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038B1 - 글라스 월 가스켓 - Google Patents

글라스 월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038B1
KR100853038B1 KR1020070015833A KR20070015833A KR100853038B1 KR 100853038 B1 KR100853038 B1 KR 100853038B1 KR 1020070015833 A KR1020070015833 A KR 1020070015833A KR 20070015833 A KR20070015833 A KR 20070015833A KR 100853038 B1 KR100853038 B1 KR 10085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gasket
silicon
multilayer glas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형
Original Assignee
임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형 filed Critical 임태형
Priority to KR102007001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27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the panes mounted flush with the surrounding frame or with the surrounding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885Curtain walls comprising a supporting structure for flush mounted glazing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 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충진시켜 수밀 및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PG 시스템에 있어서,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가스켓을 실리콘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의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 설치하여 복층 유리들을 구조물에 고정설치할 때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들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들이 서로 대향되게 밀착되며 내부에는 에어 포켓을 구비하고 복층 유리들의 틈새에 대한 수밀과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하되, 상기 가스켓은 종단면이 "
Figure 112007083214256-pat00001
" 형상을 갖고 내,외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면부는 상기 복층 유리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를 가지며 내,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와 바람을 차단시켜 주는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와; 상면부에 실리콘 충진홈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의 상면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성형되어 실리콘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실리콘 충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밀 및 기밀성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비는 물론 해당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유리 고정작업에 필요한 장비 이외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함에 따른 시설비 및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유리 고정작업 이후 안전장치가 미비한 로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밀 및 기밀 작업을 실시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의 제거를 통해 산업재해를 포함한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수밀 및 기밀 기능을 수행하는 가스켓 자체가 실리콘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압출 성형한 상태이므로 설치 후 유분의 발생이 없어 가스켓의 외주면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외관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스켓 자체의 재활이 가능하여 특정 복층 유리가 파산되어 교환할 때에도 파산된 유리로부터 해당 가스켓을 간단히 떼어내어 새로운 복층 유리의 외주연를 감싸도록 결합한 후 최초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복층 유리를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수밀 및 기밀이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 실리콘의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보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PG 시스템, 복층 유리, 기밀, 수밀, 가스켓, 실리콘

Description

글라스 월 가스켓{The gasket for glass wall}
도 1은 종래 PG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층 유리 간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글라스 월 가스켓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글라스 월 가스켓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글라스 월 가스켓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켓을 복층 유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가스켓 중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의 밀착 접촉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들을 이용하여 각종 복층 유리 사이에 형성된 틈새의 기밀과 수밀을 방지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복층 유리 1a : 간격 유지구
1b : 실리콘 충진부재 4 : 가스켓
3,5 : 실리콘 6 : 틈새
41 : 에어 포켓 42,43 :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
44 : 고정부 45 : 실리콘 충진홈
46 : 월류 방지용 차단판 47 : 중공부
48 : 통공 49 : 밀착 접촉부
본 발명은 글라스 월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이나 구조용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탁월한 안전성을 유지하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자연미를 극대화하고, 개방감과 채광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개발된 PG(Point Glazing) 시스템에서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새를 복층 유리의 설치후 백업을 삽입하고 내,외부에서 실리콘을 채워 기밀성과 수밀성을 유지시키지 않고도 복층 유리의 설치 전에 종단면이 소정형상을 갖는 가스켓을 복층 유리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유리들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수밀 및 기밀성 유지에 사용되는 재료비 자체를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유리 설치 후 별도로 수밀 및 기밀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자를 위험으로부터 완벽히 보호할 수 있고, 수밀 및 기밀 작업을 위한 시설비를 포함하여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수밀 및 기밀 기능을 수행하는 가스켓 자체가 실리콘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압출 성형한 상태이므로 설치후 가스켓의 외주면에 각종 이물질이 찌든 때 형태로 부착되어 외관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특정 복층 유리가 파산되어 교환할 때에도 재활용이 가능함은 물론 실리콘을 제거하는 등의 후 가공이 필요 없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G(Point Glazing) 시스템은, 프레임이나 구조용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탁월한 안전성을 유지하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건축물의 자연미를 극대화하고, 개방감과 채광성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도록 개발된 거이다.
이와 같은 PG 시스템은 특수가공한 볼트를 접시머리 모양으로 가공된 홀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유리 표면이 외견상 평탄하며, 내부에서 유리(rib glass), 로드 트러스(rod truss), 와이어(wire) 및 스테인레스 파이프(stainless pipe) 등으로 구조물을 지탱하는 공법이다.
이때, PG 시스템은 12㎜ 강화유리 사용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강화유리는 자파 방지 처리를 위해 열간 유지시험(heat soak test)을 거친 후 사용되고, 또한 물리적 충격으로 인하여 강화유리가 파손될 때 발생하는 파편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산 방지용 필름 부착을 선택사양으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의 외벽 창호는 단순한 채광, 환기의 기능을 뛰어넘어 건물의 개방감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는데, 상기한 PG 시스템은 유리에 특수 홀가공을 한 후 볼트로 판유리와 판유리를 고정해주는 "no frame" 시스템으로 탁트인 시야를 만들어 줄 수 있고, 외벽 시공시 알루미늄이나 철재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채광효과가 뛰어나다.
여러 개를 조립하면 높이 및 폭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어떤 크기로도 시공이 가능하고, 수직 및 수평 등 어떤 경사각도로도 시공이 가능하기에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에 창의성을 살린 디자인이 가능하며, 풍압 및 모든 구조적 하중에 건축물이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특히 사용되는 강화유리는 모든 사용제품에 대해 열간 유지시험을 거친 후 시공되기 때문에 자파 가능성이 없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한, 디자인이 자유롭기 때문에 문을 비롯하여 어떤 목적의 개구부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강렬한 태양 광에도 변형 및 훼손이 없도록 설계되어 장기간 외부 노출에도 잘 견디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PG 시스템의 사용처로는 아트리움(atrium), 썬큰가든(sunken garden), 로비(lobby), 연결통로(walkway), 전시장, 유리 커튼 윌(glass curtain wall) 및 유리 피라미드 등 독창적인 디자인이 요구되는 곳을 비롯하여 어디든지 잘 어울린다.
그런데 종래의 PG 시스템에서는, 소정 면적을 갖는 강화 유리로 형성시킨 각각의 복층 유리(1)를 도시 생략한 스파이더 브라켓과 특수 가공된 볼트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고정 설치한 후 이들 복층 유리(1)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는 도 1과 같이 백업(2)을 중앙에 삽입 설치한 다음 내,외부에서 실리콘(3)을 충진시켜 기밀성과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밀 및 수밀 유지작업은 복층 유리(1)를 기구물에 고정 설치한 다음, 후 작업으로써 복층 유리들 사이에 형성된 틈새의 중앙에 1차적으로 백업(2)을 삽입 설치한 후 다시 내부와 외부에서 각각 원통형의 용기에 액상의 실리콘이 충진되어 있는 고가의 실리콘을 건에 장착하여 일일이 실리콘(3)을 충진시키는 작업을 실시해야하므로 결국 총 3차에 걸친 작업과 많은 재료를 사용하므로 인해 재료비 및 인건비가 많이 들어 전체적인 공사비가 많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이들 기밀 및 수밀 작업은 복층 유리의 설치 및 고정이 완료된 후 고도의 숙련자가 별도의 장비(예를 들어 로프 등)를 이용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을 실시하다 보면 작업자의 실수나 장비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크게 다치는 산업재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인명피해로 이어지고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층 유리들 사이에 형성된 틈새의 중앙에 백업을 삽입 설치한 후 내,외부에 충진되는 실리콘은 양생시 유분이 발생되므로 장기간 경과시 실리콘의 표면에 각종 이물질들이 마치 찌든 때처럼 부착되어 건물 자체의 외관미를 손상시키게 되고, 복층 유리가 설치된 후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력 등으로 인해 유리가 파손되었을 경우 복층 유리 사이에 충진되어 부착된 형태를 갖는 내,외부 실리콘을 일일이 칼 등을 이용하여 떼어내고 파손된 유리를 제거한 후 다시 새로운 유리를 설치하고 전술한 수밀 및 기밀 작업을 다시 실시해야 하므로 보수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밀 및 기밀 작업은 복층 유리를 완전히 고정시키기 전에는 실시할 수 없으므로 공정 기일이 길어지게 되고, 또한 복층 유리들의 설치 및 고정작업이 완료된 후 기밀 및 수밀 작업을 실시할 때 이전에 유리를 설치 및 고정 하는데 사용한 장비를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고 그를 이용하여 실시해야 하므로 장비의 설치 및 사용에 따른 추가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결국 공사비만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PG 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조물에 복층 유리를 설치함으로 인해 유리들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의 기밀 및 수밀 작업을 유리 고정 후 작업으로 실시하지 않고 복층 유리를 설치할 당시 복층 유리의 외주연에 종단면이 소정형상을 갖는 가스켓을 감싸도록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유리들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첫째 수밀 및 기밀성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비는 물론 해당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유리 고정작업에 필요한 장비 이외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함에 따른 시설비 및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둘째 유리 고정작업 이후 안전장치가 미비한 로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밀 및 기밀 작업을 실시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의 제거를 통해 산업재해를 포함한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수밀 및 기밀 기능을 수행하는 가스켓 자체가 실리콘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압출 성형한 상태이므로 설치 후 유분의 발생이 없어 가스켓의 외주면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외관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가스켓 자체의 재활이 가능하여 특정 복층 유리가 파산되어 교환할 때에도 파산된 유리로부터 해당 가스켓을 간단히 떼어내어 새로운 복층 유리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부착한 후 최초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복층 유리를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수밀 및 기밀이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 실리콘의 제거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보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글라스 월 가스켓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글라스 월 가스켓은, 두 장의 강화유리 주연부 사이에 간격 유지구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간격 유지구의 외측으로 실리콘을 충진시켜 두 장의 유리를 중공 결합시킨 복층 유리들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고,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충진시켜 수밀 및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PG 시스템에 있어서,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가스켓을 실리콘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의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 설치하여 복층 유리들을 구조물에 고정설치할 때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들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들이 서로 밀착되며 내부에는 에어 포켓을 구비하고 복층 유리들의 틈새에 대한 수밀과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스켓은 종단면이 "
Figure 112007014085830-pat00002
" 형상을 갖고 내,외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면부는 상기 복층 유리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내,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와 바람을 차단시켜 주는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와; 상면부에 실리콘 충진홈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의 상면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리콘 충진부재에 주입되는 실리콘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실리콘 충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 부;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스켓의 고정부 천정면 중앙에서 하방부를 향해서는 월류 방지용 차단판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되, 상기 차단판의 길이는 "
Figure 112007014085830-pat00003
" 형상을 갖는 상기 차단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가스켓의 고정부를 복층 유리의 실리콘 충진부재 형상에 대응하여 아치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의 고정부와 월류 방지용 차단판의 연결부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의 변형 및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중공부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켓의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 측면부에는 물의 배수 및 공기 유통을 위한 통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에서 하방부에 형성된 밀착 접촉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밀착 접촉부의 경사각은 5-10도이고 자유단부에서 수평방향에 대한 기준선까지의 높이는 2-3㎜ 이하가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글라스 월 가스켓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글라스 월 가스켓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글라스 월 가스켓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켓을 복층 유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가스켓 중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의 밀착 접촉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들을 이용하여 각종 복층 유리 사이에 형성된 틈새의 기밀과 수밀을 방지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장의 강화유리 주연부 사이에 간격 유지구(1a)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간격 유지구(1a)의 외측으로 실리콘 충진부재(1b)를 충진시켜 두 장의 강화유리를 중공 결합시킨 복층 유리(1)들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고, 복층 유리(1)들 사이의 틈새(6)에 실리콘을 충진시켜 수밀 및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PG 시스템에 있어서,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가스켓(4)을 실리콘(5)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1)의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 설치하여 복층 유리(1)들을 구조물에 고정설치할 때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1)들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4)들이 서로 대향되게 밀착되며 내부에는 에어 포켓(41)을 구비하고 복층 유리(1)들의 틈새(6)에 대한 수밀과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스켓(4)은 종단면이 "
Figure 112007014085830-pat00004
" 형상을 갖고 내,외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상면부는 상기 복층 유리(1)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를 가지며 내,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와 바람을 차단시켜 주는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와;
상면부에 실리콘 충진홈(45)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상면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리콘 충진부재(1b)에 주입되는 실리콘(5)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1)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실리콘 충진부재(1b)에 고정되는 고정부(4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스켓(4)의 고정부(44) 천정면 중앙에서 하방부를 향해서는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되, 상기 차단판(46)의 길이는 "
Figure 112007014085830-pat00005
" 형상을 갖는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4)의 고정부(44)는 필요에 따라 복층 유리(1)의 실리콘 충진부재(1b) 형상에 대응하여 아치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4)의 고정부(44)와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연결부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변형 방지 및 형상 유지를 위한 중공부(47)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측단면이 대략 호 형상을 갖는 상기 가스켓(4)의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 측면부에는 물의 배수 및 공기의 유통을 위한 통공(48)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4)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에서 하방 부에 돌출 형성된 밀착 접촉부(49)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밀착 접촉부(49)의 경사각(θ)은 5-10도이고 수평방향에 대한 기준선에서 자유단부까지의 높이(h)는 2-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글라스 월 가스켓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복층 유리(1)들 사이의 틈새(6)에 실리콘을 충진시켜 수밀 및 기밀을 유지하는 공지된 PG 시스템에 있어서,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가스켓(4)을 실리콘(5)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1)의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인다.
즉, 복층 유리(1)들을 구조물에 고정설치할 때 상기 복층 유리(1)의 주연부에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가스켓(4)을 사각 틀 형태로 제조하여 실리콘(5)을 이용하여 복층 유리(1)의 주연부에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복층 유리(1)들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여 주는 방식을 통해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1)들에 설치된 두 개의 가스켓(4)들이 서로 대향되게 밀착되어 그 내부에는 에어 포켓(41)이 구비된 상태에서 복층 유리(1)들의 틈새(6)에 대한 수밀과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스켓(4)은 기본적으로 한 쌍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와, 상면부에 실리콘 충진홈(45)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상면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44) 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에 있어서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는 평판 또는 아치 형상을 갖는 상기 고정부(44)의 양측면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하여 종단면이 "
Figure 112007083214256-pat00006
" 형상을 갖게 성형한 것으로, 실리콘(5)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켓(4)을 복층 유리(1)의 주연부에 부착 설치하였을 때 상면부는 상기 복층 유리(1)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하방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밀착 접촉부(49)의 저면은 다른 복층 유리(1)에 설치된 가스켓(4)의 밀착 접촉부(49)의 상면과 상호 밀착 접촉되어 복층 유리(1)의 내부 및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와 바람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상면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형성된 고정부(44)는 상면부에 실리콘 충진홈(45)을 구비하고 이 실리콘 충진홈(45) 내로 주입되는 실리콘(5)을 통해 상기 가스켓(4) 자체가 복층 유리(1)를 상호 결합시켜 주고 있는 실리콘 충진부재(1b)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44)는 도 2 및 도 7a와 같이 평판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고, 도 3 및 도 7b 또는 도 4 및 도 7c와 같이 아치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복층 유리(1) 사이의 간격이 좁은데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 및 도 7a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하여 비교적 그 폭이 좁은 실리콘 충진부재(1b)를 갖는 복층 유리(1)에도 본 발명의 가스켓(4)을 완벽히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복층 유리(1)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데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및 도 7b 또는 도 4 및 도 7c와 같이 아치형으로 형성하여 고정부(44)의 일부가 복층 유리(1)의 실리콘 충진부재(1b) 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44)의 실리콘 충진홈(45)으로 주입되는 실리콘(5)의 접착력을 통해 본 발명의 가스켓(4)을 완벽히 부착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가스켓(4)의 고정부(44)에 형성된 실리콘 충진홈(45)에 실리콘(5)을 주입시킨 상태에서 가스켓(4) 자체를 복층 유리(1)의 주연부에 사각 틀 형태로 결합시킬 때 상기 실리콘 충진홈(45)에 주입된 실리콘(5)의 일부가 고정부(44)의 상면 전체와 그 양측에 형성된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상면부로도 빠져나와 복층 유리(1)의 외주면 전체에 도포되는 형태(즉, 가스켓(4)과 복층 유리(1)의 접촉부 틈새를 통해 실리콘이 빠져나와 접촉부 전체에 도포되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기 가스켓(4)은 복층 유리(1)의 주연부 전체를 감싸는 형태에서 부착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복층 유리(1)를 구조물에 고정 설치할 때는 복층 유리(1)들 사이의 틈새(6) 간격(12㎜)과 그에 따른 오차범위(±3㎜)가 법제화되어 있으므로 서로 인접한 복층 유리(1)에 각각 설치된 본 발명의 가스켓(4) 두 개가 상호 결합되었을 때 법으로 규제하고 있는 오차범위를 충분히 만족시켜야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가스켓(4)에 대한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외측 전체 높이는 기본적으로 6㎜가 되도록 형성하여 2개의 가스켓(4)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 12㎜가 되도록 성형하였다.
또한, 상기 가스켓(4)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에서 하방부에 돌출 형성된 밀착 접촉부(49)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 성하되, 상기 밀착 접촉부(49)의 경사각(θ)은 5-10도를 갖도록 하여 수평방향에 대한 기준선에서 자유단부까지의 높이(h)는 2-3㎜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가스켓(4) 자체는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것이므로 실리콘의 특성에 의해 가스켓(4) 자체가 유연성을 가짐은 물론 탄성력과 복원력이 매우 좋아 본 발명의 가스켓(4)을 주연부에 부착 설치한 복층 유리(1)들을 구조물에 순차적으로 고정하였을 때 각각의 복층 유리(1) 사이의 틈새(6)가 법적 오차범위 내의 간격만 유지한다면 서로 인접한 복층 유리(1)의 주연부에 부착 설치된 2개의 가스켓(4)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복층 유리(1)의 틈새(6)를 두 가스켓(4)이 완전히 밀폐시켜 주게 되어 복층 유리들 사이의 수밀과 기밀을 완벽히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층 유리(1)의 틈새(6) 간격이 -3㎜ 범위 내에서 12㎜ 이하일 경우에는 실리콘으로 성형된 상기 가스켓(4)들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들이 도면상 상,하부(물론 복층 유리의 측면부에서는 좌,우 방향)로 12㎜ 이하로 좁아진 틈새의 간격에 부응하여 수축되고, 오차범위도 필요없이 정확히 12㎜일 경우에는 서로 인접된 상기 가스켓(4)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에서 하방부에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상기 밀착 접촉부(49)들이 상호간의 밀착력에 의해 도 6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호 밀착된 접촉부가 수평상태를 갖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복층 유리(1)의 틈새(6) 간격이 +3㎜ 범위 내에서 12㎜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가스켓(4)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에서 5-10도의 경사각(θ)을 갖고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밀착 접촉부(49)들의 일부가 오차범위에 대응하여 상호 밀착되며 변형되는데, 이때 상기 밀착 접촉부(49)의 자유단부 높이(h)는 수평방향에 대한 기준선으로부터 2-3㎜ 정도를 가지므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가스켓(4)에 각각 형성된 상기 밀착 접촉부(49)들의 총 변화 가능한 높이가 4-6㎜를 갖게 되어 복층 유리(1)의 틈새(6) 간격이 상기와 같이 +3㎜의 오차범위 내에 있게 되면 이들이 그 범위 내에서 상,하부로 이동되며 그만큼의 면적에 걸쳐 상호 신축성을 갖고 밀착되므로 복층 유리(1)의 틈새(6) 간격이 최대 +3㎜의 오차범위 내에서 큰 경우에도 이들 가스켓(4)들이 복층 유리들 사이의 기밀과 수밀을 완벽히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복층 유리(1)의 주연부에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하여 사각 틀 형태로 제작한 가스켓(4)을 실리콘(5)을 이용하여 부착 설치하고, 이들 복층 유리(1)들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함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4)들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에 형성된 밀착 접촉부(49)들이 상호 접촉되어 밀착되면 서로 인접한 복층 유리(1)에 각각 설치된 가스켓(4)들의 내부에는 하나의 에어 포켓(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 포켓(41)은 온도차가 큰 구조물의 내,외부 공기 대류를 차단시켜 줌은 물론 방음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등압 이론으로 내,외부 표면 장력에 의한 누수를 제외하고 내,외부 압력차로 인하여 외부의 물기를 내부측으로 빨아들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층 유리(1)들의 주연부에 가스켓(4)을 부착 설치하고, 이들 복층 유리(1)들을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여 서로 인접된 가스켓(4)들이 상호 밀착 결합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가스켓(4)의 내,외측에 각각 형성된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가 서로 결합되어 그 외측면이 전체적으로 ")" 또는 "(" 형상으로 구배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복층 유리(1)의 내측 또는 외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자체의 응력에 의하여 ")" 또는 "(" 형상을 갖는 상기 가스켓(4)들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 외주면을 따라 하방부로 원활히 흘러내리게 되므로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들의 밀착 접촉부(49) 사이를 통해 에어 포켓(41) 측으로 물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스켓(4)의 내,외부에 밀착 접촉부(49)를 구비한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만을 형성시킨 상태로 복층 유리(1)의 틈새(6)에 대한 기밀 및 수밀 부재로 설치할 경우 상호 밀폐 또는 접촉력보다 큰 풍압이 외부에서 가해지거나 내부 유입수에 대한 표면장력 등이 작용할 경우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밀착 접촉부(49) 사이의 틈새를 비집고 에어 포켓(41) 측으로 바람이나 물이 일부 유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에어 포켓(41) 내로 유입된 물이 상호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내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의 밀착 접촉부(49) 사이의 틈새를 통해 구조물의 내측으로 흘러들어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스켓(4)의 고정부(44) 천정면 중앙에서 하방부를 향해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을 일체로 돌출 성형하되, 상기 차단판(46)의 길 이는 "
Figure 112007014085830-pat00007
" 형상(또는 이와 180도 위상이 반대되는 형상)을 갖는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가스켓(4)의 종단면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07014085830-pat00008
" 형상(또는 이와 180도 위상이 반대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켓(4)의 고정부(44) 천정면 중앙에서 하방부를 향해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를 갖는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을 일체로 돌출 성형해 주게 되면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1)에 결합된 두 개의 가스켓(4)이 상호 결합될 때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들의 단부가 에어 포켓(41)의 내부에서 도 7a 내지 7c와 같이 서로 엇갈리며 밀착된다.
따라서, 비록 외부의 강한 풍압이나 표면장력의 변화로 구조물의 외부에서 밀착 접촉부(49)의 틈새를 통해 가스켓(4)의 에어 포켓(41) 내부로 물이 유입되었다 할지라도 이 유입수는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에 의해 2개로 구획된 에어 포켓 중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된 일명 외측 에어 포켓에만 차이게 되고, 또 이렇게 유입된 물의 수위가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밀착 접촉부(49)에 이르게 되면 밀착 접촉부(49)들의 틈새에 수막이 형성되어 더 이상의 물 유입이 차단됨은 물론 그 때의 수위 차체는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상단 높이보다는 낮은 상태이므로 구조물의 내측에 형성된 일명 내측 에어 포켓 측으로는 월류되지는 않 게 된다.
물론, 구조물의 내측에서 가스켓(4)의 내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 밀착 접촉부(49)들의 틈새를 통해 일명 내측 에어 포켓 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물 역시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차단 기능에 의해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된 일명 외측 에어 포켓 측으로는 월류되지는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켓(4)의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41)을 내측과 외측으로 하여 2개로 에어 포켓으로 구분시켜 주므로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이 구비되지 않고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 만을 갖는 가스켓(4) 자체보다도 한번 더 열전도 및 소음 전달을 방지하게 되어 열 차단 및 소음 차단 성능이 더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복층 유리 사이의 틈새에 대한 수밀 및 기밀 기능효과 역시 더욱 향상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하부로 위치되는 복층 유리(1)에 각각 설치된 상기 가스켓(4)의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가 모두 밀폐된 형태를 가질 경우 밀착 접촉부(49)들의 상호 밀폐 또는 접촉력보다 큰 풍압이 외부에서 가해지거나 내부 유입수에 대한 표면장력 등이 작용하여 상기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밀착 접촉부(49) 사이의 틈새를 비집고 일명 외측 에어 포켓 측으로 유입된 물이 다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 내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명 외측 에어 포켓 내의 공기압과 구조물의 외측 공기압의 차가 매우 클 경우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형상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기밀성 및 수밀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하부로 위치되는 복층 유리(1)에 각각 설치된 상기 가스켓(4) 중 하부 복층 유리에 설치되어 있는 가스켓(4)의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측면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통공(48)들을 천공하여 주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켓(4)의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측면부에 통공(48)을 천공시켜 주게 되면 상기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와 월류 방지용 차단판(46) 사이의 공간부인 일명 외측 에어 포켓 측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통공(48)을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됨은 물론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공(48)을 통해 외측 에어 포켓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상태를 갖게 되므로 가스켓(4)의 외부 공기압과 외측 에어 포켓의 공기압이 서로 동일한 등압을 갖게 되므로 외측 에어 포켓 내의 공기압과 구조물의 외측 공기압의 차로 인한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3)의 형상 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기밀성 및 수밀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스켓(4)이 설치되는 복층 유리(1)의 폭이 도 7c와 같이 넓음으로 인하여 가스켓(4)의 고정부(44)가 비교적 넓을 경우 이의 천정부 중앙에서 하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연결부위에서 발생된는 탄성력이 적어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1)에 결합된 두 개의 가스켓(4)이 상호 결합될 때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42)(43)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들의 단부가 에어 포켓(41)의 내부에서 서로 엇갈리며 밀착될 때 밀착력 자체가 적어 이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거나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형상 자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층 유리(1)의 폭이 비교적 넓음으로 인해 고정 부(44)의 폭을 넓게 형성하는 가스켓(4)의 경우 도 4 및 도 7c와 같이 상기 가스켓(4)의 고정부(44)와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연결부위에 중공부(47)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이 어느 일측으로 밀리더라도 상기 고정부(44)와 월류 방지용 차단판(46)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중공부(47)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력 및 복원력에 의해 월류 방지용 차단판(46) 자체가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PG 시스템을 적용하여 구조물에 복층 유리를 고정 설치할 때 종단면이 "
Figure 112007083214256-pat00009
" 형상을 갖도록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시킨 가스켓을 사각 틀 형태로 제작하여 이를 복층 유리의 외주연에 부착 설치한 상태에서 복층 유리들을 구조물에 직접 고정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첫째 수밀 및 기밀성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재료비는 물론 해당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유리 고정작업에 필요한 장비 이외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함에 따른 시설비 및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둘째 유리 고정작업 이후 안전장치가 미비한 로프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밀 및 기밀 작업을 실시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의 제거를 통해 산업재해를 포함한 인명피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수밀 및 기밀 기능을 수행하는 가스켓 자체가 실리콘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압출 성형한 상태이므로 설치 후 유분의 발생이 없어 가스켓의 외주면에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어 외관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가스켓 자체의 재활이 가능하여 특정 복층 유리가 파산되어 교환할 때에도 파산된 유리로부터 해당 가스켓을 간단히 떼어내어 새로운 복층 유리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부착 설치한 후 최초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복층 유리를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수밀 및 기밀이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 실리콘의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보수 및 유지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두 장의 강화유리 주연부 사이에 간격 유지구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간격 유지구의 외측으로 실리콘 충진부재를 충진시켜 두 장의 강화유리를 중공 결합시킨 복층 유리들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구조물에 고정 설치하고, 복층 유리들 사이의 틈새에 실리콘을 충진시켜 수밀 및 기밀을 유지시켜 주는 PG 시스템에 있어서,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한 가스켓을 실리콘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의 주연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 설치하여 복층 유리들을 구조물에 고정설치할 때 서로 인접된 복층 유리들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들이 서로 대향되게 밀착되며 내부에는 에어 포켓을 구비하고 복층 유리들의 틈새에 대한 수밀과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하되,
    상기 가스켓은,
    내,외측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어 내,외부에서 유입되는 물기와 바람을 차단시켜 주는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와; 상면부에 실리콘 충진홈을 구비하고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의 상면부를 상호 연결시켜 주는 형태로 성형되어 실리콘을 통해 상기 복층 유리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실리콘 충진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고정부 천정면 중앙에서 하방부를 향해서는 월류 방지용 차단판을 일체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의 길이는 상기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고정부는 호 형상을 갖는 상기 복층 유리의 실리콘 충진부재 형상에 대응하여 아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고정부와 월류 방지용 차단판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월류 방지용 차단판의 변형 방지 및 형상 유지를 위한 중공부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 측면부에는 물의 배수 및 공기의 유통을 위한 통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외측 물 및 바람 유입 차단부에서 하방부에 돌출 형성된 밀착 접촉부는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밀착 접촉부의 경사각은 5-10도를 갖도록 하고, 수평방향에 대한 기준선에서 자유단부까지의 높이는 2-3㎜ 를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월 가스켓.
KR1020070015833A 2007-02-15 2007-02-15 글라스 월 가스켓 KR10085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33A KR100853038B1 (ko) 2007-02-15 2007-02-15 글라스 월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33A KR100853038B1 (ko) 2007-02-15 2007-02-15 글라스 월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038B1 true KR100853038B1 (ko) 2008-08-19

Family

ID=3987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833A KR100853038B1 (ko) 2007-02-15 2007-02-15 글라스 월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522A (zh) * 2012-06-04 2015-04-29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玻璃墙的连接接头和玻璃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6745A (ja) * 1990-12-19 1992-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ラスブロックおよびガラスブロックの施工構造
JPH0949269A (ja) * 1995-05-26 1997-02-18 Fuji Kogyo Kk 壁面構築パネル用成形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通水路形成用壁面構築パネルユニット
JPH11247312A (ja) 1998-02-26 1999-09-1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ブロック組立て用目地材及び該目地材で組立てたガラスブロック構築体
JP2001081896A (ja) 1999-09-16 2001-03-27 Hokusei Rubber Kogyo Kk ブロック壁
KR20050055002A (ko) * 2002-10-09 2005-06-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를 포함하는 단열 유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6745A (ja) * 1990-12-19 1992-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ガラスブロックおよびガラスブロックの施工構造
JPH0949269A (ja) * 1995-05-26 1997-02-18 Fuji Kogyo Kk 壁面構築パネル用成形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通水路形成用壁面構築パネルユニット
JPH11247312A (ja) 1998-02-26 1999-09-1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ブロック組立て用目地材及び該目地材で組立てたガラスブロック構築体
JP2001081896A (ja) 1999-09-16 2001-03-27 Hokusei Rubber Kogyo Kk ブロック壁
KR20050055002A (ko) * 2002-10-09 2005-06-10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밀봉부 및 상기 밀봉부를 포함하는 단열 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522A (zh) * 2012-06-04 2015-04-29 法国圣戈班玻璃厂 用于玻璃墙的连接接头和玻璃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552A (en) Leakproof framed panel curtain wall system
US4873806A (en) Flexible splice for metal frame members in a curtain wall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ITBO20110568A1 (it) Elemento distanziatore per sistemi vetrocamera e simili
GB2137673A (en) Support structures for walls or roofs
KR20180027912A (ko) 비노출 타입 커튼월 유닛
KR100853038B1 (ko) 글라스 월 가스켓
EP3563015B1 (en) A pane module adapted to be installed on a window frame and a method for making a pane module
LT3059B (en) Window sashe made of plastics
JP2006183453A (ja) プリズムガラスパネル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40186B1 (ko) 천정 상부 고정 프레임이 없는 타입의 방음터널 지붕구조
TWM559345U (zh) 通風屋頂之改良構造
JPS609622B2 (ja) 建築物の壁面構造
US9051732B2 (en) Intermediate divider within an exterior wall unit
KR20200001804U (ko) 채광용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US20150225947A1 (en) Modular Glazing System
KR20210004879A (ko) 단열부로 향하는 자외선 차단층을 구비한 커튼월 시스템
KR102494717B1 (ko) 오픈조인트 내진복합패널조립체를 갖는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장치
ES2933990T3 (es) Elemento de fachada,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elemento de fachada
KR102546636B1 (ko) 창호용 공틀
JP4260644B2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接合部止水構造
RU166562U1 (ru) Узел примыкания стеновой сэндвич панели к цоколю здания
JP2023181347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JP2024047829A (ja) 止水窓部を備えた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修方法
JPH04258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