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500B1 - 압연 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500B1
KR101121500B1 KR1020057025370A KR20057025370A KR101121500B1 KR 101121500 B1 KR101121500 B1 KR 101121500B1 KR 1020057025370 A KR1020057025370 A KR 1020057025370A KR 20057025370 A KR20057025370 A KR 20057025370A KR 101121500 B1 KR101121500 B1 KR 10112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roller
transmission member
pressure transmission
pressur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395A (ko
Inventor
베른트 찌에저
아킴 클라인
플로리안 린트너
크리스티안 디엘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12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9/00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e.g. backing rolls ; Roll bending devices, e.g. hydraulic actuators acting on roll shaft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18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03Balancing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Metal Roll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롤러 인서트(4, 5)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6)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2, 3)를 구비한 압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롤러(2, 3)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는 롤 스탠드(6) 내에서 목표되는 롤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타측의 구동 롤러(2, 3)에 상대적으로, 무엇보다 수직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2, 3)는 굽힘 수단(7)과 연동되어, 이들 굽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롤러는 굽힘 모멘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구동 롤러 인서트(4, 5)는 상기 굽힘 수단에 의해 생성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동 롤러(2, 3)의 축(8)으로부터 볼 때 측면으로 돌출된 아암(9, 10)을 포함하는 상기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높은 상승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본원의 압연 장치의 조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굽힘 수단(7)의 압력힘 생성 부재(11), 무엇보다 피스톤;과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 사이에는 롤 스탠드(6)에 상대적으로, 무엇보다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압력 전달 부재(12)가 배치된다.
Figure 112005078137522-pct00001
압연 장치, 구동 롤러, 인서트, 롤 스탠드, 굽힘 수단, 생성 부재, 피스톤, 돌출 아암, 압력 전달 부재.

Description

압연 장치{ROLLING DEVICE}
본 발명은 구동 롤러 인서트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를 구비한 압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롤러 중 적어도 하나는 롤 스탠드 내에서 목표되는 롤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타측의 구동 롤러에 상대적으로, 무엇보다 수직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는 굽힘 수단과 연동되어, 이들 굽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롤러는 굽힘 모멘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구동 롤러 인서트는 굽힘 수단에 의해 생성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동 롤러의 축으로부터 볼 때 측면으로 돌출된 아암을 포함하는 상기 압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압연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EP 0 256 408 A2, EP 0 256 410 A2, DE 38 07 628 C2 및 EP 0 340 504 B1이 참조된다. 이러한 참증 인용물로부터, 상호간에 범위 한정된 간격으로 위치하는 2개의 구동 롤러는 압연에 필요한 롤 간격을 형성하면서 지지 롤러 또는 중간 롤러에 지지되는 압연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압연 장치는 4개 또는 6개의 롤러를 구비한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되, 개별 롤러는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목표되는 롤 간격을 달성하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구동 롤러는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변경 가능한 롤 간격 프로파일을 통해 스트립 압연기 내 스트립 프로파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조압연기의 경우에도, 일측에서는 목표되는 바대로 스트립 프로파일에 영향을 주고, 타측에서는 목표되는 마모 분포를 통해 롤러 이동 거리의 연장을 위해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에 대한 처리 기술적 가능성은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압연 장치의 또 다른 중요한 구조에 따르면, 구동 롤러의 굽힘 또는 평형 유지를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수단을 통해, 굽힘 모멘트가 구동 롤러로 유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은 전술한 참증 인용물로부터 알 수 있는 점과 같이 처리 기술상의 장점을 갖는다.
구동 롤러 굽힘 및 변위 시스템은 대부분 위치 고정된 블록을 구비하며, 이들 블록 내에는 굽힘 및 평형 유지 또는 축방향 변위를 위해 요구되는 제어 수단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어 수단은 구동 롤러를 교환할 시에 분리되어서는 안 되는 유압 작동유 공급 라인이 고정되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굽힘 및 평형 유지를 실현하기 위해, 요구되는 슬라이드는 위치 고정된 블록 내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는데, 그에 따라 바람직하지 못한 점에서 축방향 변위 시에 무시해서는 안 될 경사 모멘트를 야기하거나, 혹은 상기 슬라이드는 경사 모멘트 또는 마찰력의 제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축방향 변위와 함께 변위되는 플레이트 홀더로서 설계된다.
앞서 공지된 압연 장치는, 예컨대 박판 압연기나 혹은 조압연기에서 필요한 바와 같이 높은 롤러 상승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면, 자체의 처리 기술상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 굽힘 실린더 또는 평형 실린더의 슬라이드는 본질적으로 보다 긴 길이에 걸쳐 안내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슬라이드가 완전하게 상승될 시에도 이동 거리가 클 시에 발생하는 지렛대 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높은 공간 소요를 필요로 한다.
구동 롤러 굽힘 및 축방향 변위와 조합되는 더욱 높은 롤러 상승은 오로지 전술한 단점을 감수한 상태에서만 전술한 해결 방법을 실현한다.
굽힘 실린더 또는 평형 실린더의 슬라이드의 짧은 가이드 길이의 경우, 굽힘 실린더 또는 평형 실린더가 구동 롤러/지지 롤러 인서트 시스템과 함께 이동될 때에, 소위 지지 롤러 또는 중간 롤러 인서트의 하부 방향 돌출형 아암과 구동 롤러 인서트의 측면 돌출형 브래킷 사이에 "부동의 방식으로" 배치될 때에 비로소 상기와 같은 짧은 가이드 길이가 재차 달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슬라이드(피스톤)는 지지 또는 중간 롤러 인서트 내에, 혹은 구동 롤러 인서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가 지지 또는 중간 롤러 인서트 내에 배치됨에 따라, 구동 롤러 교환 시에 유압 작동유 공급 라인을 더 이상 분리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축방향 변위와 조합되어 굽힘 또는 평형 시스템이 "부동의 방식으로" 배치되는 해결 방법은 DE 101 50 690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를 위해, 구동 롤러 인서트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변위 실린더가 제공된다. 이때, 변위 실린더 및 구동 롤러 세트는 모듈러 유닛을 형성하면서 공동으로 롤 스탠드 내에 장착된다.
그러나 그로 인해 바람직하지 못한 점에서, 각각의 구동 롤러 교환 세트별로 축방향 변위 실린더 역시 제공해야 하는 점이 발생하는데, 이는 압연 장치의 투자 비용을 증가시킨다.
DE 101 50 690 A1으로부터 공지되고, (입구측 및 출구측에서의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를 위한 장치와 조합되어) "부동의 방식으로" 배치되는 굽힘 장치를 구비한 압연 장치는 높은 롤러 상승 내지 매우 높은 롤러 상승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압연 장치에서 축방향 변위로부터 발생하는 경사 모멘트가 그에 상응하게 강성으로 설계된 지지 롤러 베어링부에 의해 흡수되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 외에도 탄성의 지지 롤러 베어링부가 제공된다. 축방향 변위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부의 구동 롤러 세트는 상부 지지 롤러 인서트에 있어 평형 압력을 인가받은 그들의 굽힘 실린더를 통해 변위된다.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은 이미 언급했던 경사 모멘트를 생성하면서, 지지 롤러 인서트를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롤러 인서트의 최대 가능한 기울기는 지지 롤러 베어링부의 유격에 의해 사전 지정된다. 그러므로 구동 롤러 변위에 이어서 충격의 형태로 스탠드에 하중이 인가될 시에("초기 통과 충격"), 국소적인 에지 압착과 그에 따라 장기간에 걸친 베어링 손상이 야기되는 점, 예를 들면 오일유입 윤활형 베어링에서 베어링 부시 또는 슬리브의 손상을 초래하거나 또는 롤러 베어링에서 개별 베어링 열의 과부하를 초래하는 점은 배제될 수 없다.
그러므로 롤러 상승이 높을 시에 구동 롤러 인서트의 양호한 안내는 항상 보장되지 않으며, 그리고 지지 롤러 인서트의 전술한 기울기는 항상 회피할 수 없다. 이는 긴 굽힘 실린더 또는 평형 실린더를 이용할 때 더욱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가 이루어져야 하면서 높은 롤러 상승 또는 매우 높은 롤러 상승이 요구되면, 더욱 많은 단점이 야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포함하지 않는 최초에 언급한 유형의 압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무엇보다 상기 목적은 구동 롤러용으로 굽힘 및 축방향 변위 시스템을 구비하여 높은 롤러 상승을 허용하는 압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굽힘 수단의 압력힘 생성 부재,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과 구동 롤러 인서트의 돌출 아암; 사이에 롤 스탠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압력 전달 부재가 배치되며, 굽힘 수단의 압력힘 생성 부재와 구동 롤러 인서트의 돌출 아암은, 압력힘 생성 부재의 중심축이 돌출 아암과 교차하는 방식으로, 위치 결정되며, 굽힘 수단은 롤 스탠드에 고정되어 배치된 블록 내에 배치되고, 압력 전달 부재는 가이드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가이드를 이용하여 블록에 장착되며, 그리고 압력 전달 부재는 수평 단면이 U-형상으로 형성되어 3곳의 측면으로부터 블록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압력 전달 부재는 구동 롤러의 축 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단면이 L-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의 상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구동 롤러의 축방향 및 및 높은 롤러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질 시의 굽힘이 전술한 단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최적화된 굽힘 수단의 하중 전달이 달성된다.
일 개선예에 따라, 굽힘 수단의 압력힘 생성 부재와 압력 전달 부재 사이에, 및/또는 압력 전달 부재와 구동 롤러 인서트의 돌출 아암 사이에 활주면이 배치된다.
삭제
안내는 롤 간격에 관한 변형예에 따라 추가로 압력 전달 부재가 가이드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가이드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에 장착됨으로써 개선된다.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된 점에서, 블록과 압력 전달 부재 사이에 고정 수단이 설치되며, 이 고정 수단은 구동 롤러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압력 전달 부재를 블록에서 고정시킨다.
구동 롤러는 대부분 축방향 변위를 위한 축방향 변위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축방향 변위 수단을 이용하여 구동 롤러는 롤 스탠드에 상대적으로 목표되는 축방향 위치로 이동되고 그곳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롤러 인서트의 돌출 아암에 있어서 구동 롤러의 축의 방향으로 제공되는 돌출 아암의 연장부가 압력 전달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 아암과 연결되는 압력 전달 부재의 부분에 제공되고 축의 방향으로 측정된 압력 전달 부재의 연장부와 비교하여 클 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배만큼의 크기를 가질 때 특히 우수한 작동 방법이 달성된다.
이에 대해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구동 롤러 인서트의 돌출 아암에 있어서 구동 롤러의 축의 방향으로 제공되는 돌출 아암의 연장부가 압력 전달 부재에 있어서 상기 돌출 아암과 연결되는 압력 전달 부재의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축의 방향으로 측정된 압력 전달 부재 연장부와 비교하여 작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최대 절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압연 장치의 제안된 실시예를 이용하여, 롤러 상승이 높을 시에도 구동 롤러 인서트의 우수한 안내가 보장되고, 지지 롤러 인서트의 기울기가 회피되는 점이 달성된다. 이를 위해, 구동 롤러 굽힘 장치는 고정된 블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블록 내에서는 비록 긴 굽힘 실린더 또는 평형 실린더가 작동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전술한 추가의 조치를 통해 경사 모멘트의 부담을 받지 않게 된다. 제안된 압연 장치는 높은 롤러 상승에 적합하며, 그럼에도 콤팩트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은 굽힘 수단을 포함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연 장치를 롤러 축 방향으로 바라보고 나타낸 단면도이며, 이는 도 2의 절결선(A-A)에 따라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결선(B-B)에 따라 압연 장치를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결선(C-C)에 따라 굽힘 수단을 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체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X 방향으로 바라보고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를 위한 축방향 변수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축방향 변위 수단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 따른 축방향 변위 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0의 절결선(D-D)에 따라 축방향 변위 수단을 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결선(E-E)에 따라 축방향 변위 수단을 절결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절결선(F-F)에 따라 축방향 변위 수단을 절결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결선(G-G)에 따라 축방향 변위 수단을 절결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부분(Z)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절결선(H-H)에 따라 해당 부분을 절결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축방향 변위 수단의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압연 장치 2: 구동 롤러
3: 구동 롤러 4: 구동 롤러 인서트
5: 구동 롤러 인서트 6: 롤 스탠드
7: 굽힘 수단 8: 구동 롤러의 축
9: 돌출 아암 10: 돌출 아암
11: 굽힘 수단의 압력힘 생성 부재(피스톤) 12: 압력 전달 부재
13: 압력힘 생성 부재의 중심축 14: 활주면
15: 활주면 16: 블록
17: 가이드(수직 가이드) 18: 가이드(수직 가이드)
19: 고정 수단 20: 축방향 변위 수단
21: 지지 롤러 22: 지지 롤러
23: 지지 롤러 인서트 24: 지지 롤러 인서트
25: 굽힘 수단의 압력힘 생성 부재(피스톤) 26: 다리부
27: 다리부 28: 크로스 헤드
29: 구동 롤러 베어링 30: 피스톤-실린더 시스템
31: 피스톤-실린더 시스템 32: 축단부
33: 웨브 34: 웨브
35: 캐치부 36: 플랜지
37: 가이드 튜브 38: 슬라이딩 헤드
39: 슬라이딩 튜브 40: 커버
41: 변위 피스톤 42: 커플링
43: 작동 수단 44: 작동 수단
45: 클램프 46: 플랭크
47: 플랭크 48: 평면 표면
49: 위치 센서 50: 위치 센서
51: 보호 케이스 52: 그루브
53: 커버 54: 선형 가이드
R: 구동 롤러로 향하는 방향
도 1 내지 도 3에는 구동 롤러 인서트(4 또는 5) 내에 장착된 2개의 상호 연동식 구동 롤러(2 및 3)가 롤 스탠드(6)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압연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두 구동 롤러(2 및 3) 간의 롤 간격을 충분히 임의로 조정하기 위해, 상부의 구동 롤러 인서트(4)는 수직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구동 롤러 인서트(4)는 롤 스탠드(6)에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롤러(2, 3)는 지지 롤러(21 또는 22)에 각각 지지되고, 이들 지지 롤러들은 각각의 지지 롤러 인서트(23 또는 24) 내에 장착되어 있다. 다시 말해 도시한 압연 장치(1)는 전체적으로 4개의 롤러를 포함한다. 주지되는 점에서, 상기 압연 장치(1)는 추가의 롤러, 다시 말해 구동 롤러(2, 3)와 지지 롤러(21, 2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롤러(2, 3)로 굽힘 모멘트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굽힘 수단(7)이 제공된다. 무엇보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굽힘 수단(7)은 구동 롤러(2, 3)의 두 축단부 영역에 배치되고, 그 밖에는 입구측뿐 아니라 출구측에서는 롤 스탠드(6)에 배치된다. 전체적으로 4개의 굽힘 수단(7)이 제공된다.
상기 굽힘 수단(7)은 하나의 블록(16)을 구비하는데, 이 블록은 무엇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롤 스탠드(6)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기 블록(16)은 원통형 보어부를 포함하며, 이들 보어부 내에 유압 압력을 인가받을 수 있는 압력힘 생성 부재(11)가, 다시 말해 피스톤이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피스톤(11)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13)을 갖는다.
또한, 도 1에 따라 알 수 있는 점에서, 각각의 구동 롤러 인서트(4, 5)는 돌출 아암(9 및 10)을 포함한다. 이들 돌출 아암(9, 10)은 구동 롤러(2, 3)의 축(8)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 아암(9, 10)은 (구동 롤러(2, 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측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피스톤(11)의 중심축(13)을 넘어서 상기 피스톤(11)에 중첩된다.
굽힘 수단(7), 특히 이들의 피스톤(11);과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 사이에는 압력 전달 부재(12)가 배치된다. 이 압력 전달 부재(12)는 일측에서는 피스톤(11)과 압력 전달 부재(12) 사이, 또는 압력 전달 부재(12)와 돌출 아암(9, 10) 사이의 우수한 활주 비율을 제공하는 2개의 활주면(14 및 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피스톤(11)과 돌출 아암(9, 10)은 피스톤(11)의 중심축(11)이 돌출 아암(9, 10)과 교차하는 방식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굽힘 수단(7)으로부터 구동 롤러 인서트(4, 5)로의 최적의 힘 전달이 달성된다.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는 수직 가이드(17)를 통해 블록(16)에 배치되며, 그로 인해 블록(16)에 대해, 그에 따라 롤 스탠드(6)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추가의 수직 가이드(18)가 제공되는데, 이 수직 가이드는 롤 스탠드(6) 상부 영역에서 압력 전달 부재(12)를 안내하는데, 특히 압력 전달 부재(12)의 크로스 헤드(28)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는 "만곡된 캡"으로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는 수평 단면이 U-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2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3곳의 측면으로부터 블록(16)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도 1로부터 개시되는 점에서는,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는 구동 롤러(2, 3)의 축(8)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수직 단면이 L-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16)을 압력 전달 부재 자신의 상측면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두 다리부(26 및 27)(도 2 참조)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는 축방향 변위 하중에 대항하여 수직으로 활주하지만 그럼에도 기울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블록(16)의 측면에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는 블록(16)에 있어 구동 롤러(2) 쪽으로 향해 있는 블록 단부면에서 지지되고, 그에 따라 입구측에서는 압연 방향에 반대되고, 출구측에서는 압연 방향과 동일하게 배향될 수 있는 높은 수평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압력 전달 부재(12)는 압연 방향 또는 압 연 방향의 반대 방향에 추가의 활주면을 구비하는데, 이들 추가 활주면은 다리부(26 또는 27)에 위치된다. 상기 다리부(26, 27)를 통해서는 롤 스탠드(6)에 있어 구동 롤러(2) 쪽으로 향해 있는 롤 스탠드 측면에서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압력 전달 부재(12)가 구동 롤러(2, 3)을 분해할 시에도 제자리에 유지되고 롤 스탠드(6) 또는 블록(16)으로부터 탈거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 수단(19)이 제공되어 있다(도 2 참조). 상기 고정 수단(19)은 압력 전달 부재(12)가 롤러 축(8) 쪽의 R-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구동 롤러(2, 3)의 축방향 조정을 위한 축방향 변위 수단(20)이 제공되어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3에 따라 알 수 있듯이, 굽힘 수단(7)에 있어 상부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압력힘을 생성하는 그 부재(11)(피스톤)에 나란하게 추가의 힘 생성 부재(25)이 제공되어 있되, 상기 압력힘 생성 부재(11)는 상부의 구동 롤러 인서트(4) 상에 작용하며, 그리고 상기 추가의 힘 생성 부재(25)은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생성하여, 하부 구동 롤러 인서트(5)에 굽힘력을 인가한다.
변형예에 따라 설계된 압연 장치(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로부터 개시되는 점에서, 다시금 두 구동 롤러(2, 3)는 각각 축방향 변위 수단(20)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와 조합되는 높은 롤러 상승 시 문제는 대부분 상부 롤러 세트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는 단지 상부 롤러 세트에만 "만곡된 캡"이 제공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부에서 압력힘을 생성 하는 부재(25)는 "만곡된 캡"(압력 전달 부재(12)) 없이 하부의 구동 롤러 인서트(5) 상에 작용한다. 그러나 주지되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라 피스톤(25)과 구동 롤러 인서트(5) 사이에 압력 전달 부재(12)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압력 전달 부재(12) 형태로 제안된 "만곡된 캡"을 통해, 높은 롤러 상승 및 매우 높은 롤러 상승 시에도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우수한 안내가 보장된다. 동시에, 그 밖의 경우에서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 시에 지지 롤러 인서트(23, 24)이 기울어지고 추가로 경사 모멘트를 야기할 수도 있는 마찰력도 흡수된다.
압력 전달 부재(12)(도 1 참조)의 크로스 헤드(28);와 돌출 아암(9, 10); 사이의 접촉부의 형성과 관련하여, 2가지 변형예가 제공될 수 있다:
돌출 아암(9, 10)의 접촉면은 축방향 변위 방향에서 짧게 형성되어, 구동 롤러 베어링(29)에 대해 중심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에 반해 크로스 헤드(28)의 대응면은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구동 롤러 베어링(29)은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변위가 실시된 후에도 중심에서 하중을 받게 된다. 비록 이와 같은 구조가 크로스 헤드(28)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힘 생성 부재(11)(실시예에 따라 굽힘 수단(7) 별로 2개의 피스톤(11)이 상호간에 나란하게 제공된다)의 불균일한 하중을 야기하긴 하지만, 이러한 점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압력 평형"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크로스 헤드(28)에 속하는 접촉면은 축방향 변위 방향에서 짧게 형성되며, 그에 따라 오로지 변위되지 않은 위치에서만 구동 롤러 베어링(29)에 대해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 아암(9, 10) 하부의 대 응면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축방향 변위 시에 굽힘 수단(7)의 압력힘 생성 부재(11)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균일하게 하중을 받지만, 그러나 구동 롤러 베어링(29)은 더 이상 중심에서 하중을 받지 않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굽힘 수단(7)의 블록(16)은 압력 전달 부재(1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롤 간격은 본질적으로 상부 구동 롤러(2)를 통해 조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 구동 롤러(2)는 상부의 굽힘 수단(7) 및 압력 전달 부재(12)를 통해 기계적 조정부를 통해 사전 조정된 상부 지지 롤러(21) 쪽에 압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블록(16)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하부의 굽힘 수단(7)의 영역에서 압력 전달 부재(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굽힘 수단(7)을 통한 소위 포지티브한 구동 롤러 굽힘과 더불어, 프로파일에 영향을 주기 위한 조정 영역을 증대시키기 위해, 추가의 피스톤-실린더 시스템(30, 31)을 통한 이른바 네가티브한 구동 롤러 굽힘이 실현될 수도 있다(도 1 참조).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굽힘 시스템은 구동 롤러 변위 시스템의 다양한 변형예와 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예컨대 구동 롤러 세트별로 2가지 분리된 축방향 변위 유닛을 구비한, 예컨대 높은 롤러 상승에 적합한 특수 록킹 장치와 병진형 잠금 고정 이동 장치를 구비하거나, 혹은 통상적인 록킹 장치와 회전형 잠금 고정 이동 장치를 구비한 축방향 변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축방향 변위 수단의 바람직한 구조는 도 6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우선적으로 축방향 변위 수단(20)에 대한 2가지 상이한 사시도를 볼 수 있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측면도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상세한 구조는 도 9 내지 도 15로부터 개시된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은 롤 축의 상측 및 하측에, 그리고 롤 스탠드(6)의 입구측 및 출구측 상에 위치된다. 롤 축의 상측의 구동 롤러 변위 장치에 대한 해결 방법은 높은 상승 시에 문제가 된다. 롤 축의 하측에 제공되는 구동 롤러 변위 장치에 대한 해결 방법은 통상적으로 구성되거나 혹은 높은 상승을 위한 해결 방법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입구측과 출구측 상의 장치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면서도 상호간에 대칭을 이루며, 그럼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되는 측면에서 오로지 롤 축의 상측에 위치하며 높은 상승이 이루어지는 축방향 변위 수단(20)만이 기술된다.
거의 도 2 또는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축방향 변위 수단(20)은 구동 롤러(2, 3)의 중심의 양측에 제공되어 있되, 상기와 같은 수단은 자신의 일측 축단부(32)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6)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도 8에 따른 절결선(F-F)의 영역에는 구동 롤러 록킹 장치가 위치되는데, 이 구동 롤러 록킹 장치를 이용하여 구동 롤러 인서트(4, 5)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구동 롤러 인서트(4, 5)는 2개의 웨브(33, 34)(도 2 참조)를 포함하며, 이들 웨브는 대칭을 이루면서 구동 롤러(2, 3)의 축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웨브(33, 34)는 자신의 단부로써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축방향 변위 수단(20) 내 수납 슬롯 내에 수납되는데, 상기 수납 슬롯은 수직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구동 롤러 인서트(4, 5)와, 그에 따른 구동 롤러(2, 3)가 롤 스탠드(6) 내에서 필요한 롤 간격에 상응하는 높이에 수직으로 위치 결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수납 슬롯은 일측에서는 구동 롤러 록킹 장치를 포함하는 선형 가이드(54)(도 15 참조)에 의해 범위 한정되며, 타측에서는 이후에 재차 상세하게 기술되는 캐치부(35)에 의해 범위 한정된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은 롤 스탠드(6)와 견고하게 체결된 플랜지(36)로 구성되는데, 이 플랜지(36)는 돌출되어 가이드 튜브(37)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튜브(37)의 외경부 상에는 슬라이딩 헤드(38)가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헤드(38)는 가이드 부시 및 커버(40)를 구비한 슬라이딩 튜브(3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커버(40)와 변위 피스톤(41)은 동축상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적합한 수단은, 축방향 변위 수단(20)이 자신의 축방향으로 비틀림 회전하는 점이 억제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다시 말해,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일측의 축단부(32)가 그 타측의 축단부(33)에 상대적으로 비틀림 회전하는 점이 배제된다.
비틀림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한 가능성에 따라, 중심축 외부에서 슬라이딩 튜브(39)에 장착되는 구조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비틀림 회전 방지부는 충분한 길이의 가이드를 구비하며, 그럼으로써 전체의 최대 변위 경로를 위해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비틀림 회전이 억제된다.
또한,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경로 측정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경로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동 롤러(2, 3)의 실제 축방향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축방향 변위 수단(20) 상에는 구동 롤러 록킹 장치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록킹 장치의 본질적인 구성품은 캐치부(35)를 구비한 커플링(42)이다; 상기 캐치부(35)는 도 1에 절결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치부(35)는 작동 수단(43, 44)과 연결된다.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 롤러 록킹 장치는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웨브(33, 34)과 형상 로크 방식으로 연결된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은 출구측에서와 같이 입구측에 본질적으로 반사 대칭이 되게 롤 스탠드(6)에 배치된다.
상기 커플링(42)은 슬라이딩 튜브(39)와 함께 상기 캐치부(35)가 확실하게 안내되는 챔버를 형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42)은 자신의 플랭크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튜브(39)에 지지되며, 그에 따라 플랭크에 대한 수직의 하중 및 토크는 상기 슬라이딩 튜브(39)의 축을 통해 포착된다. 만일 상기 캐치부(35)가 커플링(42)의 일측 플랭크 상에 압착되면, 타측 플랭크는 슬라이딩 튜브(39)의 추가 표면상에 지지되며, 그리고 그 반대 상황일 때에는 그 반대로 압착 및 지지가 이루어진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작동에 의해, 그리고 구동 롤러 록킹 장치 및 구동 롤러 인서트(4, 5) 사이의 형상 로크식 연결을 바탕으로 구동 롤러(2, 3)의 축방향 변위가 야기된다.
잠금 고정을 위해, 커플링(42)에는 캐치부(35)가 배치되는데, 이 캐치부(35)는 슬라이딩 튜브(39)를 둘러싸며, 그리고 록킹 장치를 체결하기 위해 거의 수평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튜브(39)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캐치부(35)가 잠금 고정 위치로 변위될 시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납 슬롯이 형성되는데, 이 수납 슬롯 내에서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측면 돌출 웨브(33, 34)가 안내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납 슬롯은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측면 돌출 웨브(33, 34)를 통해 전달되어야 하는 축방향 변위 하중을 흡수하며, 그리고 동시에 수직 방향의 큰 상대 운동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점은 결과적으로 높은 롤러 상승을 제공한다.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납 슬롯은 구동 롤러 탈거를 위해 캐치부(35)를 후퇴시킴으로써 개방된다. 그런 다음 구동 롤러 세트를 제어부측 방향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캐치부(35)를 이용한 구동 롤러 록킹 장치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도 11 내지 도 14로부터 개시된다. 상기 캐치부(35)는 O-형상 또는 U-형상 리세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도 11에서 리세스부는 O-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캐치부(35)는 커버(40)의 헤드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딩 튜브(39)를 둘러싸고 있다. 캐치부(35) 내 리세스부는, 캐치부가 O-형상으로 설계된 경우에는 축방향으로, 혹은 U-형상으로 설계된 경우에는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조립을 위해 슬라이딩 튜브(39) 상에 활주 장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이때, O-형상은 밀폐된 형상으로서 캐치부(35)를 더욱 강성으로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
U-형상으로 설계할 경우, 캐치부(35)는 슬라이딩 튜브(39)에 있어 구동 롤러 인서트(4, 5)를 마주보는 그 측면에서 개방되어 있다. 캐치부(35)는 슬라이딩 튜브(39)를 둘러싸기 때문에, 마치 캐치부(35)가 커버(40)의 헤드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와 같이, 구동 롤러 굽힘 아암은 (구동 롤러 베어링(29)의 중심으로부터 측정할 때) 더욱 짧아질 수 있다. 그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구동 롤러 베어링(29)과 슬라 이드 헤드(38)에서의 수직 가이드 사이의 레버 아암은 절감된다. 레버 아암이 더욱 적어짐에 따라 가이드 내의 마찰력은 오로지 비교적 극미한 추가 모멘트만을 구동 롤러 베어링(29) 상에 인가하며, 이러한 점은 베어링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짧은 구조의 추가의 장점에 따라, 무엇보다 롤러 교환 시에 구동 롤러 세트의 횡방향 이동이 제공되면, 롤 스탠드 전방의 변위 시스템은 제거되어 새로이 삽입될 롤러 세트에 대한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록킹 장치의 병진 운동은 회전형 록킹 장치와 비교하여 (낮은 상승이 이루어지는 압연기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병진 운동은 높은 롤러 상승에 더욱 적합하다.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측면 돌출 웨브(33, 34)용 수납 슬롯의 폐쇄 및 개방은 대응하는 잠금 고정 행정으로써 캐치부(35)의 수평 이동에 의해, 혹은 거의 수평에 가까운 이동에 의해 야기된다. 그러므로 캐치부(35) 내 리세스부는 (수평의) 이동 방향에서 조립을 위해 요구되는 경우보다 적어도 잠금 고정 행정만큼 더욱 큰 크기를 갖는다.
캐치부(35)의 이동은 작동 수단(43, 44)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동 수단은 예컨대 피스톤-실린더 시스템(관통식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의 형태를 갖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작동 부재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의 절결선(G-G)에 따라 나타낸 도 12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다. 피스톤-실린더 시스템은 더욱 목적에 적합하게는 캐치부(35)에 있어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는 캐치부 측면에 배치된다. 무엇보다 2개의 피스톤-실린더 시스템(43, 44)이 상부 및 하부에서 캐치부(35)의 리세스부 내에 위치되면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피스톤-실린더 시스템(43, 44)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공간 소요의 이유에서 적합하게는 캐치부(35) 내에 추가의 리세스부가 제공된다.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비틀림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의 부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억제 수단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추가의 리세스부가 제공된다.
캐치부(35)는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서 3개의 리세스부, 즉 슬라이딩 튜브(39)용으로 하나의 큰 리세스부, 피스톤-실린더 시스템(43, 44)용으로 2개의 더욱 작은 리세스부, 그리고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비틀림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하나의 추가의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피스톤-실린더 시스템(43, 44)용 리세스부는 바람직하게는 캐치부(35) 내의 클램프(45)를 이용하여 폐쇄되며, 그럼으로써 커플링(42) 또는 여타의 부재를 분해할 필요 없이, 피스톤-실린더 시스템(43, 44)을 측면으로 분해할 수 있다.
캐치부(35)는 피스톤-실린더 시스템(43, 44)에 의해 개방되거나 체결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캐치부는 추가적으로 적합한 방법으로 축에 대항하여 비틀림 회전이 불가능하게 슬라이딩 튜브(39)의 중심축에 평행하거나 혹은 동일하게 분명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점은 커플링(42)의 플랭크(46, 47)에 의해 이루어지되, 상기 플랭크는 자신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튜브(39)에 지지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짧은 경로 상에서의 비틀림 회전이 차단된다.
슬라이딩 튜브(39)에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평면 표면(48)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평면 표면은 록킹 장치 이동을 위한 약간의 공간을 제공한다.
캐치부(35)의 위치는 2개의 위치 센서(49, 50)를 통해 점검된다. 상기 위치 센서(49, 50)는 적합한 방식으로 커플링(42) 내에 장착되며, 환경 영향에 대해서는 보호 케이스(52)를 통해 보호된다. 또한, 상기 위치 센서(49, 50)는 캐치부(35)의 단부 위치를 점검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캐치부 내에는 특수한 그루브(52)가 제공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특히 도 13의 절결선(H-H)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단면도가 참조된다.
상기와 같은 그루브(52)는 중심에 깊은 주름부를 갖는데, 이 주름부는 록킹 장치 이동 경로보다 2배의 길이를 갖는다. 그 외에도 상기 그루브(52)는 양단부에 각각 단순히 평평한 주름부를 구비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위치 센서(49, 50) 중 일측의 위치 센서는 상기 평평한 주름부 중 일측의 주름부 위쪽에 위치하여 실제 캐치부 위치를 전송한다. 상기 평평한 주름부는 무엇보다 이론상 동일 평면에 장착된 위치 센서(49, 50)가 수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는 약간 돌출되어 있도록 하는 특수한 이점을 제공한다. 만일 일측의 위치 센서(49, 50)가 깊은 주름부 중 어느 일측의 주름부 위쪽에 위치한다면, 상기 위치 센서는 더 이상 캐치부(35)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그에 대응하는 보어부와 리세스부는 바람직하게는 상부 및 하부에 대칭을 이루면서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위치 센서(49, 50)는 적합한 위치에 나사 체결될 수 있되, 비어 있는 위치는 예컨대 커버(53)를 이용하여 밀폐될 수 있다(도 11 참조).
축방향 변위 경로(도 9 참조)의 측정은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외부 또는 그 내부에 배치된 유닛에 의해 가능하다. 압력 시스템 내부에 이루어지는 측정 센서의 배치는 유지 보수 작업 시에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회피된다. 경로 측정 시스템은 외부에 위치하거나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외부에 위치하는 유닛의 경우에, 손상을 야기하는 주변 영향으로부터 보호 조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점은 유압 실린더와 유사한 캡슐화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스탠드 측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유형의 피스톤은 축방향 변위 장치의 이동 부재에 고정되는 원통형 튜브를 통해 유도된다. 상기 측정 센서는 원통형 튜브와 동축상에서 이동하면서, 대응하는 경로 신호를 생성한다. 대응하는 실링 및 스트리핑 부재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충분한 보호가 달성된다.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의 경우에, 위치 센서는 (이동 부재의 단부면으로부터 볼 때) 슬라이딩 슬리브 내에 혹은 슬라이딩 튜브 삽입된다. 요구되는 캡슐화는 변위 시스템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그에 상응하게 밀봉된 케이스는 위치 센서의 전자 부품을 보호한다.
축방향 변위 수단(20)의 내부에 (그럼에도 압력 챔버 외부에도) 이루어지는 위치 센서 바의 배치는 바람직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부재은 추가의 캡슐화 없이 주변 영향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이다. 위치 센서는 커버(4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위치 센서 바는 커버(40) 내 보어부를 관통하여 내부 커버 내의 보어부 내에 인입 장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굽힘 수단 및 축방향 변위 수 단에 대한 상기와 같은 배치가 달성되고, 제안되는 상기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동 롤러의 축방향 변위 시에 발생하는 경사 모멘트는 최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본원의 압연 장치의 컨셉을 통해, 비록 높은 롤러 상승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여러 구조 부재의 상하간 충돌은 배제된다. 그럼에도, 롤 스탠드 내에 큰 장착 공간은 필요하지 않다.

Claims (11)

  1. 압연 장치(1)로서,
    구동 롤러 인서트(4, 5)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6) 내에 각각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구동 롤러(2, 3)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롤러(2, 3)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는 롤 스탠드(6) 내에서 목표되는 롤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타측의 구동 롤러(2, 3)에 상대적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롤러(2, 3)는 굽힘 수단(7)과 연동되어, 이들 굽힘 수단(7)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롤러(2, 3)는 굽힘 모멘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구동 롤러 인서트(4, 5)는 굽힘 수단(7)에 의해 생성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동 롤러(2, 3)의 축(8)으로부터 볼 때 측면으로 돌출되는 아암(9, 10)을 포함하는 상기 압연 장치(1)에 있어서,
    굽힘 수단(7)의 압력힘 생성 부재(11);와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 사이에는 롤 스탠드(6)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압력 전달 부재(12)가 배치되고,
    굽힘 수단(7)의 압력힘 생성 부재(11)와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은 압력힘 생성 부재(11)의 중심축(13)이 돌출 아암(9, 10)과 교차하는 방식으로 위치 결정되며,
    굽힘 수단(7)은 롤 스탠드(6)에 고정되어 배치된 블록(16) 내에 배치되고, 압력 전달 부재(12)는 가이드(17)를 이용하여 블록(16)에 장착되며, 그리고
    압력 전달 부재(12)는 수평 단면이 U-형상으로 형성되어 3곳의 측면으로부터 블록(16)을 둘러싸며, 그리고 압력 전달 부재(12)는 구동 롤러(2, 3)의 축(8) 상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단면이 L-형상으로 형성되어 블록(16)의 상측면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굽힘 수단(7)의 압력힘 생성 부재(11)와 압력 전달 부재(12) 사이의 영역과 압력 전달 부재(12)와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 사이의 영역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활주면(14, 15)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력 전달 부재(12)는 가이드(18)를 이용하여 롤 스탠드(6)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블록(16)과 압력 전달 부재(12) 사이에 고정 수단(19)이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 수단(19)은 구동 롤러(2, 3) 쪽의 방향(R)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상기 압력 전달 부재(12)를 블록(16)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 롤러(2, 3)는 축방향 변위를 위한 축방향 변위 수단(20)을 구비하고 있되, 이들 축방향 변위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 롤러(2, 3)가 롤 스탠드(6)에 상대적으로 목표되는 축방향 위치로 이동되어 그곳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에 있어서 구동 롤러(2, 3)의 축(8)의 방향으로 제공되는 돌출 아암의 연장부는 압력 전달 부재(12)에 있어서 상기 돌출 아암(9, 10)과 연결되는 압력 전달 부재의 부분에 제공되고 축(8)의 방향으로 측정된 압력 전달 부재의 연장부와 비교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 롤러 인서트(4, 5)의 돌출 아암(9, 10)에 있어서 구동 롤러(2, 3)의 축(8)의 방향으로 제공되는 돌출 아암의 연장부는 압력 전달 부재(12)에 있어서 상기 돌출 아암(9, 10)과 연결되는 압력 전달 부재의 부분에 제공되고 축(8)의 방향으로 측정된 압력 전달 부재의 연장부와 비교하여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7025370A 2003-07-30 2004-07-21 압연 장치 KR101121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4682.1 2003-07-30
DE10334682A DE10334682A1 (de) 2003-07-30 2003-07-30 Walzvorrichtung
PCT/EP2004/008130 WO2005011885A1 (de) 2003-07-30 2004-07-21 Walz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95A KR20060120395A (ko) 2006-11-27
KR101121500B1 true KR101121500B1 (ko) 2012-03-15

Family

ID=34071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370A KR101121500B1 (ko) 2003-07-30 2004-07-21 압연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895871B2 (ko)
EP (1) EP1648625B1 (ko)
JP (1) JP5013866B2 (ko)
KR (1) KR101121500B1 (ko)
CN (1) CN100506412C (ko)
AT (1) ATE372835T1 (ko)
AU (1) AU2004261385B2 (ko)
BR (1) BRPI0413042A (ko)
CA (1) CA2532522C (ko)
DE (2) DE10334682A1 (ko)
ES (1) ES2289530T3 (ko)
MX (1) MXPA06001143A (ko)
RU (1) RU2346768C2 (ko)
TW (1) TWI324092B (ko)
UA (1) UA83058C2 (ko)
WO (1) WO2005011885A1 (ko)
ZA (1) ZA2005099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72203A1 (en) * 2005-10-10 2007-04-11 VAI Industries (UK) Limited Roll bending device
AT504208B1 (de) 2006-04-21 2008-04-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Biegevorrichtung für zwei arbeitswalzen eines walzgerüstes
DE102007042896A1 (de) * 2007-03-15 2008-09-18 Sms Demag Ag Walzvorrichtung
KR100951262B1 (ko) * 2007-05-15 2010-04-0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의 위치 조정장치
DE102007058729A1 (de) 2007-08-07 2009-02-19 Sms Demag Ag Walzvorrichtung mit Verstellvorrichtung
DE102008009902A1 (de) * 2008-02-19 2009-08-27 Sms Demag Ag Walzvorrichtung, insbesondere Schubwalzengerüst
DE102008015826A1 (de) * 2008-03-27 2009-10-01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Walzgerüst
DE102008035702A1 (de) * 2008-07-30 2010-02-04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Walzvorrichtung
DE102008049179A1 (de) * 2008-09-26 2010-04-01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Walzvorrichtung
DE102009058876A1 (de) 2009-01-23 2010-07-29 Sms Siemag Ag Biege- und Ausbalanciervorrichtung für axial verschiebbare Arbeitswalzen eines Walzgerüstes
NL2005046C2 (nl) * 2010-07-07 2012-01-10 Jean Henry Robert Madern Lagerbloksamenstel, alsmede walsinrichting voorzien van dergelijke lagerbloksamenstellen.
ITMI20101502A1 (it) * 2010-08-05 2012-02-06 Danieli Off Mecc Sistema integrato di bending e shifting sotto carico per gabbie ad elevata apertura tra i rulli di lavoro
ITMI20120598A1 (it) 2012-04-12 2013-10-13 Danieli Off Mecc Sistema integrato di piegatura e di bilanciamento per gabbie di laminazione
DE102017220560A1 (de) * 2017-05-03 2018-11-08 Sms Group Gmbh Walzgerüst zum Walzen eines metallischen Guts
EP3560615A1 (de) 2018-04-27 2019-10-3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Walzgeruest
IT201900000713A1 (it) * 2019-01-17 2020-07-17 Danieli Off Mecc Sistema di bending e shifting per gabbie di laminazi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7910A (ja) 1984-06-06 1985-1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機
EP0256410A2 (de) * 1986-08-14 1988-02-24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Biege- und Ausbalanciervorrichtung für axial verschiebbare Arbeitswalzen eines Quartowalzgerüstes
EP0340504A2 (de) * 1988-05-06 1989-11-08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Biege- und Ausbalanciervorrichtung für axial verschiebbare Walzen eines Walzgerüstes
US4934166A (en) * 1987-02-27 1990-06-19 Clecim Rolling mill with axially shiftable rolls and process for adjusting the profile of such rol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2173B (en) 1987-03-19 1991-08-14 Davy Mckee Rolling mill
DE19922373A1 (de) * 1999-05-14 2000-11-16 Sms Demag Ag Biegevorrichtung für die Arbeitswalzen eines Warmwalzgerüs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7910A (ja) 1984-06-06 1985-1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圧延機
EP0256410A2 (de) * 1986-08-14 1988-02-24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Biege- und Ausbalanciervorrichtung für axial verschiebbare Arbeitswalzen eines Quartowalzgerüstes
US4934166A (en) * 1987-02-27 1990-06-19 Clecim Rolling mill with axially shiftable rolls and process for adjusting the profile of such rolls
EP0340504A2 (de) * 1988-05-06 1989-11-08 Sms Schloemann-Siemag Aktiengesellschaft Biege- und Ausbalanciervorrichtung für axial verschiebbare Walzen eines Walzgerüs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13866B2 (ja) 2012-08-29
ES2289530T3 (es) 2008-02-01
AU2004261385B2 (en) 2009-08-20
EP1648625B1 (de) 2007-09-12
TW200517196A (en) 2005-06-01
TWI324092B (en) 2010-05-01
UA83058C2 (en) 2008-06-10
JP2007533455A (ja) 2007-11-22
US7895871B2 (en) 2011-03-01
EP1648625A1 (de) 2006-04-26
DE502004004968D1 (de) 2007-10-25
US20070129228A1 (en) 2007-06-07
CN1829575A (zh) 2006-09-06
WO2005011885A1 (de) 2005-02-10
RU2346768C2 (ru) 2009-02-20
CA2532522C (en) 2010-11-09
AU2004261385A1 (en) 2005-02-10
ATE372835T1 (de) 2007-09-15
KR20060120395A (ko) 2006-11-27
DE10334682A1 (de) 2005-02-17
MXPA06001143A (es) 2006-04-24
RU2006106184A (ru) 2006-06-27
CA2532522A1 (en) 2005-02-10
CN100506412C (zh) 2009-07-01
BRPI0413042A (pt) 2006-10-17
ZA200509912B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500B1 (ko) 압연 장치
JP2011529399A (ja) ロール装置
KR101268322B1 (ko) 압연 장치
KR101109451B1 (ko) 압연 장치
CA2463075C (en) Rolling device
US5426966A (en) Hydraulically operated press brake
KR20150048787A (ko) 토글 레버 기구를 구비한 승강 장치
RU2457053C1 (ru) Прок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регулиров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6164111A (en) Bending device for two working rolls of a roll stand
KR101121502B1 (ko) 롤 스탠드, 특히 수직 엣저 스탠드에서의 조정 실린더
EP3108978A1 (en) Rolling stand
RU269062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обжимного валка обжимной клети
WO1988000170A1 (en) Lifting mechanism
KR101130611B1 (ko) 압연 장치
US6634515B2 (en) Lift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rectilinear movement of a handling device
CA2364523A1 (en) Lifting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rectilinear movement of a hand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