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285B1 -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 Google Patents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285B1
KR102158285B1 KR1020190050496A KR20190050496A KR102158285B1 KR 102158285 B1 KR102158285 B1 KR 102158285B1 KR 1020190050496 A KR1020190050496 A KR 1020190050496A KR 20190050496 A KR20190050496 A KR 20190050496A KR 102158285 B1 KR102158285 B1 KR 10215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door
condensation prevention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폴리텍 filed Critical (주)이화폴리텍
Priority to KR102019005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part of which remains vi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를 형성하는 각각의 프레임 끝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도어가 닫혔을 때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열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과 단열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는, 양측 끝 부분에 각각의 연결부가 형성되며, 연결구 중앙부에는 발열 선이 내장되는 결로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결로방지부의 양측에는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Frame join bracket for low temperature warehouse door}
본 발명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각의 프레임 끝 부분과 단열커버를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도어가 닫혔을 때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누기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냉장/냉동창고는 농수산식품을 저장하는 창고로 사계절 신선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설물이며, 농수산식품의 저장 이외에도 산업물품을 일정 온도로 보관해야 하는 산업현장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냉동창고의 입구에는 작업자의 입/출입은 물론, 냉장/냉동창고에 저장된 물건을 운송하는 장비인 지게차 등이 용이하게 입/출할 수 있도록 개폐문이 설치된다.
종래의 냉장/냉동창고 문은 대부분 소정의 발포체가 충진된 패널 조립체와 같은 형태로써, 폐쇄시 저장고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저장고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기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장/냉동창고의 문 구조는, 문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곡 프레임과 그 절곡 프레임의 양단부와 각각의 내/외측 패널을 고정설치하고, 그 고정설치된 내/외측 패널 사이에 단열재를 충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냉장/냉동창고의 문은 각 구성품을 고정설치함에 있어 용접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제공된 도 1에 나타낸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53280호의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의 구성을 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제1,2고정 홈(11)(12) 및 제1,2결합 홈(13)(14)을 구비하여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10);
상기 제1,2결합 홈(13)(14)에 각각 끼워지는 제1,2결합 돌기(21)(22)를 구비하여 상하좌우 프레임(10)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20);
상기 프레임(10)의 제1,2고정 홈(11)(1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내부패널(30);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끼워져 접착되는 외부패널(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 홈(11)의 외측으로는 절취 홈(15)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으로 도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각각의 구성들 간에 기밀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냉기가 문을 통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각 구성품들의 결합이 간편하지 못하여 문을 제작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그에 따른 제조 코스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종래 냉장/냉동창고용 도어는, 냉장/냉동창고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패널의 냉기가 도어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통하여 외부패널로 전달되면서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냉장/냉동창고용 문은, 내부패널과 외부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문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에서 냉장/냉동창고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여 흘러내림으로 그에 따른 열손실은 물론, 도어의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종래 문제점 들을 해소하고자 냉장/냉동창고용 도어 구조를 다양하게 연구 개발하고 있으나, 상기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각 구성품의 조립 작업이 먼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353280호의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의 인접한 각 끝 부분과 단열커버의 끝 부분을 끼워 결합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상호 연결 설치할 수 있고,
둘째, 냉장/냉동창고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냉장/냉동창고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방열문을 통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냉기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D)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200)의 인접한 각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끝 부분을 상호 연결 설치하는 연결구(300)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300)는,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 자 형상의 연결구 양측 끝 부분에는 도어(D)를 형성하는 프레임(200)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끝 부분을 연결 설치한 후 단열커버(100)의 표면이 연결구(300)의 표면과 평탄면이 되도록 상기 단열커버(100) 높이만큼의 단턱을 갖는 연결부(310)를 형성하고, 그 연결부(310)의 양측 끝 부분에는 외 측에 프레임(200)의 일측단이 안착결합되는 제1안착부(311)가 형성되며, 내 측에 단열커버(100)의 내 측단 하부가 안착결합되는 제2안착부(312)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단이 끼워 결합되는 제3안착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 자 형상의 연결구(300) 중앙부 양측에는 지지 편(323)을 중심으로 결로방지공간(321)이 양분되며, 상기 각 결로방지공간의 상부 양측에는 레일(325)을 형성시켜 그 레일에 상기 결로방지공간의 상부를 덮으면 밀폐시키는 결로방지덮개(322)의 양단부가 끼워 결합되고, 상기 양 결로방지공간의 바닥면에는 발열 선(H)이 고정되는 발열선고정 홈(324)을 형성시켜 된 결로방지부(320)가 마련되고,
상기 결로방지부의 양측에는 내부가 중공인 고정구(331,341)가 형성되고, 그 고정구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구의 중공부 보다 폭이 좁은 개방부(332,342)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켜 된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330,340)가 형성되며,
상기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에는 하부에 돌기(351,36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부에는 돌기보다 폭이 좁은 걸림부(352,36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는 기밀유지부(353,363)가 형상되고, 그 기밀유지부의 상부에는 문풍지부 역할을 하는 차단 편(354,364)를 형성시켜 도어(D)와 냉장/냉동창고의 출입구 내/외부 사이 틈을 막아주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내/외부실링부재(350,36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 연결구는,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의 인접한 각 끝 부분과 단열커버의 끝 부분을 끼워 결합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상호 연결 설치할 수 있고, 냉장/냉동창고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냉장/냉동창고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열문을 통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냉기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가 적용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에 프레임과 단열커버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에 설치되는 내/외부실링부재 발췌 단면 구성도.
본 발명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를 형성하는 각각의 프레임 끝 부분과 단열커버를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도어가 닫혔을 때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또 결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300)는,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D)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각의 프레임(200)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끝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도어(D)의 각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D)를 형성하는 각각의 프레임(200)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끝 부분을 연결 설치하는 본 발명의 연결구(3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 자 형상의 연결구(300) 양측 끝 부분에 각각의 연결부(310)가 형성되어 그 연결부(310)에 각각의 프레임(200)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단부를 끼워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 자 형상의 연결구(300)는, 열전달이 잘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데, 그 이유는, 그 재질의 특성상 합성수지는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음으로 상기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00)는,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 자 형상의 연결구(300) 양측 끝 부분에는 각각의 연결부(310)가 형성되는데, 그 연결부(31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 측에 프레임(200)의 일측단 하부가 안착 결합되는 제1안착부(311)가 형성되고, 내 측에 단열커버(100)의 내 측단 하부가 안착 결합되는 제2안착부(31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프레임(200)의 타 측단이 끼워 결합되는 제3안착부(313)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안착부(311)의 형상은, 프레임(200)의 일측단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2안착부(312) 형상은, 단열커버(100)의 내 측단 하부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3안착부(313) 형상은, 프레임(200)의 타측단 형상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들이 상호 결합되면 안전하고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별도의 고정피스나 용접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제2안착부(312)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커버(100)가 결합되면 그 결합된 단열커버(100)의 표면이 연결 연결구(300)의 표면과 평탄한 면이 되므로 도어(D)는 측면이 미려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312)에 단열커버(100)가 결합된 후 그 결합된 단열커버(100)의 표면이 연결구(300)의 표면과 평탄한 면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구(300)와 연결부(310) 간에 단열커버(100) 높이만큼의 단턱을 형성시켰다.
따라서 상기 미려한 표면으로 인하여 도어(D)가 냉장/냉동창고의 출입구를 닫았을 때 상기 출입구의 문틀과 도어(D)의 외곽 틀이 긴밀히 접촉되어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 자 형상의 연결구(300) 중앙부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발열 선(H)이 내장되는 결로방지공간(321)이 형성되고, 상기 결로방지공간(321)의 상부에는 결로방지덮개(322)를 설치하여 된 결로방지부(32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결로방지부(320)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냉장/냉동창고의 실내/외부 온도 차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결로를 상기 발열 선(H)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해 결로방지덮개(322)를 건조시켜 결로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상기 결로방지부(32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로방지공간(321)의 중앙에 형성되어 결로방지덮개(322)의 하부를 지지하며 받쳐주면서 상기 결로방지공간(321)을 양분하는 지지 편(323)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결로방지공간(321)의 바닥면에는 발열 선(H)이 끼워 고정되는 발열선고정 홈(32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로방지공간(32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결로방지덮개(322)가 끼워 결합 된 후 그 결합 된 결로방지덮개(322)가 단열커버(10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에 레일(325)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325)은 결로방지덮개(322)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며 긴밀히 끼워 결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결로방지덮개(322)는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평판형의 금속재로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결합 된 결로방지덮개(322)가 단열커버(100)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단열커버(100)의 표면이 평탄하여 도어(D)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결로방지공간(321)의 상부에 결로방지덮개(322)를 설치하는 이유는, 발열 선(H)에서 발열되는 열이 결로방지공간(321)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결로방지덮개(220)를 가열하여 결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로방지부(320)의 양측에는 문풍지 역할을 하는 내/외부실링부재(350,360)가 결합 고정되는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330,340)가 형성됨으로 상기 내/외부실링부재(350,360)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330,340)의 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고정구(331,341)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그 고정구(331,341)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구(331,341)의 중공부 보다 폭이 좁은 개방부(332,342)를 형성시켜 상기 중공부와 개방부(332,342)를 통하여 내/외부실링부재(350,360)를 끼워 고정하는 것이다.
또 상기 내/외측의 실링부재(350,3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상기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330,340)에 끼워 결합 된 후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351,36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그 돌기(351,361)의 상부에는 돌기(351,361)보다 폭이 좁은 걸림부(352,362)가 형성되고, 그 걸림부(352,362)의 상부에는 기밀유지부(353,363)가 형상되며, 그 기밀유지부(353,363)의 상부에는 문풍지 역할을 하는 차단 띠(354,364)를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돌기(351,361)는, 개방부(332,342)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빠져나오지 못하고 고정구(331,341)의 중공부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걸림부(352,362)는, 상기 개방부(332,342)에 긴밀히 끼워 접촉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고, 기밀유지부(353,363)는, 상기 고정구(331,341)의 중공부 양측을 덮으며 기밀성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차단 띠(354,364)는, 도어(D)가 냉장/냉동창고의 출입구를 닫았을 때 그 출입구의 외곽과 도어(D)의 외곽 사이에 발생하는 미세 틈을 막아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기 내/외부실링부재(350,360400)가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330,340)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D)가 냉장/냉동창고의 출입구를 닫게 되면 내부실링부재(350)는 내측의 상기 틈새를 막고, 외부실링부재(360)는 외측의 상기 틈새를 막음으로 냉장/냉동창고의 실내/외 공기가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냉기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열결구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의 인접한 각 끝 부분과 단열커버의 끝 부분을 끼워 결합하는 방법으로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상호 연결 설치할 수 있고, 냉장/냉동창고의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냉장/냉동창고의 내/외부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열문을 통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내부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장/냉동창고의 냉기보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300 : 연결구 310 : 연결부
311 : 제1안착부 312 : 제2안착부
313 : 제3안착부 320 : 결로방지부
321 : 결로방지공간 322 : 결로방지덮개
323 : 지지 편 324 : 발열선고정 홈
325 : 레일 330,340 :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
331,341 : 고정구 332,342 : 개방부
350,360 : 내/외부실링부재 351,361 : 돌기
352,362 : 걸림부 353,363 : 기밀유지부
354,364 : 차단 편

Claims (6)

  1.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D)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200)의 인접한 각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끝 부분을 상호 연결 설치하는 연결구(300)를 형성하되,
    상기 연결구(300)는,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 자 형상의 연결구 양측 끝 부분에는 도어(D)를 형성하는 프레임(200) 끝 부분과 단열커버(100)의 각 끝 부분을 연결 설치한 후 단열커버(100)의 표면이 연결구(300)의 표면과 평탄면이 되도록 상기 단열커버(100) 높이만큼의 단턱을 갖는 연결부(310)를 형성하고, 그 연결부(310)의 양측 끝 부분에는 외 측에 프레임(200)의 일측단이 안착결합되는 제1안착부(311)가 형성되며, 내 측에 단열커버(100)의 내 측단 하부가 안착결합되는 제2안착부(312)가 형성되고, 하부 내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단이 끼워 결합되는 제3안착부(313)가 형성되며,
    상기 '└' 자 형상의 연결구(300) 중앙부 양측에는 지지 편(323)을 중심으로 결로방지공간(321)이 양분되며, 상기 각 결로방지공간의 상부 양측에는 레일(325)을 형성시켜 그 레일에 상기 결로방지공간의 상부를 덮으면 밀폐시키는 결로방지덮개(322)의 양단부가 끼워 결합되고, 상기 양 결로방지공간의 바닥면에는 발열 선(H)이 고정되는 발열선고정 홈(324)을 형성시켜 된 결로방지부(320)가 마련되고,
    상기 결로방지부의 양측에는 내부가 중공인 고정구(331,341)가 형성되고, 그 고정구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구의 중공부 보다 폭이 좁은 개방부(332,342)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켜 된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330,340)가 형성되며,
    상기 내/외부실링부재결합부에는 하부에 돌기(351,36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부에는 돌기보다 폭이 좁은 걸림부(352,36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는 기밀유지부(353,363)가 형상되고, 그 기밀유지부의 상부에는 문풍지부 역할을 하는 차단 편(354,364)를 형성시켜 도어(D)와 냉장/냉동창고의 출입구 내/외부 사이 틈을 막아주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내/외부실링부재(350,36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 자 형상의 연결구(300)는, 열전달이 잘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50496A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KR10215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96A KR102158285B1 (ko)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96A KR102158285B1 (ko)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85B1 true KR102158285B1 (ko) 2020-09-21

Family

ID=7270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96A KR102158285B1 (ko)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2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1232A (ko) * 2003-09-16 2003-10-17 (주)삼성판넬플랜트 냉동창고용 방열 문틀구조
KR200353280Y1 (ko) 2004-03-11 2004-06-26 진성냉기산업주식회사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KR101122654B1 (ko) * 2002-10-09 2012-03-0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JP2012233666A (ja) * 2011-05-09 2012-1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扉下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654B1 (ko) * 2002-10-09 2012-03-0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KR20030081232A (ko) * 2003-09-16 2003-10-17 (주)삼성판넬플랜트 냉동창고용 방열 문틀구조
KR200353280Y1 (ko) 2004-03-11 2004-06-26 진성냉기산업주식회사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JP2012233666A (ja) * 2011-05-09 2012-1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扉下シール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285B1 (ko) 냉장고 및 이에 구비되는 진공 단열재
RU2347988C2 (ru) Дверь с изолирующим остеклением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такой дверью
US104948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ffixing insulated panels
US20080122324A1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210356195A1 (en) Vacuum insulated structure with thermal bridge breaker with heat loop
KR20160084022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
US9810477B2 (en) Refrigerator
CA2014912C (en)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JP5743699B2 (ja) 冷却貯蔵庫の扉下シール構造
KR101657237B1 (ko) 단열성 벽체프레임
KR102158285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US7895806B2 (en) Interlocking wall sections for refrigerated enclosures
KR100697725B1 (ko) 쌀통이 구비된 냉장고
US20090224644A1 (en) Sliding lid for a refrigerator and/or freezer and refrigerator and/or freezer with a sliding lid
KR102158283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단열커버
JP2007017145A (ja) 冷却貯蔵庫の断熱構造体
KR200450905Y1 (ko) 냉동 창고용 도어 장치
KR102158282B1 (ko)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KR101709707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JP2011185490A (ja) 冷却貯蔵庫
US2553832A (en) Refrigerator door
US20050189726A1 (en) Door gasket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2158284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KR101598521B1 (ko) 커튼월
KR200450500Y1 (ko) 육상용 냉동/냉장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