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378B1 -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378B1
KR101338378B1 KR1020130037498A KR20130037498A KR101338378B1 KR 101338378 B1 KR101338378 B1 KR 101338378B1 KR 1020130037498 A KR1020130037498 A KR 1020130037498A KR 20130037498 A KR20130037498 A KR 20130037498A KR 101338378 B1 KR101338378 B1 KR 101338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cave portion
convex portion
panels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규
황준하
Original Assignee
아르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아르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3003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3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an assembly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목면과 돌출면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패널 판부재와 상기 한쌍의 패널 판부재 내측에 충진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패널의 오목부와 볼록부 끼리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오목부에는 돌출부가 꺽임부의 끝단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돌출되되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패널의 볼록부가 삽입될 때 볼록부의 절곡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볼록부의 양측을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분리된 각각의 패널을 조립하여 냉장,냉동고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널의 패널 판부재와 인접한 패널의 패널 판부재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끼리의 보다 정확하고 긴밀한 조립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서로 인접한 패널끼리 서로 지지함으로써 하중에 잘 견디도록 하며, 특히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을 돌출부가 막아주게 되어 밀폐력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for connecting panels}
본 발명은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휨강도가 우수하여 하중이 견고하고 밀폐력이 양호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온 저장고와 같이 냉동, 냉장용 건축물의 경우 조립식 패널 각각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바, 상기 조립식 패널과 패널의 상호 결합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상기 패널들 간의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밀착유지시키는 것은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데 있어 필수적 구성이다.
패널은 판상의 상하부 패널 판부재와 상기 상하부 패널 판부재의 사이에 발포 성형되는 단열재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패널과의 조립을 위해 발포 성형된 단열재의 테두리부에서는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도록 돌출부 또는 체결부를 택일하여 성형되고, 다른 예로 사출 성형된 돌출부 또는 체결부를 갖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은 발포 성형된 단열재에 돌출부와 체결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오차 발생율이 높기 때문에 조립시 돌출부와 체결부 사이에 틈이 발생되어 냉기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패널간의 조립시 냉기 누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680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1,1a)이 상하부 패널 판부재(10,20) 사이의 테두리부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다른 패널과 조립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길이 방향의 돌출부(31) 또는 체결부(32)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30) 및 상하부 패널 판부재(10,20)와 고정부재(30)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발포 성형되는 폴리우레탄 폼 계열의 단열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 또한 패널의 고정부재 간의 연결부위에 대한 완벽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는 관계로 냉기 누설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여전하였으며, 고정요소인 고정부재는 돌출부 및 체결부가 직각의 형상으로 특히 90°로 꺽인 돌출부를 정확히 체결부에 끼워야 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즉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어 조립되는 상하 패널 판부재(10,20), 상기 상하 패널 판부재(10,20)의 내면 가장자리에 접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30a)를 형성하고 서로 접하는 위치에 결합을 위한 돌출부(31) 및 체결부(32)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의 고정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30a)는 단열재(40)로 충진되는 구성을 갖되, 상기 제1 및 제2의 고정부재(30)는 패널(1,1a)간의 조립을 위해 외측의 일면은 돌출부(31)를 형성하고, 타측면은 체결부(32)를 형성한 후 상기 돌출부(31) 및 체결부(32)는 측부가 경사진 제1경사면(31a) 및 제2경사면(32a)이 형성되도록 하고, 중공부(30a)의 내측에는 폴리우레탄인 단열재(40)가 충진되도록 하는 구성의 등록특허 10-0678416호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이 안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단열패널은 패널의 측면, 볼록부와 오목부에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패널끼리의 조립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패널 판부재(10)와 패널 판부재(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패널 판부재(10)와 패널 판부재(10) 연결부위가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하중에도 취약하며, 무엇보다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에 있어 매우 불합리한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된 각각의 패널을 조립하여 냉장,냉동고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널의 패널 판부재와 인접한 패널의 패널 판부재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끼리의 보다 정확한 조립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견고하면서도 패널끼리의 긴밀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여 하중에 잘 견디도록 하며,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밀폐력이 우수한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오목면과 돌출면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패널 판부재와 상기 한쌍의 패널 판부재 내측에 충진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패널의 오목부와 볼록부 끼리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오목부에는 돌출부가 꺽임부의 끝단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돌출되되 상기 돌출부는 인접한 패널의 볼록부가 삽입될 때 볼록부의 절곡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볼록부의 양측을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분리된 각각의 패널을 조립하여 냉장,냉동고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널의 패널 판부재와 인접한 패널의 패널 판부재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끼리의 보다 정확하고 긴밀한 조립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서로 인접한 패널끼리 서로 지지함으로써 하중에 잘 견디도록 하며, 특히 패널과 패널 사이의 틈을 돌출부가 막아주게 되어 밀폐력이 우수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동 또는 냉장창고의 패널끼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냉동 또는 냉장창고의 패널끼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패널끼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패널끼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단면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는, 오목면(111)과 돌출면(112)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패널 판부재(110)와 상기 한쌍의 패널 판부재(110) 내측에 충진되는 단열재(113)로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오목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볼록부(1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패널(100)의 오목부와 볼록부 끼리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오목부(120)에는 돌출부(140)가 꺽임부(123)의 끝단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어 돌출되되 상기 돌출부(140)는 인접한 패널의 볼록부(120)가 삽입될 때 볼록부(120)의 절곡부(132)가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볼록부(120)의 양측을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돌출부(140)는 오목부(120)의 끝단 양측에 형성되므로 인접한 패널(100)의 볼록부(130)가 오목부(120)에 삽입될 때 이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인접한 패널의 양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로 부터 공기가 서로 연결된 패널(100)과 패널(100) 틈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40)는 패널 판부재(110)와 일체(一體)를 이루며, 오목부(120)에 위치하는 패널 판부재(110)의 끝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기존의 패널에 있어서 오목부의 길이가 볼록부가 삽입되는 길이인 "H"에 불과하였다면 본 발명 패널은 "H + a"만큼의 길이가 더 돌출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 "H"는 볼록부 밀착면(121)로 부터 꺽임부(123)까지의 길이라고 하면 상기 "a"는 돌출부(140)의 길이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H"는 볼록부(130)의 끝단면에서 절곡부(132)까지의 길이와 동일하다.
상기 돌출부(140)의 길이는 오목면(111)과 돌출면(112)의 폭 크기에 맞춰 조절될 것이며, 따라서 상기 돌출부(140)는 패널 판부재(110)의 돌출면(112)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인접한 패널(100)의 볼록부(130)가 오목부(120)에 삽입될 때 오목면(111)과 돌출면(112)이 연속되는 형상이 되어 불균형을 이루지 않고 외관이 미려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기 돌출부(140)는 상기 패널(100)의 패널 판부재(110)와 인접한 패널의 패널 판부재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널(100)끼리의 보다 정확하고 긴밀한 조립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서로 인접한 패널(100)끼리 서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하중에 잘 견디며, 특히 패널(100)과 패널(100) 사이의 틈을 돌출부(140)이 막게 되어 바람이나 외부 공기가 직접적으로 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밀폐력이 양호해져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패널 110: 패널 판부재
111: 오목면 112: 돌출면
113: 단열재 120; 오목부
121: 볼록부 밀착면 122: 경사면
123: 꺽임부 130: 볼록부
131: 경사면 132: 절곡부
140: 돌출부

Claims (2)

  1. 오목면과 돌출면이 반복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패널 판부재(110)와 상기 한쌍의 패널 판부재 내측에 충진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되 일측에는 한 쌍의 돌출부(140)를 구비하는 오목부(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오목부(120)에 대응하는 볼록부(130)가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패널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 맞춤 결합 되도록 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20)의 길이는 볼록부 밀착면(121)로 부터 꺽임부(123)까지의 길이와 돌출부(140)의 길이를 합한 길이를 갖되, 오목부(120)의 돌출부(140) 안쪽에는 꺽임부(123)로 부터 패널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122)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오목부(120)의 타측에는 볼록부(130)가 형성되되, 볼록부(130)의 끝단부에는 오목부(120)의 경사면(122)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130)의 경사면(131)이 오목부(120)의 경사면(122)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패널끼리의 결합을 보다 쉽게 함과 동시에 볼록부(130)의 경사면(122)은 오목부(120)의 경사면(122)에 서로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상기 돌출부(140)는 패널 판부재(110)와 일체(一體)를 이루며, 오목부(120)에 위치하는 패널 판부재(110)의 끝단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볼록부(130)의 절곡부(1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2. 삭제
KR1020130037498A 2013-04-05 2013-04-05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KR101338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498A KR101338378B1 (ko) 2013-04-05 2013-04-05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498A KR101338378B1 (ko) 2013-04-05 2013-04-05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78B1 true KR101338378B1 (ko) 2013-12-06

Family

ID=4998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498A KR101338378B1 (ko) 2013-04-05 2013-04-05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4588A (zh) * 2017-05-04 2017-08-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拼接发泡板和冰箱
EP3641598A4 (en) * 2017-06-22 2020-12-16 Minibar North America, Inc. COOLED DISPENSING SYSTEM WITH CONTROLLED CONTENT
KR102257156B1 (ko) 2020-04-23 2021-05-28 주식회사 삼원기연 대형 냉장·냉동고용 맞춤형 우레탄 단열패널 제조 장치와 그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우레탄 단열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360Y1 (ko) * 2005-12-27 2006-03-15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냉장, 냉동고의 조립식 패널 연결구조
JP2008082648A (ja) * 2006-09-28 2008-04-10 Sanyo Electric Co Ltd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KR101145795B1 (ko) 2010-04-29 2012-05-16 (주)삼성판넬플랜트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360Y1 (ko) * 2005-12-27 2006-03-15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냉장, 냉동고의 조립식 패널 연결구조
JP2008082648A (ja) * 2006-09-28 2008-04-10 Sanyo Electric Co Ltd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KR101145795B1 (ko) 2010-04-29 2012-05-16 (주)삼성판넬플랜트 냉동, 냉장고용 지붕판넬틀 및 이를 이용한 지붕판넬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4588A (zh) * 2017-05-04 2017-08-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拼接发泡板和冰箱
CN107084588B (zh) * 2017-05-04 2019-09-2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拼接发泡板和冰箱
EP3641598A4 (en) * 2017-06-22 2020-12-16 Minibar North America, Inc. COOLED DISPENSING SYSTEM WITH CONTROLLED CONTENT
KR102257156B1 (ko) 2020-04-23 2021-05-28 주식회사 삼원기연 대형 냉장·냉동고용 맞춤형 우레탄 단열패널 제조 장치와 그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우레탄 단열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3483B2 (ja) 断熱キャビネット
KR101338378B1 (ko) 냉장, 냉동용 조립식 패널의 결합구조
KR101765525B1 (ko) 커튼월의 다중 단열결합구조
KR100678416B1 (ko) 대형 냉동 냉장고용 단열 패널
KR101461432B1 (ko) 냉장,냉동고의 판넬조립구 및 판넬조립방법
CN102278855A (zh) 无霜家用电冰箱用门封及具有它的冰箱
KR102167411B1 (ko) 냉장 냉동고의 판넬조립구 조립방법
KR101709707B1 (ko) 냉동 및 냉장 창고용 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US20050189726A1 (en) Door gasket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0388558Y1 (ko) 조립식 벽체 코너부 연결장치
KR200168022Y1 (ko) 냉동 캐비넷용 냉동 패널의 조립구조
KR20060111237A (ko) 조립식 벽체 코너부 연결장치
CN218511256U (zh) 双门封结构冰箱
JP5959672B2 (ja) 断熱キャビネット
KR102158284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KR0138364Y1 (ko) 조립식 단열판넬의 샤시결합구조
KR102158285B1 (ko) 냉장/냉동창고의 슬라이딩 도어용 프레임 연결구
JP2005090845A (ja) 冷蔵庫
KR102243486B1 (ko) 냉장고
CN216557896U (zh) 中梁结构及冷柜
EP2843334A1 (en) Gasket for heat insulated cabinets
KR200411360Y1 (ko) 냉장, 냉동고의 조립식 패널 연결구조
KR20240080194A (ko) 가전기기
KR100638270B1 (ko) 냉장고의 멀리언 구조
KR0133551Y1 (ko) 쇼케이스의 라이너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