, Inc. Glass refrigerator door structure
US5095657A (en) * 1990-10-26 1992-03-17 Marsh Richard B Door seal
US5129184A (en) * 1991-03-29 1992-07-14 Polygon Company Magnetic sealing gasket
US5375376A (en) * 1993-01-21 1994-12-27 Crane Plastics Company Limited Partnership Polymeric sealing/spring strip and extrusion method of producing same
US5584143A (en) * 1993-05-07 1996-12-17 Tyler Refrigeration Corporation Edge seal gasket assembly for a multiple glazing unit
US5533311A (en) * 1994-09-30 1996-07-09 Maytag Corporation Thermoformed plastic refrigerator door
DE19628034A1 (de) * 1996-07-11 1998-01-15 Manfred Woschko Rahmenlose Tür- oder Fensterflügelanordnung mit Isolierverglas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9933410B4 (de) * 1999-07-21 2005-12-15 Dorma Gmbh + Co. Kg Brandschutztür oder -fenster
SE522716C2 (sv) * 2001-12-18 2004-03-02 Accra Teknik Ab A-stolpe och ett tätningsförsett taksidoparti hos ett fordon med en dörr utan fönster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2414A (en) 1993-06-07 1997-04-22 Ardco, Inc. Refrigerator display cabinet with thermally insulated pivotable all glass front window pane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284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KR102158283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단열커버
KR102158285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KR102158282B1 (ko) * 2019-04-30 2020-09-21 (주)이화폴리텍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33940A1 (fr) 2004-04-22
PL205657B1 (pl) 2010-05-31
DE60308048D1 (de) 2006-10-12
FR2845750B1 (fr) 2005-04-29
ATE338234T1 (de) 2006-09-15
PL375209A1 (en) 2005-11-28
EP1552193B1 (fr) 2006-08-30
CA2501679A1 (fr) 2004-04-22
ES2271667T3 (es) 2007-04-16
AU2003285391A1 (en) 2004-05-04
US20060006612A1 (en) 2006-01-12
DE60308048T2 (de) 2007-04-12
MXPA05002556A (es) 2005-05-05
US8011137B2 (en) 2011-09-06
FR2845750A1 (fr) 2004-04-16
CA2501679C (fr) 2011-06-21
KR20050055002A (ko) 2005-06-10
EP1552193A1 (fr)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654B1 (ko)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US8869493B2 (en) Door for a refrigerated cabinet
CA2185464C (en) Edge seal gasket assembly for a multiple glazing unit
US9661940B2 (en) Glass element for a cabinet having a refrigerated chamber
US20060273700A1 (en) Door comprisign insulating glazing and refrigerating appliance fitted therewith
US4741127A (en) Refrigerator door with thermal insulated outer frame
KR20050042251A (ko) 다중창문유니트 새시조립체용 구성요소
US10975617B2 (en) Insulated glazing units and methods of assembling such insulated glazing units
EA008294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е изоляционных панелей
US5675948A (en) Insulated ventilator for glass block window
US2693009A (en) Refrigerator door gasket
US20070062226A1 (en) Door comprising an insulating glazing and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provided with said door
JP2006241805A (ja) 複層ガラス扉
PT1956173E (pt) Caixilharia de porta ou janela de correr comportando uma travessa de topo do aro móvel oculta de tipo monobloco
US2659940A (en) Refrigerator gasket
US20030059253A1 (en) Connector for joining multiple pane window spacers
CN100383436C (zh) 密封圈以及结合有这种密封圈的隔离窗玻璃
CN205577727U (zh) 增腔保温型门窗型材
CN2926446Y (zh) 铝塑三道密封平开窗
JP3760135B2 (ja) 複層ガラス及びこの複層ガラスを用いた建具
CN201358679Y (zh) 玻璃门及其边框连接结构
KR200461789Y1 (ko) 냉동고 또는 냉장고용 도어
KR200389068Y1 (ko) 냉동고의 문프레임
JPH046480U (ko)
JPH1193539A (ja) 断熱引違い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