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714B1 - 시트 재 - Google Patents

시트 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714B1
KR101116714B1 KR1020097010636A KR20097010636A KR101116714B1 KR 101116714 B1 KR101116714 B1 KR 101116714B1 KR 1020097010636 A KR1020097010636 A KR 1020097010636A KR 20097010636 A KR20097010636 A KR 20097010636A KR 101116714 B1 KR101116714 B1 KR 10111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lap
tissue
fabric
knitted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669A (ko
Inventor
데쓰오 야마구치
나오아키 곤타니
Original Assignee
호쿠리쿠 에스티알 교도구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쿠리쿠 에스티알 교도구미아이 filed Critical 호쿠리쿠 에스티알 교도구미아이
Publication of KR2009007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6Use of three-dimensional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1One hairy surface, e.g. napped or rai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5Nap typ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입체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를 개시한다. 입체 편직물은, 기모가 행해진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가지는 표면 천 조직과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가지는 배면 천 조직과, 상기 표면 천 조직과 상기 배면 천 조직을 연결하는 연결 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재{SHEET MATERIAL}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이나 가구인 의자의 시트 면이나 키도 등받이 면 등에 쿠션성이 있는 지지면으로서 적용되는 입체 편직물(knitted fabric)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좌석 구조에 있어서의 시트 면이나 등받이는, 사용자의 몸을 유연하게 지지하기 위해 폴리우레탄 폼 등의 패드를 내포하고 있고, 이것을 천이 덮고 있다. 최근, 폴리우레탄 폼 등의 패드에 의하지 않고, 그 자체가 유연한 지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편직 천으로서 2면식 경편직물이 제안되어 있다. 2면식 경편직물은, 표면 천 조직과 배면 천 조직,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실(連結絲)로 이루어지는 입체 편직물이며, 그 제조에는 공지된 더블 러셀기를 이용할 수 있다. 표면 천 조직은, 통상, 심미적 관점에서 기모(起毛) 처리가 행해져서 보풀이 외측으로 팽출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3136342호는 이에 대한 관련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전술한 입체 편직물은, 두께 방향이나 전단(剪斷)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변형된다. 그러므로, 그 편직 조직은, 특히 연결 실에 관하여, 입체 편직물의 형상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연구되어야만 한다. 한편, 연결 실의 표면 천 조직과의 랩핑(wrapping)은, 기모 처리 시에 기모 침 등의 기모 수단의 걸림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랩의 방향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기모의 방해 또는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다. 즉, 형상의 안정성에만 주목한 편직 조직은, 결과적으로 보풀의 불균일성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서, 형상의 안정성과 보풀의 균일성을 양립할 수 있는 편직 조직을 가지고, 공지된 더블 러셀기에 의하여 제조 가능한 시트 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시트 재는 입체 편직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체 편직물은, 기모가 행해진 오픈 루프(open loop)의 편직 조직을 가지는 표면 천 조직과,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가지는 배면 천 조직과, 상기 표면 천 조직과 상기 배면 천 조직을 연결하는 연결 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체 편직물은 뜨개 바늘(knittig needle)에 대하여 가이드의 제0 위치로부터 제7 위치를 가지는 더블 러셀기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표면 천 조직은, 제1 실을,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제4 위치로부터 제3 위치, 제5 위치로부터 제4 위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에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상기 제0 위치로 언더랩한 후, 제0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4 위치로 언더랩하여 형성된 가장 외측의 편직 조직과 제2 실을, 제0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2 위치로 언더랩한 후,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오버랩한 후, 제0 위치로 언더랩하여 형성된 외측으로부터 2번째의 편직 조직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실은, 제4 위치로부터 제5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5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언더랩한 후, 제1 위치로부터 제0 위치로 오버랩한 후, 제0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언더랩한 후,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6 위치로 언더랩한 후, 제6 위치로부터 제7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7 위치로부터 제4 위치로 언더랩하여 형성된 편직 조직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실은, 상기 표면 천 조직 및 상기 배면 천 조직과 루프를 가지고, 상기 표면 천 조직의 가장 외측의 편직 조직을 구성하는 실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같은 방향으로 언더랩하고, 상기 표면 천 조직의 외측으로부터 2번째의 편직 조직을 구성하는 실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반대 방향으로 언더랩하여, 두 바늘이상 바느질하여 편성되어 있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실은, 폴리아미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를 제조하기 위한 더블 러셀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시트 재의 편직 조직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실 상태를 중첩하여 나타낸 상기 시트 재의 편직 조직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과 같은 공지의 더블 러셀기에 의해 실시 가능하다. 도 1에 예시된 더블 러셀기는,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의 바늘대(7, 8)와, 각각 전부 및 후부의 열 F, B를 이루는 뜨개 바늘(9, 10)과, 실(11~16)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 L1~L6를 구비한다. 각 가이드 L1~L6는, 위치 번호 0를 기점으로 하여 위치 번호 0, 1, 2, 3, 4, 5, 6, 7의 위치로 이동하여 실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동에 의해 뜨개 바늘과 연계하여 실을 편직 조직으로 편성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시트 재는, 입체 편직물이며, 표면 천 조직(60)과, 배면 천 조직(70)과, 표면 천 조직(60)과 배면 천 조직(70)을 연결하는 연결 실(80)로 이루어진다. 연결 실(80)은 표면 천 조직(60) 및 배면 천 조직(70)에 대하여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가진다. 상기 표면 천 조직은, 기모 처리가 행해져서 보풀을 외측으로 팽출한다.
표면 천 조직(60)을 형성하는 실(11, 12)은, 가이드 L1, L2를 통과하고, 배면 천 조직(70)을 형성하는 실(15, 16)은 가이드 L5, L6를 통과한다. 표면 천 조직(60)과 배면 천 조직(70)을 연결하는 연결 실(80)이 되는 실(13, 14)은, 가이드 L3, L4를 통과한다.
도 2는 공지된 편직 조직의 표현 방법에 따라 상기 입체 편직물를 표시한 것으로서, 도 3은 그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 중에서, 흑점은 각 뜨개 바늘(9, 10)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면 중의 0 내지 7은 뜨개 바늘의 위치 번호이다. F 및 B는 뜨개 바늘 열 F 및 B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의 하방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참조하면, 실(11)은 가이드 L1에 의해 전부(前部) 뜨개 바늘 열 F에 대하여 위치 번호 4로부터 3으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0로 언더랩하고, 또한 위치 번호 0로부터 1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4로 언더랩한다. 이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고,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실(11)은, 표면 천 조직(60)의 가장 외측에,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형성하여 편성된다. 그리고, 실(11)은 위치 번호 4로부터 3으로 오버랩하는 대신, 위치번호 3으로부터 2, 또는 위치번호 5로부터 4로 오버랩하여 편성해도 된다.
실(12)은, 가이드 L2에 의해 전부 뜨개 바늘 열 F에 대하여 위치 번호 0로부터 1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2로 언더랩하고, 위치 번호 2로부터 1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0에 언더랩한다. 이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실(12)은, 표면 천 조직(60)의 외측으로부터 2번째에,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형성하여 편성된다.
도 2의 중단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참조하면, 실(13, 14)은, 각각 가이드 L3, L4에 의해, 위치 번호 4로부터 5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5로부터 1로 언더랩하고, 위치 번호 1로부터 0로 오버랩하고, 위치 번호 0로부터 3으로 언더랩하고, 위치 번호 3으로부터 2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2로부터 6으로 언더랩하고, 위치 번호 6으로부터 7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7로부터 4로 언더랩한다. 이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실(13, 14)은 각각 닫고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형성하여, 표면 천 조직(60)과 배면 천 조직(70)을 연결하는 연결 실(80)이 된다.
도 2의 상측을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참조하면, 실(15)은, 가이드 L5에 의해 후부 뜨개 바늘 열 B에 대하여 위치 번호 0로부터 1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2로 언더랩하고, 위치 번호 2로부터 1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0로 언더랩한다. 이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여,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실(15)은, 배면 천 조직(70)의 외측으로부터 2번째에,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형성하여 편성된다.
실(16)은, 가이드 L6에 의해 후부 뜨개 바늘 열 B에 대하여 위치 번호 3으로부터 2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0로 언더랩하고, 위치 번호 0로부터 1로 오버랩하고, 스윙 아웃하여 위치 번호 3으로 언더랩한다. 이를 하나의 사이클로 하고, 상기 사이클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실(16)은, 배면 천 조직(70)의 가장 외측에,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형성하여 편성된다.
전술한 순서에 따라 편성된 입체 편직물은, 표면 천 조직(60)으로부터 보풀이 팽출하도록, 공지된 기모 처리를 받는다.
이상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11, 12, 15, 16)로 이루어지는 표면 천 조직(60) 및 배면 천 조직(70)은, 모두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가진다. 표면 천 조직(60)에서 외측으로부터 2번째의 실(12)은, 위치 번호 0로부터 1로 오버랩할 때, 연결 실(80)을 구성하는 실(13)은 위치 번호 4로부터 5로 오버랩한다. 즉, 실(12)과 실(13)은 같은 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실(12)은 실(13)의 배면 측에 숨어 있다. 또한, 표면 천 조직(60)에서 가장 외측인 실(11)은, 위치 번호 4로부터 3으로 오버랩할 때, 실(12)과는 반대 방향이 되므로, 표면 천 조직(60)의 표면에 노출된다. 따라서, 실(12)은 실(11)보다 외측으로 나오지 않게 된다.
연결 실(13, 14)은 모두, 표면 천 조직(60) 및 배면 천 조직(70)과 루프를 형성하여 편성된다. 또한, 연결 실(13, 14)은, 표면 천 조직(60)에서 가장 외측의 편직 조직을 구성하는 실(11)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버랩하면서 같은 방향으로 언더랩하므로, 실(11)보다 외측으로 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연결 실(13, 14)은 모두 2바늘 이상 바느질하여 용이하게 넘어지며, 입체 편직물의 쿠션성에 기여한다.
즉, 실(11)과 연결 실(13, 14) 모두, 실(11)보다 외측으로 나오지 않으므로, 기모 수단에 걸리지 않게 된다. 실(11)은 항상 표면 천 조직(6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균일한 기모가 가능하다.
실(11, 12, 13, 14, 15, 16)에는, 모두 적절한 실이 적용 가능하며, 한정되지 않지만, 면 등의 천연 섬유나, 나일론, 아라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 아크릴계 등의 합성 섬유가 적용될 수 있다. 표면 천 조직(60) 및 배면 천 조직(70)을 구성하는 실(11, 12, 15, 16)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바람직하지만, 연결 실(80)이 되는 실(13, 14)에는 강도와 탄성 회복성이 보다 우수한 섬유를 적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섬유는 모노필라멘트 실, 멀티 필라멘트 실 내지 집속 실(集束絲)로서 적용할 수 있지만, 모노필라멘트로서 적용하는 것 은, 강도와 탄성 회복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실(11, 12, 15, 16)도, 모노필라멘트 실, 멀티 필라멘트 실 내지 집속 실을 적용할 수 있지만, 멀티 필라멘트 실 내지 집속 실은, 기모에 유리하고, 편직물면의 열화를 적게 한다. 특히 가급적 다수의 모노필라멘트를 집속하는 것은, 쿠션성 및 스프링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어떠한 굵기의 실에서도 적용할 수 있지만, 기모된 표면의 심미적 관점에서는, 120~200 데니어 범위의 굵기가 바람직하며, 150 데니어 정도의 굵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편성 시에 실에 부가되는 장력은, 특히 가이드 L1에 의한 표면 천 조직(60)의 기모의 편의를 고려하면, 가급적 저 장력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통상보다 다량의 실을 피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00g/m2 이상을 목표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250g/m2정도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표면(기모면)의 바디 2개분의 중량은 300g/m2정도가 바람직하여, 150g/m2정도가 더 바람직하다.
편성 후의 입체 편직물의 두께는, 쿠션성 및 탄성의 관점에서 소정 이상일 필요가 있지만, 너무 두꺼우면 경제성을 해치므로, 3~10mm정도가 바람직하며, 5~8mm정도가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개시 내용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기술을 가진 사람이, 실시예의 수정 내지 변형에 의해 본 발명을 행할 수 있다.
형상의 안정성과 보풀의 균일성을 양립할 수 있는 편직 조직을 가지고, 공지된 더블 러셀기에 의한 제조가 가능한, 차량의 좌석이나 가구인 의자의 시트 면이나 등받이 면 등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시트 재가 제공된다.

Claims (4)

  1. 기모(起毛)가 행해진 오픈 루프(open loop)의 편직 조직을 가지는 표면 천 조직;
    오픈 루프의 편직 조직을 가지는 배면 천 조직; 및
    상기 표면 천 조직과 상기 배면 천 조직을 연결하는 연결 실(連結絲)
    을 포함하는 입체 편직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직물은 뜨개 바늘에 대하여 가이드의 제0 위치 내지 제7 위치를 가지는 더블 러셀기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표면 천 조직은,
    제1 실을,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 제4 위치로부터 상기 제3 위치, 제5 위치로부터 상기 제4 위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에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상기 제0 위치로 언더랩한 후, 상기 제0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상기 제4 위치로 언더랩하여 형성된 가장 외측의 편직 조직; 및
    제2 실을, 제0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2 위치로 언더랩한 후,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오버랩한 후, 상기 제0 위치로 언더랩하여 형성된 외측으로부터 2번째의 편직 조직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실은, 제4 위치로부터 제5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제5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언더랩한 후,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0 위치로 오버랩한 후, 상기 제0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언더랩한 후,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제6 위치로 언더랩한 후, 상기 제6 위치로부터 제7 위치로 오버랩한 후, 스윙 아웃하여 상기 제7 위치로부터 상기 제4 위치로 언더랩하여 형성된 편직 조직을 포함하는, 시트 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실은, 상기 표면 천 조직 및 상기 배면 천 조직과 루프를 가지고, 상기 표면 천 조직의 가장 외측의 편직 조직을 구성하는 실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같은 방향으로 언더랩하며, 상기 표면 천 조직의 외측으로부터 2번째의 편직 조직을 구성하는 실에 대하여 같은 방향으로 오버랩하고, 반대 방향으로 언더랩하고, 두 바늘 이상 바느질하여 편성되어 있는, 시트 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실은, 폴리아미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모노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시트 재.
KR1020097010636A 2006-11-17 2007-11-16 시트 재 KR101116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37606 2006-11-17
JP2006337606A JP4352413B2 (ja) 2006-11-17 2006-11-17 シート材
PCT/JP2007/072255 WO2008059947A1 (fr) 2006-11-17 2007-11-16 Matériau en feu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669A KR20090071669A (ko) 2009-07-01
KR101116714B1 true KR101116714B1 (ko) 2012-02-22

Family

ID=3940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636A KR101116714B1 (ko) 2006-11-17 2007-11-16 시트 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00055381A1 (ko)
EP (1) EP2105525A4 (ko)
JP (1) JP4352413B2 (ko)
KR (1) KR101116714B1 (ko)
CN (1) CN101535544B (ko)
AU (1) AU2007320383B2 (ko)
BR (1) BRPI0719087B1 (ko)
CA (1) CA2669525C (ko)
MX (1) MX2009005204A (ko)
WO (1) WO2008059947A1 (ko)
ZA (1) ZA200903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63417B2 (ja) * 2011-10-21 2016-08-03 セーレン株式会社 起毛立体経編地の製造方法
CN103205859B (zh) * 2012-01-16 2014-08-06 杜邦公司 包括聚对苯二甲酸丙二酯的经编织物
FR3008281B1 (fr) * 2013-07-15 2015-07-31 Chantelle Coque de soutien-gor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02015212510A1 (de) * 2015-07-03 2017-01-05 Johnson Controls Gmbh Kopfstützenkörper und Kopfstütze
CN105926148A (zh) * 2016-04-25 2016-09-07 吴江市江顺经编纺织有限公司 一种经编双针床不脱毛面料的编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666A (ja) * 1989-09-28 1991-05-15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式
JP3113666B2 (ja) * 1989-05-26 2000-12-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改善又は関連
KR200378068Y1 (ko) * 2004-12-20 2005-03-14 정재균 더블 라셀 기모직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3666U (ko) * 1989-10-23 1991-11-20
KR960700369A (ko) 1993-10-27 1996-01-20 오노 고타로 이면식 경 편포의 편성 방법 및 그 편물 구조
DE4400239A1 (de) * 1994-01-07 1995-07-13 Mayer Textilmaschf Abstandsgewirk,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Kettenwirk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783277A (en) * 1997-04-17 1998-07-21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hree-dimensional knit spacer fabric for footwear and outerwear
US6196032B1 (en) * 1998-08-12 2001-03-06 Malden Mills Industries, Inc. Double face warp knit fabric with two-side effect
US7238632B2 (en) * 2000-06-30 2007-07-03 Seiren Co., Lt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aterial
US6644070B2 (en) * 2001-03-29 2003-11-1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Three-dimensional fabric for seat
US6837078B1 (en) * 2004-04-13 2005-01-04 Malden Mills Industries, Inc. Knit fabrics with face-to-back differentiation
JP3113666U (ja) * 2005-06-14 2005-09-15 北陸エステアール協同組合 車両等のシート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666B2 (ja) * 1989-05-26 2000-12-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改善又は関連
JPH03113666A (ja) * 1989-09-28 1991-05-15 Hitachi Ltd 計算機システムの運転制御方式
KR200378068Y1 (ko) * 2004-12-20 2005-03-14 정재균 더블 라셀 기모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55381A1 (en) 2010-03-04
WO2008059947A1 (fr) 2008-05-22
AU2007320383A1 (en) 2008-05-22
CA2669525C (en) 2013-04-09
MX2009005204A (es) 2009-05-27
CA2669525A1 (en) 2008-05-22
EP2105525A1 (en) 2009-09-30
CN101535544A (zh) 2009-09-16
KR20090071669A (ko) 2009-07-01
BRPI0719087B1 (pt) 2017-12-19
CN101535544B (zh) 2012-06-27
AU2007320383B2 (en) 2011-09-22
BRPI0719087A2 (pt) 2013-12-03
JP4352413B2 (ja) 2009-10-28
EP2105525A4 (en) 2015-08-12
ZA200903404B (en) 2010-08-25
JP2008127730A (ja)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2932B (zh) 内饰材料用表皮材料
JP5342974B2 (ja) 経編地及び筒状経編地とその製造方法
KR101116714B1 (ko) 시트 재
CN110042551A (zh) 一种不易卷边和任意裁面料
JP5412054B2 (ja) 衣料用経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衣料用経編地の編構造
CN113338046A (zh) 合成皮革
CN112352073B (zh) 圆型针织物
JP2008069498A (ja) 二重編地
CN110699841A (zh) 一种puff结构三色面料及其制备工艺
JP3113666U (ja) 車両等のシート材
JPH02118143A (ja) 弾性一重丸編地
JPH0827650A (ja) 伸縮性弾性経編地
JP3614831B2 (ja) 柄模様入り編レースおよび製造方法
JP7132325B2 (ja) 高性能ウールブレンドファブリック
JP5142064B2 (ja) 身体支持用弾性経編布帛
JP4317481B2 (ja) 厚手伸縮性経編地とその製造方法
JPH0434052A (ja) 伸縮性経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98252B1 (en) Snag-resistant matte-effect warp-knitted textile fabric for activewear apparel
JPH04263657A (ja) 経編物およびこれを編む方法
RU2244050C1 (ru) Кулирный двойной высокоэластичный трикотаж
JP7152044B2 (ja) 衣類
CN219772406U (zh) 一种32针精密编织经编网布
JP7133920B2 (ja) 伸縮性経編地及びこれを用いた衣料
JP3394743B2 (ja) 紐状のレース地
JPH03275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