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284B1 -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284B1
KR102158284B1 KR1020190050495A KR20190050495A KR102158284B1 KR 102158284 B1 KR102158284 B1 KR 102158284B1 KR 1020190050495 A KR1020190050495 A KR 1020190050495A KR 20190050495 A KR20190050495 A KR 20190050495A KR 102158284 B1 KR102158284 B1 KR 102158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eat insulating
outer panel
insulating cov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폴리텍 filed Critical (주)이화폴리텍
Priority to KR102019005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out-buildings or cellars; Other simple closures not designed to be close-fit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을 제작 조립함에 있어 작업 효율성과 단열성 및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어 외곽 틀을 형성하는 'ㄴ' 자 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결합부와, 단열커버를 의지시키도록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의지부와, 단열커버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받침부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켜 된 외부패널결합부와, 외부패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외부패널받침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SLIDING DOOR FRAM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를 제작 조립함에 있어 작업 효율성과 단열성 및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냉장/냉동창고는 농수산식품을 저장하는 창고로 사계절 신선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설물이며, 농수산식품의 저장 이외에도 산업물품을 일정 온도로 보관해야 하는 산업현장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냉동창고의 입구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소정 형태의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냉장/냉동창고용 도어는 대부분 소정의 발포체가 충진된 패널 조립체와 같은 형태로써, 폐쇄시 저장고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저장고 내부의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냉장/냉동창고용 도어는 결합부재의 구조가 복수의 절곡 벽면을 포함하여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조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원자재의 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280호(2004.06.03,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도어의 구조를 조립식으로 개선하여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기술로, 제1,2고정홈(11)(12) 및 제1,2결합홈(13)(14)을 구비하여 상하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제1,2결합곤(13)(14)에 각각 끼워지는 제1,2결합돌기(21)(22)를 구비하여 상하좌우 프레임(10)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20)와; 상기 프레임(10)의 제1,2고정홈(11)(12)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내부패널(30)과;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끼워져 접착되는 외부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립식으로 도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각각의 구성들 간에 기밀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저장고의 냉기가 도어를 통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합방식이 간편하지 못하여 도어를 제작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280호(2004.06.03,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의 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덮개 및 외부마감패널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간을 단축 시키고, 또 덮개와 외부마감패널과의 결합구조가 개선됨에 따라 기밀성이 향상되어 냉기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D)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단열커버결합부(21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이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보다 넓게 형성시켜 된 'ㄴ' 자 형태의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에 단열커버(100)의 하부를 끼워 결합하도록 양측으로 상호 마주보는 돌기(213)가 형성된 입구(211)가 형성되고, 그 입구의 내측은 입구보다 넓은 3각 이상의 다면체 홀로의 끼움 홀(212)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결합부(210);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시작 지점에서 상부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단열커버(100)의 일 측 단면과 면 접촉되며 단열커버를 의지시키도록 형성되고, 두께는 상기 프레임(2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의지부(220);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끝나는 지점에서 측면으로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단열커버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받침부(230)를 형성하되, 그 단열커버받침부는, 상기 단열커버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여 도어(D)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단열커버받침부의 상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0) 하부 선단 부분에 도어(D)의 외부패널(P) 가장자리 절곡된 부분을 긴밀히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켜 된 외부패널결합부(240)를 형성시키되, 그 외부패널결합부 입구(241)에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내측단부까지는 외부패널(P)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는 고정 홀(243)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가 끝나는 지점에서 측면 방향으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외부패널(P)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외부패널받침부(250)를 형성시키되, 그 외부패널받침부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평면을 이루는 표면은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 표면보다 외부패널(P) 두께만큼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에 따르면 프레임에 결합되는 덮개 및 외부마감패널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도어를 제작하는 시간을 단축 시킴으로써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프레임과 덮개 간의 기밀성 그리고 프레임과 외부마감패널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냉장/냉동창고의 냉기방출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온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이 적용된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을 포함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을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을 나타낸 발췌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을 적용한 도어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를 제작 조립함에 있어 작업 효율성과 단열성 및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0), 단열커버결합부(210), 단열커버의지부(220), 단열커버받침부(230), 외부패널결합부(240), 외부패널받침부(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200)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D)의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ㄴ'자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200)은 일반적으로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를 압출 성형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그 압출 성형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ㄴ' 자 형태의 프레임(2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이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 보다 넓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ㄴ' 자 형태의 프레임(200)의 일 측면 폭을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이 완성된 도어(D)의 두께가 되는 것이므로 그 도어(D)의 두께를 일정 두께 이상으로 되게 하여 견고한 도어를 제작하고자 함이다.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는 첨부된 도면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ㄴ' 자 형태의 프레임(200)의 상부에 단열커버(100)의 하부를 끼워 결합하도록 입구(211)는 좁고, 그 입구(211)의 내측은 입구보다 넓은 형태를 갖는 끼움 홀(212)을 상기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단열커버(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어(D)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에 발열 선(H)이 삽입되고 외 측에는 도어와 냉장 냉동창고의 틈새로 냉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외측실링부재가 설치되며,외부패널(P)의 가장자리 절곡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것으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단열커버(100)의 상면에는 발열 선(H)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열선커버(H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는, 단열커버(1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입구(211)는, 양측으로 상호 마주보는 돌기(213)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보다 넓은 형태의 끼움 홀(212)은, 3각 이상의 다면체 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돌기(213)에 의해 단열커버결합부(210)에 결합된 단열커버(100)는 한번 결합되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단열커버의지부(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시작 지점에서 상부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단열커버(100)의 일 측 단면과 면 접촉되며 단열커버(100)를 의지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열커버의지부(220)는,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시작 지점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에 결합된 단열커버(100) 상면의 높이와 준하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열커버의지부(220)는, 단열커버(10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의지부(220)는,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ㄴ' 자 형태의 프레임(200)과 일직선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0)과 일직선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단열커버의지부(220)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200)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단열커버의지부(220)를 프레임과 일직선상을 유지하도록 형성하게 되면 상기 단열커버의지부(220)와 그 단열커버의지부(220)에 의지하는 단열커버(100)의 상호 접촉하는 면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받침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끝나는 지점에서 측면으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200)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단열커버(100)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열커버받침부(230)의 상면과 단열커버(100)의 저면 간은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받침부(230)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여 도어(D)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그 도어(D)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단열커버받침부(230)는 상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단열커버받침부(230)의 상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그 단열커버받침부(230)의 상면에 받쳐 지지되는 단열커버의 저면과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커버받침부(230)를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커버결합부(210)와 단열커버받침부(230)의 높이 차이에 의해 단턱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첨부된 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커버(100)의 저면부를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게 되면 단열커버받침부(230)와 단열커버(100) 간의 지지력은 물론 단열커버(100)가 프레임(20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는, 첨부된 도면 도 3 및 4,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 하부 선단 부분에 도어(D)의 외부패널(P) 가장자리 절곡 부분을 긴밀히 끼워 고정하도록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200)과 일체로 형성시켜 외부패널(P)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는, 입구(241)에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242)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내측단부까지는 외부패널(P)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는 고정 홀(243)을 형성시킨다.
상기 경사면(242)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내측단부까지 외부패널(P)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는 고정 홀(243)을 형성시킨 이유는, 외부마감패널(P) 가장자리 절곡 부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입구(241)에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경사면(242)을 형성시킨 이유는, 외부패널(P)의 가장자리 절곡 부분의 끝단부가 상기 경사면(242)을 따라 이동한 후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 홀(243)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부패널받침부(250)는, 첨부된 도면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가 끝나는 지점에서 측면 방향으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200)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패널(P)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패널받침부(250)는,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의 선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그 외부패널결합부(240)의 선단부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이유는, 외부패널결합부(240)에 결합된 외부패널(P)이 프레임(200)보다 돌출되지 않게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돌출되는 부위로 인해 프레임 또는 외부패널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외부패널받침부(250)의 표면을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외부패널받침부와 외부패널 간의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은, 그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단열커버(100) 및 외부패널(P)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도어을 제작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 프레임(200)과 단열커버(100) 간의 기밀성 그리고 프레임(200)과 외부패널(P)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냉장/냉동창고의 냉기 방출을 최소화하고 외부의 온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D : 도어 P : 내/외부패널
E : 연결구 100 : 단열커버
200 : 프레임 210 : 단열커버결합부
211 : 입구 212 : 끼움 홀
213 : 돌기 220 : 단열커버의지부
230 : 단열커버받침부 240 : 외부패널결합부
241 : 입구 242 : 경사면
243 : 고정 홀 250 : 외부패널받침부

Claims (7)

  1.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D) 외곽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단열커버결합부(21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이 외부패널결합부(240)가 형성된 쪽의 측면 폭(W')보다 넓게 형성시켜 된 'ㄴ' 자 형태의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의 상부에 단열커버(100)의 하부를 끼워 결합하도록 양측으로 상호 마주보는 돌기(213)가 형성된 입구(211)가 형성되고, 그 입구의 내측은 입구보다 넓은 3각 이상의 다면체 홀로의 끼움 홀(212)을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결합부(210);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시작 지점에서 상부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단열커버(100)의 일 측 단면과 면 접촉되며 단열커버를 의지시키도록 형성되고, 두께는 상기 프레임(20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의지부(220);
    상기 단열커버결합부(210)의 끝나는 지점에서 측면으로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단열커버의 저면 일부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단열커버받침부(230)를 형성하되, 그 단열커버받침부는, 상기 단열커버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부에 위치하여 도어(D)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단열커버받침부의 상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0) 하부 선단 부분에 도어(D)의 외부패널(P) 가장자리 절곡된 부분을 긴밀히 끼워 고정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시켜 된 외부패널결합부(240)를 형성시키되, 그 외부패널결합부 입구(241)에서부터 내측 방향을 따라 경사면(242)이 형성되고, 그 경사면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내측단부까지는 외부패널(P)의 두께와 준하는 두께를 갖는 고정 홀(243)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패널결합부(240)가 끝나는 지점에서 측면 방향으로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과 일체가 되도록 연장 형성시켜 외부패널(P)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받쳐주도록 형성시켜 된 외부패널받침부(250)를 형성시키되, 그 외부패널받침부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평면을 이루는 표면은 상기 프레임(200)의 외부 표면보다 외부패널(P) 두께만큼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0495A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KR102158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95A KR102158284B1 (ko)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495A KR102158284B1 (ko)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284B1 true KR102158284B1 (ko) 2020-09-21

Family

ID=7270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495A KR102158284B1 (ko) 2019-04-30 2019-04-30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2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806A (ja) * 2000-03-31 2001-10-10 Hoshizaki Electric Co Ltd 低温貯蔵庫
KR20030081232A (ko) * 2003-09-16 2003-10-17 (주)삼성판넬플랜트 냉동창고용 방열 문틀구조
KR200353280Y1 (ko) 2004-03-11 2004-06-26 진성냉기산업주식회사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KR200448617Y1 (ko) * 2008-10-31 2010-05-03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복합창 구조
KR101122654B1 (ko) * 2002-10-09 2012-03-0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JP2012233666A (ja) * 2011-05-09 2012-1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扉下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806A (ja) * 2000-03-31 2001-10-10 Hoshizaki Electric Co Ltd 低温貯蔵庫
KR101122654B1 (ko) * 2002-10-09 2012-03-09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밀봉부, 글레이징 패널 및 상기 글레이징 패널을 포함하는 냉장 캐비닛
KR20030081232A (ko) * 2003-09-16 2003-10-17 (주)삼성판넬플랜트 냉동창고용 방열 문틀구조
KR200353280Y1 (ko) 2004-03-11 2004-06-26 진성냉기산업주식회사 냉동창고용 조립식 도어
KR200448617Y1 (ko) * 2008-10-31 2010-05-03 주식회사남선알미늄 복합창 구조
JP2012233666A (ja) * 2011-05-09 2012-11-2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の扉下シール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4415A (en) Heat transfer barrier for the yoder loop of a refrigerator cabinet
US9810477B2 (en) Refrigerator
CA2014912C (en) Refrigerator cabinet assembly
CA2111066C (en) Labyrinth door seal for a refrigerator
JPH11311478A (ja) 冷蔵庫の仕切壁
KR102158284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RU2343371C2 (ru) Дверь с изолирующим остеклением и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 такой дверью
KR102134510B1 (ko) 냉동 및 냉장고 벽체용 샌드위치패널의 코너연결패널
KR101338378B1 (ko)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KR102167411B1 (ko) 냉장 냉동고의 판넬조립구 조립방법
US5876104A (en) Breaker assembly for refrigerated cabinet
KR102158283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단열커버
KR102158285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US2878534A (en) Refrigerating apparatus
JP2002228346A (ja) 冷蔵庫の中仕切構造
KR20110016171A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도어 구조
CN102460046B (zh) 致冷设备
KR102158282B1 (ko) 냉장/냉동창고용 슬라이딩 도어
CN204880929U (zh) 冰箱
JP2685343B2 (ja) 冷凍冷蔵ストッカーの化粧枠
KR100572071B1 (ko) 저장실용 발포패널 조립체
JPS5818142Y2 (ja) 断熱箱体
KR101603981B1 (ko) 냉동.냉장 저장고용 조립식 판넬
KR20240002586A (ko) 냉장고 도어 어셈블리
KR200237413Y1 (ko) 냉동 저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