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8144B1 -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144B1
KR101118144B1 KR1020110054585A KR20110054585A KR101118144B1 KR 101118144 B1 KR101118144 B1 KR 101118144B1 KR 1020110054585 A KR1020110054585 A KR 1020110054585A KR 20110054585 A KR20110054585 A KR 20110054585A KR 101118144 B1 KR101118144 B1 KR 10111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jig
edge portion
rectangul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구
Original Assignee
강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구 filed Critical 강성구
Priority to KR102011005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8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의 일면에 절삭공구에 의해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할 시에,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음압을 줌으로써 금속판 양면에 절삭공구에 의해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하여도 상기 장방형의 요구의 바닥면이 볼록하게 솟아 오를 것을 방지하여, 장방형 요부의 형성으로 인한 금속판의 버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타킷판을 장방형의 요부에 삽입장착할 수 있는 금속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jig used to forming rectangle recess on both surfaecs of metal plate and method for forming rectangle recess on both surfaecs of metal plate by the jig}
본 발명은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퍼터링장치에는 금속재질의 타킷판이 금속판에 장착되게 된다.
이 타킷판을 금속판에 삽입 장착하기 위해서는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장방형의 요부의 형성은 절삭공구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장방형의 요부의 점유면적이 상기 금속판의 면적의 4/5 정도를 차지하게 되어, 절삭공구에 의해 상기 금속판에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하게 되면, 장방형의 요부의 바닥면의 두께가 장방형의 요부에 인접한 금속판의 테두리 두께 보다 얇아지게 되어 장방형의 요부의 바닥면이 절삭공구와의 마찰열로 인해 볼록하게 변형되어서, 결국 상기 장방형의 요부에 타킷판을 수납하여 장착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금속판의 일면에 절삭공구에 의해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할 시에, 상기 금속판의 타면에 음압을 줌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금속판 양면에 절삭공구에 의해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하여도 상기 장방형의 요구의 바닥면이 볼록하게 솟아 오르는 것을 방지하여, 장방형 요부의 형성으로 인한 금속판의 버림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타킷판을 장방형의 요부에 삽입장착할 수 있는 금속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타킷판이 수납되어 장착될 본 실시예의 피가공물인 금속판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금속판의 일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본 실시예의 지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금속판의 타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그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은 타킷판이 수납되어 장착될 본 발명의 피가공물 대상인 금속판이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100)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측부에 나사가공된 관통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는 후술하는 가공공정을 통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테두리부(121) 안쪽에 장방형의 요부(122)가 형성되게 되고, 그 다음,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에는 후술하는 가공공정을 통하여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부(131) 안쪽에 장방형의 요부(132)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과 밑면에 장방형의 요부(122, 13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음압부여장치인 한 쌍의 지그가 이용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지그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a)에서 상기 도 1의 (b)로 금속판(100)을 가공할 때, 즉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이 장방형 요부(132)를 갖게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이 장방형 요부(122)을 갖게 가공될 때에 적용되는 제1지그(200)(도 2 및 도 4참조)와 그리고 상기 도 1의 (b)에서 상기 도 1의 (c)로 금속판(100)을 가공할 때, 즉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이 장방형 요부(122)를 갖게 가공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이 장방형 요부(132)을 갖게 가공될 때에 적용되는 제2지그(300)(도 3 및 도 5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지그(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요부(132)가 가공되지 않은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와 맞닿음하는 테두리부(231)를 구비한 윗면(230), 상기 테두리부(231) 안쪽의 전영역에 걸쳐서 형성된 장방형의 요부(232),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와 상기 제1지그(200)의 상기 테두리부(23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서로 마주하게 되는 테두리부(231) 상의 위치에 형성된 나사가공된 관통구멍(210), 상기 관통구멍(210) 보다 안쪽에 배치된 상기 테두리부(231) 상의 위치에 상기 테두리부(231)을 따라 형성된 시일홈(233), 상기 시일홈(233)에 삽입되어 마주하고 있는 금속판(10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시일(234), 상기 장방형의 요부(232)의 바닥면에서 격자패턴을 갖고서 상기 마주하는 금속판(100) 쪽으로 기립 돌출된 복수개의 장방형 단면의 기립봉(235)으로서 윗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테두리부(231)의 높이 레벨과 동일하되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와 상기 제1지그(200)의 상기 테두리부(23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기립봉(23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과 맞닿음될 수 있는 높이 레벨을 가진 상기 기립봉(235), 일단이 상기 기립봉(235)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장방형의 요부(232)의 바닥면 일부에 유통하고 있고 타단이 외부의 음압원(P)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23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지그(3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요부(122)가 가공된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와 맞닿음하는 테두리부(321)를 구비한 윗면(320), 상기 테두리부(321) 안쪽의 전영역에 걸쳐서 형성된 장방형의 요부(322),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와 상기 제2지그(300)의 상기 테두리부(32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서로 마주하게 되는 테두리부(321) 상의 위치에 형성된 나사가공된 관통구멍(310), 상기 관통구멍(210) 보다 안쪽에 배치된 상기 테두리부(321) 상의 위치에 상기 테두리부(321)을 따라 형성된 시일홈(323), 상기 시일홈(323)에 삽입되어 마주하고 있는 금속판(10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시일(324), 상기 장방형의 요부(322)의 바닥면에서 격자패턴을 갖고서 상기 마주하는 금속판(100) 쪽으로 기립 돌출된 복수개의 장방형 단면의 기립봉(325)으로서 위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테두리부(321)의 높이 레벨과 더 높되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와 상기 제2지그(300)의 상기 테두리부(32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기립봉(32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장방형 요부(122)의 바닥면과 맞닿음될 수 있는 높이 레벨을 가진 상기 기립봉(325), 일단이 상기 기립봉(325)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장방형의 요부(322)의 바닥면 일부에 유통하고 있고 타단이 외부의 음압원(P)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32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지그(200, 300) 각각과 상기 금속판(100)의 결합은 볼트를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상기 제1지그(200)의 관통구멍(210) 또는 상기 제2지그(300)의 관통구멍(310)에 삽입하여 체결하면 수행된다.
상기 제1 및 제2지그(200, 300)의 장방형 요부(122, 132) 영역 내에서 상기 금속판과 상기 기립봉(235, 325)의 윗면만이 서로 맞닿음시키기는 이유는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 또는 밑면이 장방형의 요부를 형성시키기 위해 가공될 시에, 장방형의 요부(122, 132)가 형성될 상기 금속판(100)의 면의 이면에 음압이 균일하게 부여되게 하여 상기 장방형의 요부(122, 132) 내에서 그 바닥면이 절삭공구와의 마찰열로 인하여 위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으로 평탄하게 제위치에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기립봉(235, 325)이 없으면, 상기 음압원에 의해 상기 장방형의 요부(122, 132)의 바닥면이 이면쪽으로 오목하게 변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한 쌍의 지그(200)를 가지고서 금속판(100)의 윗면과 밑면에 장방형의 요부(122, 132)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가공될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는 금속판(100)을 마련하다.
그 다음, 상기 제1지그(200)의 윗면(230) 위에, 장방형의 요부(122, 132)가 윗면(120)과 밑면(130)에 형성되지 않은 상기 피가공물인 가공되지 않은 금속판(100)의 밑면(130)을 맞닿음시켜 상기 금속판(100)을 상기 제1지그(200) 위에 탑재시킨다.
그 다음, 볼트를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상기 제1지그(200)의 관통구멍(210)에 삽입하여 체결하여서 상기 제1지그(200)의 테두리부(231)에 마련된 시일(234)이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에 가압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지그(200)의 기립봉(23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과 면접촉되게 한다.
그 다음, 제1지그(200)의 유로(236)와 상기 음압원(P)과 접속시켜,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 형성될 장방형 요부(122)의 이면측과 상기 제1지그(200)의 장방형 요부(232)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 내를 음압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절삭공구로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 테두리부(121)를 제외한 테두리부 안쪽의 영역을 절삭가공하여 장방형의 요부(122)를 형성시킨다.
그 다음, 볼트를 풀어 상기 금속판(100)이 상기 제1지그(200)에 대한 결합을 해제한다.
그 다음, 제2지그(300)의 윗면(320) 위에, 장방형의 요부(122)가 윗면(120)에 형성되어 있고 장방형 요부(132)가 밑면(130)에 형성되지 않은 상기 피가공물인 금속판(100), 즉 상기 결합해제된 금속판(100)의 윗면(120)을 맞닿음시켜 상기 제2지그(300) 위에 상기 금속판(100)을 탑재시킨다.
그 다음, 볼트를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상기 제2지그(300)의 관통구멍(310)에 삽입하여 체결하여서 상기 제2지그(300)의 테두리부(321)에 마련된 시일(324)이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에 가압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지그(300)의 기립봉(32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 형성된 상기 장방형 요부(122)의 바닥면과 면접촉되게 한다.
그 다음, 제2지그(300)의 유로(326)와 상기 음압원(P)과 접속시켜, 상기 금속판(100)의 장방형 요부(122)와 상기 제2지그(300)의 장방형 요부(322)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 내를 음압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절삭공구로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에 테두리부(131)를 제외한 테두리 안쪽의 영역을 절삭가공하여 장방형의 요부(132)를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 및 밑면에 장방형 요부(122, 132)를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시킬 때, 절삭가공되는 면의 이면측이 음압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가공을 통하여 가공되는 장방형 요부의 바닥면이 볼록하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100; 타킷판, 200; 제1음압부여장치, 300; 제2음압부여장치

Claims (3)

  1.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측부에 나사가공된 관통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판(100)의 윗면(120)과 밑면(130)에, 타킷판을 삽입 장착하기 위해, 장방형의 요부(122, 132)를 절삭가공을 통하여 형성하기 위한 음압부여장치인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이 장방형 요부(132)를 갖게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이 장방형 요부(122)을 갖게 가공될 때에 적용되는 제1지그(200)와 그리고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이 장방형 요부(122)를 갖게 가공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이 장방형 요부(132)을 갖게 가공될 때에 적용되는 제2지그(30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지그(200)는, 장방형 요부(132)가 가공되지 않은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와 맞닿음하는 테두리부(231)를 구비한 윗면(230), 상기 테두리부(231) 안쪽의 전영역에 걸쳐서 형성된 장방형의 요부(232),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와 상기 제1지그(200)의 상기 테두리부(23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서로 마주하게 되는 테두리부(231) 상의 위치에 형성된 나사가공된 관통구멍(210), 상기 관통구멍(210) 보다 안쪽에 배치된 상기 테두리부(231) 상의 위치에 상기 테두리부(231)을 따라 형성된 시일홈(233), 상기 시일홈(233)에 삽입되어 마주하고 있는 금속판(10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시일(234), 상기 장방형의 요부(232)의 바닥면에서 격자패턴을 갖고서 상기 마주하는 금속판(100) 쪽으로 기립 돌출된 복수개의 장방형 단면의 기립봉(235)으로서 윗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테두리부(231)의 높이 레벨과 동일하되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와 상기 제1지그(200)의 상기 테두리부(23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기립봉(23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과 맞닿음될 수 있는 높이 레벨을 가진 상기 기립봉(235), 및 일단이 상기 기립봉(235)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장방형의 요부(232)의 바닥면 일부에 유통하고 있고 타단이 외부의 음압원(P)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23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2지그(300)는, 장방형 요부(122)가 가공된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와 맞닿음하는 테두리부(321)를 구비한 윗면(320), 상기 테두리부(321) 안쪽의 전영역에 걸쳐서 형성된 장방형의 요부(322),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와 상기 제2지그(300)의 상기 테두리부(32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서로 마주하게 되는 테두리부(321) 상의 위치에 형성된 나사가공된 관통구멍(310), 상기 관통구멍(210) 보다 안쪽에 배치된 상기 테두리부(321) 상의 위치에 상기 테두리부(321)을 따라 형성된 시일홈(323), 상기 시일홈(323)에 삽입되어 마주하고 있는 금속판(10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시일(324), 상기 장방형의 요부(322)의 바닥면에서 격자패턴을 갖고서 상기 마주하는 금속판(100) 쪽으로 기립 돌출된 복수개의 장방형 단면의 기립봉(325)으로서 위면의 높이 레벨이 상기 테두리부(321)의 높이 레벨과 더 높되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와 상기 제2지그(300)의 상기 테두리부(321)가 맞닿음될 시에 상기 기립봉(32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장방형 요부(122)의 바닥면과 맞닿음될 수 있는 높이 레벨을 가진 상기 기립봉(325), 및 일단이 상기 기립봉(325)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장방형의 요부(322)의 바닥면 일부에 유통하고 있고 타단이 외부의 음압원(P)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326)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지그(200, 300) 각각과 상기 금속판(100)의 결합은 볼트를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상기 제1지그(200)의 관통구멍(210) 또는 상기 제2지그(300)의 관통구멍(310)에 삽입하여 체결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2. 삭제
  3. 제 1항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피가공될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는 금속판(100)을 마련하는 단계,
    제1지그(200)의 윗면(230) 위에, 장방형의 요부(122, 132)가 윗면(120)과 밑면(130)에 형성되지 않은 피가공물인 가공되지 않은 금속판(100)의 밑면(130)을 맞닿음시켜 상기 금속판(100)을 상기 제1지그(200) 위에 탑재시키는 단계,
    볼트를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상기 제1지그(200)의 관통구멍(210)에 삽입하여 체결하여서 상기 제1지그(200)의 테두리부(231)에 마련된 시일(234)이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의 테두리부(131)에 가압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지그(200)의 기립봉(23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과 면접촉되게 하는 단계,
    제1지그(200)의 유로(236)와 음압원(P)과 접속시켜,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 형성될 장방형 요부(122)의 이면측과 상기 제1지그(200)의 장방형 요부(232)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 내를 음압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절삭공구로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 테두리부(121)를 제외한 테두리부 안쪽의 영역을 절삭가공하여 장방형의 요부(122)를 형성시키는 단계,
    볼트를 풀어 상기 금속판(100)이 상기 제1지그(200)에 대한 결합을 해제하는 단계,
    제2지그(300)의 윗면(320) 위에, 장방형의 요부(122)가 윗면(120)에 형성되어 있고 장방형 요부(132)가 밑면(130)에 형성되지 않은 상기 피가공물인 금속판(100)의 윗면(120)을 맞닿음시켜 상기 제2지그(300) 위에 상기 금속판(100)을 탑재시키는 단계,
    볼트를 상기 금속판(100)의 관통구멍(110)과 상기 제2지그(300)의 관통구멍(310)에 삽입하여 체결하여서 상기 제2지그(300)의 테두리부(321)에 마련된 시일(324)이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의 테두리부(121)에 가압접촉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2지그(300)의 기립봉(325)의 윗면이 상기 금속판(100)의 윗면(120)에 형성된 상기 장방형 요부(122)의 바닥면과 면접촉되게 하는 단계,
    제2지그(300)의 유로(326)와 상기 음압원(P)과 접속시켜, 상기 금속판(100)의 장방형 요부(122)와 상기 제2지그(300)의 장방형 요부(322)에 의해 구획형성된 공간 내를 음압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절삭공구로 상기 금속판(100)의 밑면(130)에 테두리부(131)를 제외한 테두리 안쪽의 영역을 절삭가공하여 장방형의 요부(132)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20110054585A 2011-06-07 2011-06-07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KR10111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85A KR101118144B1 (ko) 2011-06-07 2011-06-07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585A KR101118144B1 (ko) 2011-06-07 2011-06-07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8144B1 true KR101118144B1 (ko) 2012-03-26

Family

ID=4614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585A KR101118144B1 (ko) 2011-06-07 2011-06-07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81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949A (ja) * 1995-10-27 1997-05-20 Samsung Aerospace Ind Ltd 真空チャック
JP2002210624A (ja) * 2001-01-19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ー式クランプ装置
KR100653430B1 (ko) * 2006-03-08 2006-12-04 조성화 그라파이트 박판의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4949A (ja) * 1995-10-27 1997-05-20 Samsung Aerospace Ind Ltd 真空チャック
JP2002210624A (ja) * 2001-01-19 2002-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アー式クランプ装置
KR100653430B1 (ko) * 2006-03-08 2006-12-04 조성화 그라파이트 박판의 지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136B1 (ko) 밀링 클램프 조립체
KR101484035B1 (ko) 공구측면 클램핑툴
KR20130084206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방법
US20100319899A1 (en) Heat sink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20160136405A (ko) 반도체 소자용 지지체 및/또는 클립, 반도체 부품, 및 제조 방법
JP2015093343A (ja) ワークのびびり防止治具
KR20140108186A (ko) 인서트 및 이를 장착하는 공구 홀더
JP2013245513A (ja) 外壁板取付金具および外壁板取付構造
KR101118144B1 (ko)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킬 때 사용되는 지그 및 이 지그를 이용하여 금속판의 양면에 장방형 요부를 형성시키는 방법
JP6288260B2 (ja) 脆性基板の分断方法
JP2018527757A5 (ko)
JP2007007829A (ja) プレス金型
JP2013072460A (ja) 固定具
KR101575169B1 (ko) 릴리프 가공용 3코너 절삭인서트
TWM460074U (zh) 可調式料件輸送軌道結構
KR101518042B1 (ko) 대면적 피가공물 고정용 보조지그
KR101430421B1 (ko) 목금형
JP6984237B2 (ja) トムソン刃ユニット及びそのトムソン刃の高さ調整方法
KR101420912B1 (ko) 공작물 클램핑 베드 및 이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클램핑 하는 방법
KR200475774Y1 (ko) 절삭 가공용 바이스
CN209970875U (zh) 一种用于流量开关打孔的专用夹具
TW201522885A (zh) 熱管及基座固定結構
JP6506963B2 (ja) 切断方法及びこの切断方法で得たワーク
KR101679002B1 (ko) 프레스를 이용하는 면취 장치
KR101967834B1 (ko) 복합패널의 브이홈 가공용 툴 및 브이홈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