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777B1 -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777B1
KR101119777B1 KR1020060087542A KR20060087542A KR101119777B1 KR 101119777 B1 KR101119777 B1 KR 101119777B1 KR 1020060087542 A KR1020060087542 A KR 1020060087542A KR 20060087542 A KR20060087542 A KR 20060087542A KR 101119777 B1 KR101119777 B1 KR 10111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
catalyst layer
reaction distillation
distillation column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533A (ko
Inventor
이경무
박성규
추연욱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8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7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6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from organic carbonates
    • C07C68/065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from organic carbonates from alkylene 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9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 C07C6/08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different number of carbon atoms by redistribution reactions by conversion at a saturated carbon-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96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균일계 촉매를 이용한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디아릴카보네이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물의 반응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불균일계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균일 촉매 사용에 따른 생성물과 촉매의 분리공정이 필요 없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디아릴카보네이트, 디알킬카보네이트, 알킬아릴카보네이트, 불균일계 촉매

Description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DiarylCarbonat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로마틱 카보네이트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물 투입 2 : 제1반응증류컬럼
3 : 응축기 6 : 열교환기(Ⅰ)
10 :플레시 드럼 11 : 제1분리컬럼
14: 제2반응증류컬럼 15 : 응축기(Ⅱ)
19 :제2분리컬럼
본 발명은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디아릴카보네이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것이다.
상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하나로 가장 간단한 형태인 디페닐카보네이트는 폴 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된다.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 제조공정은 독성이 강한 포스겐을 원료로 사용하였으나 디페닐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환경친화적인 비포스겐 공정이 점차 도입되면서 디페닐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경제적인 방법은 디알킬카보네이트의 하나인 디메틸카보네이트와 페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메틸페닐카보네이트를 제조하고 (반응식1) 다시 이의 반응을 통해 디페닐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것이다.(반응식2)
Figure 112006065505630-pat00001
Figure 112006065505630-pat00002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부터 알킬아릴카보네이트를 거쳐 최종적으로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얻는 방법은 여러 문헌에 나와 있다. 본 반응에 있어 기술적으로 어려운 점은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부터 중간체인 알킬아릴카보네이트로의 반응이 열역학적으로 대단히 불리하다는데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응 생성물인 알킬알코올을 반응기로부터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평형을 생성물쪽으로 옮겨야 한다. 이를 위해 공비증류, 분자체를 이용한 알킬알코올 흡수, 유기추출용제 사용 등이 제안되었으나 현실적으로는 반응증류 공정을 통한 알킬알코올 제거가 가장 효과적이다. 반응증류 공정을 사용한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는 미국등록특허 제 5,210,268호, 5,344,954호, 5,380,908호, 5,426,207호, 5,705,673호, 6,767,517호 등에 언급되어 있다. 위 발명들은 반응증류 공정 또는 이를 일부 이용한 공정을 사용하고 있으나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져 많은 양의 반응물을 필요로 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 발명들은 모두 균일계 촉매를 사용하고 있는데 균일계 촉매는 활성은 좋으나 최종 생성물로부터 분리가 까다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균일계 촉매를 이용한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디아릴카보네이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균일계 촉매를 이용한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디아릴카보네이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부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을, 상부의 정제부와 하부의 불균일계 촉매층이 구비된 제1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Ⅰ) 상부에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2) 상기 촉매층(Ⅰ)을 통과한 중간 생성물 아킬아릴카보네이트와 미반응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하여, 기상성분은 상기 촉매층(Ⅰ) 하부로, 액상성분은 촉매층(Ⅰ) 상부로 분리하여 이동시켜 순환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액상성분 일부를 수위조절에 의해 제1분리컬럼으로 이동시켜, 디아킬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상부의 정제부와 하부의 불균일계 촉매층이 구비된 제2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Ⅱ) 상부로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촉매층(Ⅱ)을 통과한 혼합물을 제2분리컬럼으로 이동시켜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 정제부(Ⅰ)와 불균일계 촉매층(Ⅰ)이 구비된 제1반응증류컬럼, 상기 정제부(Ⅰ)를 거쳐 유입된 부산물 및 반응물을 응축시키는 응축기(Ⅰ),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으로부터 유입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저비점의 기상성분을 촉매층(Ⅰ) 하부로 이동시키는 열교환기(Ⅰ) 및 상기 혼합물 중 액상성분을 상기 촉매층(Ⅰ) 상부로 이동시키는 순환펌프(Ⅰ)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
(2)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플래시 드럼 및 증류장치가 구비된 분리컬럼(Ⅰ)을 포함하는 제1정제장치;
(3) 정제부(Ⅱ)와 불균일계 촉매층(Ⅱ)이 구비된 제1반응증류컬럼, 상기 정제부(Ⅱ)를 거쳐 유입된 부산물 및 반응물을 응축시키는 응축기(Ⅱ),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으로부터 유입된 혼합물을 상기 촉매층(Ⅱ) 상부로 이동시키는 순환펌프(Ⅱ)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 및
(4)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증류장치가 구비된 제2정제장치;
를 포함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부터 아릴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각각 두 개의 반응증류 (reactive distillation) 컬럼과 분리컬럼들로 이루어져 있다. 제1반응증류컬럼(2)은 상부의 정제부(Ⅰ)와 하부에 고정된 불균일 촉매층(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을 포함하는 반응물은 촉매층(Ⅰ)의 상부로 주입된다.(1) 이때 상기 반응물인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의 몰비가 0.1 내지 10가 되도록 투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반응촉매는 불균일계 촉매로서, 전이금속산화물(transition metal oxide)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oO3, Ga2O3, V2O5, PbO, ZrO2, TiO2, CdO, Fe2O3, CuO, MgO, Y2O3, Mn3NiO, ZnO, Nd2O3, Co2O3, Ru2O3, Nb2O5, Cr2O3 등을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불균일계 촉매는 실리카 등의 담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저비점의 알킬알코올 및 이와 공비를 이루는 일부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정제부(Ⅰ)를 거친 후 응축기(Ⅰ)(3)에서 액화되어 일부는 정 제부(Ⅰ)로 환류(reflux)되고(4) 나머지는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5)
반응에 필요한 열량은 하부의 열교환기(Ⅰ)(6)를 통해 공급되며, 효율적인 반응을 위해 디알킬카보네이트를 다량 포함한 기상성분은 촉매층(Ⅰ) 하부로 공급되고(7) 나머지 액상은 촉매층(Ⅰ) 상부로 공급된다.(8)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2)에서는 반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열교환기(Ⅰ)를 거친 기상과 액상을 분리하여 각각 촉매층(Ⅰ)의 하부와 상부로 주입되게 하였으며 정제부(Ⅰ)에서는 응축기(Ⅰ)를 통한 환류(reflux)를 통해 대부분의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촉매층(Ⅰ)으로 돌아오고 알킬알코올 및 소량의 디알킬카보네이트만이 컬럼 외부로 배출되게 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반응된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제1반응증류컬럼의 상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층(Ⅰ)에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농도를 항상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높은 수율의 알킬아릴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의 운전압력은 1 내지 10bar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bar이다. 촉매층(Ⅰ)의 온도는 100 내지 300℃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이다. 높은 전환율을 얻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나 200℃ 이상의 온도에서는 알킬아릴에테르의 생성이 증가하여 알킬아릴카보네이트의 수율이 감소한다. 반응물인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비점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고온에서 기화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가압조건에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제부(Ⅰ)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알킬알코올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알킬알코 올의 비점 이상에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고비점의 알킬아릴카보네이트 및 미반응된 아릴알코올, 디알킬카보네이트 등은 열교환기(Ⅰ) 후단의 액상 흐름에서 수위조절법에 의해 일정량 분리되어 디알킬카보네이트 제1분리컬럼(11)으로 이송된다(9). 이때,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제1분리컬럼 전단에는 플래시드럼(10)을 두어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드럼의 운전압력은 제1반응증류컬럼의 운전압력 이하이고, 온도가 10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압력은 하한이 특별히 없으나 플래시 드럼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디알킬카보네이트 외의 성분이 기화되지 않는 정도이면 바람직하고, 통상 상압 정도이면 가능하다. 상기 플래시드럼 및 제1분리컬럼(11)의 상부에서 얻어진 기상성분은 대부분 디알킬카보네이트로서, 응축 후 반응물로 다시 사용된다(12). 디알킬카보네이트의 제1분리컬럼의 하부에서 얻어진 액상은 디알킬카보네이트가 거의 제거된 알킬아릴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서 이는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2반응증류컬럼(14)으로 이송된다(13).
상기에서 미반응된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것은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알킬아릴카보네이트로부터 디아릴카보네이트로의 전환반응을 억제하므로 제2반응증류컬럼에 들어가기 전 최대한 제거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반응증류컬럼과 제2반응증류컬럼의 운전 압력 차이에 착안하여 제1반응증류컬럼의 하부 생성물을 상압에서 운전되는 플래시 드럼 및 제1분리컬럼을 거치게 함으로써 상당한 디알킬카보네이트를 기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 거된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순도가 매우 높으므로 응축하여 제1반응증류컬럼의 반응물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2반응증류컬럼(14)은 열교환기(Ⅱ)를 통한 촉매층 하부로의 이동과정이 제외된 것 외에는 제1반응증류컬럼과 구조가 동일하며 반응물인 알킬아릴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은 촉매층(Ⅱ)의 상부로 주입된다. 반응에 의해 생성된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일부 알킬 알코올은 정제부(Ⅱ)를 거친 후 응축기(Ⅱ) (15)에서 액화되어 일부는 정제부(Ⅱ)로 순환되며(16) 나머지는 첫번째 반응의 반응물로 다시 사용될 수 있다(17).
상기와 같이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연속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알킬아릴카보네이트의 전환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알킬 알코올의 환류순환 및 제거된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첫번째 반응의 반응물로 재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반응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반응증류컬럼(14)의 반응에 필요한 열량은 하부의 열교환기(Ⅱ)를 통해 공급되며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고비점의 디아릴카보네이트 및 미반응의 알킬아릴카보네이트, 아릴알코올은 열교환기(Ⅱ) 후단에서 수위조절법에 의해 일정량 분리되어(18)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정제하기 위한 제2분리컬럼(19)으로 이송된다(18).
상기 제2분리컬럼(19)으로 이송되기 전에 촉매층(Ⅱ)을 통과한 혼합물은 순환펌프(Ⅱ)를 통해 상기 촉매층(Ⅱ) 상부로 환류될 수 있다.
상기 제2반응증류컬럼의 운전압력은 0.1 내지 10bar이고, 촉매층(Ⅱ)의 온도는 100 내지 300℃이며,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이다. 반응에 의해 생성된 디알킬카보네이트가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비점 이상으로 운전되어야 하며 아릴알코올의 끓는점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디아릴카보네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제2분리컬럼(19)에서는 증류를 통해 하부에서 고순도의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얻으며(21) 상부에서 얻어진 알킬아릴카보네이트 및 아릴알코올은 액화되어 두번째 반응의 반응물로 다시 사용된다(20).
이러한 방법을 통해 고수율의 디아릴카보네이트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 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제1반응증류컬럼은 직경 10cm, 높이 3m로 스테인레스 스틸(SUS) 재질로 이루어졌다. 상부에는 직경 6mm의 SUS 링을 충진하였으며 하부에는 1.5kg의 촉매를 충진하였다. 촉매는 실리카에 담지된 TiO2로서 Ti의 함량은 20wt% 였다. 반응물은 1kg/hr의 유량으로 촉매층(Ⅰ) 상부로 주입되었으며 반응물의 조성은 디메틸카보네이트와 페놀의 몰비가 3:1이 되게 하였다. 제1반응증류컬럼의 상부압력은 8kgf/cm2, 온도는 130℃로 유지되었으며 상부에서 얻어진 기체는 응축되어 10:1의 비율로 환류되었다. 상기 촉매층(Ⅰ) 하부에서 얻어진 생성물은 케틀(주전자)형 열교환기(Ⅰ)에서 가열되어 기화된 성분은 촉매층(Ⅰ)의 하부로 투입되었다. 액상은 순환펌프(Ⅰ)를 통해 700mL/min의 유량으로 촉매층(Ⅰ) 상부로 순환되었으며 촉매 층(Ⅰ)의 온도가 180℃가 되도록 열교환기(Ⅰ)의 열량을 조절하였다. 액상의 일부는 콘트롤밸브를 통해 연속적으로 분리되어 열교환기(Ⅰ) 내부의 액위가 일정하도록 하였다. 반응이 안정화되었을 때 정제부(Ⅰ)의 위로는 35g/hr의 응축물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질량비로 메탄올 81%, 디메틸카보네이트 19%였다. 열교환기(Ⅰ) 후단에서는 961g/hr의 액상이 분리되었으며 이의 조성은 메탄올 0.13%, 디메틸카보네이트 68.0%, 페놀 18.0%, 아니졸(anisole) 0.5%, 메틸페닐카보네이트 12.5%, 디페닐카보네이트 0.8%였다. 이 중 아니졸은 메틸페닐카보네이트의 분해반응에 의한 부산물이다. 플래시 드럼은 직경 20cm의 SUS 반응기를 사용하였으며 상압에서 운전되도록 하였다. 플래시 드럼의 상부로는 327g/hr의 기상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질량비로 메탄올 0.2%, 디메틸카보네이트 99.1%, 페놀 0.6%, 메틸페닐카보네이트 0.1%였다. 플래시 드럼 하부에서 얻어진 액상은 630g/hr의 유속으로 분리되어 직경이 4cm이고 12단으로 이루어진 제1분리컬럼으로 주입되었다. 제1분리컬럼은 초자 재질로서 주입구의 위치는 위에서부터 9번째 단이었다. 제1분리컬럼은 상압에서 하부온도가 180℃가 되도록 가열되었으며 이 때 상부온도는 90℃였다. 제1분리칼럼의 하부에서는 306g/hr의 액상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페놀 56.9%, 아니졸 1.0%, 메틸페닐카보네이트 39.6%, 디페닐카보네이트 2.5%였다. 이 액상은 디페닐카보네이트 제조를 위해 제2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Ⅱ) 상부로 주입되었다. 제2반응증류컬럼은 열교환기를 통한 촉매층 하부로의 이동과정이 제외된 것 외에는 제1반응증류컬럼과 구조가 동일하다. 상부압력은 0.7kgf/cm2, 온도는 130℃로 유지되었으며 상부에서 얻어진 기체는 응축되어 10:1의 비율로 환류되었다. 하부 온도 는 열교환기를 통해 180℃로 유지되었다. 반응이 안정화되었을 때 하부로는 277g/hr의 액상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페놀 62.7%, 아니졸 1.6%, 메틸페닐카보네이트 8.7%, 디페닐카보네이트 27.0%였다. 이 액상은 20단으로 이루어진 제2분리컬럼으로 투입되었다. 제2분리컬럼은 초자재질로 주입구의 위치는 위에서 13단이었으며 상부온도 93℃, 압력 0.1kgf/cm2, 하부온도 209℃의 조건에서 운전되었다. 컬럼의 하부로는 75g/hr의 액상이 얻어졌으며 디페닐카보네이트 외의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1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5505630-pat00003
[실시예2]
실시예1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물의 조성을 디메틸카보네이트와 페놀의 몰비가 2:1이 되도록 하였다. 반응물의 유속은 1kg/hr로 동일하다. 반응이 안정화되었을 때 정제부(Ⅰ)의 위로는 36g/hr의 응축물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질량비로 메탄올 83%, 디메틸카보네이트 17%였다. 열교환기(Ⅰ) 후단에서는 958g/hr의 액상이 분리되었으며 이의 조성은 메탄올 0.12%, 디메틸카보네이트 58.7%, 페놀 26.3%, 아니졸 0.5%, 메틸페닐카보네이트 13.4%, 디페닐카보네이트 0.8%였다. 플래시 드럼의 상부로는 283g/hr의 기상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질량비로 메탄올 0.3%, 디메틸카보네이트 99.5%, 페놀 0.2%였다. 플래시 드럼 하부에서는 676g/hr의 액상이 얻어져 제1분리컬럼으로 주입되었다. 상부에서는 283g/hr의 유량으로 99.9%의 디메틸카보네이트가 얻어졌으며 하부에서는 394g/hr의 유속으로 페놀 64.2%, 아니졸 1.2%, 메틸페닐카보네이트 32.8%, 디페닐카보네이트 1.8%의 액상이 얻어졌다. 제2반응증류컬럼의 하부로는 360g/hr의 액상이 얻어졌으며 이의 조성은 페놀 69.5%, 아니졸 1.3%, 메틸페닐카보네이트 7.1%, 디페닐카보네이트 22.0%였다. 제2분리컬럼의 하부로는 80g/hr의 유속으로 99.9%의 디페닐카보네이트가 얻어졌다. 실시예2의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5505630-pat00004
동일한 반응물 유량을 사용하여(1kg/hr) 실시예1에서는 75g/hr, 실시예2에서는 80g/hr의 최종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생성물을 제외한 반응부산물들은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시 반응물로 사용될 수 있는바, 종래에 제시되었던 공정들이 디메틸카보네이트와 페놀의 분리 등 추가적인 정제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에 비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불균일계 촉매 사용 및 반응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두개의 반응증류컬럼을 통하여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부터 고순도의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불균일 촉매 사용함으로써 기존 균일 촉매 사용에 따른 생성물과 촉매의 분리공정이 필요 없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2)

  1.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로부터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을, 상부의 정제부와 하부의 불균일계 촉매층이 구비된 제1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Ⅰ) 상부에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2) 상기 촉매층(Ⅰ)을 통과한 중간 생성물 알킬아릴카보네이트와 미반응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열하여, 기상성분은 상기 촉매층(Ⅰ) 하부로, 액상성분은 촉매층(Ⅰ) 상부로 분리하여 이동시켜 순환시키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액상성분 일부를 수위조절에 의해 제1분리컬럼으로 이동시켜, 디알킬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상부의 정제부와 하부의 불균일계 촉매층이 구비된 제2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Ⅱ) 상부로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촉매층(Ⅱ)을 통과한 혼합물을 제2분리컬럼으로 이동시켜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알킬알코올 및 상기 알킬알코올과 공 비를 이루는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의 정제부 및 응축기를 거친 후, 상기 알킬알코올은 제거하고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제1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Ⅰ) 상부로 환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액상성분 일부를 제1분리컬럼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플래시 드럼을 통해 디아킬카보네이트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상기 (1)단계의 반응물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와 공비를 이루는 알킬알코올은 상기 제2반응증류컬럼의 정제부 및 응축기를 거친 후, 상기 알킬알코올은 제2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Ⅱ) 상부로 환류되고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상기 (1)단계의 제1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Ⅰ) 상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의 촉매층(Ⅱ)을 통과한 혼합물을 상기 제2분리컬럼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촉매층(Ⅱ) 상부로 이동시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의 제2분리컬럼의 상부에서 얻어진 알킬아릴카보네이트 및 아릴알코올은 액화 후 상기 제2반응증류컬럼의 촉매층(Ⅱ) 상부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의 운전압력은 1 내지 10bar이고, 촉매층(Ⅰ)의 온도는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반응물인 디알킬카보네이트와 아릴알코올의 몰비가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드럼의 운전압력이 상압 내지 제1 반응증류컬럼의 운전압력 이 하이고, 온도가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증류컬럼의의 운전압력이 0.1 내지 10bar이고, 촉매층(Ⅱ)의 온도가 10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12. (1) 정제부(Ⅰ)와 불균일계 촉매층(Ⅰ)이 구비된 제1반응증류컬럼, 상기 정제부(Ⅰ)를 거쳐 유입된 부산물 및 반응물을 응축시키는 응축기(Ⅰ),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으로부터 유입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저비점의 기상성분을 촉매층(Ⅰ) 하부로 이동시키는 열교환기(Ⅰ) 및 상기 혼합물 중 액상성분을 상기 촉매층(Ⅰ) 상부로 이동시키는 순환펌프(Ⅰ)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
    (2)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플래시 드럼 및 증류장치가 구비된 분리컬럼(Ⅰ)을 포함하는 제1정제장치;
    (3) 정제부(Ⅱ)와 불균일계 촉매층(Ⅱ)이 구비된 제1반응증류컬럼, 상기 정제부(Ⅱ)를 거쳐 유입된 부산물 및 반응물을 응축시키는 응축기(Ⅱ), 상기 제1반응증류컬럼으로부터 유입된 혼합물을 상기 촉매층(Ⅱ) 상부로 이동시키는 순환펌프(Ⅱ)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 및
    (4) 디아릴카보네이트를 제거하는 증류장치가 구비된 제2정제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장치.
KR1020060087542A 2006-09-11 2006-09-11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11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42A KR101119777B1 (ko) 2006-09-11 2006-09-11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542A KR101119777B1 (ko) 2006-09-11 2006-09-11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533A KR20080023533A (ko) 2008-03-14
KR101119777B1 true KR101119777B1 (ko) 2012-03-23

Family

ID=3939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542A KR101119777B1 (ko) 2006-09-11 2006-09-11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8314B1 (en) * 2011-12-07 2018-05-30 Shell International Research Maatschappij B.V. A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 carbonates
KR102489172B1 (ko) * 2019-07-04 2023-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에스터계 물질의 제조 시스템
KR102150240B1 (ko) * 2019-10-14 2020-09-01 그린케미칼 주식회사 알킬렌카보네이트 제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20210129940A (ko) 2020-04-21 2021-10-29 현영빈 Uv 경화형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특수 인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185B1 (ko) * 2002-02-05 2005-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로마틱 카보네이트 연속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반응장치
KR20060026441A (ko) * 2003-06-26 2006-03-2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알킬 아릴 에테르 및 디아릴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185B1 (ko) * 2002-02-05 2005-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로마틱 카보네이트 연속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반응장치
KR20060026441A (ko) * 2003-06-26 2006-03-23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알킬 아릴 에테르 및 디아릴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533A (ko)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3976B (zh) 製備碳酸二烷酯及烷二醇的方法
US8530700B2 (en) Process for producing acrylic acid
JP4292210B2 (ja) 高純度ジフェニルカーボネートの工業的製造方法
EP1986988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alkanediol and a dialkyl carbonate
KR101651673B1 (ko) 디알킬 카르보네이트로부터의 디아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1930917B1 (ko) 디아릴 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4236205B2 (ja) 高純度ジフェニルカーボネートの工業的製造法
RU253162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лкандиола и диалкилкарбоната
KR101119777B1 (ko) 디아릴카보네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JP4292211B2 (ja) 高純度ジアリールカーボネートの工業的製造方法
EP3218359B1 (en) Preparation of dialkyl esters of 2,5-furandicarboxylic acid
KR100884121B1 (ko) 반응 혼합물로부터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단리 방법
KR20080104145A (ko) 알케인디올 및 디알킬 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CN116547260A (zh) 通过醇转化制备金属醇盐的方法
CN101125795A (zh) 一种甲酸的制备方法
EP2747883B1 (en) Process of formic acid production by hydrolysis of methyl formate
JP3960528B2 (ja) ジメチルカーボネート及びエチレングリコールの製造方法
JP3551685B2 (ja) シュウ酸ジアリールの製法
KR20170129909A (ko) 아릴 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통합된 방법 및 장치
JP2005082501A (ja) 精ベンジル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法
JP2013060429A (ja) 1,4−ブタンジオールの精製方法及びテトラヒドロフラン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