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687B1 -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687B1
KR101116687B1 KR1020110093726A KR20110093726A KR101116687B1 KR 101116687 B1 KR101116687 B1 KR 101116687B1 KR 1020110093726 A KR1020110093726 A KR 1020110093726A KR 20110093726 A KR20110093726 A KR 20110093726A KR 101116687 B1 KR101116687 B1 KR 10111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ash
lithium
eluate
seawater
co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주
이재철
황수연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6/00Obtaining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C22B26/10Obtaining alkali metals
    • C22B26/12Obtaining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20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 C22B3/22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 C22B3/24Treatment or purification of solutions, e.g. obtained by leaching by physical processes, e.g. by filtration, by magnetic means, or by thermal decomposition by adsorption on solid substances, e.g. by extraction with solid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추출 방법은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한 후 석탄회 용출액으로부터 이온교환 흡착법, 용매추출법, 공침법과 같은 방법으로 리튬을 회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물은 해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해수 100㎖당 석탄회가 100g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석탄회를 이용하여 리튬을 추출하므로 석탄회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고가의 리튬을 저렴한 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의 농도를 높여 리튬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A method for extracting lithium from coal ash}
본 발명은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한 후, 이로부터 이온교환 흡착법, 용매추출법, 공침법 등과 같은 방법으로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원료로 하여 발전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석탄의 연소효과를 높이기 위해 석탄을 소정의 크기로 분쇄한 미분탄을 제조하여 보일러에서 연소시킨다. 석탄의 연소 결과 발생되는 석탄회(coal ash)는 전기집진기 등과 같은 집진 장치에 포집되는 비산재(fly ash)와 바닥에 침착되는 바닥재(bottom ash)를 포함한다.
최근까지 각 발전소는 석탄회의 대부분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매립장의 부족, 분진 발생 등의 문제로 인해서 각 발전소는 매립처리방식을 지양하고 석탄회를 재활용하는 쪽으로 처리방식을 바꾸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석탄회 재활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단말기 및 전기자동차 등의 발달에 따라 배터리로 사용 가능한 금속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급증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에 따라 핵심원료인 리튬(lithium)의 소모량도 급증하고 있다. 또한 리튬은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기대되는 핵융합 발전시 삼중수소 증식에도 이용되기 때문에, 리튬에 대한 수요는 향후에도 계속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해수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현재 상용화를 추진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해수에서 리튬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리튬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를 이용한다. 그러나 해수에는 Mg2+가 Na+ 다음으로 많은 약 1290ppm이나 용존되어 있는데, 이러한 Mg2+에 의해 리튬의 흡착이 방해를 받아 해수 내 리튬의 추출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해수에 용존된 리튬 이온(Li+)의 농도가 평균 170ppb 정도로 매우 낮아, 이를 흡착하여 리튬을 회수하기에는 많은 양의 해수를 처리해야 하며, 이는 처기 시간과 비용이 증가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석탄회로부터 고농도의 리튬 용액을 만들어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석탄회 용출액의 리튬 이온 농도를 높여 석탄회로부터 리튬의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은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석탄회 용출액으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석탄회 용출액으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단계는 석탄회 용출액에 흡착제를 투입하여 석탄회 용출액에 용존하는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단계 및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를 산처리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석탄회와 반응하는 물은 해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해수 100㎖당 석탄회 100g 이상을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제조된 석탄회 용출액을 반복하여 석탄회와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에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밀폐된 공간에서 실시하여 이산화탄소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되는 석탄회를 이용하여 리튬을 추출하므로 석탄회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는 동시에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리튬을 저렴한 비용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탄회를 해수와 반응시키거나, 석탄회와 물의 반응 비율을 조절하거나, 석탄회 용출액을 반복하여 새로운 석탄회와 반응시키거나, 석탄회 용출액 제조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리튬 이온의 농도를 높여 리튬 추출 수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석탄회 1, 5, 10, 50, 100g을 각각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증류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 흡착법에 따라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석탄회 10, 50, 100, 200g을 각각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해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석탄회 10, 50, 100, 200g을 각각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해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2는 석탄회 1, 5, 10, 50, 100g을 각각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증류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한다(S1100).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물에 석탄회를 직접 투입하여 용해시키는 방법, 석탄회에 물을 통과시켜 용해시키는 방법, 흐르는 물에 석탄회를 이송하여 투입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석탄회 용출액에서 리튬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 석탄회 1, 5, 10, 50, 100g을 각각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증류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다. 석탄회는 태안화력 발전소에서 발생된 석탄회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이산화탄소를 폭기한 것은 물의 pH를 낮춤으로써 석탄회 용출액이 방해석(CaCO3), 백운석(Ca0.5Mg0.5CO3)과 같은 탄산염광물에 대하여 가능한 한 불포화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실험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회 1g을 증류수 200㎖와 반응시킨 경우 리튬의 용출량은 3.5㎍정도이며, 용출된 리튬의 양은 석탄회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해수에 녹아있는 리튬의 농도는 0.17㎎/ℓ인데, 석탄회 용출액에 석탄회를 많이 넣는 경우 해수보다 많은 리튬을 함유한 용출액을 만들 수 있다. 도 2에서도 석탄회가 10g만 넣어도 리튬의 농도가 약 0.2㎎/ℓ로 해수보다 높은 리튬의 농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석탄회 용출액 내 리튬의 농도가 높을수록 리튬의 추출 수율이 높아지므로 경제성이 높다.
또한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튬의 농도가 석탄회 양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므로 가능한 많은 양의 석탄회와 반응시키는 경우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석탄회와 반응한 용출액을 다시 새로운 석탄회와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의 리튬 농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석탄회 용출액이 제조되면, 이로부터 리튬을 추출한다(S1200). 석탄회 용출액으로부터 리튬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온교환 흡착법, 용매추출법, 공침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중에서 매우 높은 선택도를 가진 이온교환 특성을 지닌 망간 산화물계 무기물 흡착체를 이용한 리튬 추출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망간 산화물계 무기 흡착제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망간 산회물계 무기물 흡착제가 개발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 흡착법에 따라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 흡착법에 따라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한다(S3100). 이에 대한 내용은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석탄회 용출액이 제조되면, 석탄회 용출액에 흡착제를 투입하여 석탄회 용출액에 용존하는 리튬 이온을 흡착한다(S3200). 흡착제는 망간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리튬에 대해 우수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는 망간 산화물을 흡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망간 산화물을 흡착제로 사용하는 경우가 알루미늄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리튬 흡착율이 더 높다.
본 실시예에서 망간 산화물은 리튬과 수소와의 선택적인 이온 교환이 가능한 망간 산화물이면 제한되지 않고 흡착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피넬형 망간 산화물로써, 리튬을 함유한 이산화망간 화합물을 제조한 뒤 약 700℃의 열처리함으로써 스피넬 구조의 LiMn2O4 화합물을 합성하고 이를 산처리하여 리튬 이온을 침출시킴으로써 리튬 이온반경에 해당하는 홀을 형성한 스피넬형 망간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흡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흡착제를 투입한 석탄회 용출액을 교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흡착제를 투입한 석탄회 용출액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흡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흡착제가 리튬 이온을 흡착하면,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를 산처리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한다(S3300). 리튬 이온 탈착에는 염산, 질산, 황산 등의 강산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 석탄회가 많이 발생되는 화력발전소는 냉각수 확보를 위하여 해안가에 건설되는 경우가 많아, 해수를 이용하여 석탄회를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석탄회가 처리되는 애쉬 폰드(ash pond)의 물은 해수처럼 염분의 농도가 높다. 이에 석탄회를 해수와 반응시킨 경우의 석탄회 용출액 내 리튬 이온의 농도를 조사하여 애쉬 폰드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1
석탄회 10, 50, 100, 200g을 각각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해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때 사용한 해수는 군산의 비응도에서 채취한 해수를 사용하였다. 비응도 해수와 일반 해수의 성분 비교는 표 1과 같다.
pH Ca2+(ppm) Mg2+(ppm) Li+(ppm)
비응도 해수 7.84 204 912 0.227
일반 해수 8.0-8.1 411 1290 0.180
실시예 1에 따른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석탄회 10, 50, 100, 200g을 각각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해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회를 해수와 반응시키는 경우에도 석탄회 양이 증가함에 따라 리튬의 농도가 선형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석탄회를 해수와 반응시킨 애쉬 폰드의 물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제로 서천 화력발전소의 애쉬 폰드에서 리튬 농도를 조사한 결과 리튬의 농도는 1.93~2.85ppm으로 일반 해수보다 10~17배 가량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다만, 해수에는 마그네슘 이온(Mg2+)이 1290ppm 용존되어 있는데 이는 나트륨 이온(Na+) 다음으로 많은 것이다. 마그네슘 이온은 리튬 이온과 비교할 때 이온 사이즈가 같아서 리튬 이온 흡착시 리튬 이온과 함께 마그네슘 이온도 흡착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리튬 이온의 흡착 효율이 낮아진다.
이에 석탄회와 해수의 비율에 따라 석탄회 용출액 내의 마그네슘 이온과 리튬 이온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석탄회 투입량에 따른 석탄회 용출액 내의 pH, Ca2+, Mg2+, Li+의 농도는 표 2와 같다. 표 2는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수행한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이다.
석탄회 투입량 pH Ca2+(ppm) Mg2+(ppm) Li+(ppm)
10g 6.22 284 936 0.62
50g 6.24 533 941 0.85
100g 7.80 944 894 1.62
200g 8.17 2310 42 3.14
표 2를 보면 해수에 대한 석탄회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석탄회 용출액 내 마그네슘 이온(Mg2+)의 농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석탄회와 해수의 혼합비가 200g:200㎖일 때 마그네슘 이온의 농도는 42ppm으로 줄었으며, 이는 해수 원수기준으로 95.4%의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결과이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폭기하는 경우는 해수 100㎖당 석탄회가 100g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리튬 이온의 농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석탄회 용출액 내의 마그네슘 이온의 농도를 낮춰 리튬 이온 흡착시 리튬 이온의 흡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
지금까지의 실험은 물의 pH를 낮춤으로써 석탄회 용출액이 방해석(CaCO3), 백운석(Ca0.5Mg0.5CO3)과 같은 탄산염광물에 대하여 가능한 한 불포화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와 공기를 1:4의 비율로 혼합한 기체를 폭기하면서 석탄회를 물과 반응시켰다. 이에 이산화탄소의 폭기가 석탄회 용출액 내의 이온들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2의 실험에서는 석탄회 10, 50, 100, 200g을 각각 대기에 단순히 노출시킨 상태에서 해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때 사용한 해수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군산의 비응도에서 채취한 해수를 사용하였다.
석탄회 투입량에 따른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석탄회 용출액 내의 pH, Ca2+, Mg2+, Li+의 농도는 표 3과 같다. 도 5는 석탄회 10, 50, 100, 200g을 각각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해수 200㎖와 30분간 반응시켰을 때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이온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석탄회 투입량 pH Ca2+(ppm) Mg2+(ppm) Li+(ppm)
10g 9.49 308 902 0.65
50g 9.58 675 788 1.12
100g 9.83 1231 520 1.76
200g 11.54 2522 0.13 3.81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회를 대기에 노출된 상태에서 해수와 반응시키는 경우에도 석탄회 양이 증가함에 따라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농도가 선형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가능한 많은 양의 석탄회와 반응시키는 경우 석탄회 용출액 내의 리튬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표 2와 표 3을 비교하면, 석탄회를 대기에 노출한 상태에서 해수와 반응시키는 경우에도 석탄회 용출액 내의 이온들의 변화가 이산화탄소를 폭기한 경우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석탄회와 해수의 혼합비가 200g:200㎖일 때 마그네슘 이온의 농도가 0.13ppm으로 줄었으며, 이는 해수 원수기준으로 99.98%의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것으로 이산화탄소를 폭기한 경우보다 마그네슘 이온이 훨씬 많이 제거되었다. 이처럼, 대기와 평형을 시켰을 때나 해수에 대한 석탄회의 비율이 높을 때 마그네슘 이온의 제거 효율이 좋은 것은 높은 pH가 유도되어 브루사이트(Mg(OH)2)와 같은 마그네슘을 함유한 2차 광물들이 쉽게 침전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마그네슘 이온의 제거 효율을 높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폭기하지 않고 해수에 대한 석탄회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할 때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의 접촉을 차단하면 마그네슘 이온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석탄회 용출액의 제조를 밀폐된 공간에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석탄회를 해수와 반응시켜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석탄회 용출액으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해수 100㎖당 상기 석탄회가 100g 이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회 용출액으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석탄회 용출액에 흡착제를 투입하여 석탄회 용출액에 용존하는 리튬 이온을 흡착하는 단계; 및
    리튬 이온이 흡착된 흡착제를 산처리하여 리튬 이온을 탈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조된 석탄회 용출액을 반복하여 석탄회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회 용출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밀폐된 공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KR1020110093726A 2011-09-16 2011-09-16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Active KR10111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726A KR101116687B1 (ko) 2011-09-16 2011-09-16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726A KR101116687B1 (ko) 2011-09-16 2011-09-16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6687B1 true KR101116687B1 (ko) 2012-02-22

Family

ID=4584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726A Active KR101116687B1 (ko) 2011-09-16 2011-09-16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66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47A1 (ko) * 2012-07-13 2014-01-16 Lee Sang Ro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석탄회 또는 리튬이차전지용 활물질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WO2016032138A1 (ko) * 2014-08-28 2016-03-03 한국전력공사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130119A (zh) * 2017-07-18 2017-09-05 河北工程大学 一种从粉煤灰中浸出锂的方法
CN115287469A (zh) * 2022-07-21 2022-11-04 湖北金泉新材料有限公司 一种从黏土型锂矿中选择性提锂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648A (ja) * 1994-06-10 1995-12-19 Nippon Shokubai Co Ltd 金属捕集剤及び金属捕集方法
KR20100057520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648A (ja) * 1994-06-10 1995-12-19 Nippon Shokubai Co Ltd 金属捕集剤及び金属捕集方法
KR20100057520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온체형 망간 산화물 제조 및 리튬 이온 흡착/탈착 공정을 위한 일체형 리튬 회수 장치, 이를 이용한 리튬 회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흡탈착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47A1 (ko) * 2012-07-13 2014-01-16 Lee Sang Ro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석탄회 또는 리튬이차전지용 활물질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101466497B1 (ko) * 2012-07-13 2014-12-02 이상로 전기화학법을 이용하여 석탄회 또는 리튬이차전지용 활물질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WO2016032138A1 (ko) * 2014-08-28 2016-03-03 한국전력공사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27348A (ko) * 2014-08-28 2016-03-10 한국전력공사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3259B1 (ko) 2014-08-28 2016-03-15 한국전력공사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130119A (zh) * 2017-07-18 2017-09-05 河北工程大学 一种从粉煤灰中浸出锂的方法
CN115287469A (zh) * 2022-07-21 2022-11-04 湖北金泉新材料有限公司 一种从黏土型锂矿中选择性提锂的方法
CN115287469B (zh) * 2022-07-21 2024-03-29 湖北金泉新材料有限公司 一种从黏土型锂矿中选择性提锂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6955B2 (ja) 炭酸リチウムを製造する方法
KR101116687B1 (ko) 석탄회로부터 리튬을 추출하는 방법
KR102496588B1 (ko) 고회수율의 리튬 농축 용액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화합물의 제조 방법
CN103418336B (zh) 一种高温钙基co2吸收材料的制备方法
CN102794093A (zh) 一种二氧化碳捕集与矿化一体化工艺
CN107445209A (zh) 去除软锰矿浆浸出液中连二硫酸锰制备饱和硫酸锰浆液及硫酸锰的方法
CA3222737A1 (en) Process and system for lithium extraction
KR20220026285A (ko) 폐전지의 리튬을 탄산리튬의 형태로 회수하는 방법
KR102104553B1 (ko) 리튬 함유 용액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102672766B1 (ko) 저농도 리튬폐액으로부터 고효율 리튬 회수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탄산리튬
CN103102147A (zh) 用废旧锌锰电池制备锌锰软磁铁氧体的方法
CN119530539B (zh) 锂电池中锂回收的方法
Su et al. High-efficiency preferential extraction of lithium from spent lithium-ion battery cathode powder via synergistic treatment of mechanochemical activation and oxidation roasting
CN110180489B (zh) 一种掺硫富锂锰系锂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843797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CN111603906B (zh) 一种二氧化碳镁基吸附剂及其制备方法
KR101859871B1 (ko) 폐 이산화탄소 흡착제로부터 리튬 회수방법
CN107297131A (zh) 利用电石渣和腐植酸盐固存co2副产建筑材料的方法
CN110407236B (zh) 电动汽车级碳酸锂的制备方法
CN115522073A (zh) 一种改性赤铁矿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77760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1448606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KR102776489B1 (ko) 산성 침출 및 이산화탄소 포집 용액을 이용한 생활 폐기물 소각 비산재 무해화 및 매립지 가스 정화 방법
KR101541897B1 (ko)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는 과정 중 망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해수 내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흡착제의 제조 방법
JP7706180B2 (ja) 低濃度リチウム塩水溶液からリチウムを回収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